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775Y1 - 병마개 - Google Patents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775Y1
KR200304775Y1 KR20-2002-0032927U KR20020032927U KR200304775Y1 KR 200304775 Y1 KR200304775 Y1 KR 200304775Y1 KR 20020032927 U KR20020032927 U KR 20020032927U KR 200304775 Y1 KR200304775 Y1 KR 200304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ttle
support
open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프라스틱
Priority to KR20-2002-0032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25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 B65D41/3409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for initially filling and for preventing subsequent re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65D49/04Weigh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8Upper closure of the 5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37Intermediate closure(s)
    • B65D2251/0046Intermediate closure(s)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7Low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양주병 마개가 최초 개방되면 그 개방된 상태를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또 병마개가 개방된 양주병의 개구를 통해 술을 주입시킬 수 없게 함으로서 위조주를 만들 수 없게 한 병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병의 개구에 설치되며 내용물이 통과되는 유도공을 갖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설치되어 병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외부에서는 내용물이 주입되지 못하게 유도공을 개폐하는 소정 중량을 갖는 작동체와 상기 고정체와 작동체가 병의 개구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고정 설치되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공을 갖는 지지체로 된 보조캡 및 상기 보조캡에 개폐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최초 개방시 하단부가 분리되어 개폐여부를 확인하게 하는 내캡과 상기 내갭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고정 결합되어 내캡과 일체로 작동되는 외캡으로 된 캡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병마개{a bottle cap}
본 고안은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주병의 개구에 개폐가능 하게 설치되는 마개의 개폐 유무를 일반 소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신뢰성을 확보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주병의 마개로 사용되는 통상의 마개는 단순히 양주병의 개구를 막아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양주병의 마개 외부에 비닐 등의 코팅지를 사용하거나 라벨 등을 사용하여 개폐되지 않은 양주임을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양주병 마개는 한번 개폐된 양주를 소비자들에게 속여서 다시 판매할 수 있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즉, 한번 개폐되어 상품의 가치가 떨어진 양주를 소비자에게 그대로 속여서 판매할 경우에도 소비자들은 이를 확인할 수 없어 신뢰성이 저하되고 상품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양주병의 개폐유무를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없어 카페 등의 술집에서 소비자들이 양주를 마실 때 가짜 양주를 속아서 마시게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소비자들이 기만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주병 마개의 구조를 변경하여 병마개가 최초로 개방되면 그 개방된 상태를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또 병마개가 개방된 양주병의 개구를 통해 술을 주입시킬 수 없게 함으로서 위조주를 만들 수 없게 한 병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가 개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 ~ 4c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외캡의 평면도, 단면도, 저면도이고,
도 4d는 도 4c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a ~5c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내캡의 평면도, 단면도, 저면도이고,
도 5d는 도 5a의 "B"부 확대도이고,
도 6a ~ 6c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지지체의 평면도, 단면도, 저면도이고,
도 6d는 상기 지지체와 내캡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e는 상기 지지체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 ~ 7c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고정체의 평면도, 단면도, 저면도이고,
도 8a ~ 8b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작동체의 평면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작동체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보조캡 110 - 고정체
120 - 작동체 130 - 지지체
200 - 캡본체 210 - 내캡
220 - 외캡 216 - 절결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병에 있어서, 상기 병의 개구에 설치되며 내용물이 통과되는 유도공을 갖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설치되어 병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외부에서는 내용물이 주입되지 못하게 유도공을 개폐하는 소정 중량을 갖는 작동체와 상기 고정체와 작동체가 병의 개구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고정 설치되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공을 갖는 지지체로 된 보조캡 및 상기 보조캡에 개폐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최초 개방시 하단부가 분리되어 개폐여부를 확인하게 하는 내캡과 상기 내갭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고정 결합되어 내캡과 일체로 작동되는 외캡으로 된캡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는 대략 중간부에는 절결홈이 형성되고, 그 절결홈의 상측은 내캡과 외캡이 일체로 회전되게 그 대응면이 8각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8각의 