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732Y1 -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 Google Patents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732Y1
KR200306732Y1 KR20-2002-0036103U KR20020036103U KR200306732Y1 KR 200306732 Y1 KR200306732 Y1 KR 200306732Y1 KR 20020036103 U KR20020036103 U KR 20020036103U KR 200306732 Y1 KR200306732 Y1 KR 200306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image
linear ligh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을현
Original Assignee
구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을현 filed Critical 구을현
Priority to KR20-2002-0036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7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2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op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생들이 직접 설치하고 관찰하여 렌즈의 상 형성 성질을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의 상 형성, 복합렌즈의 상 형성, 줌렌즈의 상 형성에 관한 실험으로 구성된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단 양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짝을 이루어 끼워지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형상적으로 대응함으로 좌우 이송되는 소정 개수의 캐리어가 구비되는 레일; 상기 캐리어의 중앙부에 볼트 결합되어 장착되는 중공의 포스트홀더; 상기 포스트홀더의 중앙부에 상하 이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하부 바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바의 양측으로 수직 부착된 가이드 봉을 따라 상부 바가 수직 이동하여 렌즈 또는 각종의 실험기구의 홀딩이 가능한 다기능홀더; 상기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량을 제한하는 구경조리개와 상기 렌즈를 통해서 볼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시야조리개로 구성되는 조리개; 상기 다기능 홀더에 장착되어 직선 광을 발생시키는 직선광원; 상기 직선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 및 상기 직선광원의 직선 광에 대하여 상이 형성되는 물체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를 통한 물체의 상이 관찰되는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An Image Creating Laboratory Device Through Lens}
본 고안은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생들이 직접 설치하고 관찰하여 렌즈의 상 형성 성질을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의 상 형성, 복합렌즈의 상 형성, 줌렌즈의 상 형성에 관한 실험으로 구성된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빛은 균일 매질 안에서는 직진성을 갖고 있으나, 서로 다른 매질을 만나면 굴절을 하거나 파동 또는 반사를 하는 등 다양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종래에는 이러한 빛의 성질을 학생들에게 설명하려면 여러 가지 자연현상이나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사례를 통해 학생들을 이해시키고 가르쳐야 하므로 가르치는 교수나 배우는 학생들에게 있어 빛을 다루는 광학은 서로 어려운 학습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광학실험실습은 이미 입증된 사실적 이론을 토대로 그려진 그림이나 좀 더 나아가 촛불이나 전구 등을 활용한 간단한 실험도구를 통하여 몇가지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학습하는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이러한 간단한 실험조차도 별도의 암실과 그에 따른 실험장비를 구비하여야 했다. 물론, 고도의 전문연구를 위한 실험실에서의 실험실습을 위한 실험기자재는 개발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전문 실험기자재는 경제성과 학생들을 위한 실험자제로서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이제는 학생들에게도 빛의 여러 가지 특성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실험 실습할 수 있는 기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나아가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들에게도 이론적인 가르침보다는 직접 보여주며 가르칠 수 있는 광학 실험장치의 개발로 경제적 부담 없이 공급하여 학생들에게 과학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어야 하겠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사각의 케이스 내측에 광을 발생시키는 직선광원, 전원 공급을 위한 직류전원장치, 물체, 렌즈, 스크린 등의 실험기기들을 설치하기 위해 캐리어가 구비된 레일, 다기능홀더, 포스트 및 포스트홀더로 광학실험장치를 구성하여 학생들이 직접 실험하고 관찰 할 수 있는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렌즈의 상 형성 성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의 상 형성, 복합렌즈의 상형서 및 줌 렌즈의 상 형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단 양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짝을 이루어 끼워지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형상적으로 대응함으로 좌우 이송되는 소정 개수의 캐리어가 구비되는 소정 길이의 레일; 상기 캐리어의 중앙부에 볼트 결합되어 장착되는 중공의 포스트홀더; 상기 포스트홀더의 중앙부에 상하 이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하부 바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바의 양측으로 수직 부착된 가이드 봉을 따라 상부 바가 수직 이동하여 렌즈 또는 각종의 실험기구의 홀딩이 가능한 다기능홀더; 상기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량을 제한하는 구경조리개와 상기 렌즈를 통해서 볼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시야조리개로 구성되는 조리개; 상기 다기능 홀더에 장착되어 직선 광을 발생시키는 직선광원; 상기 직선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 및 상기 직선광원의 직선 광에 대하여 상이 형성되는 