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095Y1 -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 Google Patents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095Y1
KR200309095Y1 KR20-2003-0000133U KR20030000133U KR200309095Y1 KR 200309095 Y1 KR200309095 Y1 KR 200309095Y1 KR 20030000133 U KR20030000133 U KR 20030000133U KR 200309095 Y1 KR200309095 Y1 KR 200309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handy terminal
meter reading
data
me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
이지형
Original Assignee
(주)오주에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주에스넷 filed Critical (주)오주에스넷
Priority to KR20-2003-0000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검침 또는 대기시에 전력 소모를 대폭적으로 절감하여 실제 필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는 상수도 계량기에 부착된 센서와, 상기 센서가 접속된 계량기용 RF 장치와, 상기 계량기용 RF 장치와 무선 교신하는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 및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와 접속된 PDA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계량기용 RF 장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수도 계량기 내부의 휠이 회전하면 휠의 회전을 감지하여 전기적 펄스를 발생하는 센서와, 상기 펄스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수치를 적산하는 펄스 카운터와,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와,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와 접속된 PDA 장치 사이에 미리 규약된 프로토콜에 따라 소정 개수의 검침 시간 동안에만 수신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 이외의 시간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검침 스케줄을 설정하고 설정된 검침 스케줄에 따라 무선 검침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발생된 클록 신호를 기초로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지 슬립 모드에 해당하는지 식별하는 제1 제어부, 및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적산된 무선 검침 데이터를 RF 무선 전파를 사용하여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로 전송하는 RF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는 상기 계량기용 RF 장치와 미리 규약된 프로토콜에 따라 소정 개수의 검침 시간 동안에는 수신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 이외의 시간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검침 스케줄을 설정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상기 계량기용 RF 장치와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는 각각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무선 검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RF 인터페이스부 및 제2 RF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소정 개수의 미리 설정된 검침 시간에 대한 규약을 두어 다른 시간에는 최소한의 슬립 상태만 유지하고,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량을 줄임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검침 또는 대기시 및 데이터 송수신시에 전력 소모를 대폭적으로 절감하여 실제 필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소모 전력이 개선된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Ultra-low-power wireless water supply meter}
본 고안은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PDA)를 기반으로 저전력 검침이 가능한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수도 검침 장치는 검침원들이 검침용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방문하여 계량기를 보고 적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상수도 검침 장치는 사용자가 검침 장소에 있지 않은 경우에 다시 방문하여야 하며 수기로 적는 과정에서 검침이 부정확하게 기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격 검침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원격 검침 기술은 인건비 절감, 검침원의 기록오류 방지, 빈집 및 일부 수용가의 검침거부 문제등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시급히 채택되어야 할 과제로 인식됨으로써 많은 부문에서 원격 검침 계기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종래의 원격검침 장치는 수치가 기록된 휠의 구조를 바꾸어 많은 센서를 부착한 직독식과 매순간 변화하는 물리량과 전기량을 전기적 펄스로 변환하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탈 회로가 내장된 센서(포토센서, 자기센서, 홀(hall) 센서 등)을 장착하여 수치를 축적하였다가 검침 요구시 자동으로 적산데이터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AMR(Automatic Meter Reading)식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무선 검침 장치들은 전력 소모가 적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선이 요구되어 전기 전도성이 있는 상수도 부문의 원격 검침에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무선 검침 장치는 물로부터 차단되는 방수용 재질로 차폐시킨 배터리를 사용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무선 검침 장치도 배터리 전력의 소모가 적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교환을 위해 검침원이 3개월 내지 6개월에 한번 정도 방문하여야 함으로써 비효율적이고 실제로 필드에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검침 또는 대기시에 전력 소모를 대폭적으로 절감하여 실제 필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내에서 수행되는 초저전력 무선 검침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도 2의 장치내에서 검침 스케줄에 따른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와 도 5b는 각각 슬립(sleep) 상태와 수신(Rx) 상태에서의 검침 펄스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 도 6b, 및 도 