KR200311523Y1 - Multi polar Plug - Google Patents

Multi polar Plu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523Y1
KR200311523Y1 KR20-2003-0003868U KR20030003868U KR200311523Y1 KR 200311523 Y1 KR200311523 Y1 KR 200311523Y1 KR 20030003868 U KR20030003868 U KR 20030003868U KR 200311523 Y1 KR200311523 Y1 KR 200311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tip
plug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8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재중
Original Assignee
변재중
백춘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중, 백춘심 filed Critical 변재중
Priority to KR20-2003-0003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52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523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극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잭에 삽입되어 대응하는 잭접촉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및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이 동축상에 서로 절연되게 배열된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로부터 각각 상기 슬리브 후방으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전선이 각각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또는 슬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요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가 상기 잭 내에 삽입시 대응하는 잭접촉단자의 접촉부분이 상기 요홈의 팁방향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플러그와 잭의 결속력이 증가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ole plug, comprising: a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a jack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and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such as at least one or more rings and sleeves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on a coaxial axis; And a gripp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to the rear of the sleeve and sealing a plurality of solder terminals, respectively, to which corresponding wires are soldered.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ring or sleeve is form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fore, whe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jack,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in the tip direction of the groove so that the plug receives the force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plug and the jack.

Description

다극 플러그{Multi polar Plug}Multi polar plug

본 고안은 다극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잭에 삽입시 단자 결속력이 우수하여 접촉불량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이 없고 코드의 요동에도 잭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 다극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ole plu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ole plug that is excellent in terminal binding force when inserted into a jack, does not generate noise due to a poor contact, and does not easily fall out of the jack even in a fluctuation of a cord.

최근에 셀룰라 전화기와 같은 개인 휴대장치의 초경량화, 소형화 및 슬림화가 경쟁적으로 진행되어 감에 따라 장착되는 이어폰 잭 또는 입출력 잭의 사이즈도소형화가 요구되고 이에 잭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직경도 3.5mm 소형 플러그에서 2.5mm 초소형 플러그로 소구경화가 진행되고 있다.As ultra-light weight,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of personal handheld devices such as cellular telephones have recently been competitively advanced, the size of earphone jacks or input / output jacks required to be miniaturized is required, and the diameter of the plug inserted into the jack is also small. Small diameter from the plug to the small 2.5mm plug is in progress.

3.5mm 소형 플러그는 잭에 삽입되는 길이가 14mm로 휴대용 오디오 기기, 예컨대 FM 라디오 수신기의 스테레오 이어폰이나,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스테레오 이어폰 등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 3.5mm 소형 플러그는 스테레오 음악을 즐기기 위하여 주로 3극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다기능화 및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어폰 전선의 중간에 리모콘을 채택하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3.5mm 소형 3극 플러그의 극수가 4극, 5극, 6극 등으로 다극화되어 가고 있다.The 3.5 mm small plug has a length of 14 mm inserted into the jack, and has been mainly used for portable audio equipment such as stereo earphones of an FM radio receiver or stereo earphones of a portable cassette tape recorder. This 3.5mm small plug is mainly composed of three poles to enjoy stereo music, but recently, the technology of adopting the remote control in the middle of the earphone wire to improve the versatility and portability of the portable cassette tape recorder has been developed. The number of poles of the mm small 3-pole plug is multipolar to 4 poles, 5 poles, 6 poles, and the like.

3.5mm 플러그 경우에는 잭에 삽입시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의 길이도 길고, 직경도 커서 잭의 팁 파지력이 충분하여 쉽게 빠지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인장력을 유지한다.In the case of a 3.5mm plug, the length of the terminal inserted into the jack is long and the diameter is large so that the tip gripping force of the jack is sufficient to maintain sufficient tensile force so that it cannot be easily pulled out.

그러나, 2.5mm 플러그의 경우에는 직경 및 단자부의 길이가 작아짐에 따라 그만큼 잭과의 결속력이 감소되므로, 쉽게 빠지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2.5 mm plug, the binding force with the jack decreases as the diameter and the length of the terminal portion decrease, so that the problem of being easily released is pointed out.

도 1은 종래의 2.5mm 5극 플러그(10)는 봉형 4극단자들(12, 14, 16, 18)과 1극 환형단자(20)로 구성된다. 5극 잭(30)은 몸통부(40)와 네크부(60)로 구성된다. 몸통부(40)에는 팁접촉단자(42), 제1링접촉단자(44), 제2링접촉단자(46), 슬리브 접촉단자(48)가 설치된다. 네크부(60)의 외주면 둘레에 캡형 접촉단자(62)가 설치되고, 네크부(60) 중앙 선단으로부터 몸통부(40)로 플러그 삽입구(64)가 형성된다.1 shows a conventional 2.5mm 5-pole plug 10 comprising rod-shaped 4-pole terminals 12, 14, 16, and 18 and a 1-pole annular terminal 20. The five-pole jack 30 is composed of a body portion 40 and the neck portion 60. Body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 tip contact terminal 42, the first ring contact terminal 44, the second ring contact terminal 46, the sleeve contact terminal 48. A cap-shaped contact terminal 62 is provid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60, and a plug insertion port 64 is formed from the center end of the neck portion 60 to the body portion 40.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잭(30)에 삽입된 플러그(10)는 잭의 대응하는 접촉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탄성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파지된다. 특히 팁단자(12)는 팁접촉단자(42)와 접촉되는 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이 경사면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는 삽입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결속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plug 10 inserted into the jack 30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contact terminals of the jack and is gripped by the frictional force due to elasticity. In particular, the tip terminal 12 is in contact with the tip contact terminal 42 forms an inclined surface by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the plug is subjected to a force in the insertion direction is bound.

