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287Y1 -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 - Google Patents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287Y1
KR200308287Y1 KR20-2002-0038536U KR20020038536U KR200308287Y1 KR 200308287 Y1 KR200308287 Y1 KR 200308287Y1 KR 20020038536 U KR20020038536 U KR 20020038536U KR 200308287 Y1 KR200308287 Y1 KR 200308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separate
present
network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특장
Priority to KR20-2002-0038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2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품에 따라 분리수거가 가능하고, 수거망부재를 이용하여 장착이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재활용품의 적재용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수거시기 판단이 용이한 재활용품 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재활용 쓰레기의 수용하는 육안으로 잔량의 식별이 가능한 수거망부재를 착탈가능 하도록 수거대를 제작하여 수거시기의 판단이 용이하고, 재활용 쓰레기가 적재된 수거망부재의 수거시 수거망부재를 밀봉하여 수거차에 적재시킬수 있어 수거차에서 분리 수거된 쓰레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분리 수거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재활용 쓰레기를 수용하는 분리 수거대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거대(10)는 재활용품 적재시 이를 지지/보관 할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지닌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 일측에 구비되어 수거망부재(40)가 용이하게 결착 가능토록 상부에 돌출부재(31)가 형성된 수거망 지지부재(30)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 {Recyclable goods seperate collection stand}
본 고안은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품에 따라 분리수거가 가능하고, 수거망부재를 이용하여 장착이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재활용품의 적재용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수거시기 판단이 용이한 재활용품 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재활용품 분리 수거함은 재활용 쓰레기를 내장할수 있는 수거함과 수거함 힌지결합된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종래의 분리수거함은 분리된 쓰레기를 수거인이 수거 하려면 뚜껑을 열고 쓰레기의 잔량을 확인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쓰레기를 수거할때 수거인이 수거함 전체를 차량 위로 들어 올리도록 되어 있어 여간 불편하지 않았으며, 특히 분리 수거된 재활용품이 이송차량내에서 혼합되어 분리수거의 의미가 상실될수 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재활용 쓰레기의 수용하는 육안으로 잔량의 식별이 가능한 수거망부재를 착탈가능 하도록 수거대를 제작하여 수거시기의 판단이 용이하고, 재활용 쓰레기가 수용된 수거망부재의 수거시 수거망부재를 밀봉하여 수거차에 적재시킴으로 인해 수거차에서 쓰레기가 혼합되어 분리수거의 의미가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분리 수거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재활용 쓰레기를 수용하는 분리 수거대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거대(10)는 재활용품 적재시 이를 지지/보관 할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지닌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 일측에 구비되어 수거망부재(40)가 용이하게 결착 가능토록 상부에 돌출부재(31)가 형성된 수거망 지지부재(30)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를 도시의 사용 상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분리 수거대 20 : 프레임
30 : 수거망 지지부재 31 : 돌출부재
40 : 수거망 부재 41 : 링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분리 수거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재활용 쓰레기를 수용하는 분리 수거대(10)에 재활용품 적재시 이를 지지/보관 할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지닌 프레임(20)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일측에 수거망부재(40)가 용이하게 결착 가능토록 상부에 돌출부재(31)가 형성된 수거망 지지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분리수거대(10)에 재활용 쓰레기의 적재시 이를 지지/보관 할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지닌다.
상기 수거망 지지부재(30)는 상기 프레임(20)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거망 지지부재(30) 일측에 다수의 상기 돌출부재(31)가 형성된다.
상기 수거망부재(40)는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져 재활용 쓰레기의 수용잔량을 눈으로 확인할수 있도록 제작되고, 상기 수거망 지지부재(30)에 착탈가능하게 제작되어 수거차로 재활용 쓰레기의 수거시 상부가 개구된 상기 수거망부재(40)를 끈이나 철사 등의 밀봉수단으로 밀봉할수 있게 된다.