6c는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와 계량기용 RF 장치 사이에서 정의되는 프로토콜에서 각각 요청 형식, 응답 형식, 및 오류 형식을 정의한 필드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a와 도 7b는 수신기 번호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 요청 형식 및 응답 형식을 정의한 필드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와 도 8b는 데이터를 지정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 요청 형식 및 응답 형식을 정의한 필드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a와 도 9b는 데이터 검침 및 전원 ON/OFF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 요청 형식 및 응답 형식을 정의한 필드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는 상수도 계량기에 부착된 센서와, 상기 센서가 접속된 계량기용 RF 장치와,상기 계량기용 RF 장치와 무선 교신하는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 및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와 접속된 PDA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계량기용 RF 장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수도 계량기 내부의 휠이 회전하면 휠의 회전을 감지하여 전기적 펄스를 발생하는 센서; 상기 펄스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수치를 적산하는 펄스 카운터;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와 접속된 PDA 장치 사이에 미리 규약된 프로토콜에 따라 소정 개수의 검침 시간 동안에만 수신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 이외의 시간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검침 스케줄을 설정하고 설정된 검침 스케줄에 따라 무선 검침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발생된 클록 신호를 기초로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지 슬립 모드에 해당하는지 식별하는 제1 제어부; 및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적산된 무선 검침 데이터를 RF 무선 전파를 사용하여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로 전송하는 RF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는 상기 계량기용 RF 장치와 미리 규약된 프로토콜에 따라 소정 개수의 검침 시간 동안에는 수신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 이외의 시간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검침 스케줄을 설정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계량기용 RF 장치와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는 각각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무선 검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RF 인터페이스부 및 제2 RF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토콜 형식은, 수신기 번호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량을 줄임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수신기의번호를 나타내는 부분과 데이터를 나타내는 부분에 해당하는 16 진수로 표기하면서 16 진수 1 바이트를 2 자리수의 10 진수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의 외관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는 상수도 계량기(10)에 부착되는 센서(12), 계량기용 RF 장치(14),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16), 및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18: 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하 PDA라 칭함)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수도 계량기(10) 내부의 휠이 회전하면 센서(12)가 휠의 회전을 감지하여 전기적 펄스를 발생하고 계량기용 RF 장치(14)내에 구비된 펄스 카운터가 상기 펄스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수치를 적산하며, 검침 요구시 계량기용 RF 장치(14)는 RF 무선 전파를 사용하여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16)로 적산 데이터를 전송한다.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16)는 PDA(18)에 접속되어 PDA(18) 상에서 검침을 위한 메뉴들과 적산 데이터, 즉, 검침 데이터를 모니터링 및 저장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써 나타내었으며, 도 3에는 도 2의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내에서 수행되는 초저전력 무선 검침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흐름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3은 이하에서 수시로 참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는 계량기 측에 상수도 계량기(20)에 부착되는 센서(22)와, 계량기용 RF 장치(24)를 구비한다. 또한, 핸디 터미널 측에는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26)와 PDA(28)를 구비한다. 계량기용 RF 장치(24)는 펄스 카운터(242), 타이머(243), 제어부(244), RF I/F부(246), 안테나(247), 및 배터리(248)를 구비한다. 또한,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26)는 안테나(262), 구동 프로그램 저장부(264), PDA I/F부(266), 제어부(268), 및 RF I/F부(27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부(268)는 MCU(micro control unit)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계량기측과 핸디터미널측 사이에서 제어부(244)와 제어부(268)는 미리 규약된 프로토콜에 따라 검침 스케줄을 설정한다(단계 S302). 검침 스케줄 설정에 대한 프로토콜 형식은 이후에 설명된다.
센서(22)는 상수도 계량기(20)내에 구비된 휠이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면 휠이 그 회전을 인식하여 전기적 형태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펄스 카운터(242)는 펄스를 카운트하여 적산한다.
제어부(244)는 상기 단계(S302)에서 설정된 검침 스케줄에 따른 무선 검침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304). 다음으로, 제어부(244)는 상기 단계(S304)에 따른 무선 검침 제어를 기초로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지 슬립 모드에 해당하는지 식별한다(단계 S306). 이때, 타이머(243)는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지 슬립 모드에 해당하는지 식별하기 위한 시간 기준 데이터를 제공한다.
