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138Y1 - 소형충전밧데리용충전기 - Google Patents

소형충전밧데리용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138Y1
KR200307138Y1 KR20-2002-0035927U KR20020035927U KR200307138Y1 KR 200307138 Y1 KR200307138 Y1 KR 200307138Y1 KR 20020035927 U KR20020035927 U KR 20020035927U KR 200307138 Y1 KR200307138 Y1 KR 200307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voltage
charg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삼
Original Assignee
임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삼 filed Critical 임영삼
Priority to KR20-2002-0035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1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1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충전밧데리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카메라, 라디오, mp3플레이어등과 같은 다양한 소형전자제품의 보급으로 1회용밧데리가 아닌 재충전가능한 소형밧데리가 보급되어지고 있어서, 이들을 재충전하기 위한 다양한 충전기가 저가로 사용되어오고있다.
이들 충전기는 밧데리의 특성상 잔존전류가 완전소모되지않고 재충전을 반복하면서 최종 잔류전압이 인식되어져 충전전압이 그만큼 낮아지게 된다. 또한 여러개의 셀을 동시에 충전하면서 일부는 방전이 덜된 것이 그리고 일부는 과방전된것 들이 서로 섞이어진 채 재충전되면서 충전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충전기 자체적으로 소형밧데리에 대한 잔존전압을 검사하는 기능, 수동모드에 의한 방전기능, 그리고 자동모드에 의한 방전과 충전, 또한 충전완료시 사운드에 의한 신호음발생기능을 함께 겸비하는 동시에 밧데리의 종류별 용량에 차이가 있다 하여도 정격충전이 가능하도록한 충전기를 제공하므로서 소형밧데리의 재충전이 보다 완벽하게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한 충전기를 개발하였다.

Description

소형충전밧데리용 충전기{Portable charging system for unit cell}
본 고안은 소형가전제품에 사용되는 소형밧데리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카세트플레이어, mp3플레이어등과같은 다양한 소형가전제품이 보급되면서 일회용이 아닌 재충전가능한 소형밧데리도 널리 사용되고있다. 이러한 재충전밧데리는 재충전이 완벽하지 않으면 점차 성능이 열화하여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즉, 너무 과다하게 방전된 다음 충전하거나 잔존전압이 많은 상태에서 재충전시 충전이 불안정하여 사용시간이 크게 단축됨은 물론 소형가전제품의 본래성능자체를 파손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일정한 사용후에 충전밧데리에 잔류압들을 방전처리하여 주므로서 본래의 기능이 되살아나는데 방전을 언제하여야적당하며, 얼마나 하여야 하는지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다.
그결과 사용자들은 수백회이상 사용가능한 충전밧데리를 예정된 수명시간보다 훨씬 사용못하고 폐기하여 버리는 사례가 많다.
이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동충방전기능을 겸비한 소형밧데리용 충전기를 본고안자는 저가의 OP앰프와 트랜지스터만을 이용한 충방전기능을 갖춘 제품이 개발하였다(실용신안등록제200175와 185300호). 그러나 이같은 충방전 기능을 갖추었다하여도 결국 단순한 충방전기능만 첨가하여, 밧데리의 성능을 장확히 이해한 전기적수준이 있는 사용자이외에는 사실상 충방전기능을 제대로 활용못하고 단순히 충전기능만을 수행하는 데 머물고 있다.또한 이들 소자에 의하여 하드웨어적인 제어로는 다양하게 생산되어지는 여러가지 밧데리별로 정확한 충전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Tr이나 저항등의 소자별 특성에 따른 동작상태가 정확하지 아니한 단점도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본고안자는 교류전압을 정전류부(a)에서 정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적절한 출력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전압조절부, 출력전압조절부로 부터 공급되는 출력을 스위칭하는 출력스위치부, 출력스위치부(3)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하여 충전되는 밧데리 충전부, 밧데리의 종류와 온도 그리고 모드선택부의 선택모드에 따라서 충전기의 출력스위치부, 방전부, 육안표시부, 사운드출력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 일정한 전압이상이 잔류한 밧데리인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밧데리에대한 방전이 가능하게 하는 방전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필요한 문자와 그래픽을 출력하도록 하여 육안식별가능하게 하는 표시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사운드모듈로부터 신호음을 출력바다 출력하도록 하는 사운드표시부,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수동모드, 자동모드의 선택과 밧데리종류등의 선택이 수동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모드선택부로 구성된 충전기를 제공하였다.