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338Y1 - A stick for the visual impaired - Google Patents

A stick for the visual impair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338Y1
KR200311338Y1 KR20-2003-0001541U KR20030001541U KR200311338Y1 KR 200311338 Y1 KR200311338 Y1 KR 200311338Y1 KR 20030001541 U KR20030001541 U KR 20030001541U KR 200311338 Y1 KR200311338 Y1 KR 200311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isually impaired
cane
hand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5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진욱
Original Assignee
정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욱 filed Critical 정진욱
Priority to KR20-2003-0001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33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338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4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by rai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Abstract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알맞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3자가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신호음이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re specifically,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s well as to enable the third party to accur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or the elderly. The composition to emit a beep and light,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연결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슬라이드 착탈되도록 제1,2 지지대로 분할하되,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에 다수의 절개홈을 형성하고 외측면에는 나선을 형성하여 조임구로서 체결되는 길이 조절부와; 상기 손잡이에 내장되는 기판과 연결되는 다수의 조작버튼이 형성된 조작 스위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지지대로 상기 기판과 조작버튼에 의해 신호음과 빛을 발광하도록 연결되는 램프와 스피커가 매입되는 위치확인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In the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consisting of a handle and a support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handle to support the ground, the cane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supports so as to slide on and off the support, and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top of the second support. Forming and forming a spiral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s fastened as a fastener; Positioning display unit which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connected to the substrate embedded in the handle is formed operation switch, the lamp and the speaker connected to emit a beep and light by the substrate and the operation button as the first support It relates to a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by having a.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지팡이{A stick for the visual impaired}A stick for the visual impaired}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알맞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3자가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이나 또는 노약자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신호음이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used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s well a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blind or the elderly, such as a third party user. It is about a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can emit a beep or light.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지팡이는 일체형의 긴막대기 형태나 또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지팡이를 사용할 때는 길게 펴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휴대할 수 있는 절첩식 지팡이로 크게 구분되어 지는 데, 상기와 같은 지팡이의 사용은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이 지면을 가볍게 두두려 가며 각종 장애물을 인지하거나 보행장소의 굴곡을 인지하여 부상 없이 용이하게 보행할 수 있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In general, the cane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n integral long stick shape or a multi-stage folding type cane that can be used when the cane is used for a long stretch and when it is not used, it can be folded and carried. The use of the cane was used only for the visually impaired user, who pats the ground lightly and recognizes various obstacles or recognizes the bending of the walking place to easily walk without injury.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종래의 지팡이에 있어서는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의 자신만이 지면이나 다른 사물로부터 발생하는 위험요소를 피해갈 수 있도록 인지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었을 뿐, 그 주변의 다른 보행자나 자전거의 운전자 등과 같은 제3자가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시각장애인이 사고위험에 항시 노출되어 있는 폐단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nd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as described above, only the visually impaired user who is the user is used for the purpose of recognizing the hazards generated from the ground or other objects. Due to the problem that a third person, such as another pedestrian or a driver of a bicycle, does not recognize the blind person's walking, the blind person has always been exposed to accident risk.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지팡이에서 신호음을 방출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지팡이가 안출된 바 있으나, 이같이 종래 신호음을 방출하는 지팡이에 있어서는 잔고장이 많이 발생하여 그 고장으로 인한 신호음 방출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그 어떠한 다른 대처수단을 구비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ve been many types of canes that can emit a beep from the cane. However, in the cane that emits a beeper, a large amount of trouble occurs, and thus the bee release function due to the failure does not function properly. Not only did they have the problem of not having any other countermeasures.

한편, 상기한 시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노약자 등도 어떠한 위험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대처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전술한 바와 같은 시각장애인이 격는 사고위험에 항시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On the other hand, not only the visually impaired but also the elderly have a problem in that they are exposed to the risk of accidents at all times.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시각장애인인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알맞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3자가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신호음이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which can be used to adjust to the appropriate length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who is visually impaired, as well as the third person is a visually impaired user In order to accur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elderly and the elderly are to be able to emit a beep or ligh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팡이를 보다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nger use of the ca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연결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슬라이드 착탈되도록 제1,2 지지대로 분할하되,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에 다수의 절개홈을 형성하고 외측면에는 나선을 형성하여 조임구로서 체결되는 길이 조절부와; 상기 손잡이에 내장되는 기판과 연결되는 다수의 조작버튼이 형성된 조작 스위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지지대로 상기 기판과 조작버튼에 의해 신호음과 빛을 발광하도록 연결되는 램프와 스피커가 매입되는 위치확인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composed of a handle and a support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handle to support the ground, the support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to slide detachable, A length adjusting part which forms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on the top of the second support and forms a spiral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o be fastened as a fastener; Positioning display unit which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connected to the substrate embedded in the handle is formed operation switch, the lamp and the speaker connected to emit a beep and light by the substrate and the operation button as the first support Characterized in having a.