상기 수거망부재(40)의 상부에 구비된 링부재(41)는 상기 수거망 지지부재(30)에 돌출된 상기 돌출부재(31)에 착탈가능하며, 상기 수거망부재(40)의 하부에 구비된 링부재(41)는 효과적으로 상기 수거망부재(40)의 원형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거망부재(40)의 상/하부에 구비된 링부재(41)는 원형링 모양의 형상을 가지며 재질은 로프나 금속 또는 플라스틱등으로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2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망부재(40)의 용이한 결착이 가능토록 상부에 상기 돌출부재(31)가 상기 수거망 지지부재(30)에 형성된다. 상기 수거망부재(40) 상부에 구비된 링부재(41)를 상기 수거망 지지부재(30)에 돌출된 돌출부재(31)에 결합하여 상기 수거망부재(40)를 설치 한다.
설치된 상기 분리수거대(10)에 재활용 쓰레기가 가득 채워지면 내부의 잔량이 보이는 그물형상의 상기 수거망부재(40)를 상기 분리수거대(10)에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수거망부재(40)를 밀봉수단으로 밀봉하여 쓰레기 수거차량으로 들어올려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차량에 수거한다.
상기 수거차량에 재활용품을 수용한 상기 수거망부재(40)의 적재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밀봉수단으로 밀봉함으로써 수거차에 적재된 재활용 쓰레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는, 그물형상의 수거망부재가 결합되어 재활용 쓰레기의 잔량확인이 가능하고, 분리수거대에 수거망부재가 장착이나 분리를 용이하게 제작하며 수거차로의 수거망부재에 수용된 재활용 쓰레기 수거시 수거망부재를 밀봉하여 수거차에 적재시킴으로 인해 수거차에서 쓰레기가 혼합되어 분리수거의 의미가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재활용 쓰레기를 수용하는 분리 수거대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거대(10)는 재활용품 적재시 이를 지지/보관 할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지닌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 일측에 구비되어 수거망부재(40)가 용이하게 결착 가능토록 상부에 돌출부재(31)가 형성된 수거망 지지부재(30)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
KR20-2002-0038536U 2002-12-26 2002-12-26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 KR200308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536U KR200308287Y1 (ko) 2002-12-26 2002-12-26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536U KR200308287Y1 (ko) 2002-12-26 2002-12-26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287Y1 true KR200308287Y1 (ko) 2003-03-26

Family

ID=4940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536U KR200308287Y1 (ko) 2002-12-26 2002-12-26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2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4111A (en) Multi-compartment refuse container
US4913301A (en) Refuse container
EP0659159B2 (en) Device for collecting refuse
EP0425547B1 (en) Method in the storage and collection of waste as well as waste container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5228591A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with collapsible bottom for mechanized recyclable-trash collection
US4860910A (en) Paper separation device for waste containers
CA2639820A1 (en) Recycle container for curbside refuse pickup
US20140314530A1 (en) Commercial Waste Container Systems and Methods
US6447235B1 (en) Waste collection device
KR200308287Y1 (ko) 재활용품 분리 수거대
US4694972A (en) Apparatus for refuse collection and disposal
EP0555939B1 (en) Transportable container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or processing of recyclable waste
US20130330023A1 (en) Reusable, Multi-Purpose Dumpster Bag
US20030146230A1 (en) Refuse container lid
EP0768250A1 (en) Waste container, receiving holder therefor and assembly of a waste container and receiving holder
SE9801176L (sv) Avfallsbehållare med en för lagring av avfallet återanvändbar och tömningsbar underbehållare
EP3162736B1 (en) Semi-underground waste container with lid and lifting loop
EP3313756B1 (en) A receptacle for recyclable waste
KR200337120Y1 (ko)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
CN219155403U (zh) 垃圾桶
KR200309802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EP0577566A1 (en) Equipment for selective collecting, separate transport and disposal of different refuses
KR200443611Y1 (ko) 재활용품 분리수거용 배출통
KR960003301Y1 (ko) 폐기물 분리 수거통의 내용물 자동 수거장치
KR200299048Y1 (ko) 재활용품 수거용 그물망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