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므로서 소형충전밧데리용 충전기에 요구되는 대부분의 충방전기능을 완수함에는 손색이 없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될 전자기기의 종류가 하루가 다르게 범람하고 특히 소형밧데리라하여도 충전전류가 1000mA를 넘는 용량을 요구하는 것이 많아지면서 각각의 밧데리별로 별도의 충전기를 구입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상존하였다. 예를 들면 충전전류가 1200mAh의 밧데리를 일반적인 200mA내외의 충전전류로 충전하는경우 시간이 6시간정도를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같은 장시간 동안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때문에 결국 급속한 충전이 가능한 즉, 충전전류가 1000mA정도의 것을 사용하여 1,2시간안에 충전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충전기를 일반적인 200내지 500mA정도의 충전용량을 갖는 밧데리충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20내지 30분만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기는 하지만 소형밧데리가 그 부하전류를 견디지 못하고 다량의 가스누출등으로 결국 파손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충전밧데리의 충전전류별로 별도의 충전기를 제각각 구비하여야 만 제대로 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밧데리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므로, 전자기기별로 그 충전용량에 맞는 충전기를 구입하여야한다. 이러한 사실을 모르는 일반소비자는 모든 충전기가 같은 것으로 알고 충전전류가 다른 것임에도불구하고 대용량에 소용량을 충전하는 경우 거의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도 않고 그 역의 경우에는 밧데리를 몇번 사용하지도 못하고 파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용자들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충전이 필요한 밧데리에 대한 충전완료인식전압(이하 -ΔV), 최대충전전압(V-MAX), 충전시간(T), 최대충전소요시간(tt)의 값을 적절한 기준값에 의하여 충전중에 자동으로 스캐닝하여수행토록하므로서 밧데리의 용량별로 별도의 충전기를 구입하거나 수동적인 충전시간, 전류등의 조작작업이 필요없이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기적지식이 전무한 누구나 충전밧데리의 기본적인 기능을 완벽하게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더나아가서 장시간 비상용상태로 혹은 방전상태로 방치하므로서 충전기능이 상실된 밧데리라하여도 자체적인 충방전관리기능을 부여하므로서 밧데리를 초기상태로 재생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또다른 기능으로 동시에 다수의 밧데리를 충전할 경우라하여도 만충전완료시점이 채널별로 서로 다를 때 적절한 시점에 충전을 종료토록 할 수 있도록 하여 충전불안정이 없는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 는 본 고안의 동작설명을 위한 흐름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 고안은 교류로 부터 정전압을 얻기 위한 정류부, 정류된 전원에 대한 공급과 차단을 위한 충전스위치부, 다수의 소형밧데리를 거치하여 충전가능하도록 하는 충전부, 충전밧데리의 방전을 위한 방전스위치부 그리고 상기한 충전스위치와방전스위치에 대한 온.오프제어, 밧데리상태체크, 현재상태의 표시를 위한 신호출력등을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연산후 출력하는 출력부,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입력부 및 중앙연산장치 및 메모리부로 구성되는 중앙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육안식별가능한 육안표시부, 사운드출력부, 그리고 모드선택을 위한 모드선택부로 구성되는 충전기에 있어서,
만충전시 충전완료에 따른 전압하강값(-ΔV)이 아래의 표Ⅰ와 같이 밧데리용량별로 차이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 충전완료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적절한 충전완료시점을 판단토록 하므로서 일반적인 200mA에서 부터 2000mA이상에 이르는 다양한 용량의 밧데리를 단일의 충전기로 충전가능하게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설명한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블록도로 도시하며, 도 2는 본 고안의 충전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서의 프로그램흐름도이며 도 3 은 밧데리충전특성변화에 대한 그래프이다.