물체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를 통한 물체의 상이 관찰되는 스크린;을 구비시켜 커버가 구비된 케이스 내에 수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기능홀더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의 양측으로 수직 부착된 가이드 봉을 따라 하부 바 및 상부 바가 수직 이동하여 상하좌우의 이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하부 바는 상기 슬라이드 바에 끼움 가능하며, 상기 다기능홀더의 하부 바의 중앙에는 "V"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바의 중앙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력이 제공되는 조임체가 상기 상부 바를 관통하는 조임조절나사로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레일은 길이방향으로 일측 하단에 눈금이 표시되는 것이 특징이고, 상기 캐리어, 포스트홀더와 다기능홀더의 슬라이드 바, 하부 바 및 상부 바의 일측에는 움직임을 고정하는 고정나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다기능홀더의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다기능홀더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볼록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실험을 나타나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복합 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실험을 나타나는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2매 조합 줌 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실험을 나타나는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의 3매 조합 줌 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실험을 나타나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경조리개와 시야조리개에 의한 상의 형성 실험을 나타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20 : 케이스
22 : 커버 24 : 쇄정장치
26 : 쿠션재 30 : 직선광원
40 : 직류전원장치 50 : 물체
60 : 렌즈 70 : 스크린
80 : 조리개 90 : 레일
92 : 홈 94 : 눈금
100 : 캐리어 102 : 돌출부
110 : 다기능홀더 120 : 슬라이드 바
130 : 가이드 봉 140 : 하부 바
142 : V홈 150 : 상부 바
152 : 조임체 154 : 조임조절나사
160 : 포스트홀더 165 : 포스트
170 : 고정나사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10)는 사각의 케이스(20) 내측에 광을 발생시키는 직선광원(30), 전원 공급을 위한 직류전원장치(40), 물체(50), 렌즈(60), 스크린(70)등의 실험기기들을 설치하기 위해 캐리어(100)가 구비된 레일(90), 다기능홀더(110), 포스트(165) 및 포스트홀더(16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험기기들은 케이스(20)에 수납되어 쇄정장치(24)에 의해 고정되는 커버(22)로 덮여지며 상기 커버(22) 내측에는 쿠션재(26)가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험기기들은 상기 레일(90)위에 각각 조립되어 광학 실험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레일(90)은 상단 양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홈(92)이 형성되고 상기 홈(92)에 짝을 이루어 끼워지는 돌출부(102)가 소정개수의 캐리어(100)에 구비되어 형상적으로 대응함으로 좌우 이송된다. 상기 캐리어(1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레일(90)에 끼워 사용하는 개수를 가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6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100)의 중앙부에는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홀더(160)가 장착되며, 상기 포스트홀더(160)는 중공으로서 중앙부에 상하 이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포스트(165)가 끼워진다.
상기 포스트(165)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기능홀더(110)로서, 상기 포스트(165)와 하부 바(140)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바(140)의 양측으로 수직 부착된 가이드 봉(130)을 따라 상부 바(150)가 수직 이동하여 렌즈(60) 또는 각종의 실험기구의 홀딩이 가능하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다기능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다기능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홀더(110)는 상기 포스트(165)의 상단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120)가 더 구비되어 좌우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120)의 양측으로 수직 부착된 가이드 봉(130)을 따라 하부 바(140) 및 상부 바(150)가 수직 이동하여 상하좌우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바(140)는 상기 슬라이드 바(120)에 직접 끼움 가능하여 상부로의 수직 이동 없이 좌우의 이동만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기능홀더(110)의 하부 바(140)의 중앙에는 V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바(150)의 중앙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력이 제공되는 조임체(152)가 상기 상부 바(150)를 관통하는 조임조절나사(154)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직선광원(30)이나 렌즈(60)와 같은 실험기기들이 상기 상부 바(150)와 하부 바(140)의 사이에 장착시 보다 쉽고 안정감 있게 장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다기능홀더(110)에는 직선 광을 발생시키는 상기 직선광원(30)이나, 볼록 또는 오목렌즈(60)의 장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60)를 통과하는 빛의 량을 제한하는 구경조리개와 상기 렌즈(60)를 통해서 볼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시야조리개로 구성되는 조리개(80)를 조합하여 광학 실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직선광원(30)에는 직류전원장치(4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할로겐램프등을 이용하여 광을 유발시킨다. 또한, 상기 직선광원(30)의 직선 광에 대하여 상이 형성되는 물체(50)를 상기 직선광원(30) 앞에 구비하고 상기 렌즈(60)를 통한 물체(50)의 상이 관찰되는 스크린(70)을 구비시킴으로서 광학 실험을 하게 된다.
