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591Y1 -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 Google Patents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591Y1
KR200305591Y1 KR20-2002-0035302U KR20020035302U KR200305591Y1 KR 200305591 Y1 KR200305591 Y1 KR 200305591Y1 KR 20020035302 U KR20020035302 U KR 20020035302U KR 200305591 Y1 KR200305591 Y1 KR 200305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wind
wind power
powe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20-2002-0035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21S9/04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driven by wind power, e.g. by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Abstract

본 고안은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이 형성된 전등갓과, 상기 전등갓의 하단을 따라 기둥에 마련되고, 상기 기둥의 중심선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풍력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은 별도의 외부전원이 불필요하며, 전원공급수단의 유지와 보수를 위한 노력과 비용이 절감되고, 전원공급을 위한 비용이 소모되지 않으며,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으며, 태양발전을 위한 별도의 태양열 집전기가 불필요하며, 시간 및 계절별 태양의 위치가 변하여도 태양발전을 할 수 있으며, 가로등의 외관상 미감을 아름답게 꾸밀수 있고, 바람을 전체적으로 이용하여 풍력발전이 일정하게 이루어 질 뿐만아니라, 높이에 따른 바람을 모두 소화해 낼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the street lamp using solar and wind power generation}
본 고안은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이 형성된 전등갓과; 상기 전등갓의 하단을 따라 설치된 기둥에 마련되고, 상기 기둥의 중심선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풍력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로등은 야간에 불을 밝히기 위하여 외부전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전원공급수단의 유지와 보수를 위한 노력과 비용이 소모되며, 전원의 공급을 위하여 지속적인 비용이 소모되며, 이러한 외부전원으로 인하여 감전사고의 주원인이 되어왔다.
한편, 가로등이 태양이나 바람과 같은 자연에너지에 의해 가동될 수 있도록,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가로등은 국내에서 이미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종래의 태양이나 바람과 같은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가로등은, 태양열 집전판이나 풍력팬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이 축전기에 저장되고, 상기 축전기에 저장된 전력은 제어부에 의하여 전등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해외에서는 풍력팬이나 태양열 집전판을 갖가지 모양으로 제작하여 가로등의 여러 위치에 설치하는 등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가로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로등의 대부분이 전등과 태양열 집전판이 분리되어 있어 가로등의 한편에 별도의 태양열 집전판의 설치를 요하고, 시간 및 계절별 태양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충분한 태양발전이 이루어 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풍력팬이 가로등의 상부에 커다랗게 구비됨으로써 외관상 미감이 도시의 이미지와 부합되지 않고, 하나의 풍력팬만이 설치됨으로써 높이에 따른 바람을 전체적으로 이용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태양발전이 일정하게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해외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한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가로등에 있어서도, 풍력팬이나 태양열 집전판을 갖가지 모양으로 제작하여 외관상 근사하게 보이는 가로등을 선보이고는 있으나, 태양열만을 이용하여 햇빛이 없는 야간에는 태양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풍력만을 이용하여 바람이 없는 시간이나 계절동안에는 역시 풍력발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지속적이 발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양열과 풍력을 모두 이용한 가로등에 있어서도, 야간에 바람이 불지 않거나 풍력팬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바람이 불어, 바람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일정한 발전이 이루어지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불을 밝히기 위하여 별도의 외부전원이 불필요하며, 그로 인하여 전원공급수단의 유지와 보수를 위한 노력과 비용이 절감되고, 태양열과 풍력의 자연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전원공급을 위한 비용이 소모되지 않으며, 외부전원으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전등갓의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이 형성되어 태양발전을 위한 별도의 태양열 집전기가 불필요하며, 전등갓이 사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 시간 및 계절별 태양의 위치가 변하여도 태양발전을 할 수 있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풍력팬이 가로등의 기둥에 형성됨으로써 울퉁불퉁한 팬의 형상이 기둥에 숨겨져 가로등의 외관상 미감을 아름답게 꾸밀수 있고, 풍력팬이 기둥에 연쇄적으로 형성되어 바람을 전체적으로 이용하여 풍력발전이 일정하게 이루어 질 뿐만아니라, 높이에 따른 바람을 모두 소화해 낼수 있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의 구조를 나타낸 조감도
도2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의 구조를 나타낸 조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등갓 12. 태양열 집전판
15. 전등지지판 40. 풍력팬
42. 수직팬 44. 지지대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이 형성된 전등갓과 가로등의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의 중심선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풍력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전등갓은 사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그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이 형성되어 시간 및 계절별 태양의 위치가 변하여도 태양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등갓은 상기 기둥의 중심선에서부터 교차하여 길게 돌출되며 그 상면에는 태양열 집전판이 형성된 전등지지판과 상기 전등갓의 일단에 형성되며 전등을 끼우기 위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풍력팬은 기둥의 외주변 사면에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의해서 보호되고 바람의 방향에 수직한 회전축을 가지면서 회전하는 수직팬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수직팬이 기둥의 지지력을 보강하면서 풍력을 발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풍력팬은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로 복수개 형성되어 고저의 바람전부를 풍력발전시킴으로서, 지속적인 풍력발전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의 구조를 나타낸 조감도를, 도2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의 구조를 나타낸 조감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은 전등갓(10)과 풍력팬(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등갓(10)은 그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12)이 형성된다.
