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823Y1 - 그늘막 - Google Patents

그늘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823Y1
KR200304823Y1 KR20-2002-0034000U KR20020034000U KR200304823Y1 KR 200304823 Y1 KR200304823 Y1 KR 200304823Y1 KR 20020034000 U KR20020034000 U KR 20020034000U KR 200304823 Y1 KR200304823 Y1 KR 200304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fixed
arm
pillar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순
Original Assignee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4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8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Landscapes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비를 피하거나 햇볕을 가리는 공간을 넓게 활용하고 위치변경이 쉽도록, 바닥에 고정되는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위쪽 끝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굽어지는 아암형상을 가지며 아암형상 끝부분은 다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지는 기둥과, 기둥의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부분에 중심부가 고정되며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붕과, 기둥 및 지붕에 연결 설치되고 지붕을 접고 펴기 위한 접철장치를 포함하는 그늘막을 제공한다.
지붕은 기둥의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이동편이 형성되는 이동캡과, 이동편과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살과, 지지살의 이동편 반대쪽 끝부분과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붕살과, 지붕살의 윗면을 감싸덮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기둥은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지는 부분 위쪽에 둘레를 따라 고정부가 형성되며, 고정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의 지붕살 한쪽 끝부분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편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그늘막 {Parasol}
본 고안은 그늘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를 피하거나 햇볕을 가리는 공간의 위치설정이 편리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그늘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내리는 비로부터 옷이나 신체가 젖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서는 우산을 사용하고, 햇볕이 내리쬘 때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양산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한 우산이나 양산은 1∼2명이 사용하는 크기로 휴대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상점앞, 야외행사장 등에서 간이로 햇볕을 차단하거나 비를 피하기 위해서는 여러사람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파라솔이나 대형천막 등을 설치한다.
상기에서 파라솔은 개인이 보행중에 사용하는 우산이나 양산을 대형화한 형상으로서 기둥과 기둥의 위쪽 끝부분에 삿갓모양으로 접었다 펼칠수 있도록 한 지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대형천막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붕천과, 상기한 지붕천의 가장자리 및 중간부에 한쪽 끝부분을 고정하고 반대쪽을 지면에 지지되도록 세워 설치되는 다수의 폴(기둥)과, 상기한 폴의 바깥쪽 지면에 박히는 말뚝과, 상기한 각각의 폴과 말뚝을 연결하는 밧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파라솔은 인원을 수용하는 비를 피하거나 햇볕을 가리는 공간이 비교적 좁아서 비교적 많은 인원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고, 중간에 기둥이 설치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대형천막은 기둥이 많아서 부딪치기 쉽고 한번 설치하면 이동이 번거롭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붕의 바깥쪽에 기둥이 형성되므로 비를 피하거나 햇볕을 가리는 공간을 전부 활용할 수 있고 기둥이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므로 비를 피하거나 햇볕을 가리기 위한 위치설정이 편리한 그늘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붕을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붕을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4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붕을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붕을 접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지붕의 부분확대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접철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둥 및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붕에 방수천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그늘막은 바닥에 고정되는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위쪽 끝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굽어져 아암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암형상 끝부분은 다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기둥과, 상기한 기둥의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부분에 중심부가 고정되며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붕와, 상기한 기둥 및 지붕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한 지붕을 접고 펼치기 위한 접철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붕은 상기한 기둥의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이동편이 형성되는 이동캡과, 상기한 이동편과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살과, 상기한 지지살의 이동편 반대쪽 끝부분과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붕살과, 상기한 지붕살의 윗면을 감싸덮는 덮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둥에는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위쪽 끝부분을 감싸서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고정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한 각각의 지붕살 한쪽 끝부분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편이 형성된다.
상기한 접철장치는 상기한 기둥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래칫과, 상기한 기둥의 아암형상으로 형성되는 부분 및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을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한쪽 끝부분은 상기한 래칫에 감겨지도록 고정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한 이동캡과 연결되며 상기한 래칫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캡이 기둥에서 분리되어 하강하고 래칫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한 이동캡이 상승하여 원상복귀하는 감김줄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기둥은 바닥에 고정되는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중심축과, 상기한 중심축의 하부끝부분에 일체로 형성하여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한 중심축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삽입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장치를 통하여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한 기둥의 바닥에 고정되는쪽 끝부분 외주면에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안내편을 형성하며 상기한 안내공에는 하부 끝부분이 상기한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핀을 관통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기둥은 중공관으로 형성되며 2부분 이상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서로 