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612Y1 - apparatus for adjusting rest angle of a head rest of ch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djusting rest angle of a head rest of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612Y1
KR200304612Y1 KR20-2002-0037112U KR20020037112U KR200304612Y1 KR 200304612 Y1 KR200304612 Y1 KR 200304612Y1 KR 20020037112 U KR20020037112 U KR 20020037112U KR 200304612 Y1 KR200304612 Y1 KR 200304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ost
chair
ge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11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to KR20-2002-0037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61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612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등판의 상부에 결합된 포스트(40)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46)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된 헤드 레스트판(44)을 구비한 의자의 헤드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상단측면에 구비된 방사상의 제1기어치(40c)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제1걸림턱(46c)과, 그 일측에는 상기 제1기어치에 물리는 제2기어치(52b)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제1걸림턱이 걸리는 제2걸림턱(52d)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매개하여 연결하는 매개부재(52)와, 상기 제1, 제2기어치의 물림 및 해제에 따라 상기 매개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매개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재(54)와, 상기 매개부재를 통해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48)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착석자세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간단히 조절함에 의해 헤드 레스트의 높이와 깊이, 위치 및 면의 볼륨감을 변화시켜,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업무착석자세 또는 휴식착석자세 등의 착석자세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지지해 줄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head rest of the chair, the post 4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of the chair, the support frame 46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frame In the head rest of the chair provided with the head rest plate 44, the radial first gear 40c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st, the first locking jaw 46c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A second gear 52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gear, and a second locking jaw 52d on the other side is formed to mediate the post and the support frame. An interlocking member (52)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54) coupled between the intermediary member and the support frame to apply a pressing force for moving the intermediary member according to the biting and releasing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The post through the intermediate member It consists of a connecting means 48 for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in the axial direction, the height and depth of the headrest by simp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sitting posture, position and face By changing the volum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comfortably support the user's head irrespective of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sitting posture, such as sitting posture or resting posture.

Description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rest angle of a head rest of chair}{Apparatus for adjusting rest angle of a head rest of chair}

본 고안은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head rest of the chair.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의자는 등판(2)과 좌판(4)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결합되어 상기 좌판(4)의 하측에는 다리(6)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등판(2)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도록 헤드 레스트(head rest)(8)가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hai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ck plate 2 and the seat plate 4 are jo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legs 6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 plate 4. At the upper side of 2), a head rest 8 is coupled to support the user's head.

상기 좌판(4) 및 등판(2)은 스폰지 등의 쿠션부재가 내장된 외피에 의해 싸여 있으며, 사용자가 스트레칭 등을 하기 위해 등을 뒤로 젖히면 등판(2)이 뒤로 틸팅되는 구조가 많이 개시되어 있다.The seat plate 4 and the back plate 2 are enclosed by an outer shell in which a cushion member such as a sponge is embedded, and many structures are disclosed in which the back plate 2 is tilted backward when the user flips his back to stretch or the like. .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의 자세는 업무착석자세와 휴식착석자세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몸통각을 변화시켜 휴식을 취하게 하며, 상기 헤드 레스트(8)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여 더욱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한다.The posture when the user is sitting in a chair can be divided into a job sitting posture and a rest posture posture, basically changing the torso angle to take a rest, and the head rest 8 supports the user's head for a more comfortable posture. To keep.

그런데, 종래 의자에 결합된 헤드 레스트(8)는 등판(2)에 고정되어 있거나 높이조절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착석자세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게 되어 서로 다른 사용자는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여 착석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headrest 8 coupled to the conventional chair is fixed to the back plate 2 or has only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not adjust the angle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sitting posture, so that different users There was a problem that seating was not possible because of maintaining the optimal state.

