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531Y1 - Chair - Google Patents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531Y1
KR200304531Y1 KR20-2002-0034727U KR20020034727U KR200304531Y1 KR 200304531 Y1 KR200304531 Y1 KR 200304531Y1 KR 20020034727 U KR20020034727 U KR 20020034727U KR 200304531 Y1 KR200304531 Y1 KR 200304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ottom plate
support
plate
upper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7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병배
Original Assignee
박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배 filed Critical 박병배
Priority to KR20-2002-0034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53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531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0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wood or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detachable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대, 피아노 또는 거실의 보조 의자와 같은 목재 의자에 있어 목재의 부드러운 질감과 견고함을 추고하면서도 특히 상부 외곽면을 폭 넓게 형성하여 고급스러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실내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oden chair such as a dressing table, a piano, or an auxiliary chair in a living room. It is about an indoor chair made to be.

본 고안은 상부 쿠션재의 외곽에 일정한 넓이를 갖는 목재 테두리를 형성하여 쿠션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넓은 목재 면에 의하여 고급스러운 실내 의자를 제공하고, 4개소의 다리 상부에 각 다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저판을 통판으로 형성하여 연결 횡간을 사용치 하니하고도 견고하며 특히 횡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견고한 실내 의자를 제공하며, 상부 쿠션재와 그 외곽의 목재 테두리 사이를 이격하여 내장하므로 상부 쿠션에서 전달되는 횡 방향의 하중을 차단시켜 테두리의 이완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실내 의자를 제공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ooden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to prevent breakage of the cushion while providing a luxurious interior chair by a wide wooden surface, and a bottom plate that firmly fixes each leg to the top of four legs. It is formed as a board and uses a connecting transverse to provide a strong interior chair, especially for lateral loads, and built-in spaced between the upper cushion material and the wooden edges of the outer side, so that the transverse direc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pper cushion. To provide an indoor chair configured to cut off the load of the rim to prevent loosening of the rim,

단면 형상 "ㄱ"자를 이루며 장방형을 이루는 상부 테두리 부재(10)와, 상기 상부 테두리 부재 내부 공간으로 부분 매입하며 좌석을 이루는 상부 쿠션재(20)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지지목(32)을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 부재(10)의 하부로 매입하는 저판(34)과, 저판의 모서리 하부로 4개의 다리(36)를 나사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체(30)로 이루어 상기 지지체(30)의 저판(34) 외곽에 상기 상부 테두리 부재(10)를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 부재(10)의 중앙에 상부 쿠션재(20)를 매입하여 지지체(30)의 저판(34)을 관통하여 상부 쿠션재(20)에 내장된 판재(22)에나사(40)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의자.An upper rim member 10 forming a cross-sectional shape “a” and forming a rectangle, an upper cushion member 20 partially seated in the upper rim member inner space and forming a seat, and a thick plate and supporting wood 32 on the upper portion. A bottom plate 34 formed of a bottom plate 34 for coupling to the bottom of the edge member 10 and a support 30 formed by screwing four legs 36 into the lower edge of the bottom plate. 34) The upper edge member 10 is coupl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cushion member 20 is embedded in the center of the edge member 10 to penetrate the bottom plate 34 of the support 30 to the upper cushion member 20. Indoor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40 is fastened to the built-in plate (22).

Description

실내 의자{Chair}Indoor Chair {Chair}

본 고안은 실내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대, 피아노 또는 거실의 보조 의자와 같은 목재 의자에 있어 목재의 부드러운 질감과 견고함을 추고하면서도 특히 상부 외곽면을 폭 넓게 형성하여 고급스러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실내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oden chair such as a dressing table, a piano, or an auxiliary chair in a living room. It is about an indoor chair made to be.

일반적으로 화장대 등에 사용되는 실내 의자는 앉는 좌석의 쿠션을 고려하여 직물재로 덮어 마감한 상부 쿠션재와 하부에 4개의 지지 다리를 포함하는 격자형태의 지지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an indoor chair used in a dressing table or the like is composed of a lattice-type support structure including an upper cushioning material covered with a fabric material and four supporting legs at a lower side in consideration of a cushion of a seating seat.