모서리에 형성된 모서리턱과 모서리홈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절결홈의 하측은 최초 개방시 상기 절결홈이 절결되어 그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형성된 스플라인홈들과 그 스플라인홈들에 결합된 톱니형상의 스플라인돌기들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캡은 최초 개방시 하단부가 분리되어 상기 보조캡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로 하부로 위치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의 내주면에는 고정체의 외주면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그 지지체의 하단부에는 병 개구에 구비된 환테의 저면이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지지체의 조립시 영구 변형되어 환테의 저면에 밀착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캡과 캡본체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의 하단에 영구변형 되게 형성된 걸림부에 의해 병의 개구에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의 상면은 함몰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함몰된 수직벽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의 상면과 함몰된 수직벽에 각각 밀착되는 밀폐돌기들이 내캡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어 밀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체의 내부에는 소정 무게를 갖는 유리나 세라믹 소재로 된 볼이 이탈되지 못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체의 내부에는 십자형의 리브가 형성되어 소정 무게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가 개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는, 보조캡(1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보조캡(100)은 병(10)의 개구(12)에 이탈되지 못하도록 설치되어 내부의 내용물은 배출되도록 하며 외부에서는 내용물을 주입시킬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고정체(110)와 작동체(120) 및 지지체(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체(110)는 병(10)의 개구(12)에 내경으로 밀착되게 설치되며 내용물이 통과되는 유동공(112)을 갖고 있다. 또한, 중심부에는 작동체(120)가 설치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체(120)는 소정 중량을 갖도록 구성되어 유동공(112)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데, 이 작동체(120)에 의해 내부의 내용물은 배출되도록 하고 외부에서는 내용물을 주입시킬 수 없도록 하는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체(130)는 고정체(110)와 작동체(120)가 병(10)의 개구(12)로부터 이탈되게 못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그 지지체(130)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는, 캡본체(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캡본체(200)는 상기 보조캡(100)에 개폐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최초 개방시 하단부가 분리되는 내캡(210)과 그 내캡(210)에 이탈되지 못하게 고정 설치되어 내캡(210)과 일체로 작동되도록 된 외캡(22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캡본체(200)는 개방시에 상기 내캡(210)의 일부분이 분리되어 그 개폐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2에서 부호 (220a)로 도시된 내캡의 일 부분이 분리되어 남게되는데, 그 남은 부분(220a)이 병의 개구 측에서 빠지지 않도록 위치되므로, 그 개폐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조립은, 먼저 캡본체(200)와 보조캡(100)을 결합한 상태에서 병(10)의 개구(12)에 조립하게 되면, 조립 공정을 간편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체(120)를 지지체(130)와 고정체(110)의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고정체(110)와 지지체(130)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보조캡(100)을 조립하고, 또 내캡(210)과 외캡(220)을 조립하는 것에 의해 캡본체(200)를 조립한다. 이 상태로 상기 보조캡(100)과 캡본체(200)를 조립한 상태로 병의 개구에 결합하면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체(13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35)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영구 변형되어 병(10)의 환테(14)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병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위와 같은 조립 방법 외에도 보조캡(100)을 병의 개구에 먼저 조립하고, 후에 캡본체(200)를 조립하여도 된다. 즉, 상기 고정체(110)를 병(10)의 개구(12)에 끼워 설치하고, 그 고정체(110)에 작동체(120)를 위치시킨 후 고정체(110)를 병(10)의 개구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설치하는데,상기 지지체(130)는 고정체(110)의 상면과 병(10)에 구비된 환테(14)의 저면을 고정하도록 하여 고정체(110)의 분리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작동체(120)는 지지체(130)와 고정체(110)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서 그 빠짐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로 캡본체(200)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캡본체(200)의 내캡(210)과 외캡(220)을 미리 조립한 상태로 결합하면 된다.
도 4a ~ 4c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외캡의 평면도, 단면도, 저면도이고, 도 4d는 도 4c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a ~ 4d에는 외캡(22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외캡(220)은 투명 혹은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외경 및 내경의 상측부가 8각으로 이루어짐이 좋고, 그 8각으로 이루어진 각 모서리부에는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서리홈(222)이 형성되는데, 이 모서리홈(222)은 내캡(210)에 구비되는 모서리턱이 결합되어 내.외캡이 일체로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캡(220)의 내경에는 내캡(210)이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걸림홈(224)이 형성된다.
도 5a ~5c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내캡의 평면도, 단면도, 저면도이고, 도 5d는 도 5a의 "B"부 확대도이다.
