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479Y1 - A large size charnel - Google Patents

A large size char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479Y1
KR200304479Y1 KR20-2002-0034083U KR20020034083U KR200304479Y1 KR 200304479 Y1 KR200304479 Y1 KR 200304479Y1 KR 20020034083 U KR20020034083 U KR 20020034083U KR 200304479 Y1 KR200304479 Y1 KR 200304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illars
circumferential wall
stone
ossu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0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숙자
Original Assignee
김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숙자 filed Critical 김숙자
Priority to KR20-2002-0034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47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479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기둥석과 그 사이에 다수의 개폐문 및 다수의 벽체로 이루어진 둘레벽체가 구비된 대형의 납골묘를 제공함으로서 여러 가족의 문중 납골묘로 사용될 수 있는 대형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전, 후방 석대와 양 측대로 구성되며 전, 후방 폭보다 양측 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된 기초석과, 상기 기초석의 상면에 올려지는 평판형상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모서리부에는 모서리 기둥석이 세워져 있으며 전, 후방 양측 모서리 기둥석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기둥석이 세워져 있고 전방의 다수 기둥석들의 사이에는 2개소 이상의 개폐문이 구비되어 있으며 다수의 개폐문을 제외한 상기 모서리 기둥석과 기둥석들의 사이에는 석벽체가 설치되어 구성된 둘레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유골 안치장, 및 상기 둘레벽부의 상단에 올려지는 지붕석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crypt, which can be used as a crypt of a family of families by providing a large crypt of gravel having a plurality of pillars and a circumferential wall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ening doors and a plurality of walls. A base stone composed of both sides and having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both front and rear widths, a flat pedestal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stone, and corner pillars are erected at the corners of the pedestal, and both front and rear sides A plurality of pillars are erected at intervals between corner pillars, and two or more opening doors are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pillars in front, and a stone wall is installed between the corner pillars and pillar stones except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A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and a plurality of ashe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Venee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of consists of slate to be placed on top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Description

대형 납골묘{A large size charnel}A large size charnel}

본 고안은 대형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기둥석과 그 사이에 다수의 개폐문 및 다수의 벽체로 이루어진 둘레벽체가 구비된 대형의 납골묘를 제공함으로서 여러 가족의 문중 납골묘로 사용될 수 있는 대형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crypt, more specifically, a large crypt that provides a large crypt and a circumferential wall made up of a plurality of pillars and a plurality of opening doors and a plurality of walls therebetween. It is about the ossuary.

일반적으로 납골묘라 함은, 돌아가신 분의 유골이 담겨진 유골함을 안치시키는 것으로서,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사용 중에 있는데, 통상적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납골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general, the ossuary grave is to settle the ashes containing the ashes of the deceased, and various kinds are known and in use.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납골묘는, 지면에 올려지는 기초석과 이 기초석의상면에 올려지며 단일의 개폐문을 가지는 둘레석과 둘레석의 상부를 막는 지붕석판으로 구성된다.The crypt is generally known to be composed of a foundation stone placed on the ground, a circumferential stone having a singl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a roof slab block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tone.

그리고 상기 둘레석의 내부에는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안치실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And the inside of the periphery is to be equipped with a settling chamber so as to place the ashes.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납골묘를 사용할 경우에는 둘레석의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개폐문의 개폐를 통해 유골함을 안치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using the ossuary grav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place the ashes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perimeter ston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납골묘의 내부에는 단일의 안치실을 가지고 있고 이 안치실에는 단일의 개폐문을 가짐에 따라서, 안치실의 공간이 협소하여 많은 유골함의 안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ossuary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a single settling chamber and this settling chamber has a single opening and closing door, the space of the settling chamber has a narrow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settle many ashes.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납골묘는 한 가족의 납골묘로는 사용은 가능하나, 안치실의 공간이 너무 협소하여 여러 가족들을 모두 안치하는 문중의 납골묘로는 부적합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That is, the ossuary grave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the ossuary graves of a family, but the space of the mortuary is too narrow to have a problem that the ossuary graves of the families enshrining various families are inadequate.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납골묘의 기초석을 전, 후방 폭보다 양측 폭을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하여 둘레벽부에는 다수의 개폐문을 구비함으로서, 납골묘의 내부공간을 최대화하는 대형 납골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ase stone of the crypt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width of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width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doors on the circumferential wall, large crypts to maximize the internal space of the crypt It is intended to provide.