만일, 상기 단계(S306)에서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계량기용 RF 장치(24)는 핸디터미널용 RF 장치(26)로부터 무선 검침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식별(단계 S307)하여, 무선 검침 요구가 수신되었으면, RF I/F부(246)와 RF I/F부(270) 사이에서 무선 검침 데이터를 송수신(단계 S308)한다. 무선 검침 요구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검침 스케줄에 따른 무선 검침 제어(단계 S304)를 계속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단계(S308)이 30 일중에서 1차 대기 중에 이루어진 것이라면 이후의 2차 대기 및 3차 대기는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후 검침 대기 스케줄을 해제하도록 검침 스케줄을 수정한다(단계 S310). 반면에, 상기 단계(S306)에서 제어 모드가 슬립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슬립 상태를 유지(단계 S320)한다. 핸디터미널용 RF 장치(26)측의 안테나(262)와 계량기용 RF 장치(24)측의 안테나(247)는 핸디터미널용 RF 장치(26)와 계량기용 RF 장치(24) 사이에서 RF 신호의 상호 송신 및 수신을 처리하며, 배터리(248)는 계량기용 RF 장치(24)의 각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제, PDA I/F부(266)는 PDA(28)와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26)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PDA(28)에서 구축되어 있는 메뉴 화면을 기반으로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26)로부터 얻는 검침 시간 설정, 검침 데이터 표시등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PDA I/F부(266)는 RS-232C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구동 프로그램 저장부(264)는 구동 메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프로그램은 제어부(268)에 의하여 읽혀져 실행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무선검침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추론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선 검침 장치를 사용하여 검침을 하는 장소는 다수 개가 있을 수 있다. 미리 입력된 장소 데이터는 PDA(28)에 저장된다. 이러한 미리 저장된 장소 데이터에 대한 무선 검침 데이터는 이후에 설명될 프로토콜 형식에 의하여 계량기측과 핸디 터미널측 사이에서 송신 및 수신된다.
도 4에는 도 2의 장치내에서 검침 스케줄에 따른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전력 무선 검침 방법은 30일, 즉, 720 시간중에서 미리 설정된 10시간씩 3회, 즉, 30 시간 정도만 검침 대기를 위한 수신 대기 모드(Rx)로 절환되고 그 외에는 슬립(Sleep) 모드를 유지한다. 수신 대기 모드(Rx) 또는 슬립(Sleep) 모드중에도 MCU(micro control unit)는 온 또는 오프(엄밀하게는 슬립 상태라 칭할 수 있음)된다.
도 5a와 도 5b에는 각각 슬립(sleep) 상태와 수신(Rx) 상태에서의 검침 펄스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5a를 참조하면, 슬립(sleep) 모드 상태는 2초간의 순수 슬립 상태와 0.001초 간의 MCU 온 상태로 구분되어 한 주기당 2.001초에 해당한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수신 모드 상태는 2초간의 순수 슬립 상태와 0.04초 간의 수신 상태로 구분되어 한 주기당 2.04초에 해당한다.
여기서, 슬립 모드 상태에서, 이론적으로는 1) 순수 슬립 상태와 2) MCU 온 상태에서는 각각 50㎂ 및 2㎃의 전류가 흐르고, 수신 모드 상태에서 3) 순수 슬립 상태와 4) 수신 상태(Rx)에서는 각각 대략 50㎂ 및 25㎃의 전류가 흐른다. 5) 전송상태(Tx)에서는 대략 50㎃의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총 30일간에 대한 모든 모드들에서의 전력소모량은 1) 690 h ×50·10-3㎃ ×(1-0.001/2.001) = 34.48 ㎃h, 2) 690 h ×2 ㎃ ×(0.001/2.001) = 0.69 ㎃h, 3) 30 h ×50·10-3㎃ ×(1-0.04/2.04) = 1.47 ㎃h, 4) 30 h ×25 ㎃ ×(0.04/2.04) = 14.7 ㎃h, 5) 30 h ×50 ㎃ ×(6 s/30 h) = 0.09 ㎃h이고, 총 대기시간 1), 2), 3), 및 4)에서의 전력 소모량은 51.43 ㎃h이고, 전체 전송 시간에 대한 전력 소모량은 5) ×5회로써 0.45 ㎃h이며, 총 전력 소모량은 총 대기시간 에서의 전력 소모량 51.43 ㎃h과 전체 전송 시간에 대한 전력 소모량 0.45 ㎃h을 더한 51.88 ㎃h이 된다. 단, 여기서, 펄스 체크에 소모되는 전력량은 계산에서 제외하였다. 상기와 같은 전력 소모량은 매우 적은 것으로, 한 번의 배터리 교체로 적어도 1 년 내지 2 년 동안은 배터리 교체가 필요없는 초저전력 무선 검침이 가능하다.