도 5a ~ 5d에는 내캡(2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내캡(210)은 상기 외캡(220)과 결합되어 일체로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외캡(220)의 내경에 결합되게 상측부는 8각으로 이루어지고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서리돌기(212)가 형성되어 위에서 설명한 외캡(220)의 모서리홈(222)에 결합되어 일체로 작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내캡(210)의 하측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캡(210)의 상하측부를 구분하는 부분에 원주방향으로 절결홈(2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홈(216)은 내캡(210)의 최초 개방시에 분리되어 내캡(210)의 하측부가 남아 있도록 함으로서 일반 소비자들이 병마개가 최초 개방된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캡(210)의 외경에는 위 외캡(22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걸림홈(224)에 끼워져 빠지지 않는 걸림턱(214)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214)과 걸림홈(224)은 서로 결합되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한번 결합되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캡(210)의 상부측 내경에는 지지체(130)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나선부(218)가 형성되고, 그 내캡(210)의 하측부 내경에는 지지체(130)와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고 반대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톱니형의 스플라인돌기(219)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톱니형의 스플라인돌기(219)들에 의해 상기 내캡(210)이 최초로 개방시 위에서 설명한 절결홈(216)이 절단된다. 즉, 내캡(210)의 상측부 내경에 형성된 나선부(218)에 의해 내캡(210)이 회전될 때 상기 톱니형의 절결부(216)는 회전되지 않음으로서 상대적으로 약하게 구성된 절결홈(216)이 절단된다.
또한, 상기 내캡(210)의 하단부 내경에는 고정홈(211)이 형성되는데, 이 고정홈(211)은 상기 내캡(210)이 최초 개방시 절결부(216)에 의해 하측부가 분리되었을 때 지지체(130)에 끼워져 있도록 하여 그 내캡(210)의 분리된 부분이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캡(210)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지지체(130)의 상면에 완전하게밀착되게 되어 밀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밀폐돌기(2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밀폐돌기(213)는 지지체(130)의 상면에 함돌된 수직면의 내측에 접촉됨과 아울러 지지체(130)의 상면에 밀착되게 접착되도록 하는 2개의 환 형태로 이루어진 돌기를 형성함이 좋다.
도 6a ~ 6c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지지체의 평면도, 단면도, 저면도이고, 도 6d는 상기 지지체와 내캡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e는 상기 지지체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 6e에는 지지체(1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지지체(130)는 병(10)의 개구(12)에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되게 함은 물론 고정체(110)와 작동체(120)가 함께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체(130)의 외경 상측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내캡(210)에 형성된 나선부에 체결되는 나선부(134)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부에 위 내캡(210)의 톱니형 스플라인돌기(219)들에 결합되는 스플라인홈(136)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스플라인홈(136)들의 하측에 위 내캡(210)에 구비된 고정홈(211)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3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체(130)의 상면은 함몰되게 구성되어 수직벽을 갖으며, 그 수직벽에 내용물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공(1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출공(132)이 수직벽에 형성됨으로서 상기 배출공(132)을 통해 외부에서 내용물을 주입하고자 할 때 용이하지 못하며, 또 상기 배출공(132)을 통해 강제적으로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체(120)를 들어올리도록 하기 위한 막대 등의 삽입을 방지하여 외부에서 내용물의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130)의 내경에는 고정턱(131)이 형성되고 그 상측부에 홈(133)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턱(131)은 고정체(110)의 외주면을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홈(133)은 고정체(110)에 형성된 돌기(114)들이 끼워져 내캡(210)이 개폐될 때 상기 지지체(130)는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130)의 하단부에는 걸림부(135)가 구비되는데, 이 걸림부(135)는 지지체(130)의 결합시 영구 변형되어 병(10)에 구비된 환테(14)의 저면을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즉,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35)는 최초 위치가 하측으로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지체(130)의 결합시 병(10) 개구에 구비된 환테(14)에 밀리면서 안쪽으로 휘어져 들어감과 동시에 완전히 삽입 결합되었을 때 고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구변형이 일어나 환테(14)의 저면에 위치됨으로 지지체(130)가 한번 결합되면 빠지지 않도록 된다.
이와 같이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는 최초로 개방된 후에 병(10)의 개구(12)에 조립된 보조캡(100)을 강제적으로 빼낼 경우 상기 걸림부(135)가 파손되어 다시 조립이 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의 병마개에서 상기 걸림부(135)가 가장 약하게 구성되어 있어 이 걸림부(135)가 쉽게 파손됨으로서 강제적으로 보조캡을 빼내려고 하면 그 걸림부(135)가 파손되어 병마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도 7a ~ 7c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고정체의 평면도, 단면도, 저면도이다.
