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182Y1 - 꽃다발 홀더 - Google Patents

꽃다발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182Y1
KR200307182Y1 KR20-2002-0036527U KR20020036527U KR200307182Y1 KR 200307182 Y1 KR200307182 Y1 KR 200307182Y1 KR 20020036527 U KR20020036527 U KR 20020036527U KR 200307182 Y1 KR200307182 Y1 KR 200307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quet
air
holder
bouquet hol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철호
Original Assignee
오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철호 filed Critical 오철호
Priority to KR20-2002-0036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1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꽃다발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꽃다발 홀더는,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주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소정의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상측부에 꽃다발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삽입된 꽃다발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꽃다발 홀더에 의하면, 특이하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형상을 갖는 꽃다발 홀더를 사용한 꽃다발을 주고받을 수 있어서, 이를 주고받는 사용자에게 보다 큰 만족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꽃다발 홀더{Bouquet holder}
본 고안은 꽃다발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꽃다발을 감싸는 홀더를 다양하게 표현하여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한 꽃다발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기념행사에게 축하를 하기 위해 또는 연인들이나 친구끼리 서로의 사랑이나 우정을 표현하기 위해 꽃다발을 주거나 받는 것을 사람들은 좋아한다. 이러한 꽃다발은 기념행사의 분위기를 돋구어 주고 주거나 받는 사람 모두의 기분을 좋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꽃다발은 보통의 경우 꽃들과 그밖에 나뭇가지나 풀 등으로 하나의 꽃다발로 만들고 이를 종이 또는 비닐 등을 이용하여 꽃다발의 하단부를 감싸서 꽃다발 홀더를 만들어 서로 주고받는 것이 보통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종이나 비닐들로서 다양한 색상이나 질감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고 감싸는 방법 또한 다양하게 하여 꽃다발의 아름다움을 배가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종이나 비닐 등의 재료를 가지고 꽃다발을 감싸는 획일화된 방법으로 다양하고 독특한 표현을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서, 다양함과 남들과 차별화된 독특한 것을 선호하는 최근의 문화의 한 흐름의 기대에는 부응하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유아원,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에서의 여러 가지 행사와 같이 어린아이들이 주인공인 경우에도 꽃다발을 선물하고 기념 사진이나 촬영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어린이들에게 보다 어울리고 어린이들이 좋아할 수 있는 꽃다발 홀더를 구비한 꽃다발을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러한 것은 현재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하고 독특한 표현을 할 수 있고, 또한 어린이들이 좋아할 수 있는 꽃다발 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꽃다발 홀더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꽃다발 홀더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꽃다발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꽃다발 홀더의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꽃다발 홀더의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꽃다발 홀더 10 ... 몸체
12 ... 개구부 14 ... 수용부
16 ... 끈 18 ... 장식부
19 ... 바닥중량부 20 ... 공기주입부
30 ... 음향발생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꽃다발 홀더는,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주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소정의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상측부에 꽃다발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삽입된 꽃다발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여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몸체에 수용된 꽃다발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그 일단은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꽃다발을 묶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몸체에 돌출 형성되는 장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하측에 상기 몸체가 단독으로 직립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상기 몸체보다 무거운 바닥중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발생칩 및 상기 음향발생칩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소리로 재생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음향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다발 홀더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꽃다발 홀더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꽃다발 홀더(1)는 몸체(10)와 공기 주입부(20)와 음향발생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0)는 PE, PVC, PC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작시에는 원하는 형상 예컨대, 미키마우스 얼굴의 형상에 맞추어 제단된 재료들을 고주파용착에 의해 접착하여 생산하며, 공기주입공간(11), 개구부(12), 수용부(14), 고정수단, 장식부(18) 및 바닥중량부(19)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주입공간(11)은 몸체(10) 내부의 밀폐된 공간이다. 공기주입공간(11)에 공기가 충분히 채워지면 몸체(10)는 미키마우스의 얼굴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개구부(12)는 몸체(10)의 상측부에 꽃다발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꽃다발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어떤 모양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는 원형이며, 크기는 필요에 따라 확대나 축소하여 제작 가능하다.
