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388Y1 -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설치되는 유압클램프. - Google Patents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설치되는 유압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388Y1
KR200309388Y1 KR20-2002-0039326U KR20020039326U KR200309388Y1 KR 200309388 Y1 KR200309388 Y1 KR 200309388Y1 KR 20020039326 U KR20020039326 U KR 20020039326U KR 200309388 Y1 KR200309388 Y1 KR 200309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lamp
steel pipe
hydraulic
equipm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9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구
Original Assignee
이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구 filed Critical 이채구
Priority to KR20-2002-0039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3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전면에 연결된 유압클램프하우징과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원통형의 강관하우징과 상기 유압클램프를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 내부에는 유압클램프가 설치되되,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은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되되 내통은 강관이 통과되는 원통형의 하우징이며, 바깥부의 외통은 선단부의 지름이 작고 후부의 지름이 크게 형성된 깔때기 형상으로서, 상기 내통과 외통의 사이는 비어 있으며,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 내부에는 유압클램프가 설치되되, 상기 유압클램프는 3개의 죠오가 수평중심축으로부터 동일간격으로 동심원상에 위치하고, 상기 유압클램프 하우징의 내통과 외통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죠오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유압에 의하여 전후로 왕복가능하여 강관을 선택적으로 잡아주거나, 놓아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 설치되는 유압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 설치되는 유압클램프.{omitted}
본 고안은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 설치되는 유압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즉, 우산망공법(RPUM : Reinforced Protective Umbrella) 등에 쓰이는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 설치되는 유압클램프이다.
Pipe roof 공법은 지질조건이 열악하거나 토피두께가 얇은 지반에 응력제인 Pipe를 Arch형으로 삽입시켜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적용하는 공법이다. 즉 터널굴착에 앞서 터널주위에 아치형으로 지반개량체를 형성함으로서 막장 전 지반을 보강하는 길이가 긴 Forepoling공법이며, 지반의 선행 변위 억제, 지반의 느슨함 방지, 시공의 안정성확보 등을 주요목적으로 하여 실시된다. 우산망(RPU)공법은 튜브(강관, FRP)를 이용한 Grouting으로 지반을 우산형태로 보강, 강화시켜 토사, 풍화암, 파쇄대, 갱구부 및 토피가 작은 구간에서 터널안정 및 지표면 침하억제를 위한 획기적인 굴착보조공법이다.
최근 구조물하부 또는 토피가 작고 붕괴되기 쉬운 지반에 터널건설이 증가되고 있어 구조물과 터널의 안정을 위한 보조공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기본원리는 다음과 같다.
터널굴착전에 대,소구경강관을 적절한 형상으로 배열, 설치하고 그 강관의 내측으로 패커를 설치하여 그라우트재를 주입함으로서 주입재에 의한 지반의 고결로 인하여 강관과, 지반을 일체로 만들고 강관 및 주변지반의 빔(Beam)작용에 의해 터널에 가해지는 상재하중, 토압등의 분산효과 및 경감효과를 얻는다.
또한, 주입시 물유리와 시멘트를 주주입재로 이용하므로 차수효과 및 보강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파이프루프공법 및 일반 그라우팅공법을 일연의 단일공정으로 시공하는 공법으로서 터널굴착전에 지지보재를 설치하여 상부의 토압 및 이완영역의 경감효과를 얻고 또한 주입에 의한 지반의 보강으로 각강관 사이의 간격이 있다 할지라도 토질, 암반의 전단강도를 증대시켜 지지할 수 있으며 주입을 강관속에서 수행하므로 시공성, 경제성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공법이다.
그 공법활용분야는 도로, 철도횡단의 굴착보조수단, 지상 및 지중구조물 주변통과시 보조수단, 대단면 터널시공시의 보조수단, 터널갱구부 시공시의 보조수단, 하저, 해저, 단층파쇄, 붕괴성지반통과시의 보조수단 등이다.
위와 같은 시공을 위해서 쓰이는 장비가 ROOF PILING MACHINE 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공법에 쓰이는 장비인 루프파일링에 한 부분인 유압클림프의 관한 내용이며 유압클램프의 전체적인 형상과 각 부분의 명칭은 첨부도면과 같다.