즉, 사람마다 머리의 형상도 다르며, 머리의 크기, 머리 뒷부분의 볼륨, 목의 길이 등이 개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편안함을 최대한으로 보장해 줄 수 있는 의자는 등판형상에 대비하여 상대적인 헤드 레스트의 높이와 깊이, 위치 및 면의 볼륨감 등을 바꾸어 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hape of the head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and because the size of the head, the volume of the back of the head, and the length of the neck vary from person to person, the chair that can guarantee maximum comfort is relative height and depth of the headrest relative to the back shape. In other words, the position and volume of the surface need to be chang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착석자세에 따라 헤드 레스트의 각도를 간단히 조절함에 의해 헤드 레스트의 높이와 깊이, 위치 및 면의 볼륨감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meet the necessit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y adjust the angle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sitting position, the height, depth, position of the headrest And to provide an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head rest of the chair that can change the volume of the surface.

도1은 종래 헤드 레스트를 가진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having a conventional headrest,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헤드 레스트를 가진 의자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chair having a headres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head restraint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의 (a) 내지 (c)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헤드 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작동 상태도,Figure 4 (a) to (c) is an operating stat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headres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헤드 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중의 기어치의 물림 및 매개부재의 이동상태도,Figure 5 (a) and (b) is a state of the bite of the gear teeth and the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during adjusting the angle of the headres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ngle adjustment device of the headrest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헤드 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중의 기어치의 물림 및 매개부재의 이동상태도이다.Figure 7 (a) and (b) is a state diagram of the teeth of the gear teeth and the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during adjusting the angle of the headres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 포스트 40c : 제1기어치40: post 40c: first gear

44 : 헤드 레스트판 46 : 지지프레임44: head restraint plate 46: support frame

46c : 제1걸림턱 48 : 연결수단46c: first locking jaw 48: connecting means

52 : 매개부재 52b : 제2기어치52: intermediate member 52b: second gear

52d : 제2걸림턱 54 : 탄성부재52d: second locking jaw 54: elastic member

본 고안은, 의자의 등판의 상부에 결합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된 헤드 레스트판을 구비한 의자의 헤드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상단 측면에 구비된 방사상의 제1기어치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제1걸림턱과, 그 일측에는 상기 제1기어치에 물리는 제2기어치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제1걸림턱이 걸리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매개하여 연결하는 매개부재와, 상기 제1, 제2기어치의 물림 및 해제에 따라 상기 매개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매개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재와, 상기 매개부재를 통해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ad rest of the chair having a post coupled to the top of the back of the chair, a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and a head rest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frame, the top of the post A radial first gear on the side, a first catching jaw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and a second gear biting the first gear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first catching jaw is caught on the other side thereof. A second locking jaw is formed to connect the media member through the post and the support frame, the media member and the pressure to apply a pressing force for moving the media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bite and release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Elastic member coupl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post and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intermediate member It characterized.