또한 납골묘의 내부공간을 개폐문에 따라 구획함으로서 하나의 납골묘에 여러 가족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안치실이 구비되는 납골묘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by divid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ossuary gravel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there is also an object to provide the ossuary grave which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mortuary chambers so that several families can be placed in one ossuary grave.

또 상기 안치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체를 미닫이 형식으로 구성하여 안치실의 내부에서 여러 안치실 사이를 사용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object to configure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settling chamber in a sliding form so that the user can enter between the various settling chambers inside the settling chamber.

또 상기 안치실의 전, 후방에 다수의 통풍구를 설치함으로서, 안치실의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막아 유골이 부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openings in front of the rear chamber, there is also an object to prevent the corruption of the ashes to prevent moisture from getting inside the chamber.

또 상기 통풍구에 별도의 망을 설치하여 곤충들이 안치실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eparate net in the vent there is a purpose to prevent insects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morgu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 후방 석대와 양 측대로 구성되며 전, 후방 폭보다 양측 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된 기초석과, 상기 기초석의 상면에 올려지는 평판형상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모서리부에는 모서리 기둥석이 세워져 있으며 전, 후방 양측 모서리 기둥석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기둥석이 세워져 있고 전방의 다수 기둥석들의 사이에는 2개소 이상의 개폐문이 구비되어 있으며 다수의 개폐문을 제외한 상기 모서리 기둥석과 기둥석들의 사이에는 석벽체가 설치되어 구성된 둘레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유골 안치장, 및 상기 둘레벽부의 상단에 올려지는 지붕석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stone is composed of the front, rear and both sides of the side and the length of the width of both sides than the front, rear width relatively longer, and the plate-shaped pedestal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tone And, corner pillars are erected at the corners of the pedestal, and a plurality of pillars are erected at intervals between the front and rear corner pillars, and two or more opening and closing doors ar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ront pillars. Between the corner pillars and the pillar stones except for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is installe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sh studs provided inside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and the roof slabs are mounted on the top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도 1은 본 고안의 납골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ssuary gra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납골묘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ssuary gra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도 4는 도 2의 B-B부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embodiments of the ossuary gra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획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artitio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획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artitio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기초석1: Basic Stone

2 : 받침대2: pedestal

3 : 둘레벽부3: circumferential wall

31 : 모서리 기둥석31: corner pillar

32 : 기둥석32: pillar stone

33 : 개폐문33: opening and closing door

34 : 석벽체34: stone wall

4 : 유골 안치장4: ashes stud

5 : 지붕석판5: roof slabs

51 : 하측석판51: lower slab

52 : 공간부52: space part

53 : 상측석판53: upper slab

6 : 구획벽체6: partition wall

61 : 미닫이문61: sliding door

62 : 여닫이문62: swing door

7 : 전방 통풍구7: front vent

8 : 후방 통풍구8: rear vent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납골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납골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yp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yp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납골묘는, 전, 후방 석대와 양 측대로 구성되며 전, 후방 폭보다양측 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된 기초석(1)과, 상기 기초석의 상면에 올려지는 평판형상의 받침대(2)와, 상기 받침대의 모서리부에는 모서리 기둥석(31)이 세워져 있으며 전, 후방 양측 모서리 기둥석(31)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기둥석(32)이 세워져 있고 전방의 다수 기둥석(32)들의 사이에는 2개소 이상의 개폐문(33)이 구비되어 있으며 다수의 개폐문(33)을 제외한 상기 모서리 기둥석(31)과 기둥석(32)들의 사이에는 석벽체(34)가 설치되어 구성된 둘레벽부(3)와, 상기 둘레벽부(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유골 안치장(4), 및 상기 둘레벽부(3)의 상단에 올려지는 지붕석판(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ossuary grav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front and rear stone bars and both sides, and a base stone 1 having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both front and rear widths, and a flat pedestal 2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stone. And, corner pillars 31 are erected at the corners of the pedestal, and a plurality of pillars 32 are erected at intervals between the front and rear both corner pillars 31, and a number of pillars 32 at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having two or more opening / closing doors 33 and between the corner pillars 31 and the pillars 32 except for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33. (3), and a plurality of bone studs (4)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3, and a roof slab (5)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3).