도 1에 종래 기술에 의하여 주로 사용되어온 실내 의자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n indoor chair mainly used by the prior art.

이는 실내 사용에 따른 질감을 위하여 주로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에 4개의 다리(52)와 각 다리의 내향 양측면으로 요홈부(54)를 파내어 형성하고, 상기 요홈부에 매입 고정되도록 양단에 돌부(58)를 형성하여 연결 횡간(56)을 이루어 상기 4개의 다리(52) 사이를 상기 연결 횡간(56)으로 끼워 고정하여 격자 형태를 이루고 각 횡간 사이를 사면(斜面)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지지대(60)로서 지지체(50)를 이루고 있으며, 상부 쿠션(70)은 내장된 판재에 쿠션재를 얻어 그 외곽을 직물재로 덮어씌워 마감하여 이루어 상기 지지체(50) 상부에 얻어 지지대(60)를 관통하는 나사못으로 상부 쿠션(70)의 내장 판재에 결합하여 이루어져 있다.It is mainly made of wood for the texture according to the indoor use and formed by digging the groove portion 54 in the lower side of the four legs 52 and both inward sides of each leg, and the protrusions 58 at both ends so as to be embedded in the groove portion. A support 60 for forming a lattice shape and connecting the four legs 52 by the connecting transverses 56 to form a lattice shape and connecting and reinforcing each of the transverses with a slope. The upper cushion 70 is obtained by cushioning the built-in plate and covered with a fabric to finish the outer cushion 70, and the upper cushion 70 is obtained on the support 50, the screw penetrating the support 60 It is made by coupling to the built-in plate of the upper cushion (70).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실내 의자는 상부 쿠션(70)이 지지대(50)의 상부 표면적과 동일하거나 그 외곽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마련되므로 의자를 사용함에 있어 쿠션재의 측면이 기물의 표면에 부딧치는 것에 의하여 파손되어 조기에 손상됨을 피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지지체(50)는 요홈부(54)에 끼워 결합되는 연결 횡간(56)의 돌부(58)가 다리의 외곽으로의 확장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없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제조 과정에서는 아교와 같은 접착제를 발라 끼워 결합하지만 아교는 동절기와 같은 저온 상태에서는 급속하게 굳어 견고한 접착을 유지하지못하고 쉽게 이탈되는 단점이 있어 견고하지 못하므로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제품의 불량 원인이 된다.In the conventional indoor chair mad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ushion 70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r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support 50, so that the side of the cushion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in using the chai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nevitable to be damaged by early damage, the support 50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58 of the connecting transverse 56, which fits into the recess 54, to be firmly supported against the extension of the legs. The glue is glued and glued togeth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ut glue is rapidly hardened at low temperature conditions such as winter and does not maintain strong adhesion and is easily detached. It may cause the defect of the product.

또한, 지지대(60) 역시 연결 횡간(56)에 대하여 사면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서 의자에 가해지는 횡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쉽게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를 이룸으로 의자를 사용하다 보면 다리가 벌어져 심한 유격이 발생하고 의자가 횡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60 also has a structure coupled to the slope between the connecting transverse 56, so that the chair can be easily dropped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load applied to the chair, so that the legs are wide open when using the chai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lay occurs and the chair mov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실내 의자가 같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indoor chair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object.

본 고안은 상부 쿠션재의 외곽에 일정한 넓이를 갖는 목재 테두리를 형성하여 쿠션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넓은 목재 면에 의하여 고급스러운 실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uxurious interior chair with a wide wooden surface while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cushion by forming a wooden border having a constant width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cushion material.

본 고안은 4개소의 다리 상부에 각 다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저판을 통판으로 형성하여 연결 횡간을 사용치 하니하고도 견고하며 특히 횡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견고한 실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ottom plate that firmly secures each leg to the four legs, and uses a connecting plate to provide a strong indoor chair, which is particularly robust against cross loads.

