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357Y1 - 배수구와 일체로 된 베란다용 배수관 이음기구 - Google Patents

배수구와 일체로 된 베란다용 배수관 이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357Y1
KR200305357Y1 KR20-2002-0035461U KR20020035461U KR200305357Y1 KR 200305357 Y1 KR200305357 Y1 KR 200305357Y1 KR 20020035461 U KR20020035461 U KR 20020035461U KR 200305357 Y1 KR200305357 Y1 KR 200305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pipe
hole
buried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현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주)신환건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환건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환건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2-0035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21Snap-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에 수직으로 내설된 배수관들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이음기구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상ㆍ하층을 나누는 층 경계부에 매설되고, 상층 배수관 및 하층 배수관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관형상으로 된 배수관 이음기구에 있어서, 상기 이음기구의 상부가 상기 층 경계부로부터 돌출되게 매설되되, 그 돌출부의 외주면 일부가 평판형으로 성형되고, 그 일부가 절개되어 소정크기의 배수구를 이루며, 상기 배수구의 내측상단부에는 스토퍼를 갖춘 삽입구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에 인입되는 부채꼴기둥 형상의 회동축을 구비한 평판형상의 개폐판이 배수관의 안쪽으로만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배수구에는 가요성 걸림망이 감싸여진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구와 일체로 된 베란다용 배수관 이음기구{Jointing pipe having a sink-hole}
본 고안은 건축물에 수직으로 내설된 배수관들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이음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층에서 사용된 하수는 수직으로 배치된 배수관을 통해 하층으로 배수되며, 이를위해 다수의 배수관을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통되게 연결시켜 별도의 하수처리시설까지 이어지는 배수라인을 형성시키고 있다.
흔히, 이러한 배수라인은 외견상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건축물 내에 완전히 매설되어지며, 각 층마다 상기 배수라인과 연통된 별도의 배수구가 설치되어져 각 층에서 생성된 하수가 배수되도록 한다. 반면, 건물의 베란다 또는 다용도실과 같은 장소에서는 상기 배수라인의 일부가 겉으로 드러나게 설치되기도 하며, 이때는 상기 하수를 처리하기 위해 드러난 배수관을 개구시켜 이곳으로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 단순히 외부로 드러난 배수관의 일부를 개구시킴으로서 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배수관을 따라 역상승하는 오폐수의 악취가 아무런 장애없이 옥내로 유입되었고, 상층으로부터 내려오는 오폐수의 누수 또한 발생될 수 있었다. 뿐만아니라, 하수 이외에 배수라인 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걸름망 시설이 배수관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아예 이를 갖추고 있지 못하므로, 걸름망에 낀 이물질을 제때 처리히자 못하거나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해 배수의 배출이 비효율적으로 일어나게 되거나, 이물질이 완전히 개방된 배수구로 여과없이 유입됨으로서 건축물 내부에 매설된 배수라인을 막아 하수의 흐름을 방해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수의 유입이 용이하면서도 오폐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상층에서부터 내려오는 하수의 누수를 가능한한 차단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물질을 수반한 하수를 여과하는 걸름망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된 배수관 이음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음기구를 이루는 구성요소들간의 상호 연결관계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
도 2는 배수구에 설치되는 개폐판의 연결구조를 확대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구성요소들간의 연결모습을 DD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상층 하수관 20 ; 하층 하수관
100 ; 이음기구 110 ; 본체
111 ; 배수구 112 ; 개폐판
113 ; 걸름망 120 ; 고정캡
A ; 입구부 B ; 출구부
C ; 층 경계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상ㆍ하층을 나누는 층 경계부에 매설되고, 상층 배수관 및 하층 배수관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관형상으로 된 배수관 이음기구에 있어서,