본 고안은 교류전압을 정전류부(a)에서 정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적절한 출력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전압조절부(2), 출력전압조절부로 부터 공급되는 출력을 스위칭하는 출력스위치부(3),출력스위치부(3)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하여 충전되는 밧데리 충전부(4),밧데리의 종류와 온도 그리고 모드선택부의 선택모드에 따라서 충전기의 출력스위치부, 방전부, 육안표시부, 사운드출력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5), 일정한 전압이상이 잔류한 밧데리인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밧데리에대한 방전이 가능하게 하는 방전부(6),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필요한 문자와 그래픽을 출력하도록 하여 육안식별가능하게 하는 표시부(7),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사운드모듈에 의하여 신호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사운드표시부(8),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수동모드, 자동모드의 선택과 밧데리종류등의 선택이 수동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모드선택부(9)로 구성되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한 마이크로프로세서부는 피충전되는 밧데리에 대한 전압을 일정주기로 충전되는 동안 연속하여 스캐닝하여 메모리부의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의 기준값과 비교하며,
상기한 스캐닝결과 밧데리별로 설정된 기준값과 일치하는 경우 밧데리충전부(4)에 대한 출력스위치부(3)에 신호를 출력하여 충전을 종료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밧데리는 대개 충전용량이 200mA에서 최근에는 2000mA이상의 고용량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용량을 갖고 있으나 이들은 다음의 표Ⅰ와 같이 만충전(滿充電)시 충전완료에 따른 전압하강값(-ΔV)이 다르게 나타나고있다.
표Ⅰ
밧데리용량(mAh) 충전전류 만충전예상시간 충전완료인식전압(-ΔV) 설정타입 충전특성
250 220 1시간10분 40mV A(7.5.mV) 95%
500 상동 2시간10분 20mV B(5mV) 95%
700 상동 3시간30분 15mV B(5mV) 95%
1000 상동 4시간40분 10mV B(5mV) 95%
1200 상동 5시간30분 5mV B(5mV) 95%
1400 상동 7시간30분 5mV B(5mV) 95%
1600 상동 8시간10분 2.5mV C(2.5mV) 95%
1700 상동 9시간 2.5mV C(2.5mV) 95%
1850 상동 9시간40분 0-2.5 D(0mV) 95%
2000 상동 10시간10분 0-2.5 D(0mV) 95%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것은 도3에 나타나듯이 초기전압(Vi)이 시간(t)의 경과에 따라서 서서히 충전밧데리의 전압도 상승하다가 만충전전압(Vf)이 되고 나서 일정한 전압하강(-ΔV)이 된다. 그런데 이 전압하강값은 밧데리의 용량별로 상기한 표와 같이 다양하므로, 본 고안의 메모리부에 상기한 다양한 -ΔV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놓고, 이 전압하강값을 충전중에 계속 스캐닝하다가 매치되는 값이 검출되면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설정토록 하므로서 해당 밧데리에 대한 만충전을 판단하여 더이상의 충전을 종지하고 충전종지신호를 외부에 표시토록하여 사용자가 충전밧데리를 회수토록하는 것이 본고안의 특징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은 교류전압을 정전류부(a)에서 정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적절한 출력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전압조절부(2), 출력전압조절부로 부터 공급되는 출력을 스위칭하는 출력스위치부(3),출력스위치부(3)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하여 충전되는 밧데리 충전부(4),밧데리의 종류와 온도 그리고 모드선택부의 선택모드에 따라서 충전기의 출력스위치부, 방전부, 육안표시부, 사운드출력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5), 일정한 전압이상이 잔류한 밧데리인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밧데리에대한 방전이 가능하게 하는 방전부(6),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필요한 문자와 그래픽을 출력하도록 하여 육안식별가능하게 하는 표시부(7),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사운드모듈에 의하여 신호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사운드표시부(8),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수동모드, 자동모드의 선택과 밧데리종류등의 선택이 수동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모드선택부(9)로 구성되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한 마이크로프로세서부는 피충전되는 밧데리에 대한 전압을 일정주기로 충전되는 동안 연속하여 스캐닝하여 메모리부의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의 기준값과 비교하며,
상기한 스캐닝결과 밧데리별로 설정된 기준값과 일치하는 경우 밧데리충전부(4)에 대한 출력스위치부(3)에 신호를 출력하여 충전을 종료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하되
피충전밧데리가 밧데리충전부(4)에 거치되어져 이 밧데리의 전압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검출하여 그 검출값이 메모리부에 설정된 충전가능한 초기전압(Vi)보다 낮게 검출되는 경우 방전부(6)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여 방전하는 주기와 출력스위치부(3)에 대한 신호출력에 의하여 충전하는 주기를 밧데리를 설정된 초기전압(Vi)이상으로 될때 까지 반복토록 하는 밧데리재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밧데리를 오랜 기간 동안 미사용상태로 방치하거나 혹은 온상태로 방치한 경우 통상적인 밧데리 재생시 필요한 초기전압이 0.5V이상이어야 함에 도 불구하고그이상 혹은 0V까지 내려간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통상적인 밧데리충전기는 충전부에 밧데리를 거치한다하여도 밧데리에 대한 전압이 측정되지 않게 되어 회로자체의 동작이 불가능하여 결국 용도폐기 대상으로 된다.
