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132Y1 - 보냉용 맥주컵 - Google Patents

보냉용 맥주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132Y1
KR200305132Y1 KR20-2002-0028470U KR20020028470U KR200305132Y1 KR 200305132 Y1 KR200305132 Y1 KR 200305132Y1 KR 20020028470 U KR20020028470 U KR 20020028470U KR 200305132 Y1 KR200305132 Y1 KR 200305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surface portion
cup
wood
be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구
Original Assignee
남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구 filed Critical 남상구
Priority to KR20-2002-0028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1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냉용 맥주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맥주컵의 표면부를 목재편으로 형성하여 맥주컵 속의 맥주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도가 빨리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저온을 유지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는 보냉용 맥주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보냉용 맥주컵은 용기부와 표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표면부는 여러 조각의 목재편으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받침이 구비되어있다.

Description

보냉용 맥주컵{beer cup surrounded with wood for maintaining low temperature}
본 고안은 맥주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맥주의 온도가 빨리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맥주의 적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그 외관의 미려함도 부여하기 위한 보냉용 맥주컵에 관한 것이다.
보통 병맥주나 생맥주 등 여러 종류의 맥주를 마실 때 맥주컵에 따라서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맥주컵은 유리나 금속 혹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종래의 맥주컵은 열전도도가 목재보다 뛰어나 외부의 온도를 쉽게 흡수하기 때문에, 맥주를 따르고 난 후 시간이 지나게 되면 온도가 빨리 올라가게 되므로 저온의 맥주 본래의 맛을 즐길 수가 없었다.
맥주의 맛은 적정한 온도의 유지와 맥주 속의 탄산가스의 양이 좌우하는데, 맥주가 미지근하면 거품이 너무 많고 쓴맛이 남으며 맥주 속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의 양이 유지되지 않아서 본래의 맛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맥주컵 표면부를 금속이나 유리보다 열전도도가 낮은 목재로 구성하면 맥주의 온도를 쉽게 올라가지 않게 할 수 있고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데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통상의 맥주컵에 있어서, 맥주컵을 용기부와 표면부로 구성하고, 목재는 금속이나 유리에 비해 열전도도가 낮아서 맥주컵 안의 맥주가 금속이나 유리로 된 맥주컵에 비해 보냉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표면부가 오크통 모양의 목재로 이루어지는 맥주컵을 제공함으로써, 맥주를 맥주컵에 따라서 마실 때, 맥주컵 속에서 맥주의 온도가 빨리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맥주의 적정저온 유지와 맥주컵의 미려한 외관을 제공함으로써 맥주의 본래의 맛을 유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냉용 맥주컵은 맥주를 채울 수 있는 용기부, 맥주의 적정온도 유지를 위한 표면부, 표면부에 부착되는 손잡이, 표면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받침으로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고안의 보냉용 맥주컵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 은 상기 도 1 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용기부 B-B선을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표면부가 일체로 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맥주컵 10 : 용기부
11 : 입구부 20 : 표면부
21 : 목재편 22 : 볼트구멍
30 : 볼트 40 : 손잡이
50 : 받침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보냉용 맥주컵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맥주컵(1)은 표면부(20)가 오크통 모양의 목재편(21)으로 구성되어 있어 맥주의 적정온도 유지와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다.
표면부(20)는 여러 개의 목재편(21)을 접착 조립하여 오크통 모양으로 제작되며, 손잡이(40)는 표면부(20)의 한쪽 측면에 뚫어진 볼트구멍(22)에 볼트(30)를 삽입하여 손잡이(40)에 형성된 볼트구멍(41)을 통하여 표면부(20)에 조립함으로써 상기 표면부(20)의 일측에 조립장착된다.
또한 받침대(50)는 표면부(20)의 저면에 접착 조립된다. 마지막으로 용기부(10)의 외측면을 표면부(20)의 안쪽으로 끼워서 조립한다.
도 3 은 상기 도 1 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며, 맥주컵(1)의 표면부(20)를 구성하는 목재편(21)의 한 측면에 볼트구멍(22)을 뚫어서 볼트(30)로 손잡이(40)부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1)의 표면부(20)는 다수의 목재편(21)을 접착 조립하여 만드는, 목재편(21)을 조립하여 표면부(20)를 만들었을 때 오크통의 모양을 나타낼 수 있도록 목재편(21)의 중간 부분을 약간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가운 맥주컵(1)을 손으로 잡았을 때 손이 차가워지거나 맥주컵(1)의 표면에 외부공기와의 온도차이로 인한 물방울의 생성을 막아주므로 맥주컵(1)이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목재는 금속이나 유리에 비해 열전도도가 낮아 맥주컵(1) 안의 맥주가 금속이나 유리로 된 맥주컵에 비해 보냉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맥주를 맥주컵에 따라서 마실 때, 맥주컵 속에서 맥주의 온도가 빨리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맥주의 적정저온 유지와 맥주컵의 미려한 외관을 제공함으로써 맥주의 본래의 맛을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각 목재편(21)의 조립은 목재편(21)의 양단을 각기 요홈(24)을 만들어 목재편(21)을 각각 끼워 맞춰서 조립하거나, 목재편(21)의 양단을 접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도 3 에서 도시되었듯이 손잡이(40)는 표면부(20)의 일측에 볼트구멍(22)을 뚫은 후 손잡이(40)에 형성된 볼트구멍(41)을 통하여 표면부(20)에 볼트(30)로 조립한다.
이 때 표면부(20)에 형성되는 볼트구멍(22)은, 용기부(10)를 표면부(20)에 조립할 때 볼트(30)의 머리가 용기부(10)에 걸리지 않도록 표면부(20)에 볼트(30)머리에 맞춰서 볼트구멍(22)을 뚫는다.
받침(50)은 도 2에서 도시되었듯이 표면부(20)의 저면에 접착 조립한다. 받침(50)은 표면부(20) 저면의 형태와 동일하게 만들고, 외관의 일체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표면부(20)와 같은 목재로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1)의 용기부(10)는 도 4 에서 도시되었듯이, 용기부(10)의 입구부(11)가 표면부(20)를 약간 감싸는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이는 표면부(20)의 안쪽에 용기부(10)를 조립하였을 때, 표면부(20)를 형성하는 각 목재편(21)의 상부 이음새가 보이지 않게 하고, 맥주를 마실 때 입에 표면부(20)가 직접 닿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용기부(10)는 그 외형의 지름이 표면부(20)의 내부 지름 보다 약간 작아서 용기부(10)와 표면부(20)가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맥주컵(1)은 여러 개의 목재편(21)을 오크통 모양으로 접착 조립하여 표면부(20)를 형성하고, 표면부(20)의 한쪽 측면에 볼트구멍(22)을 뚫어 볼트(30)로 손잡이(40)와 표면부(20)를 일체로 조립하며, 표면부(20)의 저면에 받침대(50)를 접착시키고 용기부(10)를 표면부(20)의 안쪽에 조립하여 외관이 깔끔하게 처리된다.
또 상기 표면부(20)의 목제편(21)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이나 기타의 일정한 넓이를 갖는 조립띠(23)를 사용하여 표면부(20)의 목제편(21)을 용기부(10)의 형상으로 만들어 용기부(10)에 표면부(20)를 조립하여 사용할수도 있다.
상기 조립띠(23)를 사용할시에는 표면부(20)에 요홈(24)을 형성하여 조립띠(23)로 표면부(20)를 조립하였을시에 조립띠(23)가 표면부(20)로 돌출되지않고 또 조립띠(23)가 표면부(2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표면부(20)가 견고하게 오래 동안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표면부(20)의 목재편(21)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용기(10)을 삽입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한 하나의 통으로 만들어 사용할수도 있다.
또 상기 표면부(20)의 목제편(21)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이나 기타의 일정한 넓이를 갖는 조립띠(23)를 사용하여 표면부(20)의 목제편(21)을 용기부(10)의 형상으로 만들어 용기부(10)에 표면부(20)를 조립하여 사용할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르면, 맥주컵의 표면부가 목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맥주컵 내의 맥주의 온도가 빨리 올라가는 것을 막아 맥주의 찬 기운을 오래 유지할 수 있고, 차가운 맥주컵을 손으로 잡았을 때 손이 찬 것을 방지하며, 맥주컵의 표면에 외부공기와의 온도차이로 인한 물방울의 생성을 방지하여 맥주컵이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종래의 유리나 금속으로 된 맥주컵에 비해 매우 실용적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맥주컵의 표면부를 구성하고있는 목재는 오크통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외관이 미려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Claims (2)