본 고안은 상부 쿠션재와 그 외곽의 목재 테두리 사이를 이격하여 내장하므로 상부 쿠션에서 전달되는 횡 방향의 하중을 차단시켜 테두리의 이완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실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chair made of a space between the upper cushion member and the outer wooden rim so as to block the transvers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cushion to prevent relaxation of the rim.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단면 형상 "ㄱ"자를 이루며 장방형을 이루는 상부 테두리 부재와, 상부 테두리 부재 내부 공간으로 부분매입하며 좌석을 이루는 상부 쿠션재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 상부에 지지목을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 부재의 하부로 매입하는 저판, 저판의 모서리 하부로 4개의 다리를 나사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체로 이루어 지지체의 저판 외곽에 상기 상부 테두리 부재를 결합하고, 테두리 부재의 중앙에 상부 쿠션재를 매입하여 지지체의 저판을 관통하여 상부 쿠션재에 내장된 판재에 나사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cross-sectional shape "a" and forming a rectangular upper rim member, the upper cushion member to be partially embedded into the upper rim member inner space and forming a seat, a support plate made of a thick plate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cushion member in the center of the frame member, and the upper plate to the outer edge of the base plate of the support plate consisting of a support plate formed by screwing the four legs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the bottom plate to be bo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member, It is made by screwing the plate through the bottom plate of the support and embedded in the upper cushion material.

도 1은 종래 실내 의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indoor chair.

도 2는 본 고안의 실내 의자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테두리 부재 20 : 상부 쿠션재10: edge member 20: upper cushion material

22 : 판재 30 : 지지체22: plate 30: support

32 : 지지목 34 : 저판32: support wood 34: bottom plate

36 : 다리 38 : 단턱36: leg 38: step

39, 40 : 나사39, 40: screw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지 다리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체와 지지체의 상부에 쿠션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실내 의자에 있어서, 단면 형상 "ㄱ"자를 이루며 장방형을 이루는 상부 테두리 부재(10)와, 상부 테두리 부재 내부 공간으로 부분 매입하며 좌석을 이루는 상부 쿠션재(20)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지지목(32)을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 부재(10)의 하부로 매입하는 저판(34), 저판의 모서리 하부로 4개의 다리(36)를 나사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체(30)로 이루어 상기 지지체(30)의 저판(34) 외곽에 상기 상부 테두리 부재(10)를 결합하고, 테두리 부재(10)의 중앙에 상부 쿠션재(20)를 매입하여 지지체(30)의 저판(34)을 관통하여 상부 쿠션재(20)에 내장된 판재(22)에 나사(40) 체결하여 이루어진다.An indoor chair comprising a lower support including a support leg and a cushioning material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wherein the upper rim member 10 forms a cross-sectional shape “a” and forms a rectangle, and the seat is partially embedded into the upper rim member inner space. An upper cushion member 20 forming a thick plate and a bottom plate 34 which is formed of a thick plate and couples the support wood 32 to the upper portion and is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member 10, four legs 36 at the lower edge of the bottom plate. The upper edge member 10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plate 34 of the support body 30, and the upper cushion member 20 is embedded in the center of the edge member 10. It is made by fastening the screw 40 to the plate member 22 embedded in the upper cushion member 20 through the bottom plate 34 of the support 30.

상기 지지체(30)의 다리는 저판(34)의 모서리로부터 3~5mm 외곽으로 돌출시켜 단턱(38)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나사(39)로 결합하여 이루어 이 단턱(38)에 상기 테두리 부재(10)의 하부가 탑재되어 지지하도록 이룬다.The leg of the support 30 is formed by engaging with a plurality of screws 39 to protrude 3 to 5 mm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34 to form a step 38. The lower part of) is mounted and supported.

한편, 상기 테두리 부재는 높이 약 60mm, 상부 폭 약 30mm 정도를 이루는 단면 형상 "ㄱ"자를 이루는 것으로서 약 10mm 정도의 MDF 판재를 직교하도록 접합하여 이루고 장방형의 격자를 이루도록 양단을 45도 모따기 접합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rim member is formed by forming a cross-sectional shape "a" of about 60mm in height, about 30mm in the upper width by orthogonally joining the MDF plate material of about 10mm and 45 degrees chamfered joining both ends to form a rectangular lattice. .