이러한 경우라하여도 상기한 충방전을 거듭하므로서 서서히 밧데리는 본래의 기능을 복구하게된다는 특징에 의하여 소형의 충전기에서는 찾아볼수 없는 충방전기능을 부여하여 밧데리재생능력을 부여한 것이다.
본 고안은 또다른 기능으로 교류전압을 정전류부(a)에서 정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적절한 출력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전압조절부(2), 출력전압조절부로 부터 공급되는 출력을 스위칭하는 출력스위치부(3),출력스위치부(3)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하여 충전되는 밧데리 충전부(4),밧데리의 종류와 온도 그리고 모드선택부의 선택모드에 따라서 충전기의 출력스위치부, 방전부, 육안표시부, 사운드출력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5), 일정한 전압이상이 잔류한 밧데리인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밧데리에대한 방전이 가능하게 하는 방전부(6),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필요한 문자와 그래픽을 출력하도록 하여 육안식별가능하게 하는 표시부(7),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사운드모듈에 의하여 신호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사운드표시부(8),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수동모드, 자동모드의 선택과 밧데리종류등의 선택이 수동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모드선택부(9)로 구성되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한 마이크로프로세서부는 피충전되는 밧데리에 대한 전압을 일정주기로충전되는 동안 연속하여 스캐닝하여 메모리부의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의 기준값과 비교하며,
상기한 스캐닝결과 밧데리별로 설정된 기준값과 일치하는 경우 밧데리충전부(4)에 대한 출력스위치부(3)에 신호를 출력하여 충전을 종료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하되
다수의 밧데리를 병렬배치하는 경우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이 서로 불일치하여 선충전완료된 밧데리가 존재하면 일정시간 계속충전을 지속하도록 하면서 다른 채널에 대한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이 검출될 때 출력스위치부(3)에 대한 신호의 출력으로 충전작동을 종지토록하는 단계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밧데리를 동시에 사용한다고 하여도 밧데리별로 약간씩의 용량차이들이 발견되므로 이들 특성에 따라 결국 충전완료시점(T)가 다를수밖에 없으며, 이경우 비록 병렬배치라 하여도 수mV단위의 극미량의 전압이 작동하는 소형밧데리 충전기인 관계로 다른 채널에 대한 부하의 변동이 발생한다. 결국 이러한 부하의 변동은 메모리부에 설정된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을 다른 채널에서 인식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어 결국 충전종지의 적절한 타이밍을 놓치면서 밧데리의 과충전 혹은 충전불량의 원인이 되어오던 것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 대한 프로그램 작동은 도 2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수동에 의한 밧데리체크기능과 자동모드의 선택여부를 대기하는 단계(S1),
상기한 단계에서 수동모드가 선택되었으면 밧데리충전부(4)에 거치된 밧데리검사,이력조회, 충방전모드의 선택모드에 따라서 밧데리검사,메모리스캐닝,충방전단계로 진행하도록 하면서 육안표시부(7)로 출력하는 단계(S2),
상기한 단계에서 충전모드가 선택되면 충전단계(S7)로 진행하고, 방전단계가 선택이 되면 방전단계(S10)로 진행하는 단계(S3)
상기한 단계(S1)에서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출력전압조절부(2)의 전압을 검출하고, 밧데리의 종류를 밧데리충전부(4)에 거치된 밧데리로부터 입력받아 정상상태여부를 판단하여 기준값과 다른 경우 육안표시부(7)와 사운드표시부(8)로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4),
상기한 단계에서 정상신호가 검출되면 거치된 밧데리에 대한 전압을 검사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S5),
기준전압이상이면 방전부(6)에 대하여 온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일정시간 동안 방전회로를 개방하는 단계(S6),
상기한 방전시간이 경과하고, 기준전압값보다 낮아지면 예비충전을 하여 기준전압값과 비교하는 단계(S7),
기준전압값보다 다르게 검출이 되면 육안표시부와 사운드표시부로 에러신호를 출력하여 밧데리이상상태를 표시하는 단계(S8),
상기한 단계에서 기준전압값이상이면 출력스위치부(3)에 대하여 신호를 출력하여 충전하면서 밧데리충전부(4)에 대한 전압을 계속 감지하는 단계(S9),
