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189Y1 - Bracket - Google Patents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189Y1
KR200304189Y1 KR20-2002-0021483U KR20020021483U KR200304189Y1 KR 200304189 Y1 KR200304189 Y1 KR 200304189Y1 KR 20020021483 U KR20020021483 U KR 20020021483U KR 200304189 Y1 KR200304189 Y1 KR 200304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racket
frames
coupled
right an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4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근준
Original Assignee
이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준 filed Critical 이근준
Priority to KR20-2002-0021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18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189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들을 단부에서 타부재의 면에 수직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프레임들을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cket that makes it easy to join the frames perpendicularly to the face of the other member at the end, or to join the fram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술한 브라켓(Bracket)은, 측부면 면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만큼 돌설된 리브를 가지는 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두께 및 폭을 가지는 '┑'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리브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두 개의 외측면의 각각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로 파여져서 상기 두개의 면이 만나는 외측모서리에서 서로 직각으로 연통되는 수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described bracket is for assembling a frame having ribs protruding by a certain h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and has a '┑'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the ribs of the frame are each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two outer surfaces that mee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has a receiving groove which is dug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mmunicate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t the outer edge where the two surfaces meet do.

Description

브라켓{Bracket}Bracket {Bracket}

본 고안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을 서로 수직으로 결합함은 물론, 프레임을 타 부재의 면상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cket that facilitates vertically coupling the frame on the surface of the other member, as well as the frame is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종래 기술에서 창틀, 문틀 등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합금 등의 금속 프레임 및 브라켓으로 조립구성되는 구조체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prior art, the window frame, door frame, etc. are generally formed of a structure that is assembled from metal frames and brackets, such as aluminum and stainless alloys.

상술한 창틀, 문틀 등의 구조체는, 프레임들이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가 다수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부에서 프레임들이 동일 면상에서 서로 직각으로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의 마무리면을 45도로 경사지게 절단한 후, 각각의 마무리면을 맞닿게 하고,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고정 형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window frame, the door frame,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are formed in which the frames are coupl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after cutting the finishing surface of the frame to be inclined at 45 degrees so that the frames can be coupl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Each of the finishing surfaces abuts, and is fixed through fasteners such as bolts.

또한, 프레임의 측 면상에서 타 프레임의 단부를 수직으로 부착하는 경우에는, 용접에 의한 융착후 융착 부위를 연마하거나, 각각의 프레임의 접촉면을 서로 대응되는 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가공하여 끼워 맞추어지도록 조립하는 공정이 널리 사용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vertically attaching the end of the other frame on the side of the frame, after welding by fusion, the fusion site is polished, or the contact surface of each frame is processed to fit so that grooves and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itted. The assembly process is widely used.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는 과정에 의한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과정은, 구조체의 조립을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면을 45도로 절단하거나, 끼워 맞추어지기 위한, 홈 및 돌출부의 형성을 위한 선 가공 작업을 필요로 하게되어, 구조체의 조립작업을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rame structure by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for the assembly of the 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the grooves and protrusions, as described above, to cut or fit the end surface to 45 degrees, or to f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requires a line machining work, cumbersome assembly of the structure.

또한, 용접에 의한 융착 고정은, 항상 용접을 위한 도구로서, 전기용접기, 산소용접기 등을 구비하여야 하며, 용접후 용접 부위를 고르게 하기 위한 연마 과정을 더 수행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fusion fixing by welding should always be equipped with an electric welding machine, an oxygen welding machine, etc., as a tool for welding, and has a problem of further performing a polishing process to evenly weld the welding site.

상술한 문제점에 더하여, 종래에는 생산현장에서 창틀, 문틀 등의 사각틀 구조체를 완전 조립한 후, 완전 조립된 구조체를 벽체 개구부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완전 조립된 사각틀체 상태의 창틀을 운반하게 되면 운반도중 충격 등으로 인하여 결합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파손될 염려가 있게된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fter fully assembling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such as a window frame and a door frame at a production site, the fully assembled structure is installed in a wall opening, and thus, when the window frame in a fully assembled rectangular frame state is transported, it is impacted during transportation. Due to the like, not only the bonding strength is lowered, but also the breakage may occur.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창틀, 문틀 등의 구조체를 이루는 프레임들을 조립함에 있어, 상기 프레임들을 서로 직각이 이루도록 결합되기 위한 선 가공 작업을 수행함이 없이 프레임 부재들을 용이하게 서로 직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설치된 프레임 조립 구조체를 생산현장에서 미리 조립하여 운반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설치 현장에서 프레임 부재들을 이용하여 구조체를 직접 조립과 동시에 설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in assembling the frames constituting the structure of the window frame, door frame, etc., performs a line machining operation for combining the frames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Without this, the frame members can b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and the frame assembly structure installed is not assembled and transported in advance at the production site. Instead, the frame members are directly assembled and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si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cket which can be installed at a place.