상기 이음기구의 상부가 상기 층 경계부로부터 돌출되게 매설되되, 그 돌출부의 외주면 일부가 평판형으로 성형되고, 그 일부가 절개되어 소정크기의 배수구를 이루며,
상기 배수구의 내측상단부에는 스토퍼를 갖춘 삽입구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에 인입되는 부채꼴기둥 형상의 회동축을 구비한 평판형상의 개폐판이 배수관의 안쪽으로만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배수구에는 가요성 걸림망이 감싸여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음기구를 이루는 구성요소들간의 상호 연결관계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인바 이에 의하면, 관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건축물의 상ㆍ하층을 나누는 층 경계부에 매설되고, 본체의 양쪽 개구부에 상ㆍ하층 배수관(10, 20)이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는 입ㆍ출구부(A, B)가 형성되어진 배수관 이음기구에 있어서, 이 이음기구(100)의 둘레부에는 소정크기의 배수구(111)가 하나이상 형성되는데,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개폐판(112)이 안으로만 여닫여지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원통형 이음기구(100)의 외주면을 평면으로 가공하고, 각 면을 소정크기로 개구시켜 배수구(111)를 형성시켜, 상기 개폐판(11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이음기구(100)에 배수구(111)가 형성된 후, 이곳으로 개폐판(112)이 덮여져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 다시 그 위를 걸름망(113)으로 덮어 체결하는데, 이러한 걸름망(113)은 배수괸 내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걸러 배수관을 막히게 할 수 있는 이물질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름망(113)은 청소가 용이하도록 상기 이음기구(100)의 외측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걸름망(113)을 가용성 재질로 하여 인력으로도 쉽게 만곡시키거나 평평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수구(111)가 형성된 이음기구의 둘레부를 감싸거나 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걸름망(113)의 설치에는 복잡한 체결구조가 요구되는 것이 아니므로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게 되고, 걸름망(113)에 낀 이물질의 제거도 수월해 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수직 배수관의 이음기구이므로 수평으로 배열되는 배수관들의 연결구조와는 달리 누수방지를 위한 상층 배수관(10)과 하층 배수관(20)과의 치밀한 체결구조가 요구되지 않아, 이음기구(100)에 연결된 상층 배수관(10)이 좌ㆍ우로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등, 그 연결이 불안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상층 배수관(10)을 이음기구(100)의 입구부(A)에 깊숙히 내삽시키게 되면 배수관(10, 20)과 이음기구(100) 간에 보다 향상된 체결성을 보장받을 수는 있지만, 배수관(10, 20) 및 이음기구(100)를 보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분리시켜야 할 경우에는 그 작업이 곤란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배수관(10, 20)이 좌ㆍ우로 이탈하거나 흔들리지 못하도록 배수관(10, 20)과 이음기구(100) 간의 연결부분에서 고정기능을 하는 고정캡(120)을 끼우되, 고정캡(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0a)과 이에 상응하도록 이음기구(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0a)을 상호 맞물리게 돌려 끼움으로서 상호 체결시킨다. 상기 고정캡(120) 및 그 체결방식은 공지의 기술이며 본 고안에서도 고정캡(120)과 그 체결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도 2는 배수구에 설치되는 개폐판의 연결구조를 확대 도시한 분해사시도인바 이에 의하면, 개폐판(112)의 좌ㆍ우측 상단부에는 회동축(112a)이 각각 형성되고, 배수구(111)의 내측으로는 상기 회동축(112a)에 상응하는 삽입구(11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112)은 배수관 내에 정체되어 있는 악취가 역류하여 배수구(111)를 통해 옥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로, 평소에는 배구수(111)를 닫아 배수관 내에 형성된 악취가 옥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오폐수가 상기 배수구(111)로 유입될 경우에는 오폐수의 유력(流力)에 의해 개폐판(112)이 안쪽으로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112)이 배수구(111)에서 내외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면 상층부에서 낙하되는 오폐수가 상기 개폐판(112)을 외향으로 밀어낼 수 있어 오폐수 및 그 악취가 옥내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폐판(112)은 안쪽으로만 여닫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 회동축(112a)과 이 회동축(112a)이 회전가능하게 내삽되어지는 삽입구(111a)을 다음과 같이 형성시켰다.