종래의 구형유압클램프는 첨부도면 제4도, 5도, 6도, 7도, 13도와 같이 3개의 죠오가 내부원통의 수평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위치한다. 상호 등 간격으로 설치된 이유로 균등한 힘이 작동되며, 그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원통형의 하우징 즉, 유압척은 그 내부단면이 선단부가 좁고 후단부가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블록모양의 죠오가 설치되되 각 죠오의 가운데에는 홈이 형성되고 여기에 스프링이 끼워지게 된다. 스프링은 밖으로 확장되려는 힘이 항상 작용되고, 따라서, 강관이 전진할 시는 상기 죠오가 유압에 의하여 기어박스 방향으로 인위적으로 전진하여, 즉 상기 강관의 전진방향과는 반대로 움직여서 상기 강관을 긴밀히 잡아주게 되나, 강관이 후퇴하게 될 때는 상기 스프링의 확장력에 의하여 죠오는 밖으로 움직여지게 되며, 동시에 앞서와 달리 기어박스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유압척의 경사면에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강관은 자유롭게 상기 죠오의 파지력을 벗어나 후퇴할 수 있게된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강관삽입시의 리더의 위치는 도면 제15도에 도시된 것에 의하여 설명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①은 ROD나 강관을 교체후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②는 리더의 길이가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ROD나 강관삽입후(6m∼8m) 12m를 삽입시에는 다시 ②번 위치로 가서 강관이나 ROD를 연결하는 작업을 도시하고 있다.
③은 다시 작업위치로 복귀하여 작업 수행을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아울러, 강관삽입시의 순서도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 장비의 작업 순서는 먼저 강관을 삽입할 홀을 천공한다. → 리더의 길이 제한으로 12m를 한번에 천공할 수 없으므로 ROD를 연결하여 12m를 천공한다. → 천공후 천공 TOOL을 제거한후 강관을 삽입한다. → 리더의 길이 제한 때문에 12m의 강관을 한번에 삽입할 수 없으므로 6m삽입후 또다시 6m강관을 조립하여 삽입한다. → 위 작업, 즉 천공과 강관삽입을 반복하는 것이며, 도면 제15도와 같이 ①번 위치에서의 천공작업후 기존의 장비는 ROD나 강관을 연결시에는 장착이 편리한 위치 즉, ②번 위치로 리더를 이동시켜 강관이나 ROD 를 연결하여 또다시 ③번위치인 작업위치로 이동한 후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번거로운 작업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강관을 잡아주는 클램프 후방이 막혀었었기 때문이다. 상기의 유압클램프는 죠오의 안쪽의 삽입된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유압클램프에 물려지는 강관의 지름이 결정되었다.
즉, 스프링의 복귀력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의 크기 및 탄성력에 따라서, 물릴 수 있는 강관의 지름이 당연히 제한을 받고 달라지며, 단일구경의 강관만이 사용가능하다. 이는 곧 JAW의 풀림 작용시 사용되는 회복스프링의 탄성 한계에 기인한다.