그러나, 플러그의 직경이 2.5mm로 작아짐에 따라 경사면의 경사도도 감소되고, 잭의 각 접촉단자들의 두께나 사이즈가 작아짐에 따라 미치는 탄성력 및 파지력 또한 감소되었다. 더구나 잭과 플러그의 제조 공차를 고려하면 직경 축소에 의한 인장강도가 기존의 3.5mm 플러그와 잭에 비하여 현저하게 떨어져 결속력이 약해져 쉽게 빠지게 된다.However, as the diameter of the plug was reduced to 2.5 mm,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was also reduced, and the elastic force and the gripping force also decreased as 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contact terminal of the jack were reduced. Moreover, 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tolerances of jacks and plugs, the tensile strength due to diameter reduct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existing 3.5mm plugs and jacks, resulting in a weakening of the binding force.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촉단자들의 구조를 변경하여 기존의 잭과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잭과 결속력이 증가된 다극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ole plug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existing jack while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with the jack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contact terminal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도 1은 종래의 2.5mm 4극 플러그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conventional 2.5mm 4-pole plug.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2.5mm 4극 플러그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2.5mm 4-pole plug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일부 절개 사시도.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단자들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erminal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연재 인서팅 금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sulating material inserting mold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플러그가 잭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jack.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플러그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7 and 8 are views showing a plug structure of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절연재 인서팅 금형구조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insulating material inserting mold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플러그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plug structure of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의 플러그를 적용한 셀룰라폰의 핸즈프리 이어 마이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1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s-free ear microphone of the cellular phone to which the plu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100, 200, 300 : 플러그 30 : 잭10, 100, 200, 300: Plug 30: Jack

40 : 몸통부 42, 44, 46, 48 : 잭접촉단자40: body 42, 44, 46, 48: jack contact terminal

50, 52 : 보조단자 60 : 네크부50, 52: auxiliary terminal 60: neck portion

62 : 캡형 접촉단자 64 : 삽입구62: cap type contact terminal 64: insertion hole

90 : 접촉단자 지지구 92 : 받참대90: contact terminal support 92: support stand

94 : 덮개94: cover

110, 310 : 팁 112, 122, 132, 142 ; 접촉단자110, 310: tips 112, 122, 132, 142; Contact terminal

114, 124, 134, 146 : 납땜단자 120 : 제1링114, 124, 134, 146: soldering terminal 120: first ring

130 : 제2링 140, 240 : 슬리브130: second ring 140, 240: sleeve

144 : 플랜지 150 : 절연재144: flange 150: insulation

248 : 돌출턱248: protruding ja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잭에 삽입되어 대응하는 잭접촉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및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이 동축상에 서로 절연되게 배열된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로부터 각각 상기 슬리브 후방으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전선이 각각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다극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또는 슬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가 상기 잭 내에 삽입시 대응하는 잭접촉단자의접촉부분이 상기 요홈의 팁방향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such as a tip, at least one ring and a sleeve, inserted into a ja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s, are arranged insulated from each other on a coaxial axis. And a gripp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to the rear of the sleeve, the gripping portion sealing a plurality of solder terminals to which corresponding wires are respectively soldered, wherein the at least one ring or sleeve includes: One of the grooves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ly extending groo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whe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jack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in the tip direction of the groove so that the plug It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strength.

본 고안에서 다극 플러그의 단자부는 2.5mm 직경 4극 플러그를 기본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multipole plug is based on a 2.5mm diameter 4-pole plug.

본 고안에서 요홈의 가장 깊은 부분이 상기 잭접촉단자와 접촉부분보다 파지부 방향으로 치우쳐 팁방향의 경사면 보다 파지부 방향의 경사면이 더 급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eepest portion of the groove is biased toward the grip portion than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jack contact terminal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in the grip portion direction is steeper than the inclined surface in the tip direction.

또한, 본 고안의 팁은 선단, 제1경사면, 걸림턱, 제2경사면, 걸림홈, 제3경사면, 종단을 포함하고, 대응하는 잭접촉단자의 접촉부위가 상기 제2경사면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대응하는 잭접촉단자가 플러그 삽입시에는 오픈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도를 증가시킨다.In addition, the ti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ip, the first slope, the locking step, the second slope, the locking groove, the third slope, the e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does not deviate from the second slope The slop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increased so that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remains open when the plug is inserted.

본 고안에서 팁은 종단의 후면에 봉형 납땜단자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입구 에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자유단의 에지가 방사상으로 확장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부는 플러그의 팁이 플러그 구조에 보다 견고하게 결착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has a coupling groove in which a rod-shaped soldering terminal is forcibly fitted to the rear side of the end, and the inlet edge of the coupling groove preferably protrudes rearward and a protrusion having a free edge extending radially is formed. Do. This protrusion allows the tip of the plug to be more firmly attached to the plug structure.

본 고안의 슬리브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가 상기 잭 내에 삽입시 대응하는 잭접촉단자의 접촉부분이 상기 돌기의 파지부방향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lee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whe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jack,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plug is connected. It is also possible to force in the insertion direction.

또한, 본 고안은 잭에 삽입되어 대응하는 잭접촉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접속되는 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및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이 동축상에 서로 절연되게 배열된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로부터 각각 상기 슬리브 후방으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전선이 각각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다극 플러그에 있어서, 팁의 접촉단자는 선단, 제1 경사면, 걸림턱, 제 2 경사면, 걸림홈, 제 3 경사면, 종단을 포함하고, 대응하는 잭접촉단자의 접촉부위가 상기 제2경사면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경사면과 제3경사면의 수평길이의 비가 1:5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the jack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such as at least one ring and sleeve are arranged insulated coaxially with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A multi-pole plug including a gripp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tact terminals behind the sleeve, respectively, and sealing a plurality of solder terminals to which corresponding wires are soldered, respectively, wherein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tip have a tip, a first inclined surface, a locking jaw, A ratio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o the third inclined surface, includ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a locking groove, a third inclined surface, and an end thereof, where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does not deviate from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5 to 1: 1.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통상적으로 2.5mm 플러그와 잭은 그 결속 인장강도가 약 0.8㎏이상이 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약 0.8㎏이상의 결속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러그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Typically, 2.5 mm plugs and jacks are required to have a combined tensile strength of about 0.8 kg or mor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lug structure to maintain the binding tensile strength of more than about 0.8kg.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2.5mm 4극 플러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2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2.5mm 4-pol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플러그(100)는 팁(110), 제1링(120), 제2링(130), 슬리브(140)를 포함한다. 이들 사이는 절연재(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lug 10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p 110, the first ring 120, the second ring 130, the sleeve 140. Between them is electrically insulated by the insulating material 150.

팁(110)은 잭에 삽입되어 잭접촉단자와 접촉되는 Ω자형 접촉단자(112)와 접촉단자(11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0.5 내지 0.6mm 직경을 가진 핀형 납땜단자(114)를 포함한다.The tip 110 includes an Ω-shaped contact terminal 112 inserted into the jack and contacting the jack contact terminal and a pin-shaped solder terminal 114 having a diameter of 0.5 to 0.6 mm extending rearward from the contact terminal 112.