한편, 의자의 등판의 상부에 결합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된 헤드 레스트판을 구비한 의자의 헤드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구비된 제1걸림턱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 측면에 구비된 방사상의 제1기어치와, 그 일측에는 상기 제1기어치에 물리는 제2기어치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제1걸림턱이 걸리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매개하여 연결하는 매개부재와, 상기 제1, 제2기어치의 물림 및 해제에 따라 상기 매개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과 상기 매개부재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재와, 상기 매개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head rest of the chair having a post coupled to the top of the back of the chair, a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and a head rest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frame, provided at the top of the post And a first catching jaw, a radial first gea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a second gear biting the first gear on one side thereof, and the first catching jaw is caught on the other side thereof. A second catching jaw is formed and an intermediate member for connecting the post and the support frame,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post to apply a pressing force for moving the intermediate member according to the biting and releasing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An elastic member coupled between the intermediate member, and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upper end of the post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intermediate member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상기 매개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 및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 및 상기 제1기어치와 제2기어치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걸리거나 물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Receiving space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member to accommodate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upper end of the post, and the first catching jaw and the second catching jaw, and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ed gear are accommodated. It is desirable to be caught or pinched in space.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 또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져 수용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r an upper end of the post is formed with a recess groove into which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헤드 레스트를 가진 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12)의 하측에는 의자 다리(14)의 회전축(16)에 틸팅 케이스(18)가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좌판(12)의 후측에는 후술하는 등판 커넥터에 의해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판(20)이 설치되며. 상기 좌판(12)의 양측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 팔걸이(도시안됨)가 설치된다.Figure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air having a headres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the tilting case 18 is fixed to the rotary shaft 16 of the chair leg 14 at the lower side of the seat plate 12, and the rear side of the seat plate 12 is provided with a back connecto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ack plate 20 supporting the back is installed. Both sides of the seat plate 12 is provided with an armrest (not shown)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상기 좌판(12)의 하측 전방에는 제1힌지축(24)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판(12)의 하측 후방에는 제2힌지축(26)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틸팅 케이스(18)의 전방에는 제3힌지축(28)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틸팅 케이스(18)의 후방에는 제4힌지축(30)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축(24)과 제3힌지축(28)은 전방링크(3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힌지축(26)과 제4힌지축(30)은 후방링크(3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좌판(12)과 상기 틸팅 케이스(18)와 상기 전방링크(32)와 후방링크(34)는 기구학적으로 4절링크기구를 이루게 된다.The first hinge shaft 24 is hinged to the lower front of the seat plate 12, the second hinge shaft 26 is hinged to the lower rear of the seat plate 12, and the front of the tilting case 18. The third hinge shaft 28 is hinged to the rear, the fourth hinge shaft 30 is hinged to the rear of the tilting case 18, the first hinge shaft 24 and the third hinge shaft 28 Is connected by the front link 32, the second hinge shaft 26 and the fourth hinge shaft 30 is connected by the rear link 34, the seat plate 12 and the tilting case (18) And the front link 32 and the rear link 34 is a kinematic linkage mechanism is formed.

상기 전방링크(32)와 상기 등판(20)은 등판 커넥터(36)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된다. 상기 등판 커넥터(36)는 상기 전방링크(32)의 상단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1힌지축(24)에 접촉하는 외측부재(도시안됨)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힌지축(24)에 접촉하는 외측부재에는 상기 전방링크(32)의 상단이 고정된다. 상기 등판 커넥터(36)는 상기 제1힌지축(24)에서 의자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좌판을 벗어난 후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등판(20)에 고정된 ┛형의 봉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힌지축(24)의 양측(의자의 폭방향 양측)에 연결된 1개 또는 2개의 봉으로 되어 있다.The front link 32 and the back plate 20 are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back connector 36. The back connector 36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link 32, it is preferably fixed to the outer member (not shown) in contact with the first hinge shaft 24. An upper end of the front link 32 is fixed to the outer member contacting the first hinge shaft 24. The back connector 36 extends from the first hinge shaft 24 to the rear of the chair, leaves the seat plate, is bent upwards, and is a 봉 -shaped rod fixed to the back plate 20, and the first hinge shaft It consists of one or two rods connected to both sides (the width direction both sides of the chair) of (24).

상기 등판(20)의 상부에는 후측으로 지지부(38)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8)에는 포스트(40)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부재(42)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포스트(40)의 상단부에는 헤드 레스트판(44)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6)이 연결수단(48)에 의해 결합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plate 20, the support portion 38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rear side, the post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38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ixed by the fixing member 42, the post 40 The upper end portion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46 for supporting the head rest plate 44 by the connecting means (48).