상기 수용부(14)는 개구부(12)를 통해서 삽입된 꽃다발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수용부(14)의 모양은 원통형이며 그 크기는 꽂고자 하는 꽃다발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꽃다발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직접 꽃다발과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혹시 있을 수도 있는 꽃다발의 날카로운 부분과 접촉하여도 찢어지지 않을 수 있도록 몸체와 동일한 재료나 또는 다른 재료로 덧붙여 강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수용부(14)는 개구부(12)를 제외하고는 빈틈이 없는 구조이므로 물이 채워져도 새어 나가지 않는다.
상기 고정수단은, 몸체(10)에 수용된 꽃다발을 몸체(10)에 고정시켜 꽃다발이 의도하지 않게 꽃다발 홀더(1)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고정수단의 한가지로서 한 쌍의 끈(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끈(16)의 일단은 각각 몸체(10)의 개구부(12)에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끈(16)을 이용하여 수용부(14)에 수용된 꽃다발을 묶는다. 끈(16)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으며, 재료는 몸체(10)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끈(16)은 개구부(12)에 고주파용착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부(18)는 몸체(10)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미키마우스의 얼굴의 형상을 하고 있는 몸체(10)의 양쪽상단에 위치하며, 귀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 내부는 몸체(10)의 공기주입공간(11)과 연결되어 있어서, 몸체(1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때 몸체(10)와 함께 부풀어올라 귀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지 않고도 의도된 형상을 이루게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장식부(18)의 내부가 몸체의 공기주입공간(11)과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 바닥중량부(19)는 몸체(10)가 다른 것의 도움 없이 서는 것을 용이하고 안정감 있게 해주는 것으로서 몸체(10)의 하측에 몸체(10)의 무게보다 무겁도록 형성된다. 바닥중량부(19)의 재료는 몸체(10)보다 무겁게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며, 비중이 높은 플라스틱 종류가 바람직하다. 바닥중량부(19)는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몸체(10)가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가져 필요로 따라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주입부(20)는 외부로부터 몸체(10) 내의 공기주입공간(11)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공기 주입부(20)를 통해 몸체(10)내로 공기를 넣은 후에는 마개(21)를 이용하여 들어간 공기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공기 주입부(20)를 막는다.
한편, 공기 주입부(20)는 그 밖에도 공기주입공간(11)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은 허용하고 반대방향으로 공기가 나오는 것은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공기주입공간(11)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은 손쉽게 이루어지고, 나오는 것은 공기 주입부에 힘을 가하여 납작하게 변형시켜야 공기가 나올 수 있는 형태를 갖을 수도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기 주입부(20)에 대한 상세한 형상에 관해서는, 공기를 불어넣어 사용하는 많은 물품, 예를 들어 비치볼이나 물놀이용 튜브, 막대풍선 등을 통해 이미 널리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 그 주입구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자체가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것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음향발생부(30)는 스위치(32), 음향발생칩(34) 및 스피커(36)를 구비한다(도 6참조). 음향발생부(30)의 위치는 꽃다발 홀더(1)의 전체형상에 따라 적절한 위치가 선택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바닥중량부(19)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32)는 사용자가 손가락등으로 접촉하거나 누르면 켜지고, 그 후 스위치(32)에 다시 접촉하거나 누르면 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32)는 사용자가 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음향발생칩(34)은 스위치(32)의 작동에 따라 사전에 저장되어 있던 음향신호를 출력하는데,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선호하는 음악이나 생일축하음악, 사람의 음성 등의 신호를 사전에 저장한다.