팁(110)의 접촉단자(112)는 선단(112a), 제1경사면(112b), 걸림턱(112c), 제2경사면(112d), 걸림홈(112e), 제3경사면(112f), 종단(112g), 돌출부(112h), 삽입홈(112i)을 포함한다.The contact terminal 112 of the tip 110 has a front end 112a, a first slope 112b, a locking jaw 112c, a second slope 112d, a locking groove 112e, a third slope 112f, and a terminal end. 112g, the protrusion 112h, and the insertion groove 112i.

팁(110)의 접촉단자(112)는 선단(112a)에서 종단(112g)까지의 전체 길이가 3.8 ±0.1mm로 규격화되어 있다. 잭(30)의 팁접촉단자(42)는 접촉단자(112)의 선단으로부터 약 1.2mm 내지 1.6mm 이내에서 제2경사면(112d)과 접촉하도록 규격화되어 있다.The contact terminal 112 of the tip 110 is standardized to have a total length from the tip 112a to the end 112g of 3.8 ± 0.1 mm. The tip contact terminal 42 of the jack 30 is standardized to contact the second slope 112d within about 1.2 mm to 1.6 mm from the tip of the contact terminal 112.

본 고안에서는 걸림홈(112e)의 가장 깊은 부분이 선단으로부터 1.6mm 내지 2.0mm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2경사면(112d)의 경사도를 허용 한도 내에서 가급적 증가시킨다. 이러한 제2경사도의 증가는 잭의 팁접촉단자(42)가 제2경사면(112d)을 누르는 힘 중 플러그의 삽입방향 분력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플러그(100)와 잭(60)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epest portion of the locking groove 112e is located at a 1.6mm to 2.0mm portion from the tip to increase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2d within the allowable limit. The increase of the second inclination increases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plug 100 and the jack 60 because the tip contact terminal 42 of the jack increases the insertion force of the plug in the force of press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2d. .

제2경사면(112d)의 경사도가 너무 급할수록 삽입방향 분력은 커지게 되나 일정 경사도를 넘게 되면 걸림턱(112c)이 잭(30)의 팁접촉단자(42)를 외측으로 밀어주는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플러그 삽입시에도 잭(30)의 제1스위치 접점을 오프상태로 전환시킬 수 없는 동작상의 문제가 발생된다.If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2d is too steep, the insertion force component becomes larger, but if the inclinat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the distance that the locking jaw 112c pushes the tip contact terminal 42 of the jack 30 outward becomes shorter. do. This phenomenon causes an operation problem in which the first switch contact of the jack 30 cannot be turned off even when the plug is inserted.

또한, 걸림홈(112e)의 가장 깊은 부분이 선단으로부터 1.6mm 이내로 위치하게 되면, 잭(30)의 팁접촉단자(42)가 제3경사면(112f)에서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잭(30)의 팁접촉단자(42)가 제3경사면(112f)을 누르게 되므로 삽입방향과 반대 방향 즉 플러그(100)의 파지부 방향으로 분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분력은 플러그(100)가 잭(30)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를 피하지 않으면 안된다.In addition, when the deepest portion of the locking groove 112e is located within 1.6 mm from the tip, the tip contact terminal 42 of the jack 30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slope 112f. In this case, since the tip contact terminal 42 of the jack 30 presses the third inclined surface 112f, the component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that is, the grip portion of the plug 100. Therefore, this dichotomy must be avoided because the plug 100 acts in the direction from which the jack 30 is released.

따라서, 팁접촉단자(42)가 제3경사면(112f)이 접촉되지 않으면서 제2경사면(112d)의 경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걸림홈(112c)의 가장 깊은 부분이 선단으로부터 1.6mm 내지 2.0mm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접촉단자(112)의 외주면이 가공되어야 한다. 즉, 제2경사면(112d)과 제3경사면(112f)의 수평 길이의 비가 5:1 내지 1:1의 범위를 가진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2d while the tip contact terminal 42 is not in contact with the third inclined surface 112f, the deepest portion of the engaging groove 112c is 1.6 mm to 2.0 mm from the tip.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12 should be machined to be in the range. That is, the ratio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slope 112d and the third slope 112f has a range of 5: 1 to 1: 1.

걸림턱(112c)의 외경은 바람직하기로는 2.3+0.03mm로 포지티브 공차 0.03mm를 가진다. 종단(112g)은 2.4mm로 원재료의 직경을 유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팁(110)은 2.4mm 의 봉형 재료를 절삭 가공하여 걸림턱(112c)과 걸림홈(112e)을 형성하기 때문에 걸림턱(112c)의 외경을 2.3mm에서 포지티브 공차를 가지도록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2.3mm 봉형 재료로부터는 걸림턱(112c)의 외경을 2.3mm에서 포지티브 공차를 가지도록 가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결국 마이너스 공차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팁 걸림턱(112c)의 외경과 종래의 팁 걸림턱의 외경과는 최소한 0.06mm 정도의 차이가 나게 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latching jaw 112c is preferably 2.3 + 0.03mm and has a positive tolerance of 0.03mm. The end 112g maintains the diameter of the raw material at 2.4 mm.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ip 110 cuts the rod-shaped material of 2.4 mm to form the locking step 112c and the locking groove 112e, the outer diameter of the locking step 112c has a positive tolerance at 2.3 mm. It is possible to process. However, from the 2.3 mm rod-shaped material, it is impossible to process the outer diameter of the locking step 112c to have a positive tolerance at 2.3 mm, and thus have a negative tolerance. Therefore, the outer diameter of the tip catching jaw 112c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ventional tip catching jaw are at least about 0.06 mm.

이와 같은 걸림턱의 외경 차이는 잭에 삽입시 잭의 단자들과 접촉력을 증가시키므로 접촉불량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이나 잭으로부터 플러그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fference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cking step increases the contact force with the terminals of the jack when inserted into the jack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due to poor contact or the plug can be easily pulled out from the jack.