  1. 맥주컵에 있어서, 상기 맥주컵(1)이 맥주를 채울 수 있는 용기부(10)와 맥주의 적정온도 유지를 위해 다수의 목재편(21)을 접착 조립하여 오크통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표면부(20)와 상기 표면부(20)의 저면에 접착되는 받침(50)과 상기 표면부(20)의 목재편(21)의 한 쪽 측면에 손잡이(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20)의 목재편(21)이 하나의 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컵.
KR20-2002-0028470U 2002-09-23 2002-09-23 보냉용 맥주컵 KR200305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470U KR200305132Y1 (ko) 2002-09-23 2002-09-23 보냉용 맥주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470U KR200305132Y1 (ko) 2002-09-23 2002-09-23 보냉용 맥주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132Y1 true KR200305132Y1 (ko) 2003-02-25

Family

ID=4933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470U KR200305132Y1 (ko) 2002-09-23 2002-09-23 보냉용 맥주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1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5892B1 (en) Thermally insulated beverage glass
US5092485A (en) Thermos paper cup
US6786062B1 (en) Beverage cooling device
USD497777S1 (en) Combined wine cooler and ice bucket
US6085543A (en) Cooling mug
US6629618B1 (en) Thermally insulated glass bottle
USD515165S1 (en) Golf club weight
US20080217206A1 (en) Meal tray for use in holding various beverage vessels
KR200305132Y1 (ko) 보냉용 맥주컵
USD475615S1 (en) Beverage bottle
US20050029299A1 (en) Insulating liner for drink container
US20050269323A1 (en) Combined multi goblet
US11779141B2 (en) Golf-themed device for consuming a beverage
US20060226159A1 (en) Structure of a goblet
USD504482S1 (en) Translucent golf hole cup with removable sleeve
KR200165344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BE1008405A6 (fr) Verre.
KR200288818Y1 (ko) 이중 캔
USD516656S1 (en) Golf club weight
KR200366346Y1 (ko) 냉각컵
KR100620327B1 (ko) 휴대용 냉수병 보냉 케이스
KR200249899Y1 (ko) 식품겸용 음료용 컵
KR200307078Y1 (ko) 보온ㆍ보냉용 음식 그릇
KR200176331Y1 (ko) 음료수 캔의 보냉·보온 장치
JP2000007059A (ja) 保冷・保温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