도 6a, 도 6b, 및 도 6c에는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와 계량기용 RF 장치 사이에서 정의되는 프로토콜에서 각각 요청 형식, 응답 형식, 및 오류 형식을 정의한 필드 구조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아스키 문자와 16 진수의 문자를 사용하며, 최대 26 바이트로 이루어진 필드를 프로토콜 형식으로 사용하며, 요청 형식에서는 1바이트의 헤더 '\', 6 바이트의 수신기 번호, 1 바이트의 송신기 번호, 1 바이트의 명령어, 및 17 바이트의 데이터로 이루어져 총 26 바이트를 하나의 필드로써 사용한다. 또한, 응답 형식에서는 1바이트의 헤더 '\',1 바이트의 송신기 번호, 6 바이트의 수신기 번호, 1 바이트의 명령어, 및 4 바이트의 데이터로 이루어져 총 13 바이트를 하나의 필드로써 사용한다. 오류 형식은 1 바이트의 헤더(0x1F)와 4 바이트의 16 진수 문자(0x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수신기의 번호를 나타내는 6 바이트와 데이터 부분을 나타내는 17 및 4 바이트는 16 진수로 표기하지만 16 진수 1 바이트를 2 자리수의 10 진수로 해석한다. 이로써, 수신기 번호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량을 줄임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써 무선 검침에 필요한 전력 수요를 절감할 수 있다.
도 7a와 도 7b에는 수신기 번호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 요청 형식 및 응답 형식을 정의한 필드 구조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요청 형식에서는 1바이트의 헤더 '\', 6 바이트의 수신기 번호, 1 바이트의 송신기 번호, 1 바이트의 수신기 번호 변경 요청 명령("I"), 및 6 바이트의 변경할 수신기 번호, 및 11 바이트의 더미 데이터로 이루어져 총 26 바이트를 하나의 필드로써 사용한다. 또한, 응답 형식에서는 1바이트의 헤더 '\', 1 바이트의 송신기 번호, 6 바이트의 수신기 번호, 1 바이트의 수신기 번호 수락 명령("I"), 및 4 바이트의 더미 데이터로 이루어져 총 13 바이트를 하나의 필드로써 사용한다. 오류 형식은 도 6c와 같이 1 바이트의 헤더(0x1F)와 4 바이트의 16 진수 문자(0x0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기존 수신기의 번호를 전달된 새 수신기의 번호로 변경하고 응답하라는 명령어는 핸디 터미널 측에서는 송신시 "I"를 사용하고 오류가 접수되면 명령어를 1씩 증가시켜 "I", "J", 및 "K"를 차례로 재 송신한다. 한편, 계량기측에서는 핸디 터미널 측으로 전송, 즉, 핸디 터미널 측에서 수신시 "i"를 사용하고 오류가 접수되면 명령어를 1씩 증가시켜 "i", "j", 및 "k"를 차례로 재 수신한다.