이렇게 전등갓(10)의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12)이 형성됨으로써 태양열 발전을 위한 별도의 태양열 집전기가 불필요하다.
즉, 전등갓(10)은 전등(20)의 상면을 에워쌈과 동시에 그 상부의 태양열 집전판(12)으로 인하여 태양발전도 할 수 있는 기능을 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등갓(10)은 가로등의 기둥(30)으로 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전등갓(10)은 여러가지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사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시간 및 계절별 태양의 위치가 변하여도 태양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전등갓(1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2를 참조하면, 전등갓(10)은 상기 기둥(30)의 중심선에서부터 교차하여 길게 돌출되며 그 상면에는 태양열 집전판이 형성된 전등지지판(15)과 상기 전등갓의 일단에 형성되며 전등을 끼우기 위한 홈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등지지판(15)은 지지케이블(50)에 의하여 기둥(30)에 연결되고, 전등지지판(15)의 상면에는 태양열 집전판(12)이 형성되며, 상기 전등갓(10)의 한쪽 끝에는 전등(20)을 달수 있도록 홈이 구비된다.
이 역시 전등갓(10)의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12)이 형성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등지지판(15)의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12)이 형성됨으로써 태양열 발전을 위한 별도의 태양열 집전기가 불필요하다.
여기서 전등지지판(15)은 불을 밝히고자 하는 면을 향하여 보다 돌출되어 있다.
상기 풍력팬(40)은 가로등의 기둥(30)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30)의 중심선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풍력팬(40)은 기둥(30)의 외주변 사면에 형성된 지지대(44)와, 지지대(44)에의하여 보호되고 바람의 방향에 수직한 회전축을 가지면서 회전하는 수직팬(42)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44)와 수직팬(42)이 기둥(30)의 지지력을 보강하면서 풍력을 발전시킨다.
또한 상기 풍력팬(40)은 하나 내지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기둥(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로 복수개 형성되어 고저의 바람 전부를 풍력발전시킴으로서, 지속적인 풍력발전이 이루어 지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풍력팬(40)은 가로등 기둥(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쇄적으로 형성되어, 바람이 부는 높이가 시간에 따라 달라지더라도 어느 특정 팬은 그 바람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때 바람이 불지 않는 높이에 형성된 풍력팬(40)은 회전하지 아니할 것이나, 기둥(30)을 따라 연쇄적으로 형성된 풍력팬(40)으로 인하여 모든 풍력팬(40)이 정지하여 풍력발전이 이루어 질 수 없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높이에 따라 바람의 세기가 다르므로, 기둥(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풍력팬(40)으로 인하여 약한 바람을 받는 풍력팬(40)과 강한 바람을 받는 풍력팬(4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리하여, 바람이 부는 높이가 달라도 지속적인 풍력발전이 이루어지는 풍력팬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은 불을 밝히기 위하여 별도의 외부전원이 불필요하며, 그로인하여 전원공급수단의 유지와 보수를 위한 노력과 비용이 절감되고, 태양열과 풍력의 자연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전원공급을 위한 비용이 소모되지 않으며, 외부전원으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다.