도3은 상기 포스트(40)의 상단부와 지지프레임(46)의 일단부가 연결수단(48)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post 40 and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46 are coupled by the connecting means 48.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40)는 그 로드부(40a)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머리부(40b)를 이루고, 상기 머리부(40b)의 일측면(또는 양측면)에는 방사상의 제1기어치(40c)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6)은 상기 헤드 레스트판(44)에 결합되는 판 결합부(46a)의 반대측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원통부(46b)를 이루고, 상기 원통부(46b)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띠를 이룬 제1걸림턱(46c)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40)와 상기 지지프레임(46)은, 그 일측에는 상기 제1기어치(40c)에 물리는 제2기어치(52b)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제1걸림턱(46c)이 걸리는 제2걸림턱(52d)이 형성된 매개부재(52)에 의해 매개되어 연결된다. 상기 매개부재(52)와 지지프레임(46) 사이에는 상기 제1, 제2기어치(40c, 52b)의 물림 및 해제에 따라 상기 매개부재(52)를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54)가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40)의 상단부(머리부)와 상기 지지프레임(46)의 일단(원통부)은 매개부재(52)를 통해 상기 연결수단(48)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결된다.As shown, the post 40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rod portion 40a to form the head portion 40b, and radially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head portion 40b. One gear 40c is formed, and the support frame 46 protrude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pposite side end of the plate engaging portion 46a coupled to the head rest plate 44 to form a cylindrical portion 46b.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6b, a first catching jaw 46c having a protruding b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post 40 and the support frame 46 are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second gear 52b biting the first gear 40c and at the other side thereof with the first catching jaw 46c. The second engaging jaw 52d is applied and is connected by the intermediate member 52 formed thereon. An elastic member 54 for applying a pressing force for moving the intermediate member 52 according to the biting and releasing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40c and 52b between the intermediate member 52 and the support frame 46. Is coupled, and the upper end (head) of the post 40 and one end (cylindrical part) of the support frame 46 are axi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48 through the intermediate member 52.

상기 연결수단(48)은 상기 포스트(40)의 머리부에 끼워지는 볼트(56)와, 상기 매개부재(52)와 상기 원통부(46b)의 중앙을 통과한 볼트의 나사부에 상기 원통부 측에서 끼워지는 와셔(58)와, 상기 원통부측에서 상기 볼트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56)는 상기 포스트(40)의 머리부(40b)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수단(48)은 다양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48 has a bolt 56 fitted to the head of the post 40 and a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member 5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6b. Washer 58 to be fitted in, and the nut 60 is screw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on the cylindrical side. The bolt 56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40b of the post 40. The connecting means 48 may be made of various fastening means.

상기 매개부재(52)의 일측면에는 상기 포스트의 머리부(40b) 단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52a)이 파여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치(52b)는 상기 수용공간(52a)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매개부재(52)의 타측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원통부(46b)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52c)이 파여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턱(52d)은 상기 수용공간(52c)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걸림턱(46c)과 제2걸림턱(52d), 및 상기 제1기어치(40c)와 제2기어치(52b)는 상기 수용공간(52a, 52c)내에서 걸리거나 물리게 되어 있는데, 이는 물림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One side of the intermediate member 52 is formed by digging a first accommodation space (52a) for receiving the end of the head portion 40b of the post, the second gear (52b) of the accommodation space (52a) It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the second receiving space (52c) for receiving the cylindrical portion 46b of the support fram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member 52, the second locking jaw (52d) is It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52c. Accordingly, the first catching jaw 46c and the second catching jaw 52d, and the first gear 40c and the second gear 52b are caught or pinched in the accommodation spaces 52a and 52c. This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bite and makes the appearance beautiful.

한편, 상기 제2수용공간(52c)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원통부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54)가 끼워져 수용되는 요입홈(46d :도5에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요입홈(46d)의 반대측면에는 상기 와셔(58) 및 너트(60)를 수용하는 요입홈(46e)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recessed groove 46d (shown in FIG. 5) is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52c to accommodate the elastic member 54. In addition, a concave groove 46e for receiving the washer 58 and the nut 6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cave groove 46d.

상기 탄성부재(54)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다.The elastic member 54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에서, 도4의 (a),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 레스트판(44) 또는지지프레임(46)을 상기 연결수단(48)의 축(볼트)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착석자세에 맞게 조정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46)은 제1, 제2걸림턱(46c, 52d)에 물려 있으므로 지지프레임(46)을 회전시키면 매개부재(52)가 회전된다.In the angle adjustment device of the head re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a), (b), (c), the user is the head rest plate 44 or support The frame 46 is rotated about the axis (bolt) of the connecting means 48,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sitting posture, the support frame 46 is the first, second locking jaw ( 46c and 52d, the intermediate member 52 is rotated when the support frame 46 is rotated.

