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158Y1 - 조립식 문틀 - Google Patents

조립식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158Y1
KR200306158Y1 KR20-2002-0036138U KR20020036138U KR200306158Y1 KR 200306158 Y1 KR200306158 Y1 KR 200306158Y1 KR 20020036138 U KR20020036138 U KR 20020036138U KR 200306158 Y1 KR200306158 Y1 KR 200306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rame
door frame
do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숙
Original Assignee
김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숙 filed Critical 김영숙
Priority to KR20-2002-0036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1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 E06B1/30Frames of plastic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1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out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이 선택적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가문틀과 본문틀로 구성되어, 습기에 의한 부식현상이 방지되는 동시에 다양한 두께의 벽체에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파손시의 용이한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벽면에 고정되는 가문틀(10)과 그 좌우 양측에 고정되는 측면본문틀(20,30), 그리고 상기 좌우측 측면본문틀의 마주하는 단부를 가리우도록 그 사이로 설치되는 중앙본문틀(40)을 포함하는 조립식 문틀(1)에 있어서; 상기 측면본문틀과 중앙본문틀의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부(26,36)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에는 본문틀들을 상기 가문틀과 결합하도록 결합핀(50)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결합핀이 체결된 상기 삽입홈부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핀을 가리우도록 장식띠(60)가 부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본문틀과 중앙본문틀의 결합부에는,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패킹재(70)를 부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겠다.