도 7a ~ 7c에는 고정체(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고정체(110)의 상단 외주면은 위에서 설명한 지지체(130)의 고정턱(131)에 걸려 이탈되지 않게 되는 고정며, 그 상면에는 지지체(130)에 결합되는 돌기(114)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110)에는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유도공(112)이 형성되는데, 이 유도공(112)을 개폐하도록 작동체(1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110)의 상면에는 상기 유도공(112)을 개폐하도록 된 작동체(120)가 안착되어 그 개폐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한 삼각돌기(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삼각돌기(116)는 소정 위치에 공간(116a)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116a)에 의해 병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경우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공간(116a)을 통해 공기가 유입됨으로서 유막 현상을 방지하여 '울꺽'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공간(116a)이 형성도어 있다 하더라도 외부에서 내용물이 주입되지는 않는 것으로, 이는 상기 공간(116a)에는 유막이 형성됨으로서 외부에서 내용물이 주입되지 않는다.
도 8a ~ 8b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작동체의 평면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된 작동체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 8b 및 도 9는 작동체(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작동체(120)는 상기 고정체(1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체(110)의 삼각돌기(116)에 안착는 것에 의해 그 고정체(110)에 형성된 유도공(112)을 개폐되게 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에서는 내용물의 주입이 안되도록 한다. 즉, 상기 작동체(120)는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고정체(110)에 형성된 삼각돌기(116)에 안착되어유도공(112)을 막고 있어 외부에서 내용물이 유입되어도 유도공(112)을 통해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하고자 할 때는 본 고안에 따른 병을 기울여야 되므로 이때 자중에 의해 유도공(112)을 막고 있는 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지됨으로서 쉽게 배출된다.
이러한 작동체(120)는 위와 같은 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져 확실한 개폐가 이루지게 하기 위해 소정 중량을 갖도록 구성됨이 중요하다. 따라서, 도 8a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체(120)의 내부에 십자형상의 리브(122)를 구비하여 소정 중량을 갖도록 함이 좋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체(120)의 내부에 소정 중량을 갖는 볼(124)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때에는 상기 볼(124)이 작동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26)을 형성하여야 된다. 이러한 볼(124)은 통상 유리나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는데, 이는 병에 담겨진 내용물을 사람이 음용함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소재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인체에 유해하도록 알려진 옥 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병마개가 최초로 개방되게 되면 그 개방된 상태를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병마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주병의 개구를 통해 술을 주입시킬 수 없어 위조주를 만들 수 없음으로 신뢰성을 확보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병에 있어서,
    상기 병의 개구에 설치되며 내용물이 통과되는 유도공을 갖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설치되어 병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외부에서는 내용물이 주입되지 못하게 유도공을 개폐하는 소정 중량을 갖는 작동체와 상기 고정체와 작동체가 병의 개구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고정 설치되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공을 갖는 지지체로 된 보조캡; 및
    상기 보조캡에 개폐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최초 개방시 하단부가 분리되어 개폐여부를 확인하게 하는 내캡과 상기 내갭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고정 결합되어 내캡과 일체로 작동되는 외캡으로 된 캡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대략 중간부에는 절결홈이 형성되고, 그 절결홈의 상측은 내캡과 외캡이 일체로 회전되게 그 대응면이 8각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8각의 모서리에 형성된 모서리턱과 모서리홈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절결홈의 하측은 최초 개방시 상기 절결홈이 절결되어 그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형성된 스플라인홈들과 그 스플라인홈들에 결합된 톱니형상의 스플라인돌기들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최초 개방시 하단부가 분리되어 상기 보조캡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로 하부로 위치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내주면에는 고정체의 