그리고, 상기 매개부재(52)는 탄성부재(54)에 의해 상기 제1, 제2기어치(40c, 52b)가 밀착하도록 가압되는데, 상기 탄성부재(54)의 가압력을 이기는 힘에 의한 매개부재(52)의 회전에 따라, 제1, 제2기어치의 산과 골이 물리게 되면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상태를 유지하고, 제1, 제2기어치의 산과 산이 물리게 되면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로킹상태를 유지하면서 간헐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원하는 각도로 헤드 레스트판(44)을 회전시킨 후, 상기 로킹상태에서 매개부재(52)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거하면, 상기 헤드 레스트판(44)은 그 각도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edial member 52 is pressed by the elastic member 54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ears 40c and 52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edial member is formed by a force that overcomes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4. As the rotation of 52 rotates, the peaks and valleys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are locked as shown in FIG. 5A, and the peaks and peaks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are pinched. As shown in (b), it rotates intermittently while maintaining an unlocked state. After the head rest plate 44 is rotated at a desired angle, and the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intermediate member 52 in the locked state is removed, the head rest plate 44 is kept at that angle.

한편,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에서, 사용자의 등이 등판(20)을 가압함에 따라 등판 커넥터(36)를 통해 전방링크(32)에 힘이 전달되어, 전방링크(32)는 제3힌지축(28)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틸팅각 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힌지축(24)에 의해 전방링크(32)와 연결된 좌판(12)이 후측 하향으로 당겨지고, 후방링크(34)가 제4힌지축(30)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좌판(12)과 상기 틸팅 케이스(18)와 상기 전방링크(32)와 후방링크(34)에 의해 형성되는 4절링크기구의 평행사변형이 찌그려져 좌판(12) 전체가 후측 하향으로 기울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the user's back presses the back plate 20, a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ront link 32 through the back connector 36, so that the front link 32 has a third hinge shaft ( Rotate clockwise by tilting angle with 28) as the center of rotation. At this time, the seat plate 12 connected to the front link 32 by the first hinge shaft 24 is pulled rearward downward, and the rear link 34 rotates clockwise with the fourth hinge shaft 30 as the pivot center. While the parallelogram of the four-link mechanism formed by the seat plate 12, the tilting case 18, the front link 32, and the rear link 34 is crushed, the entire seat plate 12 is rearward downward. Inclined

따라서, 틸팅시 좌판(12)이 동시에 후측 하향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등판만 틸팅되는 구조에 비해 틸팅으로 인한 경로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등 뒤에 생기는 빈 공간이 작아져, 사용자의 등이 닿는 면적이 많아지고 안락감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의자의 등판이 사용자의 등을 쓸어 올리는 현상(shift pulling)이 생기지 않아서 상의가 위로 쓸려 올라가는 등의 불편함에 제거된다. 또한, 틸팅시 좌판 자체가 뒤로 밀리기 때문에 무릎과 허벅지 사이의 각이 유지되어 오금이 근육이 긴장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ilting of the seat plate 12 at the same time inclined downward downward, the path difference due to the tilting does not occur compared to the structure in which only the back plate is tilted, and the empty space behind the back is small, and the area of the user's back is increased. Not only does the comfort increase, but the back of the chair does not cause a shift pulling, which is eliminated by discomfort such as the top being swept up. In addition, because the seat itself is pushed back when tilting, the angle between the knee and thigh is maintained, thus preventing the hamstrings from straining the muscles.