만나는 부분의 내부에는 보강부재를 삽입하여 일체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지붕살의 고정편과 결합되는 반대쪽 끝부분에는 고정고리를 설치하고, 상기한 덮개의 상부에는 덮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고정고리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끈이 형성되는 방수천을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2)에 고정되는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위쪽 끝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굽어져 아암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암형상 끝부분은 다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기둥(10)과, 상기한 기둥(10)의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부분에 중심부가 고정되며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붕(20)와, 상기한 기둥(10) 및 지붕(20)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한 지붕(20)를 접고 펼치기 위한 접철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둥(10)은 한쪽 끝부분이 바닥(2)에 고정되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고정부(10a)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한 고정부(10a)의 바닥에 고정되는 반대쪽 끝부분에서 소정의 각도로 굽어지도록 아암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아암부(10b)는 고정부(10a)에서 멀리 떨어진 부분일수록 서서히 높아지게 형성되며, 상기한 아암부(10b)의 고정부(10a) 반대쪽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수직부(10c)는 상기한 고정부(10a)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기둥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이 빈 원통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2부분 이상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서로 만나는 부분의 내부에는 보강부재(13)를 삽입하여 일체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지붕(20)는 도 2∼도 3 및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기둥(10) 수직부(10c)의 아래쪽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이동편(24)이 형성되는 이동캡(22)과, 상기한 이동편(24)과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살(26)과, 상기한 지지살(26)의 이동편(24) 반대쪽 끝부분과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붕살(28)과, 상기한 지붕살(28)의 윗면을 감싸덮는 덮개(30)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지붕살(28)의 위쪽 끝부분은 상기한 기둥(10) 수직부(10c)의 위쪽 끝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부(19)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편(18)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한 지지살(26)은 양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각각의 지지홈(27)에 상기한 이동편(24) 및 지붕살(28) 중간부를 삽입하고 힌지축(27a)을 이용하여 각각 상기한 이동편(24) 및 지붕살(28)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에서 지지살(26)은 지지홈(27)이 형성되는 양쪽 끝부분의 결합부(26a)와상기한 결합부(26a)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6b)로 나누어 형성하여 서로 끼워맞춤하고 고정핀(26c)을 통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한 지붕살(28)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한쪽 끝부분을 상기한 고정편(18)과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붕살(28)의 중간부분에는 상기한 지지살(26)의 지지홈(27)에 삽입되어 힌지축(27a)으로 결합되는 돌출편(2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덮개(30)는 햇볕은 차단성이 양호하고 통풍성이 우수한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나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 등을 통하여 상기한 각각의 지붕살(28) 한쪽 끝부분 및/또는 양쪽 끝부분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접철장치(40)는 도 1∼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기둥(10)의 고정부(10a) 위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래칫(42)과, 상기한 기둥(10)의 아암부(10b) 및 수직부(10c)를 관통하여 한쪽 끝부분은 상기한 래칫(42)에 감겨지도록 고정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한 이동캡(22)과 연결되며, 상기한 래칫(42)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캡(22)이 수직부(10c)에서 분리되어 하강하고 래칫(42)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한 이동캡(22)이 상승하여 원상복귀하는 감김줄(4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래칫(42)은 기둥(10)의 외주면 한쪽에 고정되는 몸체(44)와, 상기한 몸체(4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한쪽 끝부분에 종동기어(45a)가 형성되는 종동축(45)과, 상기한 몸체(4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종동기어(45a)와 맞물려 회전하며 종동기어(45a)에 비하여 지름이 작은 원동기어(46a)가 형성되는 원동축(46)과, 상기한 원동축(46) 한쪽 끝부분에 결합되는 회전손잡이(46b)와, 상기한몸체(44)에 설치되고 상기한 원동기어(46a)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키(47)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감김줄(48)로는 강철선이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기둥(10)은 도 1∼도 3 및 도 9∼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10a)의 하부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중심축(62)과, 상기한 중심축(62)의 하부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2)에 고정되고 상기한 중심축(62)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삽입공(66)이 형성되는 플랜지부(64)로 이루어지는 회전장치(60)를 통하여 바닥(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한 기둥(10)의 고정부(10a) 하부 끝부분 외주면에는 안내공(14)이 형성되는 안내편(12)을 형성하고 상기한 안내공(14)에는 하부 끝부분이 상기한 삽입공(66)에 삽입되는 삽입핀(16)을 관통 설치한다.
상기에서 플랜지부(64)는 콘크리트(5) 타설시 함께 고정되는 앵커볼트(4)를 이용하여 바닥(2)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덮개(30)의 상부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방수천(32)을 겹치도록 설치하고, 지붕살(26)의 고정편(18)과 결합되는 반대쪽 끝부분에는 고정고리를 설치하며, 상기한 방수천(32)에는 상기한 고정고리(34)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끈(36)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에 의하면, 비를 피하거나 햇볕에 가려지는 지붕 아래의 공간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이 극대화되고 한꺼번에 비교적 많은 인원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에 부딪쳐서 상해를 입거나 실수로 기둥을 넘어뜨려 내려앉는 지붕에 깔리는 등의 사고를 당할 염려가 없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에 의하면, 지붕이 회전장치의 중심축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고 삽입핀을 통하여 고정이 가능하므로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며,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적합한 위치로 지붕을 이동시켜서 항상 그늘이 형성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그늘막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지붕살을 감싸덮는 덮개를 차양용 천으로 설치하고, 비가 자주오는 장마철이나 비가 올 염려가 있을 경우에는 차양용 천의 상부에 방수천을 설치하고 상기한 방수천에 형성되는 결속끈을 상기한 지붕살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고정고리에 결속하여 고정하므로 방수천의 설치가 용이하고 실용적이다.