그리고, 전등갓의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이 형성되어 태양발전을 위한 별도의 태양열 집전기가 불필요하며, 전등갓이 사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 시간 및 계절별 태양의 위치가 변하여도 태양발전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풍력팬이 가로등의 기둥에 형성됨으로써 울퉁불퉁한 팬의 형상이 기둥에 숨겨져 가로등의 외관상 미감을 아름답게 꾸밀수 있고, 풍력팬이 기둥에 연쇄적으로 형성되어 바람을 전체적으로 이용하여 풍력발전이 일정하게 이루어 질 뿐만아니라, 높이에 따른 바람을 모두 소화해 낼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투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에 있어서,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이 형성된 전등갓과;
    가로등의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의 중심선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풍력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은
    사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그 상면에 태양열 집전판이 형성되어
    시간 및 계절별 태양의 위치가 변하여도 태양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은
    상기 기둥의 중심선에서부터 교차하여 길게 돌출되며 그 상면에는 태양열 집전판이 형성된 전등지지판과;
    상기 전등갓의 일단에 형성되며 전등을 끼우기 위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의 풍력팬은
    기둥의 외주변 사면에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의해서 보호되고 바람의 방향에 수직한 회전축을 가지면서 회전하는 수직팬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수직팬이 기둥의 지지력을 보강하면서 풍력을 발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팬은,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로 복수개 형성되어 고저의 바람 전부를 풍력발전시킴으로서,
    지속적인 풍력발전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KR20-2002-0035302U 2002-11-26 2002-11-26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KR200305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302U KR200305591Y1 (ko) 2002-11-26 2002-11-26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302U KR200305591Y1 (ko) 2002-11-26 2002-11-26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591Y1 true KR200305591Y1 (ko) 2003-02-26

Family

ID=4933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302U KR200305591Y1 (ko) 2002-11-26 2002-11-26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59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489Y1 (ko) * 2009-09-07 2011-12-22 대양산업(주) 가로등
KR101150655B1 (ko) 2010-08-24 2012-05-25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다이아몬드형 다방향 고정추적식 태양전지 시스템 가로등 및 그 제조방법
KR101189142B1 (ko) 2010-06-25 2012-10-10 (유)해양전자장비 가로등 및 가로등 관리 시스템
KR101277832B1 (ko) 2011-05-24 2013-06-21 김세희 회전형 태양광 집광판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KR101341411B1 (ko) * 2012-05-17 2013-12-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풍력발전을 이용한 가로등
CN106439721A (zh) * 2016-11-04 2017-02-22 李小红 一种太阳能路灯组件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489Y1 (ko) * 2009-09-07 2011-12-22 대양산업(주) 가로등
KR101189142B1 (ko) 2010-06-25 2012-10-10 (유)해양전자장비 가로등 및 가로등 관리 시스템
KR101150655B1 (ko) 2010-08-24 2012-05-25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다이아몬드형 다방향 고정추적식 태양전지 시스템 가로등 및 그 제조방법
KR101277832B1 (ko) 2011-05-24 2013-06-21 김세희 회전형 태양광 집광판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KR101341411B1 (ko) * 2012-05-17 2013-12-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풍력발전을 이용한 가로등
CN106439721A (zh) * 2016-11-04 2017-02-22 李小红 一种太阳能路灯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396Y1 (ko) 복합 발전 가로등
US20120300436A1 (en) Lighting arrangement and a movable lampshade
KR200305591Y1 (ko)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CN205592680U (zh) 一种三防led灯
KR101390515B1 (ko) 태양광 가로등
KR200308621Y1 (ko)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KR20100129927A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풍력등
CN205640674U (zh) 一种分段式太阳能风能互补路灯
CN205299357U (zh) 太阳能庭院灯
CN204879901U (zh) 一种环保型景观灯
KR200468885Y1 (ko) 하이브리드 가로등
CN208186192U (zh) 一种景区用太阳能景观灯
KR101273368B1 (ko) 난간대 지주 장착용 태양전지 경관등
CN209458834U (zh) 一种方便调节的园林景观用路灯
CN206669604U (zh) 一体式太阳能路灯
CN206724003U (zh) 一种新型筒灯
CN213146387U (zh) 一种景观用太阳能路灯
CN211371968U (zh) Led工作灯
CN110630951A (zh) 一种节能环保光伏太阳能路灯杆
CN106641874A (zh) 一种反光板可调的壁灯
CN209558226U (zh) 一种节能式智能景观照明装置
CN215602083U (zh) 一种高效节能可调色温绿植灯
CN219756112U (zh) 一种户外风灯
CN220540933U (zh) 一种改良型太阳能装饰灯
CN210771806U (zh) 一种带有led灯的帐篷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