상기 스피커(36)는 음향발생칩(34)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로 재생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음향발생부(30)의 스위치(32), 음향발생칩(34) 및 스피커(36)에 대한 구성은 멜로디 카드나 소리나는 인형 등을 통하여 이미 널리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 구체적인 구성 자체가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것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실시예의 꽃다발 홀더(1)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꽃다발 홀더(1)를 공기 주입부(20)를 통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며 의도된 형상이 되도록 한다. 공기를 불어넣는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입을 사용하여 할 수도 있고, 또한 간단히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손펌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원하는 정도의 공기가 들어가면 공기 주입부(20)를 막아 공기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런 다음, 꽂고자 하는 꽃다발의 하단부를 개구부(12)를 통하여 수용부(10)에 삽입한다. 미리 꽃다발을 만든 후 꽃다발 홀더(1)에 삽입할 수도 있고, 꽃다발 홀더(1)를 세워놓은 후 차례로 꽃과 나뭇가지, 풀 등을 꽂으면서 꽃다발을 만들어 갈 수도 있다.
꽃다발이 꽃다발 홀더(1)의 수용부(14)에 꽂아지고 나면, 개구부(12)에 마련되어 있는 끈(16)을 이용하여 꽃다발의 하단부를 묶는다. 이러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끈(16)으로 꽃다발의 하단부를 묶음으로 해서, 사용자는 꽃다발 홀더(1)을 잡고 꽃다발을 옮길 때, 꽃다발이 홀더로부터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또한, 꽃다발 홀더(1)는 음향발생부(3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순간 스위치(32)를 누르거나 접촉함으로써 사전에 저장되어 있던 음악이나 축하메세지 등을 들을 수 있다. 스위치(32)를 한 번 누른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꺼지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다시 누르지 않더라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꺼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꽃다발 홀더(1)의 내부의 수용부(14)는 물이 새어나기지 않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행사장이나 꽃다발을 주고받은 후에는 집으로 가져와 수용부(14)에 물을 채운 후 혹은 물을 채우는 것 없이 그대로 꽃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몸체(10)의 하측에 있는 바닥중량부(19)의 존재로 인해 보다 안정되게 꽃다발 홀더(1)를 세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꽃다발 홀더(1)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원하는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고 또한 원하는 음향이 나오기 때문에, 꽃다발이 필요한 다양한 장소의 분위기에 적절하게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10)의 재료로서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있어서, 표면에 원하는 모양이나 무늬를 인쇄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 꽃다발을 주고받는 주체일 경우에, 어른들이 주고받는 형태의 꽃다발을 주고받는 것보다, 본 실시예와 같이 어린이들이 좋아하는캐릭터를 형상화한 꽃다발 홀더(1)에 꽂힌 꽃다발을 주는 것이 어린이들에게는 보다 큰 기쁨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예쁜 캐릭터를 형상화한 본 실시예의 꽃다발 홀더(1)에 물을 채운 후 아이들의 방에 꽃과 함께 놓으면, 아이들의 정서 순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며, 또한 꽃이 시들어 버린 후에는 꽃다발 홀더(1) 만으로도 훌륭한 장식품이나 어린이들의 장난감이 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어른들의 경우에도 획일화된 방법으로 싸여진 꽃다발을 받는 것보다 본 고안에 의한 새롭고 특이하고 예쁜 꽃다발 홀더(1)를 사용한 꽃다발을 받는 것은 기분 좋은 일임에 틀림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으로서 끈(16)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끈(16)이 아닌 이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채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개구부(12)와 수용부(14)의 형상이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꽂혀진 꽃다발이 빠져나갈 위험이 적은 경우에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장식부(18)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꽃다발 홀더가 표현하고자 하는 형상이 장식부(18)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장식부(18)가 없어도 본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몸체(10)의 하측에 바닥중량부(19)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바닥중량부(19)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바닥중량부(19)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외하고는 본 고안에 따른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바닥중량부(19)에 음향발생부(3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몸체(10)의 적절한 다른 곳에 구비하여도 되며, 음향발생부(3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음향발생부(30)로 인한 효과를 제외하고 본 고안에 따른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미키마우스의 얼굴 캐릭터를 형상화한 것을 이용하였으나, 캐릭터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캐릭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독창적으로 개발한 캐릭터나 캐릭터가 아니더라도 미감을 줄 수 있는 다른 형상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와 도 5에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의 꽃다발 홀더(1)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부분은 서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특히, 도 5의 꽃다발 홀더(1)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어른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하나의 예이다.