팁(20)의 종단(112g)의 후면에 돌출부(112h)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 핀형 납땜단자(114)의 일측단이 펀칭에 의한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삽입홈(112i)이 형성된다. 돌출부(112h)의 자유단의 에지가 방사상으로 확장되어 종단의 후면과 확장부 사이에 절연재(150)가 끼워지게 되어 팁(20)이 더욱 단단하게 결합되게 된다.A protrusion 112h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nd 112g of the tip 20, and an insertion groove 112i is formed in which one end of the pin-type solder terminal 114 is inserted by a punching method by punching. The edge of the free end of the protrusion 112h is radially extended so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150 is sandwich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protrusion and the extension part so that the tip 20 is more firmly coupled.

제1링(120)은 2.45mm 내지 2.5mm 이내의 외경을 가지고 1.2mm 내지 1.8mm의 길이를 가지는 링형 접촉단자(122)와 접촉단자(122)의 종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1.1mm 외경을 가진 파이프형 납땜단자(124)를 포함한다. 접촉단자(122)는 팁(110)의 접촉단자(112)의 종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예컨대 0.7mm 이격되고 팁(110)의 납땜단자(114)의 외곽에 배치된다. 제1링(120)의 전체 길이는 팁(110)의 납땜단자(114)의 전체 길이 보다 짧아서 팁(110)의 납땜단자(114)의 종단부의 납땜부위가 충분히 노출된다. 제1링(120)의 접촉단자(122)는 절연재의 인서트 공정시 금형 내에서 지지되기 위하여 팁(20)의 접촉단자(112)의 종단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져야 한다.The first ring 120 has an outer diameter of 2.45 mm to 2.5 mm and a ring-shaped contact terminal 122 having a length of 1.2 mm to 1.8 mm and a 1.1 mm outer diameter extending rearward from the end of the contact terminal 122. Pipe type soldering terminal 124 is included. The contact terminal 122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contact terminal 112 of the tip 110, for example, 0.7 mm apart from the solder terminal 114 of the tip 110. The total length of the first ring 120 is short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soldering terminal 114 of the tip 110 so that the soldered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oldering terminal 114 of the tip 110 is sufficiently exposed. The contact terminal 122 of the first ring 120 should have an outer diameter greater than the terminal outer diameter of the contact terminal 112 of the tip 20 to be supported in the mold during the insert process of the insulating material.

제1링(120)의 접촉단자(12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요홈(120a)이 형성된다. 요홈(120a)은 플러그(100)의 단자부가 잭 내에 삽입시 대응하는 잭접촉단자(44)의 접촉부분이 요홈(120a)의 팁방향의 경사면(120b)에 접촉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요홈(120a)의 가장 깊은 부분이 잭접촉단자(44)와 접촉부분보다 파지부 방향으로 치우쳐 팁방향의 경사면(120b) 보다 파지부 방향의 경사면(120c)이 더 급경사를 이룬다. 이와 같은 요홈 구조는 플러그(100)의 잭 결속력을 증가시킨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22 of the first ring 120 is formed with a groove 120a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groove 120a, whe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100 is inserted into the jack,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44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120b in the tip direction of the groove 120a so that the plug is forc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Receive. The deepest portion of the groove 120a is biased toward the grip portion than the jack contact terminal 44 and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120c in the grip portion direction is steeper than the inclined surface 120b in the tip direction. This groove structure increases the jack binding force of the plug 100.

제2링(130)은 포지티브 공차를 가진 2.5mm 외경을 가지고 1.2mm 내지 1.8mm의 길이를 가지는 링형 접촉단자(132)와 접촉단자(132)의 종단으로부터 후방으로연장된 1.8mm 외경을 가진 파이프형 납땜단자(134)를 포함한다. 제2링(130)의 접촉단자(132)는 제1링(120)의 접촉단자(122)의 종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예컨대 0.7mm 이격되고 제1링(120)의 납땜단자(124)의 외곽에 배치된다. 제2링(130)의 전체 길이는 제1링(120)의 납땜단자(124)의 길이 보다 짧아서 제1링(120)의 납땜단자(124)의 종단부의 납땜부위가 충분히 노출된다.The second ring 130 has a 2.5 mm outer diameter with positive tolerance and a ring-shaped contact terminal 132 having a length of 1.2 mm to 1.8 mm and a pipe having a 1.8 mm outer diameter extending rearward from the end of the contact terminal 132. And a soldering terminal 134. The contact terminal 132 of the second ring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contact terminal 122 of the first ring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0.7 mm, and the outer edge of the solder terminal 124 of the first ring 120. Is plac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second ring 13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oldering terminal 124 of the first ring 120 so that the soldering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oldering terminal 124 of the first ring 120 is sufficiently exposed.

제2링(130)의 접촉단자(132)는 절연재의 인서트 공정시 금형 내에서 지지되기 위하여 제1링(120)의 접촉단자(12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져야 한다.The contact terminal 132 of the second ring 130 should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tact terminal 122 of the first ring 120 to be supported in the mold during the insert process of the insulating material.

제2링(130)의 접촉단자(13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요홈(130a)이 형성된다. 요홈(130a)은 플러그(100)의 단자부가 잭 내에 삽입시 대응하는 잭접촉단자(36)의 접촉부분이 요홈(130a)의 팁방향의 경사면(130b)에 접촉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요홈(130a)의 가장 깊은 부분이 잭접촉단자(36)와 접촉부분보다 파지부 방향으로 치우쳐 팁방향의 경사면(130b) 보다 파지부 방향의 경사면(130c)이 더 급경사를 이룬다. 이와 같은 요홈 구조는 플러그(100)의 잭 결속력을 증가시킨다.A groove 130a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32 of the second ring 130. In the groove 130a, whe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100 is inserted into the jack,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36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130b in the tip direction of the groove 130a so that the plug is forc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Receive. The deepest portion of the groove 130a is biased toward the grip portion than the jack contact terminal 36 and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130c in the grip portion direction is steeper than the inclined surface 130b in the tip direction. This groove structure increases the jack binding force of the plug 100.

슬리브(140)는 제2링(130)의 링형 접촉단자(132)와 동일 외경을 가지는 파이프형 접촉단자(142)와, 플랜지(144), 플랜지(144)의 후방으로 연장된 파이프형 납땜단자(146)를 포함한다. 플랜지(144)는 잭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최종단을 한정한다.The sleeve 140 has a pipe-type contact terminal 142 having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ring-shaped contact terminal 132 of the second ring 130, a flange 144, a pipe-type soldering terminal extending rearward of the flange 144. 146. The flange 144 defines the final end of the plug that is inserted into the jack.