상기한 단계에서 밧데리충전부로 부터 감지되어오는 신호값이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이상이면 출력스위치부(3)에 오프신호를 출력하여 충전을 종지하고, 육안식별부와 사운드표시부로 충전완료와 완료신호음을 출력하는 단계(S10)로 구성되어져 있다.
본 고안에서 단계(S10)의 출력종지는 상기하듯이 밧데리 별로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을 메모리부에 별도로 설정하여 놓은 것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값이 있으면 종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단계(S7)에서 초기전압(Vi)가 소형밧데리로서 신뢰할 수 있는 충전압인 0.5V이하인 경우에는 방전부(6)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여 방전하는 주기와 출력스위치부(3)에 대한 신호출력에 의하여 충전을 방전하는 주기를 반복하여 밧데리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4/5초, 1/5초의 주기로 충방전을 반복하여 상기한 초기전압보다 높이지면 목적한 충전단계로 진입토록 하므로서 밧데리관리기능을 더포함한다.
이상 본고안은 단일의 충전기에 용량이 다른 밧데리를 삽입하여 충전작업을 진행한다하여도 이들이 갖는 충전완료인식전압(-ΔV)가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을 충전시 항시 스캐닝하여 주어 만충전시점(도3의 T)을 찾을 수 있게 되어 결국 다양한 용량의 밧데리를 하나의 충전기로 전부 충전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장기간 방전상태의 유지 혹은 미사용으로 용도폐기될 정도로 전압이 강하된 것(예를 들면 0.5V이하)조차도 충방전의 주기적인 작업으로 재생하여 주어 초기의 상태로 회복하여 주는 밧데리 관리능력까지 겸비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한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이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측정하지못하고 충전이 진행된다하여도 Vmax와 충전종지시간(tt)를 설정하여 놓으므로서 과충전의 위험도 미연에 방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저가의 소용량 밧데리충전기로서 최대의 성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교류전압을 정전류부(a)에서 정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적절한 출력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전압조절부(2), 출력전압조절부로 부터 공급되는 출력을 스위칭하는 출력스위치부(3),출력스위치부(3)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하여 충전되는 밧데리 충전부(4),밧데리의 종류와 온도 그리고 모드선택부의 선택모드에 따라서 충전기의 출력스위치부, 방전부, 육안표시부, 사운드출력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5), 일정한 전압이상이 잔류한 밧데리인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밧데리에대한 방전이 가능하게 하는 방전부(6),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필요한 문자와 그래픽을 출력하도록 하여 육안식별가능하게 하는 표시부(7),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사운드모듈에 의하여 신호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사운드표시부(8),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수동모드, 자동모드의 선택과 밧데리종류등의 선택이 수동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모드선택부(9)로 구성되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한 마이크로프로세서부는 피충전되는 밧데리에 대한 전압을 일정주기로 충전되는 동안 연속하여 스캐닝하여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밧데리의 용량별로 설정된 기준값과 일치하는 경우 밧데리충전부(4)에 대한 출력스위치부(3)에 신호를 출력하여 충전을 종료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충전밧데리용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부는 피충전되는 밧데리에 대한 전압을 일정주기로 충전되는 동안 연속하여 스캐닝하여 메모리부의 다양한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의 기준값과 비교하며,
    상기한 스캐닝결과 밧데리별로 설정된 기준값과 일치하는 경우 밧데리충전부(4)에 대한 출력스위치부(3)에 신호를 출력하여 충전을 종료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하되