아울러, 광학 실험을 위하여 상기 캐리어(100)의 위치를 정확히 계산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하단에 눈금(94)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리어(100), 포스트홀더(160)와 다기능홀더(110)의 슬라이드 바(120), 하부 바(140) 및 상부 바(150)의 일측에는 고정나사(170)를 구비하여 정확한 위치를 조정한 후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캐리어(100)에 직선광원(30), 물체(50) 및 렌즈(60)와 스크린(70)을 조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볼록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에 대한 실험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볼록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도 3은 본 고안의 볼록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실험을 나타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90)의 상단에 구비된 캐리어(100)에 포스트홀더(160) 및 포스트(165)와 다기능홀더(110)를 결합하여 일측의 상기 다기능홀더(110)에는 직선광원(30)을 장착한다. 그리고, 차례대로 물체(50), 볼록렌즈. 스크린(70)을 각각의 상기 다기능홀더(110)에 장착하여 정렬한다.
여기서 상기 직선광원(30)에서 나오는 광에 의하여 생기는 물체(50)의 상이 상기 볼록렌즈를 투과하여 상기 스크린(70)에 상이 맺히게 된다. 이 때, 렌즈(60)와 스크린(70)을 이동하면서 선명한 상이 맺히는 위치에서 물체위치, 렌즈위치, 스크린(70)의 위치를 측정하여 표로 기록하여 실험이 이루어진다. 즉, 렌즈(60)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체(50)의 상은 렌즈(60)의 초점과 물체(50)의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타남을 실험할 수 있다.
2) 복합 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도 4는 본 고안의 복합 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실험을 나타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90)의 상단에 구비된 캐리어(100)에 포스트홀더(160) 및 포스트(165)와 다기능홀더(110)를 결합하여 일측의 상기 다기능홀더(110)에는 직선광원(30)을 장착한다. 그리고, 차례대로 물체(50), 볼록 또는 오목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렌즈(60), 스크린(70)을 각각의 상기 다기능홀더(110)에 장착하여 정렬한다.
이상의 실험은 여러개의 렌즈(60)가 연속으로 결합되어 있을 때, 물체(50) 쪽에 있는 렌즈(60)에 의해 만들어진 상은 다음 렌즈의 물체가 된다. 여기서, 두 렌즈와 스크린(70)을 움직여 선명한 상이 만들어지는 위치를 찾는다. 이 때, 두 렌즈의 위치, 물체(50)의 위치, 상의 위치를 표로 작성하여 실험을 할 수 있다.
3) 줌 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도 5a는 본 고안의 2매 조합 줌 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실험을 나타나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3매 조합 줌 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실험을 나타나는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매 조합 줌 렌즈의 실험은 레일(90)의 상단에 구비된 캐리어(100)에 포스트홀더(160) 및 포스트(165)와 다기능홀더(110)를 결합하여 일측의 상기 다기능홀더(110)에는 직선광원(30)을 장착한다. 그리고, 차례대로 물체(50), 볼록 또는 오목으로 5cm사이로 근접한 두 개의 렌즈, 스크린(70)을 각각의 상기 다기능홀더(110)에 장착하여 정렬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렌즈가 근접하는 위치는 실험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두 매의 렌즈를 합성한 렌즈계에서 두 렌즈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면 주점위치와 초점거리가 변화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렌즈계의 일부만을 이동하여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렌즈계를 줌 렌즈라고 부른다. 여기서 렌즈(60)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연속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험은 물체(50)와 스크린(70)의 위치는 고정하고 5cm로 근접한 두 렌즈를 함께 움직여 스크린(70)에 선명한 상이 만들어지는 위치를 찾아 표로 작성하여 물체(50)의 위치, 상의 위치, 두 렌즈의 위치와 상의 크기를 기록하여 실험을 한다. 이 때, 상기 두 렌 사이를 증가시키며 그에 따른 물체(50)의 위치, 상의 위치, 두 렌즈의 위치와 상의 크기를 기록하는 실험을 되풀이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매 조합 줌 렌즈의 실험은 레일(90)의 상단에 구비된 캐리어(100)에 포스트홀더(160) 및 포스트(165)와 다기능홀더(110)를 결합하여 일측의 상기 다기능홀더(110)에는 직선광원(30)을 장착한다. 그리고, 차례대로 물체(50), 볼록 또는 오목의 제1렌즈, 볼록 또는 오목으로 근접한 두 개의 제2렌즈, 스크린(70)을 각각의 상기 다기능홀더(110)에 장착하여 정렬한다.
