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320Y1 -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 Google Patents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320Y1
KR200307320Y1 KR20-2002-0036260U KR20020036260U KR200307320Y1 KR 200307320 Y1 KR200307320 Y1 KR 200307320Y1 KR 20020036260 U KR20020036260 U KR 20020036260U KR 200307320 Y1 KR200307320 Y1 KR 200307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red
toothbrush
needle
hair
pla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준
권성욱
Original Assignee
권영준
권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준, 권성욱 filed Critical 권영준
Priority to KR20-2002-0036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3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 테이퍼링 되지 아니한 상태의 후도가 0.1-0.2㎜이고, 일측만 테이퍼링되며 테이퍼 길이가 4-8㎜이고, 테이퍼 끝점 후도가 0.01-0.03㎜이며, 전체 길이가 13-18㎜인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칫솔은 종래의 양쪽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과는 달리, 한쪽만 테이퍼링된 칫솔모가 사용됨으로써 불량률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원가를 30% 이상 낮출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식모된 칫솔모의 패턴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칫솔모의 고정에 있어서 평선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열 융착되는 것이므로 보다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길이 조절에 실패한 불량 침상모도 어느 정도까지는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아울러 발휘한다.

Description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Toothbrush planteel with a needle-shaped bristle tapered on one side}
본 고안은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기로는 한쪽 끝은 테이퍼링되고 나머지 끝은 테이퍼링되지 아니한 칫솔모가 사용됨으로서 불량률을 줄이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치석 및 프라그의 제거효과를 높이고 양치질 시 잇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의 끝 부분이 테이퍼링된 모가 식모된 칫솔이 개발된 이래 최근에는 이러한 형태의 칫솔은 그 유효성이 입증되어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관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도 1a 및 도 1b와 같이 한쪽 끝은 침상(t)이고 다른 쪽 끝은 침상이 아닌(n) 28-33㎜ 길이의 모를 침상인 쪽이 약간 길도록 반으로 접고, 그 접힌 부분을 절단된 평선(Wire)으로 찝어서 칫솔머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홀에 밀어 넣어 모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61-10495호로 개시되어 있다.
아울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퍼 길이가 4-8㎜이고 전체 길이가 28-33㎜인 양끝이 테이퍼된 침상모를 정확히 반으로 접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식모하는 방법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5-15834호로 개시된 바가 있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술과 같이 양끝이 테이퍼된 침상모를 식모하되, 식모된 통상의 모보다 길이가 1-10㎜ 범위로 더 긴 돌출부(61)가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는 기술이 본 고안자에 의한 한국특허 제311360호로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 기술들은 모두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나, 종래의 테이퍼되지 아니한 일반모가 식모된 칫솔에 비하여 모두 치석 및 프라그 제거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잇몸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모두 제조공정이 까다롭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가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우선, 일반모를 침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모의 끝 부분을 가성소다나 황산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녹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정확하게 모의 전체 길이와 테이퍼 길이를 조절하기가 어려우므로 불량이 많이 발생하고, (2) 특히 현재 호평을 받고 있는 양면 테이퍼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의 경우, 침상모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양끝 모두를 위의 방법으로 처리하여야 하나, 한쪽 끝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쪽 끝에서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는 모 전체가 불량이 되고, (3) 또한 길이조절에 실패한 불량모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이 외에, 상기 기술들은 모두 식모된 칫솔모의 모양이 도 4와 같이 모두 단순하고, 또한 고정이 부실하여 종종 식모된 모가 칫솔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칫솔모를 반으로 접은 후 평선으로 찝어서 평선을 고정홀(10)에 밀어 넣는 방식으로 칫솔모를 고정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불량율이 감소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길이조절에 실패한 불량모를 칫솔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으며, 칫솔모를 칫솔에 보다 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식모될 모의 패턴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을 제공함에도 있다.