도 4나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첫 번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상당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꽃다발 홀더에 의하면, 특이하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형상을 갖는 꽃다발 홀더를 사용한 꽃다발을 주고받을 수 있어서 이를 주고받는 사용자에게 큰 만족을 줄 수 있고, 특히 그 사용 대상이 어린이들인 경우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를 형상화한 꽃다발 홀더를 꽃다발에 사용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보다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주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소정의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상측부에 꽃다발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삽입된 꽃다발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다발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수용된 꽃다발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다발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그 일단은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꽃다발을 묶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다발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돌출 형성되는 장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다발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측에 상기 몸체가 단독으로 직립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상기 몸체보다 무거운 바닥중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다발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발생칩; 및
    상기 음향발생칩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소리로 재생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음향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다발 홀더.
KR20-2002-0036527U 2002-12-06 2002-12-06 꽃다발 홀더 KR200307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527U KR200307182Y1 (ko) 2002-12-06 2002-12-06 꽃다발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527U KR200307182Y1 (ko) 2002-12-06 2002-12-06 꽃다발 홀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216A Division KR20040049443A (ko) 2002-12-06 2002-12-06 꽃다발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182Y1 true KR200307182Y1 (ko) 2003-03-15

Family

ID=4933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527U KR200307182Y1 (ko) 2002-12-06 2002-12-06 꽃다발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1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885A (ko) 2021-12-15 2023-06-22 서예진 꽃다발 결속용 다기능 홀더
KR102638439B1 (ko) 2023-10-23 2024-02-20 김정희 자세변환기능을 갖는 꽃다발 거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885A (ko) 2021-12-15 2023-06-22 서예진 꽃다발 결속용 다기능 홀더
KR102638439B1 (ko) 2023-10-23 2024-02-20 김정희 자세변환기능을 갖는 꽃다발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4152B2 (en) Enhanced balloon weight system
US5662510A (en) Balloon anchor with sounder and display area
WO2005116988A1 (ja) 発音装置
US5799377A (en) Balloon neck closure and decoration apparatus
KR200307182Y1 (ko) 꽃다발 홀더
KR20040049443A (ko) 꽃다발 홀더
Fein Mary to Veronica: John Audelay's Sequence of Salutations to God-Bearing Women
US11452395B2 (en) Musical insulated beverage cozy or container with electronic sound recording and on/off button
KR100972855B1 (ko) 엠피쓰리 플레이어 겸용 다기능 캐릭터 인형
Baber et al. Crafting Culture:'Tradition', Art, and Music in Disney's' A Small World'
KR200383873Y1 (ko) 선물포장용 리본
JPH0235274Y2 (ko)
CA2285607A1 (en) Prayer dolls
US3534495A (en) Activatable doll
JP3228224U (ja) 人形の立札及び立札用の表示板
JPS6142467Y2 (ko)
KR200397989Y1 (ko) 음성 메세지 장치를 갖는 동물인형 형태의 꽃장식부재
RU2096012C1 (ru) Флакон с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ым сопровождением
Xie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Singing Style of Hunan Sangzhi Folk Songs
KR200272576Y1 (ko) 음성 및 음향 발생 장치가 내장된 엔터테인먼트 튜브
JP2015006765A (ja) 贈答品用装飾用具
Gärtner et al. The Good Songs
Parekh SONGS OF THE RATHVA COMMUNITY
Ackermann Sumiyoshi, Enoshima and Yoshino—On the function of meisho in traditional Japanese music
KR880002660Y1 (ko) 공기 주입식 축제용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