그리고 상기 지붕석판(5)은, 상기 둘레벽부(3)의 상단에 올려지며 사이에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하측석판(51)과, 상기 공간부(52)를 막으며 상기 하측석판(51)의 단부 상단에 올려지는 다수의 상측석판(53)으로 구성된다.The roof slab 5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 and has a plurality of lower slabs 51 having a space therebetween, and the lower slabs 51 blocking the space 52.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pper slabs 53 ar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end.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납골묘를 사용할 경우에는 납골묘의 기초석(1)을 전, 후방 폭보다 양측 폭을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하여 둘레벽부(3)에는 다수의 개폐문(33)을 구비함으로서 납골묘의 내부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ossuary grave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one 1 of the ossuary gravel is configured with both widths relatively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3 has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33 so that The internal space can be maximized.

즉 상기 개폐문(33)이 여러 개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납골묘 내부의 안치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3 is provided in plural,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ettled space inside the ossuary.

그러므로 안치실이 협소한 납골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여러 가족전체의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는 문중전체의 납골묘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narrow ossuary in the mortuary, and to enable the use of the entire ossuary of the musculature to enshrine the remains of the whole family.

그리고 상기 안치실이 대형화됨으로서, 둘레벽부(3)를 구성하는 기둥석을 다수로 하며 이에 따라 각 기둥석에 세워지는 석벽체를 다수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둘레벽부(3)의 내부공간이 확장됨으로서 그 상부를 덮는 지붕석판(5)도 다수의 석판으로 구성함으로서 확장된 안치실의 상부를 마감하는 것이다.And as the settling chamber is enlarged, the number of pillars constituting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3 is large, thereby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stone walls erected in each pillar. In addition, as the inner sp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art 3 is expanded, the roof slab 5 covering the upper part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slabs to close the upper part of the expanded settling chamber.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상기 개폐문(33)은, 상, 하부에 위치되는 상, 하 받침석(331,332)과, 상, 하 받침석(331,332)에 양측으로 힌지를 통해 개폐되는 양 개폐석판(333)으로 구성된다.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3 is opened and closed by hing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pedestals 331 and 332 and the upper and lower pedestals 331 and 332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It is composed of an opening and closing seat 333.

따라서 상기 양 개폐석판(333)을 양쪽으로 개방시킴으로서 안치실의 내부로 사용자가 드나들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enter into the interior of the settling chamber by opening both the opening and closing seats 333 to both sides.

도 4는 도 2의 B-B부 단면도로서, 상기 상 받침석(331)과 상 받침석(331)과 마주보는 후방 석벽체(34)의 상부에는 망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 후방 통풍구(7,8)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B portion of FIG. 2, wherein the front and rear vent holes 7 and 8 including a net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stone wall 34 facing the upper and lower seats 331 and 331. It is provided.

상기 전방 통풍구(7)는 다수의 홀로 구성된 전방 다수홀(71)과 그 후방에 설치되어 관통되는 단일홀(72) 및 상기 전방 다수홀(71)과 단일홀(72) 사이에 장착되는 망(7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front vent 7 is a front hole (7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oles and a single hole 72 installed through the through and a network mounted between the front hole (71) and the single hole 72 ( 73).

상기 후방 통풍구(8)는 단일의 홀(81)과 이 홀(81)의 후방을 커버하는 망(821)이 포함되는 캡(82)으로 구성된다The rear vent 8 is comprised of a cap 82 including a single hole 81 and a web 821 covering the rear of the hole 81.

따라서 상기 전, 후방 통풍구(7,8)을 통해 안치실의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막아 유골이 부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통풍구에 별도의 망을 설치하여 곤충들의 안치실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front and rear vents (7, 8) can prevent the ashes from decaying by preventing moisture from getting inside the morgue, and by installing a separate net in the vents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morgue It is.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둘레벽부(3)의 내부에는 다수의 개폐문(33) 사이를 구획하여 하나의 개폐문(33) 마다 구획공간이 구비될 수 있도록 구획벽체(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avel gr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so as to partitio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33 in the interior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 for each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33 (5) is provided.