또한, 천공을 한 뒤에 다시 강관을 삽입하기 위하여 천공장비를 제거한 뒤에다시 강관을 삽입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이 경우 6m의 강관을 연이어 삽입하여 사용한다. 강관 삽입시에도 강관의 지름의 크기에 따라 죠오를 교체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중복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죠오의 행정복귀를 스프링에 의하지 않고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게 함으로써 강관의 외경에 상관없이 강관을 삽입 시킬 수 있게 하며, 강관에 맞춰 죠오를 교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죠오의 스프링 사용을 하지 않고 동시에 강관의 교체시의 연속작업이 가능하고, 천공과 강관삽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터널천공모식도의 측면도
도 2는 터널천공모식도
도 3은 루프파일링 장비의 전체도
도 4는 종래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잡고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잡고 있는 상태의 횡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놓고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놓고 있는 상태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잡고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잡고 있는 상태의 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놓고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놓고 있는 상태의 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와 하우징의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유압클램프와 하우징의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와 하우징의 설치도
도 15는 종래의 강관삽입시의 리더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설명한 작업도
도 16은 본 고안의 2헤드시스템의 루프파일링장비의 사시도
도 17은 본 고안의 루프파일링 장비의 이동시의 도면
도 18은 본 고안의 루프파일링 장비의 아웃리거를 펼친 도면
도 19는 본 고안의 루프파일링 장비의 작업가능한 상하각도를 표시한 도면
도 20은 본 고안의 루프파일링 장비의 작업가능한 좌우각도를 표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관하우징 2 : 유압클램프 하우징
3 : 기아박스 4 : 내통
5 : 외통 6 : 죠오
7 : 강관 8 : 가이드홈
9 : 스프링 10 : 유압척
11 : 유압실린더 12 : 다단붐 송출장치
13 : 리더 14 : 선회모터
15 : 다리(아웃트리거) 16 : 리더이송실린더
17 : 이송모터 18 : 스핀들유니트
19 : 바이스 20 : 호스가이드
21 : 회전각센서 22 : 뒷리더 전체 상하실린더
23 : 유압클램프 24 : 상하각센서
25 : 구동롤러 26 : 리더 스라이딩베이스
27 : 라운드 바아 28 : 회전브레이크
따라서, 본 고안은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 설치되는 유압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의 기어박스의 전면에 연결된 유압클램프하우징과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원통형의 강관하우징과 상기 유압클램프를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며,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 설치되는 유압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은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되되 내통은 강관이 통과되는 원통형의 하우징이며, 바깥부의 외통은 선단부의 지름이 작고 후부의 지름이 크게 형성된 깔때기 형상으로서, 상기 내통과 외통의 사이는 비어 있으며,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 내부에는 3개의 죠오가 설치되되, 상기 3개의 죠오가 수평중심축으로부터 동일간격으로 동심원상에 위치하고,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의 내통과 외통에는 강관의 이송방향과 동일하게 직선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죠오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전후로 왕복가능하되 수직이송도 동시에 진행되어 강관을 선택적으로 잡아주거나, 놓아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 설치되는 유압클램프이며, 또한 상기 죠오는 그 단면이 'I'형상이며, 상기 유압클램프 하우징에 'I'형상의 윗부분이 상기 유압클램프 하우징의 외통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걸쳐짐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게 되어, 선택적으로 강관을 잡아주거나 놓아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 설치되는 유압클램프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루프파일링 장비의 개략적인 제원은 다음표와 같다.
본 장비의 위치지시계(positioning indicator)는 각각의 Indicator 좌,우 끝단에 천공타설각과 현재작업중인 타설각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센서가 부착되어 전자제어시스템Electric Control system에 각각의 데이터값이 전송되어 전자모니터링의 시스템Electric Monitoring system에 출력된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indicator(눈금표시)의 오차를 최대한 줄였고 시공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언더캐리지(under carriage)는 슈(shoe)의 넓이가 600mm 이며, 그 이동속도는 3.2km/m 이내 정도이다.
장비에 사용되는 디젤엔진은 cummins 4bat를 사용하며, ISO, IFN에 따른 정격마력/정격속도는 102HP/2200RPM이다
각 호우스는 안전을 위하여 리더의 움직임에 비례하여 움직인다.
전자제어시스템은 천공작업 및 강관삽입작업중에는 천공각도 및 위치각도(POSITIONING ANGLE)가 TFL스크린패널에 표시되고, 이는 디지털제어기술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써, 기계의 신뢰도를 높이게 된다.
위치지시계(POSITIONING INDICATOR)의 각 지시계는 선단부에 각도센서가 부착되어, 각도에 관한 자료를 전자제어시스템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전자제어패널의 스크린에 표시된다.
또한, 기어박스의 굴진 중의 동작에서, 리더와의 마찰면은 롤러구동에 의하여 유격이나 변형(마모)을 최대한 줄인다(기존 장비는 스라이드 형태가 칼라형이다.)
