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197Y1 -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197Y1
KR200307197Y1 KR20-2002-0036800U KR20020036800U KR200307197Y1 KR 200307197 Y1 KR200307197 Y1 KR 200307197Y1 KR 20020036800 U KR20020036800 U KR 20020036800U KR 200307197 Y1 KR200307197 Y1 KR 200307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metal tube
composite metal
resin molding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승철
Original Assignee
기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승철 filed Critical 기승철
Priority to KR20-2002-0036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1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1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4Reinforc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에 관한 것으로서 , 특히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속관 들의 내부에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그 금속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 성형물을 내입 결합하여 금속관의 두께를 최소화하며 높은 강도를 갖도록 구성된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에 관한 것으로서, 양쪽이 상호 관통되는 관(管)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단면에 비교하여 길이가 긴 금속관(1)과; 양쪽이 상호 관통된 단면형상을 가지며 그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요홈(3)이 성형되고 그 요홈 중에서 한 개가 길이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절개부(5)를 구성하여 상기의 금속관(1)의 내경 치수보다 큰 치수를 지니며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 성형물(2)과; 상기의 금속관(1) 내부에 상기의 합성수지 성형물(2)가 내입 결합되어 복합소재 금속관(A)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소재 금속관(A)는, 통상의 난간 또는 휀스의 횡부재 나 종부재 등에 사용될 때, 금속관(1) 내부에 내입된 합성수지 성형물(A)의 관통부(6)에 장볼트(7)를 삽입하여 타부재와 결속 조립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omitted}
본 고안은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속관 들의 내부에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그 금속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 성형물을 내입 결합하여 금속관의 두께를 최소화하며 높은 강도를 갖도록 구성된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이나 토목용에 사용되는 금속관인 횡부재 나 종부재 및 난간 또는 휀스 등의 간살이나 지주재 등에 사용되는 파이프 금속관인 알루미늄관 또는 스테인리스관, 황동관, 부식 방지 처리된 철재관 등의 금속관(管) 들은 적용부위에 따라서 요구되는 휨강도에 부합하도록 금속관의 외경치수나 재료두께를 가변설계 하는데, 이때 금속관의 휨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서는 금속관의 외경치수나 재료두께를 증가시켜 사용함으로서, 금속관의 중량이 증가되어 제작원가의 상승으로 인하여 금속관의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용도에 적용함에 있어서 그 사용에 한계를 지니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금속관의 경제적인 측면과 금속관의 휨강도 보강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된 금속관(管)들의 외경치수나 재료두께를 최소화 시키고 그 금속관 내부에 재생 합성수지 성형물을 내입 결합하여 휨강도를 보강 함으로서 금속관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금속관 내부에 삽입되는 성형물의 소재를 재생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어서, 자원재활용을 확대하여 금속관에 사용되는 원자재 수입을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성형물의 길이방향 일측면이 절개되어 외측면으로 확장되어 있어서, 금속관(管) 내부에 합성수지 성형물을 삽입할 때, 삽입공정이 용이하고 합성수지 성형물이 금속관 내부에 내입된 후 에는 외경이 확장되어 금속관 과의 밀착력이 우수하다.
본 고안이 다른 이점 과 특징은 후 상술하는 구성 및 작용의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관의 내부에 합성수지 성형물을 내입하여 복합소재 금속관을 구성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소재 금속관의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소재 금속관 내부의 관통부에 장볼트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복합소재 금속관 1 : 금속관 2 : 합성수지 성형물 3 : 요홈
5 : 절개부 6 : 관통부 7 : 장볼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합성수지 성형물은 재생 또는 신재의 PE , PP , PS, PVC 등의 압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데 어떠한 제한도 없다.
또한, 금속관(管)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재, 스테인리스재, 황동재, 부식처리된 철재관 등의 금속성의 소재로서 그 단면 형상 구조가 관(管) 형태로서, 어떠한 단면형상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복합소재 금속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 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잇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물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관 내부에 합성수지 성형물을 내입하여 복합소재 금속관을 구성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소재 금속관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소재 금속관 내부의 관통부에 장볼트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이들 도면에 의해 잘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A)의 실시예는,
양쪽이 상호 관통되는 관(管)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단면에 비교하여 길이가 긴 금속관(1)과; 양쪽이 상호 관통된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요홈(3)이 성형되고 그 요홈 중에서 한 개가 길이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절개부(5)를 구성하여 상기의 금속관(1) 내경 치수보다 큰 치수를 지니며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 성형물(2)과; 상기의 금속관(1)내부에 상기의 합성수지 성형물(2)가 내입 결합되어 복합소재 금속관(A)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소재 금속관(A)는, 통상의 난간 또는 휀스의 횡부재 나 종부재 등에 사용될 때, 금속관(1) 내부에 내입된 합성수지 성형물(A)의 관통부(6)에 장볼트(7)를 삽입하여 타부재와 결속 조립된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금속관(1)의 길이 와 두께 치수는 가변성을 지니며, 그 단면형상에는 어떠한 제한도 없다.
또한, 금속관(1) 내부에 삽입되기 이전의 합성수지 성형물(2)의 외경 칫수는금속관(1) 보다 크며 금속관(1)에 합성수지 성형물(2)이 삽입될 때, 그 길이방향 일측면의 절개부(5)가 내측으로 수축되며 내입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된 금속관(管)들의 외경치수나 재료두께를 최소화 시키고 그 금속관 내부에 재생 합성수지 성형물을 내입 결합하여 휨강도를 보강 함으로서 금속관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금속관 내부에 삽입되는 성형물의 소재를 재생원자재 수입을 줄여주는 효과 와 합성수지 성형물의 길이방향 일측면이 절개되어 외측면으로 확장되어 있어서, 금속관(管) 내부에 합성수지 성형물을 삽입할 때, 삽입공정이 용이하고 합성수지 성형물이 금속관 내부에 내입된 후 에는 외경이 확장되어 금속관 과의 밀착력이 우수하여 건축 또는 토목용의 각종 난간 및 휀스 등의 횡부재 나 종부재 로의 사용에 있어서 높은 휨강도 와 경제성이 우수한 복합소재 금속관을 제공한다.