따라서 하나의 납골묘에 여러 가족을 안치할 수 있는 다수의 안치실이 구비되는 납골묘를 제공함으로서, 각 가족이 다른 가족과 구별되게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by providing the ossuary grave which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mortuary chambers to house several families in one ossuary grave, each family can be placed in the ashes distinguished from other families.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획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구획벽체(6)는 개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미닫이 문(61)으로 구성된다.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artitio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6 is composed of a pair of sliding doors 61 to be openable.

따라서, 상기 구획벽체(6)를 미닫이문(61)으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대형의 안치실 내부의 각 공간을 사용자가 안치실 내부에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서 안치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configuring the partition wall 6 to be opened by the sliding door 61,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the settling chamber by allowing the user to move freely inside the settling chamber.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획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구획벽체(6)는 개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여닫이 문(62)으로 구성된다.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artitio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6 is composed of a pair of swing doors 62 to be openable.

따라서, 상기 구획벽체(6)를 여닫이문(62)으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대형의 안치실 내부의 각 공간을 사용자가 안치실 내부에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서 안치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configuring the partition wall 6 to be opened by the swing door 62,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the chamber by allowing the user to freely move the space inside the large chamb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납골묘의 기초석을 전, 후방 폭보다 양측 폭을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하여 둘레벽부에는 다수의 개폐문을 구비하여 납골묘의 내부공간을 최대화함으로서, 여러 가족들의 유골함을 함께 안치할 수 있는 문중 납골묘로 사용이 가능한 대형 납골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foundation stone of the ossuary gravel relatively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to maximize the internal space of the ossuary gravel, so that the remains of several families together It is to have an effect that can provide large crypts that can be used as crypts.

또한 하나의 납골묘에 여러 가족을 안치할 수 있는 다수의 안치실이 구획되게 구비함으로서 각 가족들의 독립된 안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대형 납골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large ossuary grave that can provide an independent settlement space for each family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hambers in which one family can be housed in one ossuary.

또 상기 안치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체를 미닫이 형식으로 구성하여 안치실의 내부에서 여러 안치실 사이를 사용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여러 안치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settling chamber is configured in a sliding form to allow a user to enter and exit between the various settling chambers in the interior of the settling chamber,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anage the various settling chambers.

또 상기 안치실의 전, 후방에 다수의 통풍구를 설치하여 안치실의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막아 유골이 부패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서, 안치실 내부에서 악취 등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vents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chamber, by preventing moisture from getting inside the chamber to prevent the bones from decay, there is also an effec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dors in the interior of the chamber.

또 상기 통풍구에 별도의 망을 설치하여 곤충들의 안치실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예방함으로서, 곤충 등으로 인한 안치실 내부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eparate net in the ventilation hole to prevent the insects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chamb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interior of the chamber due to insects and the like.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 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laims (8)