도 1a는 한쪽 끝은 침상이고 다른 쪽 끝은 침상이 아닌 28-33㎜ 길이의 모가 식모되기 전에 반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b는 도1a의 모가 칫솔대에 식모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2는 테이퍼 길이가 4-8㎜이고 전체 길이가 28-33㎜인 양끝이 테이퍼된 침상모가 식모되기 전 반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양끝이 테이퍼된 침상모가 식모되되, 식모된 통상의 모보다 길이가 1-10㎜ 범위로 더 긴 돌출부가 형성된 칫솔의 개략도이며,
도 4는 통상의 침상모가 식모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일측 침상모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침상모가 원통형의 용기에 수직방향으로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칫솔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1차수용구의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칫솔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2차수용구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칫솔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헤드인서트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1차수용구에 형성된 통공과 요철 결합할 수 있는 형태의 삽입봉을 구비한 밀판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1차수용구에 수용된 침상모가 2차수용구 및 헤드인서트로 이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12는 헤드인서트 수용된 침상모가 열융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13은 헤드인서트가 결합되기 전의 칫솔대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일측 침상모가 식모된 본 고안의 칫솔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 : 칫솔모의 테이퍼링된 부분 n : 칫솔모의 테이퍼링되지 아니한 부분
10 : 고정홀 20 : 1차수용구
21 : 통공 30 : 2차수용구
40 : 밀판 41 : 삽입봉
50 : 헤드인서트 60 : 침상모
70 : 칫솔대
본 고안은 전체 길이가 13-18㎜이고, 한쪽 끝에는 4-8㎜의 길이로 테이퍼되고 다른 쪽은 테이퍼되지 아니한 침상모를 칫솔모가 식모될 모양의 통공을 가진 수용구에 밀어 넣은 후, 이 수용구의 밑 부분을 열 융착시킴으로써 칫솔모를 수용구에 고정시킨 다음, 이 수용구를 칫솔대의 머리부분에 접착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침상모(60)로서, 전체 길이가 13-18㎜이고, 테이퍼 길이는 4-8㎜이다. 종래의 양 끝이 테이퍼링된 침상모에 비하여 길이는 약 1/2이고 테이퍼 길이는 동일하며, 한쪽 끝 부분만 테이퍼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한쪽 끝 부분만 테이퍼링되므로 테이퍼 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불량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도 6은 위와 같은 침상모(60)가 원통형의 플라스틱 용기(70)에 수직방향으로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과 같이 적재된 침상모(60)는 도 7과 같은 형태의 1차수용구(20)에 수용된 후, 도 8과 같은 2차수용구(30)로 이송되고, 다시 도 9와 같은 헤드 인서트(50)로 이송된다. 1차수용구(20)와 2차수용구(30) 및 헤드인서트(50)는 동일한 형태의통공(21)을 가진다. 다만 재질이 1차 및 2차수용구(20, 30)는 금속이며, 헤드인서트(50)는 플라스틱이다.
1차수용구(20) 및 2차수용구(30)는 침상모(60)를 헤드인서트(50)에 전달하는 역할을 계속하는 것이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이어야 하며, 헤드인서트(50)는 침상모(60)가 식모된 상태에서 칫솔대(70)와 결합하는 것이므로 플라스틱 재질이어야 하는 것이다.
침상모(60)가 1차수용구(20)에 수용되는 과정은 1차수용구(20)에 형성된 통공(21)과 요철 결합할 수 있는 형태의 삽입봉(41)을 구비한 밀판(40)(도 10 참조)이 적재된 침상모(60)를 1차수용구(20) 방향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수용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차수용구(20)에서 2차수용구(30)로 침상모(60)가 수용되는 과정은 침상모(60)를 수용한 1차수용구(20)와 2차수용구(30) 및 헤드인서트(50)에 형성된 통공(21)이 일치하도록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밀판(40)이 1차수용구(20)의 침상모(60)를 2차수용구(30) 및 헤드인서트(50) 쪽으로 밀어냄으로써 헤드인서트(50)에 수용된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인서트(50)에 침상모(60)가 수용된 상태에서 헤드인서트(50)의 밑 부분은 열 융착된다. 이를 통하여 침상모(60)는 헤드인서트(50)에 강하게 고정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침상모(60)의 길이 조절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즉, 길이가 짧은 침상모(60)는 헤드인서트(50)의 밑 부분에 돌출되어 나온 부분이 길이가 1㎜ 이내인 상태에서, 길이가 긴 침상모(60)는 헤드인서트(50) 밑 부분에 약 3㎜ 정도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 열 융착할 수 있다.
침상모(60)가 고정된 헤드인서트(50)는 칫솔대(70)의 머리부분으로 이송되어 칫솔대(70)와 접착된다. 접착방법은 접착제에 의할 수도 있으며, 초음파 접착도 가능하다.
생산효율을 감안하면 초음파 접착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칫솔대(70)의 머리부분에는 도 13과 같이 헤드인서트(50)가 삽입될 수 있는 헤드인서트 삽입부(5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이 완료된 칫솔은 도 14와 같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칫솔은 종래의 양쪽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과는 달리, 한쪽만 테이퍼링된 칫솔모가 사용됨으로써 불량률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원가를 30% 이상 낮출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식모된 칫솔모의 패턴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칫솔모의 고정에 있어서 평선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열 융착되는 것이므로 보다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길이 조절에 실패한 불량 침상모도 어느 정도까지는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아울러 발휘한다.

