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989Y1 - 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 - Google Patents

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989Y1
KR200306989Y1 KR20-2002-0036740U KR20020036740U KR200306989Y1 KR 200306989 Y1 KR200306989 Y1 KR 200306989Y1 KR 20020036740 U KR20020036740 U KR 20020036740U KR 200306989 Y1 KR200306989 Y1 KR 200306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vision
display
ima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7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이시스
Priority to KR20-2002-0036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98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989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멀티비전은 프레임에 의해 영상이 보이지 않는 부분이 발생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멀티비전을 이루는 다수의 표시장치 각각에 영상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사용자가 분할된 화면을 재조합하여 전체 영상을 판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다수의 표시장치가 프레임에 다수의 행과 열로 배치된 멀티비전과; 상기 다수의 표시장치 각각의 화면에 부착되어 그 표시장치의 영상을 상기 표시장치 사이에서 노출되는 프레임 폭의 절반에 해당하는 크기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 스크린과; 상기 확대 스크린의 전면에 부착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집광판으로 구성된 스크린 장치로서, 본 구성에 의해 그 표시장치들의 사이영역에도 영상이 확대 표시되도록 하여 멀티비전의 출력 영상이 가려져 보이지 않거나, 영상이 분리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멀티비전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device of a multi-vision, conventional multi-vision uses a method of dividing the image on each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forming a multi-vision in order to prevent the portion of the image is not visible by the frame It was.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must judge the entire image by recombining the divided screens.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vision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in a frame; An enlarged screen attached to a scree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o enlarge and display an image of the display device at a size corresponding to half of a frame width exposed between the display devices; A screen device comprising a light collecting plate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the enlarged screen to display an image, wherein the image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a reg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s by this configuration so that the output image of the multi-vision is hidden or is not visible. By preventing the displa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display quality of the multivision.

Description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Multi-vision screen device {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

본 고안은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CRT 또는 LCD 등의 표시장치를 다수의 행과 열로 배치하여 대화면을 구현하는 멀티비전에 있어서, 각 단위 표시장치 사이의 경계를 제거하여 멀티비전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vision scree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such as a CRT or LCD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to realize a large screen, by removing a boundary between each unit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vision screen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isplay quality.

일반적으로, 멀티비전은 CRT 또는 LCD 등의 표시장치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그 표시장치들을 다수의 행과 열로 배치하여 대화면을 이루는 것으로, 각 단위 표시장치에 서로 다른 화면을 표시하거나, 하나의 화면을 각 단위 표시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multivision uses a display device such as a CRT or LCD as one unit, and displays the screens by arranging the display devices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to display a different screen on each unit display device, or Refers to a device that divides and displays a screen on each unit display device.

종래의 멀티비전은 그 단위 표시장치의 배치를 위해 고정 틀(프레임)을 가지며, 그 고정 틀에 의해 각 단위 표시장치들의 사이에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가지게 되며, 이와 같은 종래 멀티비전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Conventional multivision has a fixed frame (frame) for disposing the unit display device, and the fixing frame has an area where no screen is displayed between the unit display devices.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종래 음극선관을 이용한 2×2의 멀티비전의 전면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면적의 개구부를 가지는 프레임(1)과, 그 프레임(1)의 개구부에 삽입고정 되는 다수의 음극선관(CRT)으로 구성 된다.1 is a front plan view of a 2 × 2 multi-vision using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and as shown therein, a frame 1 having an opening of a predetermined area and a plurality of cathode ray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opening of the frame 1. It consists of a tube (CRT).

상기의 예에서 프레임(1)은 철재이며, 상대적으로 무거운 음극선관(CRT)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 이상의 지지부를 가진다.In the above example, the frame 1 is made of steel and has a support part of a certain thickness or more to support relatively heavy cathode ray tubes (CRTs).