Claims (5)

  1. 건축용 또는 토목용에 사용되는 난간 및 휀스 등의 금속관 설치물에 사용되는 횡부재 나 종부재로 사용되는 복합소재 금속관(A)에 있어서,
    양쪽이 상호 관통되는 관(管)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단면에 비교하여 길이가 긴 금속관(1)과; 양쪽이 상호 관통된 단면형상을 가지며 그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요홈(3)이 성형되고 그 요홈 중에서 한 개가 길이방향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절개부(5)를 구성하여 상기의 금속관(1)의 내경치수보다 큰 치수를 지니며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 성형물(2); 상기의 금속관(1)내부에 상기의 합성수지 성형물(2)가 내입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합성수지 성형물(1)은 신재의 PE, PP, PS, PVC 등의 압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합성수지 성형물(1)은 재생재의 PE, PP, PS, PVC 등의 압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합성수지 성형물(2)은 그 외경 치수가 금속관(1) 보다 크며 금속관(1) 내부에 합성수지 성형물(2)이 삽입될 때, 그 길이방향 일측면의 절개부(5)가 내측으로 수축되며 내입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5. 제 1항에 있어서,
    복합소재 금속관(A)의 길이 와 두께 치수 및 단면형상은 가변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KR20-2002-0036800U 2002-12-09 2002-12-09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KR200307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800U KR200307197Y1 (ko) 2002-12-09 2002-12-09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800U KR200307197Y1 (ko) 2002-12-09 2002-12-09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019A Division KR20040033769A (ko) 2002-10-15 2002-10-15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197Y1 true KR200307197Y1 (ko) 2003-03-12

Family

ID=4940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800U KR200307197Y1 (ko) 2002-12-09 2002-12-09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1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124B1 (ko) 2006-11-24 2007-10-17 (주)경훈기계 단부 밀폐구조를 갖는 염색장치용 챔버의 이중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124B1 (ko) 2006-11-24 2007-10-17 (주)경훈기계 단부 밀폐구조를 갖는 염색장치용 챔버의 이중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3277A (en) Co-extruded integrally reinforced cellular PVC window sash
ATE540176T1 (de) Tragendes konstruktionselement, besonders für die herstellung von gebäudedecken und deckenstruktur mit einem solchen element
JP2003524090A (ja) 建築構成部品を構成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構造
DE602005008783D1 (de) Fussboden für Übergangs-Faltenbalg zwischen zwei Fahrzeuge
KR200307197Y1 (ko)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US20170321829A1 (en) Method for forming inline triple wall coupling connector
KR100730575B1 (ko) 강성보강용 파이프 제작방법
KR20040033769A (ko) 합성수지 성형물이 내입 결합된 복합소재 금속관
KR101532663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200411789Y1 (ko) 삼중벽관
JP5770536B2 (ja) 製管用部材
KR20020068636A (ko) 보강성을 갖게한 빔 파이프
KR101183606B1 (ko) 후렌치 연결구 일체형 디씨 이중벽관 성형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60001947A (ko) 내구성이 강화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CN205447011U (zh) 一种pvc-u加筋管
KR200206329Y1 (ko) 합성수지제 파이프
KR100455856B1 (ko) 내면의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관
US20100164221A1 (en) Pipe Coupling
RU2738062C1 (ru)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й пултрузионный усилительный вкладыш в полой пластиковой раме оконного или дверного блока
KR100499018B1 (ko) 토목및도로공사에서하수관용구조보강나선관
KR20200045888A (ko) 건축용 이중 압출관
KR20070098984A (ko) 내구성이 향상된 다중벽관
CN107965622B (zh) 一种多层对扣连接连续缠绕复合管
EP1006304A1 (en) An assembly of flexible connecting elements for sanitary use and method for forming said elements
CN206802024U (zh) 一种管件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