전, 후방 석대와 양 측대로 구성되며 전, 후방 폭보다 양측 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된 기초석(1)과,Base stone (1) consisting of the front and rear stools and both sides, the base stone (1) consisting of a relatively longer length of both sides than the front, rear width, 상기 기초석의 상면에 올려지는 평판형상의 받침대(2)와,A plate-shaped pedestal 2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tone, 상기 받침대의 모서리부에는 모서리 기둥석(31)이 세워져 있으며 전, 후방 양측 모서리 기둥석(31)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기둥석(32)이 세워져 있고 전방의 다수 기둥석(32)들의 사이에는 2개소 이상의 개폐문(33)이 구비되어 있으며 다수의 개폐문(33)을 제외한 상기 모서리 기둥석(31)과 기둥석(32)들의 사이에는 석벽체(34)가 설치되어 구성된 둘레벽부(3)와,Corner pillars 31 are erected at the corners of the pedestal, and a plurality of pillars 32 are erected at intervals between the front and rear both corner pillars 31, and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pillars 32. Two or more opening and closing doors 33 are provided therebetween, and a circumferential wall part 3 in which stone walls 34 are installed between the corner pillars 31 and the pillar stones 32 except for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33. )Wow, 상기 둘레벽부(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유골 안치장(4), 및A plurality of ash rests 4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part 3, and 상기 둘레벽부(3)의 상단에 올려지는 지붕석판(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납골묘.Large gravel grave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oof slab (5) is placed on the top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 제 1항에 있어서, 둘레벽부(3)의 내부에는 다수의 개폐문(33) 사이를 구획하여 하나의 개폐문(33) 마다 구획공간이 구비될 수 있도록 구획벽체(6)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납골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rtition wall 6 is further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part 3 so as to partitio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33 so that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33 is provided. Large ossuary grav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체(6)는 개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미닫이 문(6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납골묘.3. The large crypt of claim 2, wherein the partition wall (6) consists of a pair of sliding doors (61) to enable opening.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체(6)는 개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여닫이 문(6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납골묘.3. The large ossuary gravel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tion wall (6) consists of a pair of swinging doors (62) to enable opening.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석판(5)은, 상기 둘레벽부(3)의 상단에 올려지며 사이에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하측석판(51)과, 상기 공간부(52)를 막으며 상기 하측석판(51)의 단부 상단에 올려지는 다수의 상측석판(5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납골묘.5. The roof slab 5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of slab 5 is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 and a plurality of lower slabs 51 having a space therebetween. Large crypt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lurality of upper slabs (53) to be blocked on the space 52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lab (5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33)은, 상, 하부에 위치되는 상, 하 받침석(331,332)과, 상, 하 받침석(331,332)에 양측으로 힌지를 통해 개폐되는 양 개폐석판(33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납골묘.According to claim 5,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3, the upper and lower pedestals 331,332 positioned in the upper and lower, and the upper and lower pedestals (331,332) to both opening and closing seats 333 t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hinge to both sides. Large ossuary gra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 받침석(331), 및 상 받침석(331)과 마주보는 후방 석벽체(34)의 상부에는, 망을 포함하는 전, 후방 통풍구(7,8)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납골묘.The upper and rear ventilating holes 7 and 8 including a net ar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base stone 331 and the upper side stone wall body 34 facing the upper base stone 331. Large ossuary grav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통풍구(7)는 다수의 홀로 구성된 전방 다수홀(71)과 그 후방에 설치되어 관통되는 단일홀(72) 및 상기 전방 다수홀(71)과 단일홀(72) 사이에 장착되는 망(73)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 통풍구(8)는 단일의홀(81)과 이 홀(81)의 후방을 커버하는 망(821)이 포함되는 캡(8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납골묘.8. The front vent hole (7)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ront vent hole (7) comprises a front hole (7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oles, a single hole (72) installed through the rear part, and the front hole (71) and a single hole (72). It is composed of a net (73) mounted between, the rear vent 8 is composed of a cap (82) including a single hole (81) and a net (821) covering the rear of the hole (81). A large ossuary tomb characterized by.
KR20-2002-0034083U 2002-11-14 2002-11-14 A large size charnel KR2003044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83U KR200304479Y1 (en) 2002-11-14 2002-11-14 A large size char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83U KR200304479Y1 (en) 2002-11-14 2002-11-14 A large size char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479Y1 true KR200304479Y1 (en) 2003-02-15

Family

ID=4940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083U KR200304479Y1 (en) 2002-11-14 2002-11-14 A large size char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47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39Y1 (en) * 2011-10-31 2013-10-17 서우석 Fe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39Y1 (en) * 2011-10-31 2013-10-17 서우석 F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3313A (en) Mini Storage silo
JPH07103717B2 (en) Grave
JPH102006A (en) Fence structure of building
KR200304479Y1 (en) A large size charnel
JP3995875B2 (en) Grave
KR200227287Y1 (en) A prefabricated stone charnel house
KR200297904Y1 (en) A tomb
KR200172541Y1 (en) A prefabricated charnel house
KR200291918Y1 (en) A charnel house
KR200304427Y1 (en) the hiding style ventilation apparatus of a stone charnel house
JP3221709U (en) Osteonal bed
KR200356593Y1 (en) a Tomb with a Possible Ventilation
KR100402655B1 (en) A charnel house
KR200250573Y1 (en) A Charnel House with Traditional House Style Roof
KR200243313Y1 (en) columbarium grave
KR200250729Y1 (en) charnel grave for preventing dew forms
JP3145400U (en) Screen door
KR200272711Y1 (en) Charnel
KR200347929Y1 (en) ventilating device of a charnel house
KR100588236B1 (en) ventilating device of a charnel house
KR200179334Y1 (en) Burial type tomb with a charnel room
JP2691338B2 (en) Tomb
KR100379364B1 (en) Family charnel tomb
KR100643772B1 (en) Vault
KR200329435Y1 (en) squarespinningwheelstone charneltom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