이상의 실험은 물체(50)와 스크린(70)의 위치는 고정하고 상기 제1렌즈는 물체(50) 두고 고정하고 두 개의 제2렌즈 사이를 최대로 접근시킨 다음, 두 개의 제2렌즈를 움직여 스크린(70)에 선명한 상이 만들어지는 위치를 찾는다. 그리고, 이 때의 물체 위치, 상의 위치, 제1, 제2 각 렌즈의 위치와 상의 크기를 기록하여 실험한다.
4) 구경조리개(Aperture stop)와 시야조리개(Field Stop)에 의한 상의 형성
도 6은 본 고안의 구경조리개와 시야조리개에 의한 상의 형성 실험을 나타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90)의 상단에 구비된 캐리어(100)에 포스트홀더(160) 및 포스트(165)와 다기능홀더(110)를 결합하여 일측의 상기 다기능홀더(110)에는 직선광원(30)을 장착한다. 그리고, 차례대로 물체(50), 구경조리개, 볼록 또는 오목의 렌즈, 시야조리개, 스크린(70)을 각각의 상기 다기능홀더(110)에 장착하여 정렬한다.
여러개의 렌즈와 원틈을 구성된 렌즈계에서, 렌즈계를 통과하는 빛의 량을 제한하는 렌즈나 원틈을 구경조리개라고 하고, 렌즈계를 통해서 볼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렌즈나 원틈을 시야조리개라고 한다.
이상의 실험은 먼저, 직선광원(30)은 레일(90)의 일측에, 스크린(70)은 레일(90)의 타측에 두고 렌즈(60)를 레일(90) 중앙부근에 장착하되, 조리개(80)는 설치하지 않는다.
그리고, 렌즈(60)를 움직여 스크린(70)에 직선광원(30)의 필라멘트 상이 가장 선명히 보이는 위치를 찾아 렌즈(60)를 고정한다. 이 후, 조리개(구경)를 최대로 열어두고 렌즈(60) 앞에 장착하고 조리개(구경)가 없을 때와 비교하여 상의 변화를 표를 작성하여 기록한다. 그리고, 조리개(구경)의 구경을 줄이면서, 상의 변화를 관찰하여 표에 기록한다.
또한, 조리개(시야)를 스크린(70) 앞에 이동 장착한 후 최대로 연다. 그리고 조리개(시야)가 없을 때와 비교하여 상의 변화를 표에 기록한다. 그리고, 조리개(시야)의 구경을 줄이면서, 상의 변화를 관찰하여 표에 기록한다. 아울러, 상기 구경조리개를 구비한 실험 및 시야조리개를 구비한 실험에서 각 조리개(80)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실험을 되풀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에 의하면, 사각의 케이스(20) 내측에 광을 발생시키는 직선광원(30), 전원 공급을 위한 직류전원장치(40), 물체(50), 렌즈(60), 스크린(70)등의 실험기기들을 설치하기 위해 캐리어(100)가 구비된 레일(90), 다기능홀더(110), 포스트(165) 및 포스트홀더(160)로 광학실험장치를 구성하여 학생들이 직접 실험하고 관찰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렌즈(60)의 상 형성 성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의 상 형성, 복합렌즈의 상형서 및 줌 렌즈의 상 형성에 관한 각각의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경제적이고 실효성 있는 광학실험장치 및 관련 실험을 응용하여 학습할 수 있어, 학생 및 교수들의 실력증진과 과학기술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참된 실험실습을 폭넓게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상단 양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홈(92)이 형성되고 상기 홈(92)에 짝을 이루어 끼워지는 돌출부(102)가 구비되어 형상적으로 대응함으로 좌우 이송되는 소정 개수의 캐리어(100)가 구비되는 소정 길이의 레일(90);
    상기 캐리어(100)의 중앙부에 볼트 결합되어 장착되는 중공의 포스트홀더(160);
    상기 포스트홀더(160)의 중앙부에 상하 이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포스트(165);
    상기 포스트(165)의 상단에 하부 바(140)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바(140)의 양측으로 수직 부착된 가이드 봉(130)을 따라 상부 바(150)가 수직 이동하여 렌즈(60) 또는 각종의 실험기구의 홀딩이 가능한 다기능홀더(110);
    상기 렌즈(60)를 통과하는 빛의 량을 제한하는 구경조리개와 상기 렌즈(60)를 통해서 볼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시야조리개로 구성되는 조리개(80);
    상기 다기능 홀더에 장착되어 직선 광을 발생시키는 직선광원(30);
    상기 직선광원(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40); 및