본 장치의 특징중의 하나는 상하각감지센서가 부착되어 샹향각도를 모니터에서 나타내어 읽을 수 있어 각도 설정이 용이하며, 회전각감지장치가 부착되어 회전의 각도를 모니터로 읽어 설정이 용이하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터널천공모식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터널천공모식도이며, 도 3은 루프파일링 장비의 전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잡고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종래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잡고 있는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놓고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종래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놓고 있는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잡고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잡고 있는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놓고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가 기어박스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가 강관을 놓고 있는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와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종래의 유압클램프와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의 유압클램프와 하우징의 설치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강관삽입시의 리더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설명한 작업도이며, 도 16은 본 고안의 2헤드시스템의 루프파일링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루프파일링 장비의 이동시의 도면이며, 도 18은 본 고안의 루프파일링 장비의 아웃리거를 펼친 도면이며, 도 19는 본 고안의 루프파일링 장비의 작업가능한 상하각도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고안의 루프파일링 장비의 작업가능한 좌우각도를 표시한 도면이다. 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유압클램프 하우징은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되되 내통은 강관이 통과되는 원통형의 하우징이며, 바깥부의 외통은 선단부의 지름이 작고 후부의 지름이 크게 형성된 깔때기 형상으로서, 상기 내통과 외통의 사이는 비어 있는 사유로 상기와 같이 죠오가 가이드홈을 따라서 기어박스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죠오는 수평이동과 병행하여 내통의 수평중심축으로 가까이 오게 되어 상기 강관을 긴밀하게 잡아주게 된다. 작업이 끝난뒤 강관이 후퇴하게 될 경우 또는, 이 상태에서 또 다른 강관을 추가로 설치할 경우를 위하여 강관을 놓아주어야 할 경우에는 앞서의 과정과 역순으로 진행한다.즉, 죠오가 가이드홈을 따라서 유압에 의하여 기어박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강관을 놓아주게 된다. 즉, 죠오는 수평이동과 병행하여 내통의 수평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되어, 상기 강관을 놓아주게 된다. 즉, 본 고안은 클램프가 작동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로드(Rod) 혹은 강관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주로 사용되는 강관의 직경은 Φ73 ,Φ89 ,Φ114 ,Φ120 ,Φ140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강관의 이동 및 상기 죠오의 이동에 필요한 유압시스템은 종래의 기술적 구성과 유사하며, 단지 상기 죠오의 이동에 있어서, 전후진에 걸쳐서 모두 유압이 작용된다는 것이며, 이의 기술적 구현은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여 이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가 충분히 실시 가능하며, 또한 상기 중장비 등의 유압시스템에 관한 기 고안특허문헌이 상당수가 기 공고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유압회로 등은 본 고안의 주요요지가 아닌 바, 이의 자세한 기술은 생략하나, 상기의 유압시스템은 유압발생기, 유압저장탱크, 역지변, 유압분배밸브, 압력센서 및 그의 제어장치 등의 관용적 수단에 의하여 그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기어박스는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고, 12m정도의 강관이 상기 구멍을 통과하여 루프파일링 장비에서 지지되며, 상기 강관의 선단부는 천공기가 설치되어 천공과 동시에 강관의 설치가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개선된 장비의 유압클램프는 후방이 OPEN된 형식이라 강관을 교체시에 뒤쪽에서 삽입되므로 교체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기때문에 작업의 신속성과 편리성이 더욱 강화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작업시간의 단축과 위 작업이 가능한 이유는 첫째, 강관을 잡아주는 JAW가 복귀 스프링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강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강관이나 ROD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이고 둘째, 유압 클램프 후방이 OPEN 형식이라 12m짜리 ROD나 강관을 한번에 장착하거나 교체시 뒤쪽으로 한번에 장착되기 때문이다.
부언하여, 기존 클램프와 본 고안의 클램프와의 비교(작업의 연속성에 관한 내용)는 다음과 같다.
기존 클램프는 POWER HEAD 혹은 DRIFTER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강관 압입의 보조 수단 역할을 하며, JAW의 풀림 작용시 사용되는 회복스프링의 탄성 한계 때문에 단일 구경의 강관만 처리가 가능하며, 후방 POWER HEAD에 의하여 전방만 OPEN된 구조이다.
반면에 본 고안의 클램프는 강력한 파워와 효율적인 구조로 POWER HEAD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천공과 강관 압입을 동시 수행이 가능하며, 클램프가 작동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Rod 혹은 강관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즉, Φ73 ,Φ89 ,Φ114 ,Φ120 ,Φ140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후방 OPEN된 구조로서 이론적으로 무한길이의 롯드 천공과 강관압입이 가능하다.