상기 제2 지지대의 밑단에는 완충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port is fitted.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in the coupled state according to FIG.

도 3은 도 2에 요부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in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시각장애인용 지팡이1: Staff for the visually impaired

10 : 길이 조절부10: length adjusting part

12 : 절개홈 15 : 조임구12: incision groove 15: fastener

20 : 조작스위치부20: operation switch unit

22 : 조작버튼22: operation button

30 : 위치확인표시부30: position display

32 : 램프 34 : 스피커32: lamp 34: speaker

40 : 완충구40: buffer hole

100 : 지지대100: support

100a : 제1 지지대 100b : 제2 지지대100a: first support 100b: second support

102 : 손잡이102: handl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요부 종단면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in the coupled stat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이나 또는 노약자 등이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02)와,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연결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100)로 구성된 지팡이(1)에 있어,As shown in the cane (1) consisting of a handle (102)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hand or a visually handicapped person or the elderly, and the support (10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andle to support the ground ,

본 고안은 상기 지지대(100)를 슬라이드 착탈되도록 제1,2 지지대(100a)(100b)로 분할하되, 상기 제2 지지대(100b)의 상단에 다수의 절개홈(12)을 형성하고 외측면에는 나선을 형성하여 조임구(15)로서 체결되어 사용하고자 하는 시각장애인의 키에 상기 제1,2 지지대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10)와;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100a) (100b) to slide the support 100, detachment, forming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12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100b) A length adjusting unit 10 for forming a spiral and adjus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to a key of a visually impaired person to be fastened and used as a fastener 15;

상기 손잡이(102)에 내장되는 통상의 제어방식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부를 구비한 기판과 연결되는 음성신호버튼, 온/오프버튼 및 빛발광버튼과 음성신호와 빛발광을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 동시작동버튼 등과 같은 다수의 조작버튼(22)이 형성된 조작 스위치부(2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지지대(100a)로 상기 기판과 조작버튼에 의해 신호음과 빛을 발광하도록 연결되는 통상의 램프(32)와 스피커(34)가 매입되는 위치확인 표시부(30)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Simultaneous operation capable of simultaneously operating a voice signal button, an on / off button and a light emitting button and a voice signal and a light emitting light connected to a substrate having a control unit controlled by a conventional control method embedded in the handle 102. A conventional lamp 32 is formed to form an operation switch unit 20 i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22 such as a button are formed,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100a so as to emit a beep sound and light by the substrate and the operation button. ) And the positioning display unit 30 to which the speaker 34 is embedded.

상기 제2 지지대(100b)의 밑단에는 완충구(40)가 끼워지도록 구비함에 따라 지팡이의 사용으로 인해 밑단이 달아 보행시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상기 완충구가 달았을 경우에는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보다 오랜기간을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100b) is provided so that the buffer opening 40 is fitted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when walking along the hem due to the use of the cane and easy replacement when the buffer opening is attached. It is desirable to make a longer period of use.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시각장애인의 키에 알맞도록 제1,2 지지대를 슬라이딩시켜 조절한 후 조임구에 의해 체결고정한 다음 지면을 두두려 가면서 보행을 시작함과 동시에 손잡이로 형성된 조작 스위치부의 필요로 하는 조작버튼을 작동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are adjusted by slid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height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be used, and then fastened by fasteners. Operate negatively required operation buttons.

다시말해서, 온/오프버튼을 온 상태로 조작한 다음 음성신호버튼 또는 빛발광버튼을 선택하여 작동하므로서, 상기 음성신호버튼이나 빛발광버튼과 연결된 램프가 발광하거나 또는 스피커에서 신호음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by operating the on / off button in the on state and then operating by selecting the voice signal button or the light emitting button, the lamp associated with the voice signal button or the light emitting button emits light or emits a signal sound from the speaker. .

그에 따라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보행하고 있는 중에 제3자가 지팡의 제1 지지대에서 발광하는 빛이나 신호음을 육안이나 또는 청각 등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그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을 어느 위치에 있는 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ile the visually impaired or the elderly are walking, the third person can detect the light or the signal emitted by the first support of the Jipang by the naked eye or by hearing, so that the blind or the elderly can be You will be able to pinpoint if there is any.

따라서, 보행에 따른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의 원활한 통행은 물론 그 시각장애인 이외의 제3자가 보행하는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보다 안정적이면서 안전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visually impaired or the elderly can walk accurately, as well as the smooth passage of the visually impaired or the elderly, and the posi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or the elderly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This will be the condition that can be achieved.

또한, 경우에 따라서 위험지역인 차도나 횡단보도 또는 공사지역 등과 같은위험한 장속에는 상기 조작버튼 중의 동시작동버튼을 작동할 경우에는 빛발광 및 신호음을 동시에 발광 및 방출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더 안전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갖는다.In some cases, when the simultaneous operation button among the operation buttons is operated at a dangerous length such as a roadway, a crosswalk or a construction area, which is a dangerous area, light emission and an audible signal can be simultaneously emitted and emitted to make walking safer. There are also conditions that can be.