다음으로, 도 8a와 도 8b에는 데이터를 지정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 요청 형식 및 응답 형식을 정의한 필드 구조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요청 형식에서는 1바이트의 헤더 '\', 6 바이트의 수신기 번호, 1 바이트의 송신기 번호, 1 바이트의 데이터 지정 요청 명령("S"), 및 4 바이트의 지정할 데이터, 및 13 바이트의 더미 데이터로 이루어져 총 26 바이트를 하나의 필드로써 사용한다. 또한, 응답 형식에서는 1바이트의 헤더 '\', 1 바이트의 송신기 번호, 6 바이트의 수신기 번호, 1 바이트의 데이터 지정 수락 명령("s"), 및 4 바이트의 지정된 데이터로 이루어져 총 13 바이트를 하나의 필드로써 사용한다. 오류 형식은 도 6c와 같이 1 바이트의 헤더(0x1F)와 4 바이트의 16 진수 문자(0x00)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펄스를 카운트하는 펄스 카운터(242)는 본 명령에 의하여 지정된 데이터값을 시작점으로 하여 카운트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계량기 센서 펄스 카운트값을 전달된 새로운 카운트값으로 변경하고 응답하라는 명령어는 핸디 터미널 측에서는 송신시 "S"를 사용하고 오류가 접수되면 명령어를 1씩 증가시켜 "S", "T", 및 "U"를 차례로 재 송신한다. 한편, 계량기측에서는 핸디 터미널 측으로 전송, 즉, 핸디 터미널 측에서 수신시 "s"를 사용하고 오류가 접수되면 명령어를 1씩 증가시켜 "t", "j", 및 "u"를 차례로 재수신한다.
다음으로, 도 9a와 도 9b에는 데이터 검침 및 전원 ON/OFF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 요청 형식 및 응답 형식을 정의한 필드 구조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요청 형식에서는 1바이트의 헤더 '\', 6 바이트의 수신기 번호, 1 바이트의 송신기 번호, 1 바이트의 데이터 검침 및 전원 ON/OFF 시간 설정 요청 명령("C"), 및 4 바이트의 채널 데이터, 1 바이트의 타이머 적용 시간 데이터 및 12 바이트의 전원 ON/OFF 시간 데이터로 이루어져 총 26 바이트를 하나의 필드로써 사용한다. 또한, 응답 형식에서는 1바이트의 헤더 '\', 1 바이트의 송신기 번호, 6 바이트의 수신기 번호, 1 바이트의 데이터 검침 및 전원 ON/OFF 시간 설정 수락 명령("f"), 및 4 바이트의 검침 데이터로 이루어져 총 13 바이트를 하나의 필드로써 사용한다. 오류 형식은 도 6c와 같이 1 바이트의 헤더(0x1F)와 4 바이트의 16 진수 문자(0x00)로 이루어진다.
해당 수신기에 누적된 검침값을 송신기로 전달한다. 그리고, 타이머 적용시간이 되는 시점에서 전원을 OFF하고 다음 ON/OFF를 준비한다. 이와 같이 스케줄링된 3 개소의 전원 ON/OFF 시간에 맞추어 전원 ON/OFF 동작을 수행한다.
ON/OFF 시간 설정은 3 개중 일부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시간만 사용할 경우, 제2 시간과 제3 시간은 모두 "0x00"으로 설정하기로 규약한다. 검침 명령의 우선 순위는 가장 나중에 입력된 명령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어 적용 시간 및 전원 ON/OFF 시간 데이터는 16 진수의 문자로 입력되지만 시간 단위로 해석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는 미리 설정된 소정 개수의 미리 설정된 검침 시간에 대한 규약을 두어 다른 시간에는 최소한의 슬립 상태만 유지하며, 수신기의 번호를 나타내는 6 바이트와 데이터 부분을 나타내는 17 및 4 바이트는 16 진수로 표기하지만 16 진수 1 바이트를 2 자리수의 10 진수로 해석함으로써 수신기 번호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량을 줄임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는 검침 또는 대기시에 전력 소모를 대폭적으로 절감하여 실제 필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원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적인 것이며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원 고안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검침 장치의 권리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및 방법은 미리 설정된 소정 개수의 미리 설정된 검침 시간에 대한 규약을 두어 다른 시간에는 최소한의 슬립 상태만 유지하며, 수신기의 번호를 나타내는 6 바이트와 데이터 부분을 나타내는 17 및 4 바이트는 16 진수로 표기하지만 16 진수 1 바이트를 2 자리수의 10 진수로 해석함으로써 수신기 번호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량을 줄임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및 방법은 검침 또는 대기시에 전력 소모를 대폭적으로 절감하여 실제 필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개선된 것이다.