Claims (5)

  1. 바닥에 고정되는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위쪽 끝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굽어져 아암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암형상 끝부분은 다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기둥과,
    상기한 기둥의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부분에 중심부가 고정되며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붕과,
    상기한 기둥 및 지붕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한 지붕을 접고 펼치기 위한 접철장치를 포함하는 그늘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붕은 상기한 기둥의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이동편이 형성되는 이동캡과, 상기한 이동편과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살과, 상기한 지지살의 이동편 반대쪽 끝부분과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붕살과, 상기한 지붕살의 윗면을 감싸덮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기둥은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부분 위쪽에 둘레를 따라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고정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각각의 지붕살 한쪽 끝부분과 회전가능하게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한 접철장치는 상기한 기둥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래칫과, 상기한 기둥의 아암형상으로 형성되는 부분 및 아암형상 끝부분에서 아래쪽을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한쪽 끝부분은 상기한 래칫에 감겨지도록 고정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한 이동캡과 연결되며 상기한 래칫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캡이 기둥에서 분리되어 하강하고 래칫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한 이동캡이 상승하여 원상복귀하는 감김줄로 이루어지는 그늘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둥은 바닥에 고정되는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중심축과, 상기한 중심축의 하부끝부분에 일체로 형성하여 바닥에 고정하고 상기한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삽입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장치를 통하여 바닥에 고정하고,
    상기한 기둥의 바닥에 고정되는쪽 끝부분 외주면에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안내편을 형성하며 상기한 안내공에는 하부 끝부분이 상기한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핀을 관통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그늘막.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붕살의 고정편과 결합되는 반대쪽 끝부분에는 고정고리를 설치하고,
    상기한 덮개의 상부에는 덮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고정고리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끈이 형성되는 방수천을 더 설치하는 그늘막.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둥은 중공관으로 형성되며, 2부분 이상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서로 만나는 부분의 내부에는 보강부재를 삽입하여 일체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그늘막.
KR20-2002-0034000U 2002-11-14 2002-11-14 그늘막 KR200304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00U KR200304823Y1 (ko) 2002-11-14 2002-11-14 그늘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00U KR200304823Y1 (ko) 2002-11-14 2002-11-14 그늘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823Y1 true KR200304823Y1 (ko) 2003-02-19

Family

ID=4933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000U KR200304823Y1 (ko) 2002-11-14 2002-11-14 그늘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8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841B1 (ko) 2018-08-17 2018-12-06 강형국 횡단보도용 접이식 파라솔의 와이어로프 절손 방지장치
KR102178362B1 (ko) * 2020-09-09 2020-11-12 주식회사 유퍼니 횡단보도용 접이식 파라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841B1 (ko) 2018-08-17 2018-12-06 강형국 횡단보도용 접이식 파라솔의 와이어로프 절손 방지장치
KR102178362B1 (ko) * 2020-09-09 2020-11-12 주식회사 유퍼니 횡단보도용 접이식 파라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74032A1 (en) Frame assembly for folding tents
US4709718A (en) Tent fly apparatus and method
US5343887A (en) Self-erecting portable fabric structure
US5806547A (en) Combination umbrella and gazebo
KR101796394B1 (ko) 접이식 대형 파라솔
US20050011134A1 (en) Universal extra shade tent structure to hand held umbrella
KR102079204B1 (ko) 포켓부를 구비한 파라솔
US20060283103A1 (en) Gazebo
KR200304823Y1 (ko) 그늘막
KR20210095542A (ko) 롤 방식으로 접혀지는 자동 우산
KR20080063738A (ko) 접이식 부채의 원리를 응용한 우산 또는 양산
KR20090048217A (ko) 절첩식 천막용 받침지주 승강장치
GB2284437A (en) Sun umbrella with awning
KR102178362B1 (ko) 횡단보도용 접이식 파라솔
CN215485106U (zh) 一种篷面及其应用的多功能篷
KR100705712B1 (ko)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JPH0727325Y2 (ja) 日除け駐車用屋根
AU2021204796B2 (en) A portable shelter
KR100938980B1 (ko) 자동 절첩식 텐트의 플라이 구조
AU2021105969A4 (en) A portable shelter
KR102542054B1 (ko)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JP7110909B2 (ja) 日よけ
KR200272695Y1 (ko) 텐트 겸용 사각 파라솔
JP2582815Y2 (ja) タープテント
AU2022203403A1 (en) A portable she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219

Effective date: 20080708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