슬리브(50)의 전체 길이는 제2링(130)의 납땜단자(134)의 전체 길이 보다 짧아서 제2링(130)의 납땜단자(134)의 종단부의 납땜부위가 충분히 노출된다.슬리브(140)는 절연재의 인서트 공정시 금형 내에서 플랜지(144)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2.5mm 4극 플러그의 각 단자들 팁(110), 제1링(120), 제2링(130), 슬리브(140)는 차례대로 팁(110)의 납땜단자(114)에 끼워진 다음에 도 3의 인서트 금형에 장착되게 된다.The total length of the sleeve 50 is short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soldering terminal 134 of the second ring 130 so that the soldered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oldering terminal 134 of the second ring 130 is sufficiently exposed. Is supported by the flange 144 in the mold during the insert process of the insulating material. Each terminal tip 110, the first ring 120, the second ring 130, and the sleeve 140 of the 2.5 mm 4-pol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in turn soldered terminal 114 of the tip 110. ) Into the insert mold of FIG. 3.

인서트 금형은, 접촉단자 지지구(90),받침대(92), 덮개(94)로 구성된다.The insert mold is composed of a contact terminal support 90, a support 92, and a lid 94.

먼저, 접촉단자 지지구(90)에 형성된 지지통공(90a)에 4극 단자들의 조립체가 장착되면, 팁(110)은 지지통공(90a)의 경사면(90b)에 의해 제1경사면이 지지된다. 제1링(120)은 지지통공(90a)의 제1단차(90c)에 의해 접촉단자(122)의 선단이 지지된다. 제2링(130)은 지지통공(90a)의 제2단차(90d)에 의해 접촉단자(132)의 선단이 지지된다. 슬리브(140)는 지지통공(90a)의 주변부에 플랜지(144)의 선단이 지지된다.First, when the assembly of the 4-pole terminals is mounted in the support through hole 90a formed in the contact terminal support 90, the tip 110 is supported by the inclined surface 90b of the support through hole 90a. The first ring 120 is supported by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terminal 122 by the first step 90c of the support through hole (90a). The second ring 130 is supported by the tip of the contact terminal 132 by the second step 90d of the support hole 90a. The tip of the flange 144 is supported at the periphery of the sleeve 140 by the sleeve 140.

따라서, 팁(110)과 제1링(120)은 0.7mm의 간격을 두고, 제1링(120)과 제2링(130)은 0.7mm의 간격을 두고, 제2링(130)과 슬리브(140)는 0.7mm의 간격을 두고 접촉단자 지지구(90)에 지지되게 된다.Accordingly, the tip 110 and the first ring 120 are spaced 0.7 mm apart, and the first ring 120 and the second ring 130 are 0.7 mm apart, and the second ring 130 and the sleeve are spaced 0.7 mm apart. 140 is supported by the contact terminal support 90 at intervals of 0.7mm.

접촉단자 지지구(90)의 지지통공(90a)은 팁(110), 제1링(120), 제2링(130), 슬리브(140)의 각 접촉단자들(112, 122, 132, 142)의 외경과 길이에 대응하여 리머(reamer) 가공된다. 예컨대, 팁(110)의 걸림턱 부분의 내경(a)은 2.325 ~2.33mm, 깊이 2.0mm로 가공되고, 팁(10)의 종단 부분(b)은 내경 2.415~2.42mm, 깊이 1.8mm로 가공된다.The support through holes 90a of the contact terminal support 90 are each of the contact terminals 112, 122, 132, and 142 of the tip 110, the first ring 120, the second ring 130, and the sleeve 140. Reamer is process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and length of For example, the inner diameter (a) of the locking jaw portion of the tip 110 is processed to 2.325 to 2.23 mm and a depth of 2.0 mm, and the end portion (b) of the tip 10 is processed to an inner diameter of 2.415 to 2.42 mm and a depth of 1.8 mm. do.

이어서, 제1링(120)의 접촉단자 부분(c)은 내경 2.475~2.48mm, 깊이 1.9 내지 2.5mm로 가공되고, 제2링(130) 및 슬리브(140)의 접촉단자 부분(d)은 내경 2.545~2.55mm, 깊이 4.6mm로 가공된다.Subsequently,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c of the first ring 120 is processed to have an inner diameter of 2.475 to 2.48 mm and a depth of 1.9 to 2.5 mm, and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d of the second ring 130 and the sleeve 140 is The inner diameter is 2.545 ~ 2.55mm and the depth is 4.6mm.

이와 같이, 플러그 조립체가 삽입된 접촉단자 지지구(90)는 받침대(92)의 홈(92a)에 삽입된다. 이에, 슬리브 제2링, 제1링 및 팁의 납땜단자들의 종단 하반부는 받침대(92)에 의해 각각 면접되어 지지된다.As such, the contact terminal support 90 into which the plug assembly is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92a of the pedestal 92. Thus,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solder terminals of the sleeve second ring, the first ring and the tip are interviewed and supported by the pedestal 92, respectively.

덮개(94)로 받침대(92)를 덮으면, 슬리브 및 팁의 각 납땜단자(146, 134, 124, 114)의 상반부가 덮개(94)에 형성된 각 대응면에 면접되어 지지된다. 제1링 및 제2링의 납땜단자(124, 134) 종단부는 지지돌기(94a, 94b)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By covering the pedestal 92 with the lid 94, the upper half of each solder terminal 146, 134, 124, 114 of the sleeve and tip is interviewed and supported on each corresponding surface formed in the lid 94. The end portions of the solder terminals 124 and 134 of the first ring and the second ring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s 94a and 94b, respectively.

이와 같이 인서트 금형 내에 플러그 조립체를 고정시키 다음에 절연재(150)를 게이트를 통하여 금형 내의 공간부에 주입시키면 이들 조립체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절연재(150)가 주입되어 각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게 된다.In this way, the plug assembly is fixed in the insert mold, and then the insulating material 150 is injected into the space in the mold through the gate, and the insulating material 150 is injected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assemblies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terminals. do.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번의 절연재 인서트 공정에 의해 4개의 단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플러그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four terminals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mechanically fixed by a single insulating insert process to form a plug structure.