이때의 지지부는 상기 개구부의 경계영역이며, 음극선관(CRT)의 배치가 완료된 상태에서도, 그 음극선관(CRT)의 사이에는 프레임(1)의 지지부가 노출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is a boundary region of the opening, and even when the arrangement of the cathode ray tube CRT is completed, the support portion of the frame 1 is exposed between the cathode ray tubes CRT.

도 2는 일반적인 음극선관(CRT)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CRT)의 화면 주변의 모서리에는 그 음극선관(CRT)을 프레임(1)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속구(2)를 가진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cathode ray tube (CRT), and as shown therein, a connector (2) for fixing the cathode ray tube (CRT) to the frame (1) at a corner around the screen of the cathode ray tube (CRT). Has

상기 도 2에서 도면부호 3은 편향코일, 도면부호 4는 요크를 나타낸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 deflection coil, and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 yoke.

상기와 같이 음극선관(CRT)을 프레임(1)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음극선관(CRT)들의 사이 영역에는 프레임(1)의 일부가 노출되며, 이에 따라 멀티비전에 표시되는 화면을 일부가 보이지 않거나, 각 음극선관(CTR)에 표시된 화면을 조합하여 시청자가 이해해야 한다.In the state where the cathode ray tube CRT is fixed to the frame 1 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the frame 1 is exposed in an area between the cathode ray tube CRTs, thereby partially remov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ultivision. The viewer must understand the combination of screens that are not visible or displayed on each cathode ray tube (CTR).

도 3a와 도 3b는 각각 LCD를 이용한 멀티비전의 평면도로서, 도 3a는 LCD의 화면 지지부에서 화면이 표시되지 않음에 따라 화면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은 것이며, 도 3b는 상기 도 3a와 다르게 그 LCD의 화면 지지부를 고려하여 화면을 분할한 후, 각 LCD에 표시한 것이다.3A and 3B are plan views of a multi-vision using LCD, respectively, and FIG. 3A is a part of the screen not displayed as the screen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support of the LCD, and FIG. 3B is different from that of FIG. 3A. After dividing the screen in consideration of the screen support of the display is displayed on each LCD.

즉, LCD를 행과 열로 다수 개 배치하여 멀티비전을 구현하는 경우에도, 그 LCD의 경계에는 LCD 자체의 화면을 지지하는 화면 지지부(5)가 필요하고, 그 화면 지지부(5)에 의해 화면이 가려져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even when a plurality of LCDs are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to implement multivision, a screen support part 5 for supporting the screen of the LCD itself is required at the boundary of the LCD, and the screen is supported by the screen support part 5.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hidde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 화면 지지부(5)를 고려하여 화면을 분할한 후, 각각 LCD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시청자가 그 분할된 화면을 재구성하여 판단해야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fter dividing the screen in consideration of the screen support unit 5, and displaying each on the LCD, the viewer should reconstruct the divided screen to determine it.

특히, 도 3a와 도 3b에는 시계가 표시되어 있다.In particular, a clock is shown in FIGS. 3A and 3B.

그 시계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은 시침과 분침의 방향이다.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clock is the direction of the hour and minute hands.

몇 시 몇 분을 표시하는 1~12의 숫자가 보이지 않더라도, 시청자가 시침과 분침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면, 개략적인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Even if the numbers 1 to 12 indicating hours and minutes are not visible, the rough time can be determined if the viewer can check the direction of the hour and minute hands.

그러나 상기 도 3a에서처럼, 분침이 프레임(1)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 시간이 몇 시 몇 분인지 짐작하기도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as shown in FIG. 3A, when the minute hand is not covered by the frame 1, a problem arises that it is difficult to guess what time and what time it is.

즉, 화면의 중요부분이 화면 지지부(5)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에는 화면을 통해 시청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at is, when an important part of the screen is covered by the screen support 5,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formation to be delivered to the viewer through the screen cannot be accurately delivered.