아울러, 현 장비의 작업 순서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는 첨부도면 제 16도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현장비로 작업을 하는 3가지의 경우가 기술된다. 첫 번째의 방법으로서 강관으로만 천공시의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강관끝에 천공용 공구를 부착한다. (크라운 비트나 크로스비트를 용접하여 붙인다.) → 천공과 동시에 강관이 삽입 된다. → 12m를 한번에 천공할 수 있는 이유는 클램프 뒤쪽이 OPEN되어 있어 12m짜리 강관이나 ROD나 강관을 한번에 장착시키거나 또는 연결시에는 교체시간이 현저히 단축된다. → 위 작업을 반복 한다.
두번째의 방법으로서, 오버버든 비트를 사용한 hammer로 천공시의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16과 같이 앞쪽 HEAD(①)로는 강관을 잡고 뒤쪽 HEAD(②)로는 ROD를 체결해 천공작업을 수행한다. → 오버 버든 비트와 Hammer가 천공을 시작하면서 강관이 물려있는 앞쪽HEAD 가 전진하며 강관이 삽입된다. → 12m정도의 깊이의 천공과 동시에 강관 삽입은 완료 되며 천공용 공구는 강관 내경쪽으로 후진하여 회수 된다. → 위 작업을 반복한다.
세번째의 방법은 오버버든 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hammer로 천공시의 작업을 하는 경우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도면 16과 같이 앞쪽 HEAD(①)로는 강관을 잡고 뒤쪽 HEAD(②)로는 ROD를 체결해 천공작업을 수행한다. → 오버 버든 비트를 쓰지 않고 Hammer로 천공을 시작한다. 앞쪽HEAD가 전진하며 물려있는 강관이 삽입된다. → 12m정도의 깊이의 천공과 동시에 강관 삽입은 완료 되며 천공용 공구는 강관 내경쪽으로 후진하여 회수된다. → 위 작업을 반복한다.
상기의 세번째 작업방법에서 오버버든 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hammer로 천공할수 있는 방법이 가능한 이유는 2 HEAD SYSTEM이란 방법으로 가능한데 이것은 강관용 유압클램프헤드와 천공용유압클램프헤드가 따로있는 구성으로 이 공법의 마지막 단계이자 목적인 강관 삽입을 좀더 일반적인 방법과 연속성 유지 및 시간의 경제적 단축이라는 사항들을 유지 하면서 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이 공법이 쓰이는 지층이 연약 지반이므로 오버버든 비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강관 외경보다 작은 구경의 천공용 공구를 사용하더라도 직접 직천공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의 강관외경과 천공용 공구의 외경차는 큰차이가 아니면 현 공정이 시공되는 연약 지반의 특성상 무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의 2 HEAD SYSTEM에 관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앞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현 장비는 후면에서 ROD나 강관삽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원리는 기존의 장비에서는 찾아 볼수 없다. 이 같은 작업 공정이 가능한 이유로는 2 HEAD SYSTEM과 클램프 후방 OPEN 형식이라는 고안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굳이 OVERBURDEN을 쓰지 않더라도 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천공구경이 강관경보다 작더라도 강관 삽입이 가능한 SYSTEM으로 기존 방법과는 다른 확실한 개선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도면 제 16도와 같이 앞쪽 HEAD(①)로는 강관을 잡고 뒤쪽 HEAD(②)로는 ROD를 체결해 천공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고안으로 직천공즉, 천공과 동시에 강관을 삽입 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오버버든이란(OVERBURDEN Drilling system) 편심된 비트로 연결구의 형성은 계속적인 진원 및 수직도를 유지시키면서 구경을 확공하는 것으로 위에 설명된 오버버든 비트가 이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죠오의 행정복귀를 스프링에 의존하지 않고 유압실린더의 행정과 같이 작동하도록 개선되었다.
이와 같은 개선으로 강관의 외경에 상관없이(Φ89mm ∼ Φ114mm까지)강관을삽입 시킬수 있게 되었고 강관에 맞춰 죠오를 교환하지 않아도 될 수 있도록 변형되었다.
결론적으로 죠오의 스프링 사용을 하지 않고 동시에 강관의 교체시의 연속작업이 가능하고, 천공과 강관삽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었다.