물론 사각 목재를 이용하여 단면 형상 "ㄱ"가 되도록 가공하여 이루어질 수 도 있으나 미려한 표면 처리와 후가공의 작업 공수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MDF 판재를 절단 접합하여 이루는 것이 더욱 더 효과적이며 견고하다.Of course, it can be made by processing the cross-sectional shape "a" using square wood, but in order to reduce the workmanship of beautiful surface treatment and post-processing, it is more effective and robust to cut and join the MDF plate.

상기 테두리 부재(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와 상부 폭을 갖는 장방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일부 매입되어 탑재되는 상부 쿠션재(20)와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며 이 공간은 상부 쿠션재(20)의 판재(22)와 저판(34)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목(32)을 다수 내장하여 지지케 하므로서 지지목이 스폐이서로서 기능하므로 그 높이를 높게하더라도 쿠션재(20)의 두께를 지나치게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중량이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한다.Since the frame member 10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mber having a constant height and an upper width as described above, a space is generated between the upper cushion material 20 that is partially embedded and mounted, and the space is formed of the upper cushion material 20. Since the support wood functions as a spacer while supporting a plurality of support woods 32 supporting the plate 22 and the bottom plate 34, it is necessary to form the thickness of the cushion material 20 too thick even if the height thereof is high. It prevents the weight from becoming heav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의 실내 의자는 상부 쿠션재(20) 외곽에 일정한 넓이를 갖는 목조 테두리를 형성하므로서 그 미감이 매우 고급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고, 테두리 부재(10)와 상부 쿠션재(20)는 작은 간극으로 이격되어 각각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하중 특히 횡방향의 하중이 테두리 부재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The indoor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can maintain a very high quality of the aesthetics by forming a wooden frame having a certain area on the outside of the upper cushion material 20, the edge member 10 and the upper cushion material (20) ) Are fixed to be spaced apart by a small gap, so that the user's load, especially the transverse load, is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edge member.

또한, 지지체(30)를 이루는 다리(36)는 비교적 두꺼운 저판(34)에 다수의 나사(39)로 체결되므로 다리가 파손되지 않는한 사용에 의한 유격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의자가 좌우로 유동됨을 확실하게 방지한다.In addition, since the legs 36 constituting the support 30 are fastened with a plurality of screws 39 to the relatively thick bottom plate 34, no play is caused unless the legs are damaged, so that the load is firmly supported. Make sure that the chair does not move from side to side.

한편, 상기 테두리 부재(10)는 지지체(30)의 다리(36)를 외곽으로 돌출시켜 결합한 단턱(38)에 탑재되어 지지되며 저판(34)에 끼워 고정하므로 사용중 테두리 부재(10)에 횡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저판(34)의 바깥둘레 면과 밀착되어 있으므로 인해 테두리 부재의 파손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member 10 is mounted on and supported on the stepped jaw 38 protruding the leg 36 of the support body 30 to the outside and is fixed to the bottom plate 34 so as to be transverse to the frame member 10 in us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4 because it is in close contact due to the damage of the frame member is prevented.

상기 테두리 부재(10)는 저면 하부로부터 상 방향으로 저판(34)에 이르도록 체결못으로 결합하여 이루는 경우 더욱 견고한 구조를 이룰수 있고 체결못은 통상의 타카핀으로 결합하여 이룰수 있다.When the frame member 10 is combined by a fastening nail to reach the bottom plate 34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a more rigid structure can be achieved, and the fastening nail can be achieved by combining with a conventional takapin.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부 쿠션재의 외곽에 일정한 넓이를 갖는 목재 테두리를 형성하여 쿠션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넓은 목재 면에 의하여 고급스러운 미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4개소의 다리 상부에 각 다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저판을 통판으로 형성하여 연결 횡간을 사용치 하니하고도 견고하며 특히 횡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견고한 효과가 있으며, 상부 쿠션재와 그 외곽의 목재 테두리 사이를 이격하여 내장하므로 상부 쿠션에서 전달되는 횡 방향의 하중을 차단시켜 테두리의 이완을 방지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견고함을 유지 할 수 있는 여러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 매우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luxurious aesthetic by the wide wood surface while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cushion by forming a wooden border having a certain width on the outer edge of the upper cushion material, the upper four legs The bottom plate that firmly secures each leg to the board is formed by the board, which makes it more effective to use the connecting transverse.It is particularly effective against the load in the transverse direction.It is built between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and the outer wooden edges. By blocking the transvers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cushion to prevent the loosening of the rim is a very excellent design with a number of practical effects that can be maintained even after long-term use.