Description

조립식 문틀{Doorframe of fabricate style}
본 고안은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이 선택적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가문틀과 본문틀로 구성되어, 습기에 의한 부식현상이 방지되는 동시에 다양한 두께의 벽체에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파손시의 용이한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되는 문의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벽면의 일측에 개방된 통로(200)가 마련되고, 이같은 통로(200)의 테두리면을 따라 문틀(202)이 설치되며, 상기 문틀(202)에는 상기 통로(200)를 개폐하도록 문(204)이 경첩(206) 등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같은 문의 시공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건물의 문이 설치될 지점에 본물틀을 임시 고정하고, 이같이 가설치된 본문틀이 벽면에 매립되도록 벽면을 시공한 다음, 벽면공사를 마치면 본문틀에 경첩 등으로 문을 조립하는 구성이었다.
하지만, 옹벽 시공시 문틀을 설계된 위치에 고정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시공해야 하는 것이므로, 그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뿐만아니라, 문틀의 규격이 제한적이라 벽체의 두께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문틀은 목재로 되어있기 때문에 습기에 약한 동시에 습도가 높은 날씨가 지속되면 부식에 의해 문틀의 표면이 벗겨져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문틀이 상기한 이유에 따라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문틀만 따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옹벽을 깨고 교체해 주어야 하며, 그에 따라 문틀의 보수작업이 어렵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동시에 인건비를 포함하여 보수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것이었다.
이같은 이유로, 문틀이 목재의 가문틀과 합성수지의 본문틀로 구분되어 선택적으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습기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다양한 두께를 갖는 벽체에 적용이 가능하며 파손시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문틀이 제공되었다.
상기 목적으로 제공된 조립식 문틀의 예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 177649호에 제안된 "조립식 문틀"이 있으며, 이같은 조립식 문틀의 구조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옹벽(100) 일측에 형성된 통로(102)의 내면에 다수개의 간격유지부재가 적당한 간격으로 부착되며, 이같은 간격유지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통로(102)의 내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가문틀(104)이 설치된다. 상기 가문틀(104)은 그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파인 결합홈(106)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통로(102)의 내면과 상기 가문틀(104)의 사이에는 두 구조체를 결속시키는 모르타르(108)가 충진된다.
또한, 상기 가문틀(104)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본문틀이 설치된다. 이같은 본문틀은, 수직하게 절곡된 두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가문틀(104)의 좌우 측면에 결합되는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12), 그리고 상기 제 1 부재(110) 및 제 2 부재(112)의 사이로 설치되는 제 3 부재(114)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부재(110) 및 제 2 부재(112)는, 하나의 면을 상기 가문틀(104)의 측면과 접한체 다른 면을 가문틀(104)의 일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110) 및 제 2 부재(112)는 상기 가문틀(104) 양측의 결합홈(106)에 끼워지도록 그 내면에 결합돌기(110a,112a))를 각각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부재(112)는상기 가문틀(104)의 일면과 접하는 면의 단부에 상기 통로(102)의 폭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결합핀(1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부재(114)는 상기 제 2 부재(112)의 결합핀(112b)이 끼워지도록 결합핀홈(114a)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같은 제 3 부재(114)는 상기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12)에 돌출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문(116)이 걸리는 턱부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문틀은, 가문틀과 본문틀의 결합 또는 본문틀 간의 결합이 돌기와 홈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형태이므로, 홈과 돌기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그 결합이 곤란해지는 것이었다.
이같은 현상에 의해 조립된 문틀이 소정의 틈새를 유발하는 등 조립성이 불량한 구조물을 유지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더욱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문틀의 일부를 교체 또는 보수하는 과정에서 최초 시공된 문틀과 일치하는 규격품을 구입해야 하는 부담감이 따르는 동시에 그 확보과정에 번거로움이 초래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문틀과 본문틀은 여러 구성품이 홈과 돌기의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할지라도 그 자체만으로 충분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외력에 의해 각 구성품들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높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못, 고정핀, 볼트 등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2차 고정을 하는 경우가 많아 시공작업이 번거로운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미관상 좋치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가문틀과 본문틀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작업능률이 개선되는 조립식 문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문틀의 설치 및 부분적인 보수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식 문틀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립된 문틀이 외관상 미려할 뿐만아니라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기능성 문틀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건축물에 시공되는 통상적인 문틀 및 그에 시공된 문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문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조립식 문틀이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문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조립식 문틀이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문틀 2: 통로 3: 문 10: 가문틀 12: 고정핀 20,30: 측면본문틀 22,32: 제 1 벽면 24,34: 제 2 벽면 26,36: 삽입홈부 40: 중앙본문틀 42: 삽입홈부 44: 내향절개홈 50: 결합핀 60: 장식띠 70: 패킹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면에 고정되는 가문틀과 그 좌우 양측에 고정되는 측면본문틀, 그리고 상기 좌우측 측면본문틀의 마주하는 단부를 가리우도록 그 사이로 설치되는 중앙본문틀을 포함하는 조립식 문틀에 있어서; 상기 측면본문틀과 중앙본문틀의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에는 본문틀들을 상기 가문틀과 결합하도록 결합핀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결합핀이 체결된 상기 삽입홈부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핀을 가리우도록 장식띠가 부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본문틀과 중앙본문틀의 결합부에는,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패킹재를 부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겠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문틀의 전체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조립식 문틀이 구조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문틀(1)은 가문틀(10), 한 쌍의 좌우측 측면본문틀(20,30), 중앙본문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문틀(10)은 시공 벽체에 형성된 통로(2) 내면으로 고정되며, 이때 상기 가문틀(10)은 고정핀(12)이나 볼트 등 다양한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핀(12)이 가문틀(10)을 관통하여 시공 벽체에 박히도록 하므로써, 가문틀(10)이 통로(2) 내면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상기 측면본문틀(20,30)은 좌우 대칭되는 한 쌍으로 제공되어 상기 가문틀(10)의 양측면에 결합된다. 이같은 측면본문틀(20,30)은 수직 절곡되는 두개의 벽면으로 구성되어, 제 1 벽면(22,32)은 상기 가문틀(10)의 측면과 접하며, 제 1 벽면(22,32)의 단부에서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 2 벽면(24,34)은 가문틀(10)의 통로(2)측을 향한 일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문틀(10)을 기준하여 상기 제 1 벽면(22,32)의 외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부(26,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측면본문틀(20,30)의 상호 마주하는 제 2 벽면(24,34)의 단부를 가리우도록 그 사이에 상기 중앙본문틀(40)이 설치되며, 이때 상기 중앙본물틀(40)의 양측 단부에 내향절개홈(44)을 형성하여, 좌우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벽면(24,34)의 단부가 상기 내향절개홈(44)에 끼워져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겠다. 이같은 중앙본문틀(40)에는 상기 좌우측 측면본문틀(20,30)과 마찬가지로, 상기 가문틀(10)을 기준으로 바깥쪽을 향한 일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부(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좌우측 측면본문틀(20,30)과 중앙본문틀(40)의 삽입홈부(26,36,42)를 관통하여 가문틀(10)로 박음되는 결합핀(50)이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결합핀(50)은 상기 삽입홈부(26,36,42) 내면에 상측의 머리부를 거치시킨 상태로 하부가 상기 가문틀(10)로 박음되는 것이다. 이같은 결합핀(50)에 의해서 상기 측면본문틀(20,30) 또는 중앙본문틀(40)과 상기 가문틀(10)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홈부(26,36,42)로 삽입된 상기 결합핀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홈부(26,36,42)에 장식띠(60)가 부착되어진다. 이같은 장식띠(60)는 본문틀과 동일색상을 이루는 동일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밖에도 본문틀과 잘 조화되어 미감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색상의 여러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예로, 최근에 실내 인테리어의 소재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옥을 사용하게 되면, 그 미감이 우수할 뿐만아니라 옥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 성분으로 인해 문틀에 방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공기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본문틀(20)의 제 2 벽면(24) 단부에 그와 접하는 상기 중앙본문틀(40)의 일단을 감싸도록 패킹재(70)를 부착함이 바람직하겠다. 즉, 상기 패킹재(70)는 좌우측 측면본문틀(20,30) 중 설치되는 문(3)과 직접 맞닿게 되는 쪽의 측면본문틀(20)에 고정되는 것으로써, 상기 패킹재(70)는 문(3)과 중앙본문틀(40)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충기능 및 그에 따른 긁힘이나 파손을 억제하는 동시에, 문틀과 문 사이의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같은 패킹재(70)는 미끄럼 방지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조립식 문틀에 의하여, 문틀을 구성하는 가문틀과 본문틀 간의 결합이 상호 간의 조립공차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문틀 각 구성품 간의 결합부위가 미려하게 마감 처리되어 장식감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급되는 문틀 구성품들의 불량률이 억제되는 동시에, 문틀의 최초 시공 및 부분적인 보수작업이 항상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틀의 색상이 포함된 전체적인 디자인을 용이한 작업을 통해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실내공간을 미려하게 장식하는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2)