또한, 도 3b는 그 화면 지지부(5)에는 실질적으로 가려지는 화면이 없도록, 시계를 표시하는 화면을 좌상, 좌하, 우상, 우하로 분할하여 각각 해당 위치의 LCD에 표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FIG. 3B, the screen for displaying the clock is divided into upper left, lower left, upper right and lower right so that the screen supporting part 5 does not have a screen that is substantially obscured.

그러나 상기 분할의 방법은 분침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 분침을 표시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가 분할된 화면을 재조합하여 판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lthough the splitting method can display the minute han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inute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recombine and divide the divided screen.

이를 방지하기 위해 LCD의 화면에 일정한 크기의 확대경을 부가하는 경우에는 시야각의 변화에 따라 상기 화면 지지부(5) 또는 프레임(1)이 시청자에게 확대되어 보일 수 있어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this, when a magnifying glass having a certain size is added to the screen of the LCD, the screen support part 5 or the frame 1 may be enlarged and viewed by the view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iewing angle, which may not be applicable.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단위 표시장치에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그 경계에도 화면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ulti-vision screen device for displaying the screen on the boundary of the unit display device as well as display.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면 이외의 불필요한 요소가 시야각의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vision scree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unnecessary elements other than the screen from appearing by a change in viewing ang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멀티비전을 이루는 표시장치의 화면을 그 노출되는 프레임이 가려지도록 확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nlarge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forming a multi-vision so that the exposed frame is covered.

상기 화면의 확대와 아울러 화면 이외의 불필요한 부분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단위 광도파로를 가지는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유리 스크린을 적용함에 그 특징이 있다.In order to enlarge the screen and prevent unnecessary parts other than the screen from being displayed, a transparent acrylic or transparent glass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unit optical waveguides is applied.

도 1은 종래 CRT를 이용한 멀티비전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multi-vision using a conventional CRT.

도 2는 CRT의 간략한 사시도.2 is a simplified perspective view of a CRT.

도 3a와 도 3b는 LCD를 이용한 종래 멀티비전의 평면도.3A and 3B are plan views of a conventional multivision using LCD.

도 4는 본 고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을 이루기 위한 스크린 판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screen plate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크린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ree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크린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scree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 멀티비전 스크린장치의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vision screen device.

도 9는 본 고안 멀티비전 스크린장치를 적용한 멀티비전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a multi-vis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ulti-vision screen device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투명 아크릴 막대 20 : 스크린 판10: transparent acrylic bar 20: screen plate

30 : 스크린 40 : 집광판30: screen 40: light collecting plat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도 4는 본 고안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서, 입력 면은 2㎜×2㎜의 넓이이고, 출력 면은 2.5㎜×2.5㎜의 넓이를 가지는 투명한 아크릴 막대의 형상을 나타낸다.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scree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vision, the input surface is a width of 2mm × 2mm, the output surface shows the shape of a transparent acrylic bar having a width of 2.5mm × 2.5mm. .

이와 같은 아크릴 막대의 길이는 최소 50㎜에서 최대 15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면 보다 출력 면의 면적이 10% 더 넓기 때문에 그 입력 면에 입사된 광은 출력 면에서 볼 때 10% 더 확대되어 보이게 된다.The length of the acrylic rod can be at least 50 mm and at most 150 mm, and since the area of the output face is 10% larger than that of the input face, the light incident on the input face is 10% larger when viewed from the output face. It looks like.

상기 투명한 아크릴 막대는 투명한 유리로 대체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acrylic rod can be replaced with transparent glass.

상기 투명 아크릴 막대는 광 도파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그 투명 아크릴 막대의 광 투과율에 따라 화면의 밝기 등에 차이가 생기므로, 광 투과율이 우수한 투명 아크릴 막대나 유리 막대를 사용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acrylic bar serves as an optical waveguide, and since a difference occurs in brightness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bar, a transparent acrylic bar or a glass bar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may be used.

상기와 같은 현상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서는 각 단위 표시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프레임 또는 화면 지지부에 의해 화면이 보이지 않거나, 분리되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phenomen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reen from being seen or separated by a frame or a screen support unit positioned around each unit display device.