그리고, 지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2 지지대의 밑단으로 착탈되게 형성된 완충구 또한 보행에 따른 안정적인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에 따른 마모시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오랜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건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uffer hole formed to be detach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can also be made stable walking in accordance with the walk as well as easy to replace when worn due to use, can be used for a long time It also has conditio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인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알맞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3자가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팡이에서 신호음이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의 보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예기치 않은 사고로부터 보다 안전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length to a suitable length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such as the visually impaired or the elderly, as well as to be a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or the elderly as a user. In order to emit light or light, the visually impaired or the elderly can easily walk and at the same time have a safer walking from unexpected accidents.

또한, 지면과 접촉되는 끝단 부분으로 끼워지는 완충구를 구비함에 따라 더욱더 용이한 보행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지팡이를 보다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In addition, by having a buffer that is inserted into the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made easier walking and also has the effect of using the cane for a longer time.

Claims (2)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연결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있어서,In the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comprising a handle and a support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andle to support the ground, 상기 지지대(100)를 슬라이드 착탈되도록 제1,2 지지대(100a)(100b)로 분할하되, 상기 제2 지지대(100b)의 상단에 다수의 절개홈(12)을 형성하고 외측면에는 나선을 형성하여 조임구(15)로서 체결되는 길이 조절부(10)와;The support 100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supports 100a and 100b so as to slide on and off, and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12 are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100b and a spiral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length adjustment unit 10 is fastened as a fastener 15; 상기 손잡이(102)에 내장되는 기판과 연결되는 다수의 조작버튼(22)이 형성된 조작 스위치부(2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지지대(100a)로 상기 기판과 조작버튼에 의해 신호음과 빛을 발광하도록 연결되는 램프(32)와 스피커(34)가 매입되는 위치확인 표시부(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The operation switch unit 20 is formed to form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22 connected to the substrate embedded in the handle 102, and the first support (100a) by the substrate and the operation button to the beep and light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oning display unit 30 is embedded with a lamp 32 and a speaker 34 connected to emit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100b)의 밑단에는 완충구(4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According to claim 1,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opening 40 is fitt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 (100b).
KR20-2003-0001541U 2003-01-17 2003-01-17 A stick for the visual impaired KR2003113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541U KR200311338Y1 (en) 2003-01-17 2003-01-17 A stick for the visual impair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541U KR200311338Y1 (en) 2003-01-17 2003-01-17 A stick for the visual impair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338Y1 true KR200311338Y1 (en) 2003-05-01

Family

ID=4940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541U KR200311338Y1 (en) 2003-01-17 2003-01-17 A stick for the visual impair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338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973B1 (en) 2009-06-17 2011-12-19 박원문 Stick for blind perso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57096B1 (en) * 2019-12-24 2020-09-18 이상준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for blind person
KR20210039622A (en) * 2019-10-02 2021-04-12 김미경 Multifunctional crutches
KR20210059104A (en) 2019-11-14 2021-05-25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tick for blin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973B1 (en) 2009-06-17 2011-12-19 박원문 Stick for blind perso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39622A (en) * 2019-10-02 2021-04-12 김미경 Multifunctional crutches
KR102249774B1 (en) * 2019-10-02 2021-05-07 김미경 Multifunctional crutches
KR20210059104A (en) 2019-11-14 2021-05-25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tick for blind
KR102157096B1 (en) * 2019-12-24 2020-09-18 이상준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for blind pers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861B2 (en) Adjustable lighted walking aid
US20040103563A1 (en) Illuminated footwear
US8608183B2 (en) Walker with integrated illumination means and alarm
USD455836S1 (en) Foot covering
US20130141899A1 (en) Walking stick structure with an led light inside the stick body
USD449152S1 (en) Pair of over-boots with zipper and rear opening
KR200311338Y1 (en) A stick for the visual impaired
JP2017185230A (en) Safety stick
US9930941B1 (en) Walking aid system and method
US20150070877A1 (en) Illuminated Mobility Enhancing Device
USD467066S1 (en) Umbrella
KR200401602Y1 (en) Rotation the stick where the luminous means which is possible is composed
US20060096625A1 (en) Illuminated umbrella
KR200413605Y1 (en) The handle structure of a walking stick
USD482192S1 (en) Forearm cane
JP3115433U (en) Auxiliary equipment with lighting equipment
USD484679S1 (en) Walking cane
KR101084643B1 (en) Light emission tip of stick for blind persons
USD485568S1 (en) Swimming goggle
KR200229480Y1 (en) A safety stick
USD463657S1 (en) Golf club cane
JP3075401U (en) Street melody walking stick
USD484678S1 (en) Beach umbrella
KR102377718B1 (en) Cane with adjustable light diffusion range
USD474987S1 (en) Tubular traffic deline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