  1. 벽면에 고정되는 가문틀과 그 좌우 양측에 고정되는 측면본문틀, 그리고 상기 좌우측 측면본문틀의 마주하는 단부를 가리우도록 그 사이로 설치되는 중앙본문틀을 포함하는 조립식 문틀에 있어서;
    상기 측면본문틀과 중앙본문틀의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에는 본문틀들을 상기 가문틀과 결합하도록 결합핀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결합핀이 체결된 상기 삽입홈부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핀을 가리우도록 장식띠가 부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본문틀과 중앙본문틀의 결합부에는,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패킹재가 부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KR20-2002-0036138U 2002-12-03 2002-12-03 조립식 문틀 KR200306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138U KR200306158Y1 (ko) 2002-12-03 2002-12-03 조립식 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138U KR200306158Y1 (ko) 2002-12-03 2002-12-03 조립식 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158Y1 true KR200306158Y1 (ko) 2003-03-03

Family

ID=4933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138U KR200306158Y1 (ko) 2002-12-03 2002-12-03 조립식 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1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987B1 (ko) 2010-05-20 2010-11-04 (주)한성윈도우 환기창 밀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987B1 (ko) 2010-05-20 2010-11-04 (주)한성윈도우 환기창 밀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285098B6 (sk) Usporiadanie profilov na montáž výstavných alebo predajných zariadení
US4265068A (en) Security panel door
US20160215493A1 (en) Panel with defined fastener location
KR200306158Y1 (ko) 조립식 문틀
KR200211399Y1 (ko) 문틀
KR200186964Y1 (ko) 문틀조립체
KR200272171Y1 (ko) 조립식 문틀
TWI550177B (zh) 門框結構
US5682715A (en) Two piece center mull for multiple door assembly
KR200144796Y1 (ko) 천정 패널
JP6747706B2 (ja) 化粧枠
KR200322798Y1 (ko) 가변형 문틀커버
KR100450630B1 (ko) 조립식 문틀
KR200320169Y1 (ko) 가변형 문틀커버
KR200190707Y1 (ko) 중문용 격자프레임
KR101719457B1 (ko) 신속 설치 및 미려한 마감이 가능한 창호 리모델링용 마감 부재
KR200475250Y1 (ko) 장식띠를 갖는 샌드위치판넬
KR100510923B1 (ko) 가변형 문틀커버
KR102206073B1 (ko) 창호 표면마감 커버용 모서리접합부 마감재
KR200221617Y1 (ko) 장식창용 형틀바
KR200246700Y1 (ko) 문틀의 구조
KR200414552Y1 (ko) 조립형 복합창호
KR200246701Y1 (ko) 문틀의 구조
KR20040094149A (ko) 가변형 문틀커버
KR200372674Y1 (ko) 안전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