외주면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그 지지체의 하단부에는 병 개구에 구비된 환테의 저면이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지지체의 조립시 영구 변형되어 환테의 저면에 밀착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과 캡본체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의 하단에 영구변형 되게 형성된 걸림부에 의해 병의 개구에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상면은 함몰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함몰된 수직벽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의 상면과 함몰된 수직벽에 각각 밀착되는 밀폐돌기들이 내캡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어 밀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의 내부에는 소정 무게를 갖는 유리나 세라믹 소재로 된 볼이 이탈되지 못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의 내부에는 십자형의 리브가 형성되어 소정 무게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KR20-2002-0032927U 2002-11-04 2002-11-04 병마개 KR200304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27U KR200304775Y1 (ko) 2002-11-04 2002-11-04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27U KR200304775Y1 (ko) 2002-11-04 2002-11-04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775Y1 true KR200304775Y1 (ko) 2003-02-19

Family

ID=4940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927U KR200304775Y1 (ko) 2002-11-04 2002-11-04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7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2961A1 (en) * 2006-09-14 2008-03-20 Cj Cheiljedang Corporation Double cap with sealing function
CN113804844A (zh) * 2020-06-11 2021-12-17 力合科技(湖南)股份有限公司 采样瓶及采用其的水质在线监管采样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7242A (en) * 1980-03-12 1983-03-22 Seagrams Distillers Limited Anti-tampering devices for bottles
KR980008015U (ko) * 1996-07-25 1998-04-30 정기수 용기의 입 보안장치
KR200240364Y1 (ko) * 2001-04-16 2001-10-11 주식회사 금빛지엔씨 분리확인용 병뚜껑
KR200269082Y1 (ko) * 2001-12-14 2002-03-18 서동린 위조방지용 안전띠가 구비된 용기뚜껑
KR200270770Y1 (ko) * 2001-12-28 2002-04-03 전경진 위조방지 기능을 갖는 양주병 마개구조물
KR200280843Y1 (ko) * 2002-04-10 2002-07-06 정현준 부정주입 방지용 병마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7242A (en) * 1980-03-12 1983-03-22 Seagrams Distillers Limited Anti-tampering devices for bottles
KR980008015U (ko) * 1996-07-25 1998-04-30 정기수 용기의 입 보안장치
KR200240364Y1 (ko) * 2001-04-16 2001-10-11 주식회사 금빛지엔씨 분리확인용 병뚜껑
KR200269082Y1 (ko) * 2001-12-14 2002-03-18 서동린 위조방지용 안전띠가 구비된 용기뚜껑
KR200270770Y1 (ko) * 2001-12-28 2002-04-03 전경진 위조방지 기능을 갖는 양주병 마개구조물
KR200280843Y1 (ko) * 2002-04-10 2002-07-06 정현준 부정주입 방지용 병마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2961A1 (en) * 2006-09-14 2008-03-20 Cj Cheiljedang Corporation Double cap with sealing function
CN101511690A (zh) * 2006-09-14 2009-08-19 Cj第一制糖株式会社 具有密封功能的双盖
CN113804844A (zh) * 2020-06-11 2021-12-17 力合科技(湖南)股份有限公司 采样瓶及采用其的水质在线监管采样装置
CN113804844B (zh) * 2020-06-11 2024-03-15 力合科技(湖南)股份有限公司 采样瓶及采用其的水质在线监管采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8603B1 (en) Container sealing device
US11905078B2 (en) Tamper-evident flip-top closure
KR200304775Y1 (ko) 병마개
JP5447901B1 (ja) 封止部材、封止構造及び遊技機
JP5804831B2 (ja) 二重容器
JP2011073795A (ja) 蓋締め要素
KR101020036B1 (ko) 병마개
WO1991018800A1 (en) A soft drink bottle
RU59539U1 (ru) Пробка-дозатор для бутылки с жидкостью
CN108861023B (zh) 防兜酒瓶盖
KR200437794Y1 (ko) 2단 안전구조를 갖는 음료용기캡
KR200234296Y1 (ko) 이중 병마개에 있어 겉마개의 결속구조
JP3464973B2 (ja) 開封防止リング付きキャップ及びその開閉具
KR200301904Y1 (ko) 병마개
TWI597210B (zh) 瓶塞
KR200410361Y1 (ko) 안전 마개 어셈블리
RU204199U1 (ru) Пробка для бутылки
KR200363544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331113Y1 (ko) 병마개
KR200203047Y1 (ko) 플라스틱 병마개 및 속마개
KR200301401Y1 (ko) 음료용 병구와 병마개
CN1743240B (zh) 瓶盖
KR200224217Y1 (ko) 오픈 체크구조를 갖는 이중 병마개
KR200363542Y1 (ko) 내용물의 위조방지 구조물을 가지는 병조립체
KR100675413B1 (ko)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