Claims (3)

지지 다리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체와 지지체의 상부에 쿠션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실내 의자에 있어서,An indoor chair comprising a cushioning material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lower supporter and a supporter including a support leg, 단면 형상 "ㄱ"자를 이루며 장방형을 이루는 상부 테두리 부재(10)와,An upper edge member 10 forming a cross-sectional shape “a” and forming a rectangle; 상기 상부 테두리 부재 내부 공간으로 부분 매입하며 좌석을 이루는 상부 쿠션재(20)와,An upper cushion member 20 partially embedded in the upper edge member inner space and forming a seat;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지지목(32)을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 부재(10)의 하부로 매입하는 저판(34)과, 저판의 모서리 하부로 4개의 다리(36)를 나사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체(30)로 이루어 상기 지지체(30)의 저판(34) 외곽에 상기 상부 테두리 부재(10)를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 부재(10)의 중앙에 상부 쿠션재(20)를 매입하여 지지체(30)의 저판(34)을 관통하여 상부 쿠션재(20)에 내장된 판재(22)에 나사(40)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의자.Support plate made of a thick plate and the support plate 32 is coupled to the upper and the bottom plate 34 to be buri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im member 10 and the four legs 36 screw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 The upper frame member 10 is coupled to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plate 34 of the support body 30, and the upper cushion member 20 is embedd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member 10 to form the bottom plate of the support body 30. Indoor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40 is fastened to the plate member 22 embedded in the upper cushion member 20 through the 3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0)의 다리는 저판(34)의 모서리로부터 3~5mm 외곽으로 돌출시켜 단턱(38)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나사(39)로 결합하여 이루어 이 단턱(38)에 상기 테두리 부재(10)의 하부가 탑재되어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의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g of the support 30 is formed by combining with a plurality of screws 39 to protrude 3 ~ 5mm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34 to form a step 38 to the step 38 Indoor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member 10 is mounted to sup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부재(10)는 상기 상부 쿠션재(20)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간극을 유지하고, 저면 하부로부터 상 방향으로 저판(34)에 이르도록 체결못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의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im member 10 is maintained by a gap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ushion material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nail is formed so as to reach the bottom plate 34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bottom bottom Chair made with.
KR20-2002-0034727U 2002-11-20 2002-11-20 Chair KR20030453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27U KR200304531Y1 (en) 2002-11-20 2002-11-20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27U KR200304531Y1 (en) 2002-11-20 2002-11-20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531Y1 true KR200304531Y1 (en) 2003-02-15

Family

ID=4933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727U KR200304531Y1 (en) 2002-11-20 2002-11-20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53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509399A (en) Lounge chair
KR200304531Y1 (en) Chair
WO2006044546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handles in furniture
US20020148043A1 (en) Mattress support system
KR200415689Y1 (en) Multipurpose table with exchangeable leg
KR20120014697A (en) Table
KR102165893B1 (en) A variable type module sofa leg
US20210235878A1 (en) Eco-friendly breathable rattan bed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20100007971U (en) A prefabricated desk
KR200456261Y1 (en) Knockdown bed
KR200459619Y1 (en) Fabricated chair
KR200288622Y1 (en) Buffering member used for connecting portion comprised of plate and column of furniture
CN211483722U (en) Soft package bed
CN216797115U (en) Sofa armrest structure
US4917439A (en) Chair incorporating improved chairback support structure
CN204169433U (en) A kind of brown canopy bed
JP2000283125A (en) Joining structure of tenon frame assembly
CN217379643U (en)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wood floor
KR200331217Y1 (en) Supperter of a bed
KR200367613Y1 (en) Supporter for mattress
KR200360857Y1 (en) A structure for prefab table
KR19990024265A (en) Mat Mat Frame
KR960001433Y1 (en) Bamboo furniture
KR200321844Y1 (en) a chair
KR200309750Y1 (en) A tempered glass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