따라서, 절연재(150)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슬리브(140)의 플랜지(144) 전방은 팁(110)의 접촉단자(112), 절연링(150a), 제1링(120)의 접촉단자(122), 절연링(150b), 제2링(130)의 접촉단자(132), 절연링(150c), 슬리브(140)의 접촉단자(142)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봉 형상의 플러그 단자부가 형성된다.Therefore, the insulating material 150 is formed integrally. The front of the flange 144 of the sleeve 140 is the contact terminal 112 of the tip 110, the insulating ring 150a, the contact terminal 122 of the first ring 120, the insulating ring 150b, the second ring A rod-shaped plug terminal portion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s 132, the insulating ring 150c, and the contact terminals 142 of the sleeve 140 are sequentially arranged is formed.

슬리브(140)의 플랜지(144) 후방에는 차례로 슬리브 납땜단자(146),제2링(130)의 납땜단자(134), 제1링(120)의 납땜단자(124), 팁(110)의 납땜단자(114)들이 계단상으로 노출된다. 노출된 각 납땜단자들에 대응하는 전선, 예컨대 슬리브의 납땜단자(146)에는 접지선이, 제2링의 납땜단자(134)에는 마이크선이, 제1링의 납땜단자(124)에는 R선이, 팁의 납땜단자(114)에는 L선이 각각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After the flange 144 of the sleeve 140, the sleeve solder terminal 146, the solder terminal 134 of the second ring 130, the solder terminal 124 of the first ring 120, and the tip 110 of the sleeve 140 are in turn. Solder terminals 114 are exposed in a stepped manner. A wire corresponding to each exposed solder terminal, for example, a grounding wire for the soldering terminal 146 of the sleeve, a microphone wire for the soldering terminal 134 of the second ring, and an R wire for the soldering terminal 124 of the first ring The solder wire 114 of the tip is connected to the L wire by soldering, respectively.

또는, 슬리브의 납땜단자(146)에는 접지선이, 제2링의 납땜단자(134)에는 제어선이, 제1링의 납땜단자(124)에는 마이크선이, 팁의 납땜단자(114)에는 이어폰선이 각각 납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ground wire is connected to the solder terminal 146 of the sleeve, the control wire is connected to the solder terminal 134 of the second ring, the microphone wire is connected to the solder terminal 124 of the first ring, and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solder terminal 114 of the tip. The lines can each be connected by soldering.

이와 같이 각 납땜단자들에 대응하는 전선이 납땜에 의해 연결된 다음에 납땜부위는 2차 인서팅 절연재에 의해 몰딩되고 최종적으로 절연캡이 씌어져 플러그의 파지부가 형성된다.In this way, after the wir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older terminals are connected by soldering, the soldering portions are molded by the secondary inserting insulating material, and finally, the insulating cap is covered to form the grip portion of the plug.

이와 같은 단자 조립체의 슬리브의 플랜지 외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접촉단자들이 조립되어 5극, 6극 구조를 이룰 수 있다.At least one annular contact terminal may be assemb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of the sleeve of the terminal assembly to form a 5-pole and a 6-pole structure.

도 6을 참조하면, 통상의 5극 잭(30)은 몸통부(40)와 네크부(60)로 구성된다. 몸통부(40)에는 팁접촉단자(42), 제1링접촉단자(44), 제2링접촉단자(46), 슬리브 접촉단자(48)가 설치된다. 또한, 제1보조단자(50) 및 제2 보조단자(52)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6, a conventional 5-pole jack 30 includes a body portion 40 and a neck portion 60. Body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 tip contact terminal 42, the first ring contact terminal 44, the second ring contact terminal 46, the sleeve contact terminal 48. In addition, the first auxiliary terminal 50 and the second auxiliary terminal 52 are provided.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는 잭(30)의 팁접촉단자(42)의 자유단(42a)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보조단자(50)에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팁접촉단자(42)와 제1보조단자(50)는 제1스위치(SW1)를 구성한다. 또한, 제1링접촉단자(44)의 자유단(44a)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보조단자(52)에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1링접촉단자(44)와 제2보조단자(52)는 제2스위치(SW2)를 구성한다.Before the plug is inserted, the free end 42a of the tip contact terminal 42 of the jack 30 is maintaine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auxiliary terminal 5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tip contact terminal 42 and the first auxiliary terminal 50 constitute the first switch SW1. In addition, the free end 44a of the first ring contact terminal 44 is also maintaine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auxiliary terminal 52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first ring contact terminal 44 and the second auxiliary terminal 52 constitute a second switch SW2.

따라서, 전자기기 세트는 잭(30)의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모두 온상태이면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고 모두 오프상태이면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로 체크한다.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set determines that the plug is not inserted when both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of the jack 30 are on, and checks that the plug is inserted when both are off. .

네크부(60)의 외주면 둘레에 캡형 환형접촉단자(62)가 설치되고, 네크부(60) 중앙 선단으로부터 몸통부(40)로 플러그 삽입구(64)가 형성된다.A cap-shaped annular contact terminal 62 is provid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60, and a plug insertion port 64 is formed from the center end of the neck portion 60 to the body portion 40.

제1실시예의 플러그(100)는 잭(30)에 삽입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When the plug 100 of the first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jack 30, electrical contact is made as shown.

즉, 플러그(100)가 잭(30)에 삽입되어 팁(110)의 접촉단자(112)의 걸림턱(112c)에 의해 팁접촉단자(42)의 만곡부(42b)가 뒤로 눌리게 되므로 자유단(42a)이 제1보조단자(50)로부터 접점이 떨어지게 된다. 제1스위치(SW1)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팁접촉단자(42)의 만곡부(42b)는 걸림턱(112c)을 지나서 제2 경사면(112d)에서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제2경사면(112d)은 삽입방향이 높고 반대 방향이 낮은 경사면을 이룬다. 따라서, 만곡부(42b)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경사면(112d)을 누르게 되므로 경사면에서 삽입방향으로 분력이 작용하게 된다.That is, the plug 100 is inserted into the jack 30 so that the curved portion 42b of the tip contact terminal 42 is pushed backward by the locking step 112c of the contact terminal 112 of the tip 110. A contact point 42a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uxiliary terminal 50. The first switch SW1 maintains a turn off state. The curved portion 42b of the tip contact terminal 42 maintains contact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2d past the locking step 112c.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2d form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high insertion direction and a low opposite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curved portion 42b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112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component force acts in the insertion direction on the inclined surface.