상기 등판(20)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제3힌지축(28)에 구비된 등판 복원 탄성체에 의해 전방 링크(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등판(20) 및 좌판(12)이 원위치하여 복원된다.When the force for pressing the back plate 20 is removed, the front link 3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back restoring elastic body provided in the third hinge shaft 28 so that the back plate 20 and the seat plate 12 are rotated.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포스트(140) 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146) 측에 기어치가 형성된 구조이다.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head restraint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locking step is formed on the post 140 side, the gear teeth formed on the support frame 146 side.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40)는 그 로드부(140a)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머리부(140b)를 이루고, 상기 머리부(140b)의 단부에는 원통부(140c)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140c)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띠를 이룬 제1걸림턱(140d)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46)은 상기 헤드 레스트판(44 : 도2에 도시)에 결합되는 판 결합부(146a)의 반대측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원통부(146b)를 이루고, 상기 원통부(146b)의 단부 측면에는 방사상의 제1기어치(146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140)와상기 지지프레임(146)은, 그 일측에는 상기 제1기어치(146c)에 물리는 제2기어치(152b)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제1걸림턱(140d)이 걸리는 제2걸림턱(152d)이 형성된 매개부재(152)에 의해 매개되어 연결된다. 상기 매개부재(152)와 포스트의 머리부(140b) 사이에는 상기 제1, 제2기어치(146c, 152b)의 물림 및 해제에 따라 상기 매개부재(152)를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54)가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140)의 상단부(머리부)와 상기 지지프레임(146)의 일단(원통부)은 매개부재(152)를 통해 상기 연결수단(148)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결된다.As shown, the post 140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rod portion 140a to form a head portion 140b, and a cylindrical portion 140c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40b.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40c, a first catching jaw 140d having a protruding b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upport frame 146 is the headrest plate 44. 2 shows a cylindrical portion 146b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pposite side end of the plate coupling portion 146a coupled to the plate coupling portion 146a, and a radial first gear 146c on the end 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46b. ) Is formed. In addition, the post 140 and the support frame 146, the second gear 152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gear 146c,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tching jaw (140d) The second catching jaw 152d is caught and connected by the intermediate member 152 formed.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 pressing force for moving the intermediate member 152 according to the biting and releasing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146c and 152b between the intermediate member 152 and the head 140b of the post ( 154 is coupled, and an upper end (head) of the post 140 and one end (cylindrical part) of the support frame 146 are axi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148 through the intermediate member 152. do.

상기 연결수단(148)은 상기 지지프레임(146)의 원통부 측에서 끼워지는 볼트(156)와, 상기 지지프레임(146)의 원통부 내에 끼워지는 와셔(158)와, 상기 매개부재(152)를 통과하여 상기 포스트(140)의 원통부(140c)에 박히는 나사부에 끼워져 상기 볼트(156)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내삽된 너트(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수단(148)은 다양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148 is a bolt 156 to be fitted at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46, a washer 158 to be fit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46,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52 It is made of a nut 160 inserted into the threaded portion that is passed through the cylindrical portion 140c of the post 140 to prevent the bolt 156 from falling out. The connecting means 148 may be made of various fastening means.

상기 매개부재(152)의 일측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원통부(146b) 단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152a)이 파여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치(152b)는 상기 수용공간(152a)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매개부재(152)의 타측면에는 상기 포스트의 원통부(140c)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152c)이 파여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턱(152d)은 상기 수용공간(152c)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걸림턱(140d)과 제2걸림턱(152d), 및 상기 제1기어치(146c)와 제2기어치(152b)는 상기 수용공간(152a, 152c)내에서 걸리거나 물리게 되어 있는데, 이는 물림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One sid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52 is formed with a first receiving space 152a for receiving an end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146b of the support frame, the second gear 152b is the receiving space 152a It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second sid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52, the second receiving space (152c) for receiving the cylindrical portion 140c of the post is dug, the second catching jaw (152d) is It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52c. Accordingly, the first catching jaw 140d and the second catching jaw 152d, and the first gear 146c and the second gear 152b are caught or bitten in the accommodation spaces 152a and 152c. This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bite and makes the appearance beautiful.