    상기 직선광원(30)의 직선 광에 대하여 상이 형성되는 물체(50)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60)를 통한 물체(50)의 상이 관찰되는 스크린(70);을 구비시켜 커버(22)가 구비된 케이스(20) 내에 수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홀더(110)는 상기 포스트(165)의 상단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1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120)의 양측으로 수직 부착된 가이드 봉(130)을 따라 하부 바(140) 및 상부 바(150)가 수직 이동하여 상하좌우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140)는 상기 슬라이드 바(120)에 끼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홀더(110)의 하부 바(140)의 중앙에는 V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바(150)의 중앙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력이 제공되는 조임체(152)가 상기 상부 바(150)를 관통하는 조임조절나사(154)로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90)은 길이방향으로 일측 하단에 눈금(94)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0), 포스트홀더(160)와 다기능홀더(110)의 슬라이드 바(120), 하부 바(140) 및 상부 바(150)의 일측에는 움직임을 고정하는 고정나사(1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KR20-2002-0036103U 2002-12-03 2002-12-03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KR200306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103U KR200306732Y1 (ko) 2002-12-03 2002-12-03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103U KR200306732Y1 (ko) 2002-12-03 2002-12-03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732Y1 true KR200306732Y1 (ko) 2003-03-11

Family

ID=4933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103U KR200306732Y1 (ko) 2002-12-03 2002-12-03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7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3505A (zh) * 2022-08-18 2022-10-18 吕宗骏 一种实验室用学生实验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3505A (zh) * 2022-08-18 2022-10-18 吕宗骏 一种实验室用学生实验桌
CN115193505B (zh) * 2022-08-18 2023-09-26 吕宗骏 一种实验室用学生实验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th et al. Inexpensive optical tweezers for undergraduate laboratories
US20060067089A1 (en) Lighting apparatus for a museum display case
KR200306732Y1 (ko) 렌즈의 상 형성 실험장치
US3848963A (en) Microscope stage fingers
CN219574960U (zh) 用于离子阱教学实验观测装置的照亮组件
BR9204240A (pt) Visor do tipo olho magico
KR200312944Y1 (ko) 광학기기특성 실험장치
KR200310240Y1 (ko) 거울과 렌즈 실험장치
KR200312922Y1 (ko) 렌즈의 수차 실험장치
KR200312938Y1 (ko) 거울의 초점거리측정 실험장치
DE3484704D1 (de) Optisches geraet zum erzeugen eines visuellen stereoskopischen bildes.
US6791767B2 (en) Magnetic optical element holder and microscope assembly including same
KR200312939Y1 (ko) 렌즈의 초점거리측정 실험장치
US3764193A (en) Lens supporting structure for a dual power microscope
KR960036630A (ko) 3빔분리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KR102153451B1 (ko) 인공수정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형 모델아이 장치
TW200641431A (en) Zoom lens unit and photographic device using the same
CN209980598U (zh) 一种便于携带的光学实验仪器
RU2002133684A (ru) Учебный прибор для демонстрации волновой оптики
RU2507592C1 (ru) Учебный комплект по оптическим и квантовым явлениям
KR102624256B1 (ko) 반사망원경 실험장치
CN204720072U (zh) 几何光学实验辅助屏
CN208848462U (zh) 多功能光学演示用教具
BRPI0805205A2 (pt) aparato de apoio de materias ópticos para auxiliar a visualização, processo para auxiliar a visualização de objetos, material óptico com foco ajustável
KR930016796A (ko) 현미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