이를 위해서, 상기 도 4에 도시한 투명 아크릴 막대를 다수로 접합하여 스크린 판을 형성하며, 그 스크린 판을 다수로 적층하여 멀티비전의 단위 표시장치 상에 부착 한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transparent acrylic bars shown in FIG. 4 are bonded to form a screen plate, and a plurality of screen plates are stacked and attached to a multi-vision unit display device.

도 5는 상기 투명 아크릴 막대가 다수로 접합된 스크린 판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의 넓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일면이 저면을 구성하고, 면의 넓이가 상대적으로 더 큰 일면이 상면을 구성하도록 투명 아크릴 막대(10)를 다수로 접합하였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parent acrylic bars are bond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one surface having a relatively small area constitutes a bottom surface, and one surface having a larger surface area has a top surface. A plurality of transparent acrylic rods 10 were bonded to constitute.

상기 스크린 판(20)의 저면 크기는 표시장치(LCD, CRT 등)의 화면의 일면 길이와 동일하며, 상면의 크기는 그 표시장치와 프레임 또는 화면 지지부의 반을 덮을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한다.The bottom size of the screen plate 20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LCD, CRT, etc.), and the size of the top surface is such that it covers the half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frame or the screen support.

최초 상면과 하면의 크기가 다른 스크린 판(20)을 형성하면, 그 스크린 판(20)의 형상은 부채꼴로 휘어진 형상을 가지게 되나 이는 스크린 판(20)을 구성하는 투명 아크릴 막대(10)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있기 때문에 표시장치에 부착할 때, 평면형상으로 부착할 수 있다.When the screen plate 20 having a different size of the first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he screen plate 20 has a fan-shaped shape, but it is between the transparent acrylic rods 10 constituting the screen plate 20. Since there is some space, when attaching to a display apparatus, it can attach in a planar shape.

즉, 스크린 판(2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판(20)의 외형형상을 제작하고, 그 스크린 판(20)이 절단되지 않도록 다수의 홈을 형성하거나, 아크릴 막대(10)의 일부만이 상호 접하도록 접합하여 형성한다.That is, in order to manufacture the screen plate 20, the outer shape of the screen plate 20 is manufactured,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so that the screen plate 20 is not cut, or only a part of the acrylic rod 1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Bonding to form.

이와 같이 다수의 홈에 의해 분리되는 영역을 아크릴 막대(10)로 생각할 수 있고, 그 분리 홈에 의해 휘어짐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Thus, the area | region separated by many groove | channel can be considered as the acryl rod 10, and it becomes the state which can be bent by the separation groove | channel.

또한, 상기 스크린 판(20)의 양측에는 스크린 판들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21)와, 스크린 판들이 연결된 스크린을 표시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22)를 구비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screen plate 20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21 for connecting the screen plate, and the fixing portion 22 for fixing the screen connected to the screen plate to the display device.

투명 아크릴은 플라스틱류 중에서 가장 광 투과도가 우수한 것이며 이를 사용하여 멀티비전을 구성하는 단위 표시장치의 화면을 10% 정도 확대할 수 있다.Transparent acrylic has the best light transmittance among plastics and can be used to enlarge the screen of a unit display device constituting a multi-vision by about 10%.

상기의 과정을 통해 준비된 스크린 판(20)을 다수로 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연결구(21)에 피아노 선 등의 투명한 선을 삽입하여 그 스크린 판(20)들을 고정/조립하여 스크린(30)을 만든다.The screen plate 20 prepar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arranged in contact with a plurality, and a transparent line such as a piano wir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21 to fix / assemble the screen plate 20 to make the screen 30. .

도 6은 상기 스크린 판(20)의 조립에 의해 만들어진 스크린(3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스크린(30)의 출력 면의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표시장치의 화면에 접하는 부분이고,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저면이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면이 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reen 30 made by assembling the screen plate 20, and FIG. 7 is a plan view of an output surface of the screen 30,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The bottom surface, which is a portion and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top surface, is a surface that substantially provides an image to the user.