    피충전밧데리가 밧데리충전부(4)에 거치되어져 이 밧데리의 전압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검출하여 그 검출값이 메모리부에 설정된 충전가능한 초기전압(Vi)보다 낮게 검출되는 경우 방전부(6)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여 방전하는 주기와 출력스위치부(3)에 대한 신호출력에 의하여 충전을 방전하는 주기를 밧데리를 설정된 초기전압(Vi)이상으로 될때 까지 반복토록 하는 밧데리재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충전밧리용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부는 피충전되는 밧데리에 대한 전압을 일정주기로 충전되는 동안 연속하여 스캐닝하여 메모리부의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의 기준값과 비교하며,
    상기한 스캐닝결과 밧데리별로 설정된 기준값과 일치하는 경우 밧데리충전부(4)에 대한 출력스위치부(3)에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충전을 종료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하되
    다수의 병렬회로에 배치하는 경우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이 서로 불일치하여 선충전완료된 밧데리가 존재하면 일정시간 계속 충전을 지속하도록 하면서 다른 채널에 대한 만충전완료인식전압(-ΔV)이 검출될 때 동시에 출력스위치부(3)에 대한 신호의 출력으로 충전작동을 종지토록하는 단계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형충전밧데리용 충전기.
KR20-2002-0035927U 2002-12-02 2002-12-02 소형충전밧데리용충전기 KR200307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927U KR200307138Y1 (ko) 2002-12-02 2002-12-02 소형충전밧데리용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927U KR200307138Y1 (ko) 2002-12-02 2002-12-02 소형충전밧데리용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138Y1 true KR200307138Y1 (ko) 2003-03-15

Family

ID=4933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927U KR200307138Y1 (ko) 2002-12-02 2002-12-02 소형충전밧데리용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1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7762A (en) System for determining battery charge states and charging sequence for a battery charger
US8436583B2 (en) Multiple cell battery charger configured with a parallel topology
US5780992A (en) Rechargeable battery system adaptable to a plurality of battery types
US4628243A (en) Battery charging system having means for distinguishing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batteries
US8022662B2 (en) Power supply for battery powered devices
EP2706646B1 (en) Cell balancing system
US7525280B2 (en) Multi-type battery charger control
KR100275367B1 (ko) 전지 잔량 예측방법, 전지 유니트 및 전지 유니트를 사용하는 장치
CN101267124B (zh) 电池组
US7656130B2 (en) Battery charger
US8080976B2 (en) Charging methods for battery powered devices
US20080238357A1 (en) Ultra fast battery charger with battery sensing
CN101816110A (zh) 具有多个电池的电路布置
US6112105A (en) Identification arrangement and method
CN101641850A (zh) 具有电池传感件的超快电池充电器
US5260638A (en) Method and circuit for quick charging of secondary cell
US6420853B1 (en) Battery charger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fully charged condition regardless of batteries with different charge chracteristics
US6137268A (en) System with limited long-time-averaged battery charging rate
US20020063551A1 (en) Battery unit with an integral charge controller
KR200307138Y1 (ko) 소형충전밧데리용충전기
KR101245274B1 (ko) 프리 차지가 가능한 휴대기기용 배터리, 배터리 충전 장치및 방법
JPH11187585A (ja) 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充電器および充電方法
KR200302740Y1 (ko) 소형충전밧데리용 충전기
KR200307596Y1 (ko) 소형충전밧데리용 충전기
JPH097642A (ja) 診断機能付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