Claims (2)

  1.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의 기어박스(3)의 전면에 연결된 유압클램프하우징(2)과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2)의 전면에 설치된 원통형의 강관하우징(1)과 상기 유압클램프를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11)로 구성되며,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 설치되는 유압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2)은 내통(4)과 외통(5)으로 구성되되 내통(4)은 강관(7)이 통과되는 원통형의 하우징이며, 바깥부의 외통(5)은 선단부의 지름이 작고 후부의 지름이 크게 형성된 깔때기 형상으로서, 상기 내통(4)과 외통(5)의 사이는 비어 있으며,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2) 내부에는 3개의 죠오(6)가 설치되되, 상기 3개의 죠오(6)가 수평중심축으로부터 동일간격으로 동심원상에 위치하고, 상기 유압클램프하우징(2)의 내통(4)과 외통(5)에는 강관(7)의 이송방향과 동일하게 직선의 가이드홈(8)이 형성되어, 상기 죠오(6)가 상기 가이드홈(8)을 따라서 유압실린더(11)에 의하여 전후로 왕복가능하되 수직이송도 동시에 진행되어 강관(7)을 선택적으로 잡아주거나, 놓아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 설치되는 유압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죠오(6)는 그 단면이 'I'형상이며, 상기 유압클램프 하우징(2)에 'I'형상의 윗부분이 상기 유압클램프 하우징(2)의 외통(5)에 형성된 가이드홈(8)에 걸쳐짐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홈(8)을 따라 슬라이딩운동하게 되어,선택적으로 강관(7)을 잡아주거나 놓아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 설치되는 유압클램프.
KR20-2002-0039326U 2002-12-31 2002-12-31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설치되는 유압클램프. KR200309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326U KR200309388Y1 (ko) 2002-12-31 2002-12-31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설치되는 유압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326U KR200309388Y1 (ko) 2002-12-31 2002-12-31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설치되는 유압클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698A Division KR100392931B1 (ko) 2002-10-30 2002-10-30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설치되는 유압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388Y1 true KR200309388Y1 (ko) 2003-03-31

Family

ID=4940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9326U KR200309388Y1 (ko) 2002-12-31 2002-12-31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설치되는 유압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3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1922B (zh) 用全套管钻机切断地下锚索/杆的处理方法
CN203080518U (zh) 自钻式可回收锚索
CN101173517A (zh) 一种拔桩施工方法
CN101749024B (zh) 地下暗埋箱涵拉管施工方法
CN101701646B (zh) 地下管道的泥水平衡式拉管施工方法
CN104929517A (zh) 一种双钻头全液压钻式泄压设备及泄压方法
KR100949606B1 (ko) 천공오거 케이싱 외부에 장착하여 일체형으로 시공하는 시트파일 천공항타공법 및 천공항타장치
Brill et al. A ten-year perspective of jet grouting: advancements in applications and technology
KR20030045695A (ko) 터널 굴착 공법
CN212535724U (zh) 一种便于安装固定的锚杆锁紧装置
CN105019917A (zh) 冲击钻进式超前旋喷管棚施工装置及施工方法
KR200309388Y1 (ko)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설치되는 유압클램프.
CN100591891C (zh) 用于铺设隧道构筑物的主管道施工方法及施工结构
KR100392931B1 (ko) 루프파일링 장비 또는 수평천공기 등의 천공장비에설치되는 유압클램프.
JP2005120622A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KR100418746B1 (ko) 천공과 동시에 지반에 강관을 삽입설치 하는 방법 및 그장치
CN101105032A (zh) 一种液压顶管成孔工艺及设备
CN2298338Y (zh) 粘土层大管棚施工用的钻具
CN112252964A (zh) 全回转钻机清除地下盾构管片的施工设备
JP4322796B2 (ja) 地山の補強方法
CN2921106Y (zh) 一种液压顶管成孔设备
KR200283509Y1 (ko) 관로공사용 지향성 곡선굴착기
CN102677724A (zh) 一种机械式钢套管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CN213807549U (zh) 全回转钻机清除地下盾构管片的施工设备
CN212958456U (zh) 一种用于岩土工程的钻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