한편, 상기 제2수용공간(152c)에 삽입되는 상기 포스트의 원통부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54)가 끼워져 수용되는 요입홈(140e : 도7에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치(146c)의 반대측면에는 상기 와셔(158) 및 볼트(156)의 머리를 수용하는 요입홈(146d : 도7에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recess groove 140e (shown in FIG. 7) is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post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52c to accommodate the elastic member 154. In addition, an indentation groove 146d (shown in FIG. 7) for receiving the head of the washer 158 and the bolt 156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gear 146c.

상기 탄성부재(154)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다.The elastic member 154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에서, 사용자가 헤드 레스트판(44 :도2에 도시) 또는 지지프레임(146)을 상기 연결수단(148)의 축(볼트)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착석자세에 맞게 조정하게 되는데, 상기 매개부재(152)와 포스트의 원통부(140c)는 제1, 제2걸림턱(140d, 152d)에 의해 물려 있으므로, 지지프레임(146)을 상기 탄성부재(154)의 가압력을 이기는 힘으로 회전시키면, 제1, 제2기어치의 산과 골이 물리게 되면 도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상태를 유지하고, 제1, 제2기어치의 산과 산이 물리게 되면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로킹상태를 유지하면서 간헐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원하는 각도로 헤드 레스트판(44)을 회전시킨 후, 상기 로킹상태에서 지지프레임(146)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거하면, 상기 헤드 레스트판(44)은 그 각도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e angle adjustment device of the head res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has the head rest plate 44 (shown in Figure 2) or the support frame 146 to the axis of the connecting means 148 By rotating around the center, i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seating posture, the intermediate member 15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140c of the post is bitten by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140d, 152d). Therefore, when the support frame 146 is rotated with a force that overcomes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54, when the peaks and valleys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are bitten, the locking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When the mountain and the mountain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are bitten, they rotate intermittently while maintaining the unlocked state as shown in FIG. After the head rest plate 44 is rotated at a desired angle, and the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support frame 146 in the locked state is removed, the head rest plate 44 is kept at that angle.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착석자세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간단히 조절함에 의해 헤드 레스트의 높이와 깊이, 위치 및 면의 볼륨감을 변화시켜,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업무착석자세 또는 휴식착석자세 등의 착석자세에 관계없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head rest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head res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sitting posture, the height and depth of the head rest, the position and the volume of the surface change, the user Regardless of your physical condition, your job posture, or your sitting posture, you should be able to relax.

Claims (4)

의자의 등판의 상부에 결합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된 헤드 레스트판을 구비한 의자의 헤드 레스트에 있어서,In the head rest of the chair having a post coupled to the top of the back of the chair, a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and a head rest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frame, 상기 포스트의 상단 측면에 구비된 방사상의 제1기어치와,A radial first gear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post;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제1걸림턱과,A first catching jaw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그 일측에는 상기 제1기어치에 물리는 제2기어치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제1걸림턱이 걸리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매개하여 연결하는 매개부재와,A second gea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gear and a second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ocking jaw to connect the post and the support frame to each other; 상기 제1, 제2기어치의 물림 및 해제에 따라 상기 매개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매개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재와,An elastic member coupled between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support frame to apply an urging force to move the intermediate member according to the biting and releasing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상기 매개부재를 통해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And a connecting means for axiall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post and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through the intermediate member. 의자의 등판의 상부에 결합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된 헤드 레스트판을 구비한 의자의 헤드 레스트에 있어서,In the head rest of the chair having a post coupled to the top of the back of the chair, a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and a head rest pl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frame,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구비된 제1걸림턱과,A first catching jaw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ost;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 측면에 구비된 방사상의 제1기어치와,Radial first gea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그 일측에는 상기 제1기어치에 물리는 제2기어치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제1걸림턱이 걸리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매개하여 연결하는 매개부재와,A second gea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gear and a second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ocking jaw to connect the post and the support frame to each other; 상기 제1, 제2기어치의 물림 및 해제에 따라 상기 매개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과 상기 매개부재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재와,An elastic member coupl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post and the intermediate member to apply an urging force to move the intermediate member according to the biting and releasing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상기 매개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An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headrest of th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upper end of the post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intermediate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매개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 및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upper end of the post,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 및 상기 제1기어치와 제2기어치는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걸리거나 물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And the first catching jaw and the second catching jaw, and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are caught or pinch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 또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져 수용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One end of the support fram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r the upper end of the post is an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head rest of th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groov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elastic member.
KR20-2002-0037112U 2002-12-12 2002-12-12 apparatus for adjusting rest angle of a head rest of chair KR20030461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112U KR200304612Y1 (en) 2002-12-12 2002-12-12 apparatus for adjusting rest angle of a head rest of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112U KR200304612Y1 (en) 2002-12-12 2002-12-12 apparatus for adjusting rest angle of a head rest of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612Y1 true KR200304612Y1 (en) 2003-02-17