상기와 같은 스크린(30)의 입력 면과 출력 면은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면취 작업을 통해 평탄한 면으로 가공한다.Since the input surface and the output surface of the screen 30 as described above may not be uniform, the flat surface is processed by chamfering.

이와 같이 가공된 스크린(30)은 면을 평탄하게 연마한 상태이기 때문에 광 투과도가 저하된 상태이며, 그 입력 면과 출력 면을 광택 처리하여 광의 투과율을향상시킨다.The screen 30 thus processed is in a state where the surface is flatly polished, and thus the light transmittance is deteriorated. The screen 30 is polished to improve the light transmittance.

상기 스크린(30)은 표시장치의 화면에 부착되었을 때, 시야각의 변화에 따라서 멀티비전의 프레임이나, 화면 지지부가 보이지 않는다.When the screen 30 is attached to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the multi-vision frame and the screen support are not visib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iewing angle.

이는 스크린(30) 자체가 광을 전달하는 다수의 단위 아크릴 막대(10)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에 의해 화면 이외의 부분은 시야각의 변화에 의해 스크린(30)에 표시되지 않는다.This is because the screen 30 itself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acrylic bars 10 for transmitting light, whereby portions other than the screen are not displayed on the screen 30 by the change of the viewing angle.

도 8은 실제 멀티비전에 적용하기 위한 스크린 구조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LCD)에 상기 스크린(30)이 접하고, 그 스크린의 외면에는 집광판(40)이 부착되어 상기 표시장치(LCD)에 표시되는 영상이 스크린(30)을 통해 확대되며, 그 확대된 영상이 집광판(40)에 모여 표시된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creen structure for applying a multi-vision, in which the screen 30 is in contact with a display device (LCD), and a light collecting plate 40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creen to display the display. The image displayed on the device LCD is magnified through the screen 30, and the enlarged image is collected and displayed on the light collecting plate 40.

도 9는 상기 스크린(30)을 멀티비전에 적용한 상태의 멀티비전 화면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비전을 구성하는 4개의 표시장치 각각에 시계의 영상을 분할하여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FIG.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multi-vision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screen 30 is applied to multi-vision. As shown in FIG. 9, the image of the clock is divided and displayed on each of the four display devices configuring the multi-vision.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 각각에 부착된 스크린(30)의 화면은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보다 크며, 그 스크린(30) 사이에는 종래의 프레임이나 LCD의 화면 지지부가 노출되지 않는다.The screen of the screen 30 attached to each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is larger tha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screen support of the conventional frame or LCD is not exposed between the screens 30.

이와 같이 스크린(30)이 부착된 상태에서 각 표시장치가 제공하는 영상은 확대되어 표시되며, 영상의 일부가 가려지거나, 분리되어 그 영상을 유추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고, 하나의 대형 화면을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과 동일한 표시상태를 제공한다.As such, the image provided by each display device is enlarged and displayed while the screen 30 is attached, and a part of the image is not covered or separated to infer the image. To provide the same display state as for displaying an image.

즉, 시계 영상에서 시침, 분침이 가려져 보이지 않거나, 분리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래의 영상 그대로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hour and minute hands are hidden from the clock image and are prevented from being displayed or separated, thereby displaying the original imag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는 멀티비전을 구성하는 각 표시장치의 화면을 확대하여, 그 표시장치들의 사이영역에도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여 멀티비전의 출력 영상이 가려져 보이지 않거나, 영상이 분리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멀티비전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device of the multi-vi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nlarges the screen of each display device constituting the multi-vision, so that an image is also displayed in an area between the display devices so that the output image of the multi-vision is hidden or not visible. By preventing the display from being separate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display quality of the multivision.