Claims (3)

  1. 테이퍼링 되지 아니한 상태의 후도가 0.1-0.2㎜이고, 일측만 테이퍼링되며, 테이퍼 길이가 4-8㎜이고, 테이퍼 끝점 후도가 0.01-0.03㎜이며, 전체 길이가 13-18㎜인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 침상모(60)는 헤드인서트(50)에 형성된 통공(21)에 수용된 후 열 융착됨으로써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일측 침상모(60)가 고정된 헤드인서트(50)는 칫솔대(70)의 머리부분에 형성된 헤드인서트 삽입부(51)에 삽입된 후, 초음파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KR20-2002-0036260U 2002-12-04 2002-12-04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KR200307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260U KR200307320Y1 (ko) 2002-12-04 2002-12-04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260U KR200307320Y1 (ko) 2002-12-04 2002-12-04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349 Division 2002-12-03 2002-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320Y1 true KR200307320Y1 (ko) 2003-04-11

Family

ID=4940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260U KR200307320Y1 (ko) 2002-12-04 2002-12-04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3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4000A3 (ko) * 2009-07-31 2011-06-16 (주) 베스트화성 침투력과 쇄소성이 향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4000A3 (ko) * 2009-07-31 2011-06-16 (주) 베스트화성 침투력과 쇄소성이 향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7471B2 (ja) 一側の毛先だけテーパー状に先鋭化された針状毛が植毛された歯ブラシ
EP184467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othbrush
EP1234525B1 (en) Toothbrush with highly tapered bristles having superior flex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261184B2 (ja) 歯ブラシ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歯ブラシ
KR100485220B1 (ko) 다양한 끝 점 후도를 가진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및 그제조방법
AU2010202358B2 (en) Toothbrush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a toothbrush
US20080028558A1 (en) Functional Toothbrush
KR100637382B1 (ko) 칫솔모의 테이퍼 가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칫솔
US20120272469A1 (en) Toothbrus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1626707A (zh) 用于提高生产量的使针状刷毛变尖的处理方法
WO2005087045A1 (en) Toothbrush with needle-shaped bristles having improved cleaning effects
KR200307320Y1 (ko) 일측 테이퍼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KR20040050699A (ko) 일측 테이퍼 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및 그 제조방법
JP3022762B2 (ja) 先細のブリッスルを持ったブラシの製造方法
CN107708484B (zh) 刷子的制造方法及刷子
KR100590607B1 (ko) 식모군이 산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칫솔의 제조방법
CN109864435B (zh) 一种牙刷植毛辅助器件
JP2006116269A (ja) 植込みブラシの毛止め方法
CN211431467U (zh) 一种刷毛承载件
JP2000354520A (ja) 歯ブラシ
KR20020085464A (ko) 칫솔모가 교차식모된 테이퍼링형 칫솔 및 그 제조방법
KR100487004B1 (ko) 브러쉬의제조방법
US20170156483A1 (en) Toothbrush with Elastic Bristles
KR200318673Y1 (ko) 다양한 끝 점 후도를 가진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CN110575004A (zh) 一种整束型刷毛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