제1링(120)의 접촉단자(122)의 요홈(120a)에서 제1링접촉단자(44)의 만곡부(44b)가 경사면(120b)에 접촉하게 된다. 제1링접촉단자(44)의 자유단(44a)은 제2보조단자(52)와 접점이 떨어지게 되므로 제2스위치(SW2)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만곡부(44b)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경사면(120b)을 누르게 되므로 삽입방향으로 분력이 작용하게 된다.In the groove 120a of the contact terminal 122 of the first ring 120, the curved portion 44b of the first ring contact terminal 44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120b. Since the free end 44a of the first ring contact terminal 44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auxiliary terminal 52, the second switch SW2 maintains a turn-off state. Similarly, since the curved portion 44b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120b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component force acts in the insertion direction.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요홈(130a)에서 제2링접촉단자(46)의 접촉부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Similar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ring contact terminal 46 in the groove 130a has the sam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팁뿐만 아니라 및 제1링 및 제2링에서도 잭접촉단자들에 의해 삽입방향으로 분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잭(30)에서 플러그(100)의 파지력이 향상되게 되므로 플러그(100)가 잭(30)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mponent force acts in the insertion direction by the jack contact terminals as well as the tip and the first ring and the second ring, the gripping force of the plug 100 in the jack 30 is improved. Therefore, the plug 100 does not easily come off from the jack 30.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의 플러그 구조를 나타낸다.6 and 7 show a plug structure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실시예의 플러그(200)는 플러그(100)와 비교하면 슬리브(240)의 접촉단자(242)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턱(248)이 형성된 점이 다르다. 슬리브(240)는 접촉단자(242), 플렌지(244), 납땜단자(246)을 포함한다.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로 처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돌출턱(248)은 잭(30)의 슬리브 접촉단자(38)의 접촉부의 중심으로부터 팁방향으로 치우치게 위치한다. 따라서, 돌출턱(248)의 파지부 측 경사면(248a)에서 접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슬리브 접촉단자(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삽입방향으로 분력을 얻게 된다. 이 분력은 플러그(200)가 잭(3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힘으로 작용한다.The plug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lug 100 in that the protrusion 248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contact terminal 242 of the sleeve 240. The sleeve 240 includes a contact terminal 242, a flange 244, and a solder terminal 246. Since the remaining parts are the sam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the description is omitted. The protruding jaw 248 is oriented in a tip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sleeve contact terminal 38 of the jack 30. Therefore, contact is made at the holding part side inclined surface 248a of the protruding jaw 248. Therefore, the component force is obtai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leeve contact terminal 38. This component acts as a force for suppressing the plug 200 from coming off the jack 30.

잭(30)의 네크부(60)의 삽입구(64)는 돌출턱(248)의 외경에 맞게 돌출턱(2480의 삽입 깊이까지 삽입구(64)의 내경이 확장될 수 있다. 돌출턱(248)의 높이가 허용 공차 이내로 주어진다면 삽입구(64)의 내경을 확장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The insertion hole 64 of the neck portion 60 of the jack 30 may exte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64 to the insertion depth of the projection jaw 2480 to match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jection jaw 248. The projection jaw 248 If the height of is given within the tolerance, it is not necessary to exte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 (64).

도 9를 참조하면, 절연재 인서트 금형치구에서는 돌출턱(248)의 삽입 깊이까지 지지통공(90a)의 내경이 확장되어 제3단차(90e)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9, in the insert insert jig of the insulating material,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hole 90a is extended to the insertion depth of the protruding jaw 248 to form a third step 90e.

도 10 및 도 11은 제3실시예의 플러그 구조를 나타낸다. 플러그(300)는 플러그(100, 200)에 비교하여 팁(110)의 접촉단자(312)의 제1경사면(312b), 제2경사면(312d)을 구면으로 처리하고 제1링에만 요홈이 형성된 점이 다르다. 제2링의 접촉단자(332)의 외주면에는 요홈이 없다. 팁의 제2경사면(312d)의 구면처리는 팁접촉단자(32)의 만곡부(32b)의 접촉부의 경사도를 더욱 크게 형성함으로써 삽입방향으로의 분력을 더욱 증가시킨다.10 and 11 show the plug structur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plug 300 treats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2b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2d of the contact terminal 312 of the tip 110 in a spherical shape compared with the plugs 100 and 200, and the groove is formed only in the first ring. The point is different. There is no groove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332 of the second ring. Spherical treatment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2d of the tip further increases the inclina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32b of the tip contact terminal 32,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component force in the insertion direction.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최소 직경 플러그를 채용한 셀룰라 폰의 핸즈프리 이어 마이크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핸즈프리 이어 마이크는 플러그(410), 마이크(420), 이어폰(43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는 2.5mm 직경의 플러그에서 봉형 4극을 형성함으로써 리모콘 제어 또는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12 shows the structure of a hands-free ear microphone of a cellular phone employing a minimum diameter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handsfree ear microphone includes a plug 410, a microphone 420, and an earphone 43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d-shaped 4-pole is formed from the plug of 2.5mm diameter to realize the remote control or stereo fun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링의 외주면에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잭의 링접촉단자의 접촉부분이 요홈에 걸리게 되므로 기존의 플러그에 비해 장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잭의 단자들과 접촉성이 향상되어 접촉 불량으로 인한 노이즈의 발생이 감소되고 잘 빠지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ring contact terminal of the jack is caught in the groove so that the tension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plug, thereby improving contact with the terminals of the jack. The occurrence of noise due to defects is reduced and does not fall well.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registered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11)