Claims (8)

다수의 표시장치가 프레임에 다수의 행과 열로 배치된 멀티비전과;A multivision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in a frame; 상기 다수의 표시장치 각각의 화면에 부착되어 그 표시장치의 영상을 상기 표시장치 사이에서 노출되는 프레임 폭의 절반에 해당하는 크기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 스크린과;An enlarged screen attached to a scree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o enlarge and display an image of the display device at a size corresponding to half of a frame width exposed between the display devices; 상기 확대 스크린의 전면에 부착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집광판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And a light collecting plat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enlarged screen to display an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스크린은 표시장치에 부착되는 제 1면이 표시장치의 화면과 동일한 크기이며, 상기 집광판이 부착되는 제 2면이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과 노출되는 프레임 폭의 절반을 커버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nlarged screen has a first surface attached to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size as a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and a second surface to which the light collecting plate is attached is half the width of the frame exposed to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Multi-vision scree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to cov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확대 스크린은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유리이며, 광도파로 역할을 하는 다수의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유리 단위체가 행과 열로 배열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The multi-vision scree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enlarged screen is transparent acrylic or transparent glass, and a plurality of transparent acrylic or transparent glass units serving as optical waveguides are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는 확대 스크린의 제 1면과 제 2면의 면적비와 동일한 면적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The multi-vision screen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unit has an area ratio equal to an area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enlarged scree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는 행(또는 열) 방향으로 다수가 접합되어 스크린 판을 이루며, 그 스크린 판들을 열(또는 행) 방향으로 다수 개 결합하여 확대 스크린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The multi-vision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units are joined in a row (or column) direction to form a screen plate, and a plurality of screen plates are combined in a column (or row) direction to form an enlarged screen. Screen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판은 그 양 측면에 멀티비전의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기재와, 스크린 판들을 고정 및 결속할 수 있는 결합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The multi-vision screen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creen plate includes a coupling base for coupling the frame of the multivision to both sides thereof, and a coupling tool for fixing and binding the screen plates.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에는 피아노선과 같은 투명한 선을 삽입하여, 다수의 스크린 판을 고정 및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7. The multi-vision screen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plurality of screen plates are fixed and aligned by inserting transparent lines such as piano wires into the coupler.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스크린은 양면은 면취 작업을 통해 평탄화되며, 광택작업을 통해 광투과율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스크린장치.The multi-vision scree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both sides of the enlarged screen are flattened by chamfering, and the light transmittance is improved by polishing.
KR20-2002-0036740U 2002-12-09 2002-12-09 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 KR2003069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740U KR200306989Y1 (en) 2002-12-09 2002-12-09 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740U KR200306989Y1 (en) 2002-12-09 2002-12-09 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028A Division KR20040050689A (en) 2002-12-30 2002-12-30 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989Y1 true KR200306989Y1 (en) 2003-03-11

Family

ID=4940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740U KR200306989Y1 (en) 2002-12-09 2002-12-09 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98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505B1 (en) 2007-11-08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505B1 (en) 2007-11-08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4628B2 (en) Display device
JP5301283B2 (en) Display device
JP4948753B2 (en) Storage unit for display module, display module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96000124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7697208B2 (en) 3D display with an improved pixel structure (pixelsplitting)
US10620365B2 (en) Overlay panel with light guides for a display device
CN104516137A (en) Display device and split display
US9500834B2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of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050041162A1 (en) Display apparatus switchable between a two-dimensional display and a three-dimensoinal display
KR200306989Y1 (en) 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
JPS63191182A (en) Image display member
KR20040050689A (en) 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
JPH0863110A (en) Plate-like picture display device
CN212276122U (en) Double-view 3D display device based on double display screens
CN201051157Y (en) Spelling gap elimination lens
CN111383517A (en) Split joint type display
KR200219413Y1 (en) Rear projection type multi-screen fixng device
JPH07110470A (en) Display device
JP303958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19198B1 (en) LCD Multi-vision
KR20170037809A (en) Frame-Type Optical Member with Optical Fiber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JP2002229485A (en) Folding type display device
JP2004133041A (en) Multi-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039107A (en) Lens array and display device
JPH03204602A (en) Magnified video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