상기 회동축(112a)은 부채꼴기둥 형상으로 되며, 이에 상응하는 삽입구(11a)에는 회동축(112a)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11b)를 형성시켰다. 이때, 상기 부채꼴기둥의 중심각의 크기는 270°정도가 적절한데, 이는 스토퍼(111b)가 구비된 삽입구(11a)에서 절개된 범위내로 회동가능하게 인입되면서 이음기구(100)의 안쪽으로만 회전가능하고, 이로인해 상기 개폐판(112)이 배수구(111)의 내향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된 270°의 범위는 하나의 실시예적인 것이며, 상기 개폐판(112)이 바깥쪽으로 열리지 않을 정도의 범위라면 중심각의 크기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음기구(10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인바 이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상층 배수관(10)과 하층 배수관(20)을 잇는 이음기구(100)는 상층과 하층을 구획하는 층 경계부(C)에 내설되고, 상ㆍ하층 배수관(10, 20)은 각각 그 층에서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음기구(100)는 상기 배수구(111)가 바닥면에서 드러날 수 있도록 충분히 돌출되게 매설되며, 특히, 효과적인 배수를 위해 이음기구(100)의 돌출부위가 위치한 상기 층 경계부(C)의 바닥면이 오폐수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배수구(111)쪽으로 경사지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층 배수관(20)은 이음기구(100)의 하부선단면에 형성된인입홈(110c)으로 내삽되어지면서 상호 연결되며, 이외에도 하층 배수관(20)과 이음기구(100) 간의 연결방법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외견상 겉으로 드러난 배수관의 소정위치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이 배수구에는 안쪽으로만 열리는 개폐판이 설치되어져 외부로부터의 오폐수 유입은 가능한 반면, 배수관 내부에 잔류하는 악취는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되고, 걸름망의 착탈이 용이하게 설치되어져 상기 걸름망에 낀 이물질의 제거가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건축물의 상ㆍ하층을 나누는 층 경계부에 매설되고, 상층 배수관 및 하층 배수관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관형상으로 된 배수관 이음기구에 있어서,
    상기 이음기구의 상부가 상기 층 경계부로부터 돌출되게 매설되되, 그 돌출부의 외주면 일부가 평판형으로 성형되고, 그 일부가 절개되어 소정크기의 배수구를 이루며,
    상기 배수구의 내측상단부에는 스토퍼를 갖춘 삽입구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에 인입되는 부채꼴기둥 형상의 회동축을 구비한 평판형상의 개폐판이 배수관의 안쪽으로만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배수구에는 가요성 걸림망이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이음기구.
KR20-2002-0035461U 2002-11-27 2002-11-27 배수구와 일체로 된 베란다용 배수관 이음기구 KR200305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61U KR200305357Y1 (ko) 2002-11-27 2002-11-27 배수구와 일체로 된 베란다용 배수관 이음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61U KR200305357Y1 (ko) 2002-11-27 2002-11-27 배수구와 일체로 된 베란다용 배수관 이음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357Y1 true KR200305357Y1 (ko) 2003-02-25

Family

ID=4940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461U KR200305357Y1 (ko) 2002-11-27 2002-11-27 배수구와 일체로 된 베란다용 배수관 이음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3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350B1 (ko) * 2020-05-27 2021-07-01 정경환 욕조 배수구용 스마트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350B1 (ko) * 2020-05-27 2021-07-01 정경환 욕조 배수구용 스마트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2715A (en) Siphonage floor drain and port protector
KR101401581B1 (ko) 공동주택의 역류 방지용 배수관 라인
KR200305357Y1 (ko) 배수구와 일체로 된 베란다용 배수관 이음기구
KR100680125B1 (ko) 오수 및 하수용 조립식 맨홀
JP7144965B2 (ja) 間接排水用継手及び機器設置構造
KR200321139Y1 (ko) 배수구 여과장치
KR200415865Y1 (ko) 배수용 취수구
KR200265310Y1 (ko)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KR200282577Y1 (ko) 착탈식 걸름망 구조를 갖는 건축용 수직배수관 이음기구
KR200388672Y1 (ko) 오수 및 하수용 조립식 맨홀
KR200181575Y1 (ko) 베란다용 배수구조
KR2002766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930004979Y1 (ko) 배수전
KR200265573Y1 (ko) 배수트랩
KR200171769Y1 (ko) 배수트랩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169068Y1 (ko) 욕실용 배수장치
KR200352132Y1 (ko) 배수장치
KR102524742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20180122109A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100550274B1 (ko) 아파트 배수관의 소음 방지장치
KR200168154Y1 (ko) 배수관의 하수역류방지기
KR200289780Y1 (ko) 배수트랩
KR200318242Y1 (ko) 맨홀의 퇴적물 적재방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