Claims (2)

  1. 상수도 계량기에 부착된 센서와, 상기 센서가 접속된 계량기용 RF 장치와, 상기 계량기용 RF 장치와 무선 교신하는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 및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와 접속된 PDA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계량기용 RF 장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수도 계량기 내부의 휠이 회전하면 휠의 회전을 감지하여 전기적 펄스를 발생하는 센서;
    상기 펄스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수치를 적산하는 펄스 카운터;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와 접속된 PDA 장치 사이에 미리 규약된 프로토콜에 따라 소정 개수의 검침 시간 동안에만 수신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 이외의 시간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검침 스케줄을 설정하고 설정된 검침 스케줄에 따라 무선 검침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발생된 클록 신호를 기초로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지 슬립 모드에 해당하는지 식별하는 제1 제어부;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적산된 무선 검침 데이터를 RF 무선 전파를 사용하여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로 전송하는 RF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는 상기 계량기용 RF 장치와 미리 규약된 프로토콜에 따라 소정 개수의 검침 시간 동안에는 수신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 이외의 시간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검침 스케줄을 설정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계량기용 RF 장치와 상기 핸디 터미널용 RF 장치는 각각 제어 모드가 수신 대기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무선 검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RF 인터페이스부 및 제2 RF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형식은,
    수신기 번호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량을 줄임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수신기의 번호를 나타내는 부분과 데이터를 나타내는 부분에 해당하는 16 진수로 표기하면서 16 진수 1 바이트를 2 자리수의 10 진수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KR20-2003-0000133U 2003-01-03 2003-01-03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KR200309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33U KR200309095Y1 (ko) 2003-01-03 2003-01-03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33U KR200309095Y1 (ko) 2003-01-03 2003-01-03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275A Division KR100545500B1 (ko) 2003-01-03 2003-01-03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095Y1 true KR200309095Y1 (ko) 2003-03-29

Family

ID=4940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133U KR200309095Y1 (ko) 2003-01-03 2003-01-03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0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22B1 (ko) * 2007-08-17 2009-07-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Dlms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착탈식 유지 보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22B1 (ko) * 2007-08-17 2009-07-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Dlms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착탈식 유지 보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9367T3 (es) Sistema y método para comunicar y controlar lecturas de medidor automático
US7830874B2 (en) Versatile radio packeting for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s
US6512463B1 (en) Bi-directional protocol
US20050035877A1 (en)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ter reading data in the same
KR100513934B1 (ko) 무선 검침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KR100545500B1 (ko)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9095Y1 (ko) 초저전력 상수도 무선 검침 장치
Bhardwaj et al. MELOS: a low-cost and low-energy generic sensing attachment for mobile phones
KR20040000031A (ko) 원격검침시스템
AU2009100753B4 (en) Wireless Water Consumption Monitor
KR20220030024A (ko) 절전형 스마트계량기
KR19980013712A (ko) 기간 통신망을 이용한 미터기 무선 검침 시스템
KR19980019249A (ko) 원격 검침 시스템 및 방법(telemetr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599905B1 (ko) 네트워크의 자동 구성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방법
CN103985233A (zh) 一种无线智能数字仪表采集远传装置
CN109343658A (zh) 可穿戴设备及显示屏控制方法、系统、设备、计算机介质
KR20050012572A (ko)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무선 모뎀의 전력 소모를줄이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05413B1 (ko) 계량 시스템의 무선통신 방법
CN105022256A (zh) 一种指针式多功能智能时钟的设计方法
WO2018128538A1 (en) Fluid meter with supplementary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N108107781A (zh) 一种压载水位监测系统
CN205091548U (zh) 智能钟
US20110273306A1 (en) Remote metering device
EP3647903A1 (en) Wearable device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KR100366402B1 (ko) 각종 건물 계량기의 인터넷 검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