잭에 삽입되어 대응하는 잭접촉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및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이 동축상에 서로 절연되게 배열된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로부터 각각 상기 슬리브 후방으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전선이 각각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다극 플러그에 있어서,A tip portion inserted into the jack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s, respectively, a terminal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such as at least one ring and a sleeve are arranged to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coaxially, and from the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respectively A multi-pole plug which extends behind the sleeve and includes a gripping portion for sealing a plurality of solder terminals to which respective wires are soldered.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또는 슬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가 상기 잭 내에 삽입시 대응하는 잭접촉단자의 접촉부분이 상기 요홈의 팁방향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플러그.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ring or sleev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grooves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whe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jack inclined surface in the tip direction of the groove And the plug is pressed against the force in the insertion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2.5mm 직경 4극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플러그.The multi-pole plu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portion has a 2.5-mm diameter 4-pole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가장 깊은 부분이 상기 잭접촉단자의 접촉부분보다 파지부 방향으로 치우쳐 팁방향의 경사면 보다 파지부 방향의 경사면이 더 급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플러그.The multi-pole plug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eepest portion of the groove is biased toward the grip portion than the contact portion of the jack contact terminal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in the grip portion direction is steeper than the inclined surface in the tip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선단, 제1 경사면, 걸림턱, 제 2 경사면, 걸림홈, 제 3 경사면, 종단을 포함하고, 대응하는 잭접촉단자의 접촉부위가 상기 제2경사면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대응하는 잭접촉단자가 플러그 삽입시에는 스위치 오픈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도를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플러그.The tip of claim 1, wherein the tip includes a tip, a first inclined surface, a locking jaw, a second inclined surface, a locking groove, a third inclined surface, and an end,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does not deviate from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wherein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increases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o maintain the switch open state when the plug is inser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제2경사면과 제3경사면의 수평길이의 비가 5:1 내지 1:1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플러그.5. The multipole plug of claim 4, wherein a ratio of the horizontal lengths of the second slope and the third slope of the tip is within a range of 5: 1 to 1: 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종단의 후면에 봉형 납땜단자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입구 에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자유단의 에지가 방사상으로 확장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플러그.5. The tip of claim 4, wherein the tip has an insertion groove in which a rod-shaped soldering terminal is forcibly fitted to a rear surface of an end, and a protrusion protruding backward from the inlet edg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a radial extension of the fre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Multi-pole plu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잭에 삽입되어 대응하는 잭접촉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및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이 동축상에 서로 절연되게 배열된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로부터 각각 상기 슬리브 후방으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전선이 각각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다극 플러그에 있어서,A tip portion inserted into the jack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s, respectively, a terminal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such as at least one ring and a sleeve are arranged to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coaxially, and from the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respectively A multi-pole plug which extends behind the sleeve and includes a gripping portion for sealing a plurality of solder terminals to which respective wires are soldered. 상기 슬리브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가 상기 잭 내에 삽입시 대응하는 잭접촉단자의 접촉부분이 상기 돌기의파지부방향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플러그.The sleeve has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whe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jack,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rip portion direction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plug is inserted. Multi-pole plug,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e receiv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은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가 상기 잭 내에 삽입시 대응하는 잭접촉단자의 접촉부분이 상기 요홈의 팁방향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플러그.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t least one ring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grooves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whe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jack inclined surface in the tip direction of the groove And the plug is pressed against the force in the insertion dir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가장 깊은 부분이 상기 잭접촉단자의 접촉부분보다 파지부 방향으로 치우쳐 팁방향의 경사면 보다 파지부 방향의 경사면이 더 급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플러그.The multi-pole plug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deepest portion of the groove is biased toward the grip portion than the contact portion of the jack contact terminal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in the grip direction is steeper than the inclined surface in the tip dire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선단, 제1 경사면, 걸림턱, 제 2 경사면, 걸림홈, 제 3 경사면, 종단을 포함하고, 대응하는 잭접촉단자의 접촉부위가 상기 제2경사면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대응하는 잭접촉단자가 플러그 삽입시에는 오픈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도를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플러그.8. The tip of claim 7, wherein the tip comprises a tip, a first inclined surface, a locking jaw, a second inclined surface, a locking groove, a third inclined surface, and an end,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does not deviate from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wherein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increases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o maintain the open state when the plug is inserted. 잭에 삽입되어 대응하는 잭접촉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및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이 동축상에 서로 절연되게배열된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로부터 각각 상기 슬리브 후방으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전선이 각각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다극 플러그에 있어서,A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the jack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s, respectively, a terminal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such as at least one ring and a sleeve are arranged to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coaxially, and from the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respectively A multi-pole plug which extends behind the sleeve and includes a gripping portion for sealing a plurality of solder terminals to which respective wires are soldered. 상기 팁의 접촉단자는 선단, 제1 경사면, 걸림턱, 제 2 경사면, 걸림홈, 제 3 경사면, 종단을 포함하고, 대응하는 잭접촉단자의 접촉부위가 상기 제2경사면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경사면과 제3경사면의 수평길이의 비가 1:5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플러그.The contact terminal of the tip includes a tip, a first inclined surface, a locking jaw, a second inclined surface, a locking groove, a third inclined surface, and an end,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jack contact terminal does not deviate from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he ratio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is 1: 5 to 1: 1 multi-pole plug.
KR20-2003-0003868U 2003-02-10 2003-02-10 Multi polar Plug KR20031152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868U KR200311523Y1 (en) 2003-02-10 2003-02-10 Multi polar Pl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868U KR200311523Y1 (en) 2003-02-10 2003-02-10 Multi polar Pl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523Y1 true KR200311523Y1 (en) 2003-05-01

Family

ID=4940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868U KR200311523Y1 (en) 2003-02-10 2003-02-10 Multi polar Plu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52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5321B2 (en) Protruding contact receiver for multi-conductor compression cable connector
US8439707B2 (en) Compression connector for multi-conductor cable
KR100451103B1 (en) Multipole jack, multipole plug,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multipole jack and the multipole plug
US7976347B2 (en) Multifunctional electrical connector
US20120003870A1 (en) Phone plug connector device
JP7032798B2 (en) Coaxial connector
US20120309227A1 (en)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having more than one coaxial cable and method thereof
US20060094297A1 (en) Terminal structure of a coaxial connector
US6955561B2 (en) Inline connector
KR200311523Y1 (en) Multi polar Plug
JP2001217053A (en) Jack for connector
KR20060083737A (en) Multi poles plug and jack connector
KR100641298B1 (en) Smallest Diameter Multi-pole Plug
KR200167236Y1 (en) Smallest diameter multi-pole plug
JP2006024499A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US20070134991A1 (en) Universal stereo plug for mobile telephones
JP2019153465A (en) Coaxial connector
KR200194324Y1 (en) Audio plug
KR200250932Y1 (en) Earphone Plugs for Portable Devices
WO2023276313A1 (en) Cable connector
KR200231019Y1 (en) Audio plug with smoller soldering portion
US6729911B1 (en) AV terminal
KR20050117171A (en) Straight multipolar plug
JP3732294B2 (en) Multipolar plu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480990B2 (en) Coaxial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