Family

ID=4940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112U KR200304612Y1 (en) 2002-12-12 2002-12-12 apparatus for adjusting rest angle of a head rest of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612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096B1 (en) 2011-09-20 2014-07-25 주식회사 청목코리아 Elastic displacement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chair
KR101976002B1 (en) * 2018-07-28 2019-05-08 주식회사 삼정에스브이씨 Auxiliary backrest with angle adjustable armrest
KR102455129B1 (en) * 2022-05-24 2022-10-18 주식회사 메이트 Chair equipped with back tilting control means
KR102455133B1 (en) * 2022-05-24 2022-10-18 주식회사 메이트 Chair equipped with back tilting control means
KR20230036652A (en) * 2021-09-08 2023-03-15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The bath chair with easy-to-adjust backrest ang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096B1 (en) 2011-09-20 2014-07-25 주식회사 청목코리아 Elastic displacement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chair
KR101976002B1 (en) * 2018-07-28 2019-05-08 주식회사 삼정에스브이씨 Auxiliary backrest with angle adjustable armrest
KR20230036652A (en) * 2021-09-08 2023-03-15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The bath chair with easy-to-adjust backrest angle
KR102540144B1 (en) 2021-09-08 2023-06-05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The bath chair with easy-to-adjust backrest angle
KR102455129B1 (en) * 2022-05-24 2022-10-18 주식회사 메이트 Chair equipped with back tilting control means
KR102455133B1 (en) * 2022-05-24 2022-10-18 주식회사 메이트 Chair equipped with back tilting control me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7353B2 (en) back support
EP1800565B1 (en) Back rest tilting device in reclining chair
JP5279190B2 (en) Massage chair
WO2007021005A1 (en) Chair
WO2009061204A1 (en) Device for chair
KR200304612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rest angle of a head rest of chair
KR101839782B1 (en) Device for tilting the lumbar support of chair seat back
JP2006296960A (en) Chair having massage function
CN111839868B (en) Light cervical collar and application
KR102100599B1 (en) Fowed slope device and the folding chair having the same transformed into a shape suitable for various bodies
KR20110022040A (en) Chair with tiltable backrest
KR20040049039A (en) a tilting chair
KR102002423B1 (en) A inversion apparatus having chair function
KR200304613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rest angle of a head rest of chair
KR200490892Y1 (en) Chair back tilt device adjusted with body pressure
KR101071022B1 (en) Headrest
EP1675544B1 (en) Apparatus, bed and method for displacing a recumbent person to a sitting position
KR102210240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chair backrest tilting with elasticity control
EP0502792B1 (en) Corset forming a seat for disabled person, in particular for child
KR200315975Y1 (en) apparatus for forward locking of a tilting chair
KR102104759B1 (en) Seat for angle-adjustable chair that can maintain posture only in lumbar spine
KR920008380Y1 (en) Couch for transforming a sitting posture
JP2003126172A (en) Wheelchair
KR0117302Y1 (en) Chairs with changeable inclination system
KR100202065B1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