도1은, 본원 고안에 따르는 브라켓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a는, 상기 도1의 브라켓의 측면도,Figure 1a is a side view of the bracket of Figure 1,

도2는, 상기 도4의 브라켓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의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configured to be assembled by the bracket of Figure 4,

도2a는, 도2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는 프레임의 단면도,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FIG.

도3은, 도1의 브라켓에 의하여 도2 및, 도2a의 프레임이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rames of FIGS. 2 and 2A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by the bracket of FIG. 1;

도3a는, 도1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된 프레임들이 타부재의 면상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3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frames joined by the bracket of FIG. 1 are coupled to a surface of another member;

도4는, 본원 고안의 또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브라켓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는, 도4의 브라켓의 측면도,Figure 4a is a side view of the bracket of Figure 4,

도4b는, 도4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는 브라켓의 평면도,4B is a plan view of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FIG. 4;

도4c는, 도4 및 도4b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는 프레임의 일 실시 예로서의 프레임의 단면도,Figure 4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as an embodiment of the frame coupled by the bracket of Figures 4 and 4b,

도4d는, 도4 및 도4b의 브라켓에 의하여 도4c의 프레임이 수직으로 조립되어타부재의 면상에 부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사시도,4D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rame of FIG. 4C is vertically assembled by the brackets of FIGS. 4 and 4B and is attached on the surface of the other member;

도5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을 가지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는 프레임의 결합구성도이다.5 is a coupling configuration diagram of a bracket hav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rame coupled by the bracket.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3, 60, 60a : 브라켓3, 60, 60a: bracket

61 : 수용홈61: receiving home

23, 54, 51, 54b : 프레임23, 54, 51, 54b: fram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고안의 브라켓은,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두 개의 면과, 상기 두개의 면이 직각을 이루며 만나는 모서리가 위치하는 내부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면 각각의 중앙에서 모서리에 수직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수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racke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erpendicular to the corners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two surface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two sid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e interior where the corners mee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브라켓은 상기 수용홈의 폭에 대응되는 두께의 판형부재가 각각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경우, 두 개의 판형부재를 동일면 상에서 모서리가 맞닿도록 함으로서, 판형부재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결합시키거나, 프레임에 상술한 수용홈의 폭에 대응되는 리브가 형성된 경우, 서로 다른 프레임의 리브 각각이 상기 수용홈에 각각 삽입 고정됨으로서, 두 개의 프레임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bracke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plate-shaped members having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s, the two plate-shaped memb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rners on the same surface, so that the plate-shaped member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lternatively, when ribs corresponding to the widths of the accommodation grooves are formed in the frame, the ribs of the different frames are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s, respectively, so that the two frames may be coupl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본원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을 가지는 브라켓은, 프레임의 단부에 접하는 영역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체결구가 상기 구멍을 통해 결합됨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단부가 접하는 영역 이외의 면상에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하여 타부재의 면에 고정 부착됨으로서 상기 프레임들을 서로 직각이 되도록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을 타 부재의 면상에 수직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rackets hav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rame, the fastener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frame by being coupled through the hole,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end of the frame is in contact In addition, at least one hole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is fixed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ther member by a fastener, so that the frames are join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or the frame is vertically coupled on the surface of the other member. .

본원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을 가지는 브라켓은, 내부가 빈 파이프형이며 양단부가 관통되고 일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까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프레임의 관통된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단면과 일치되는 단면을 가지며 , 길이방향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돌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돌출 구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면상에서 90도로 꺽여짐으로서, 전체의 모양이 L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L 자의 양 단부 각각이 서로 다른 프레임의 관통된 단부에서 프레임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서 동일면 상에서 두개의 프레임이 서로 90도를 이루며 결합된다.Brackets hav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ipe is hollow so that both ends are penetrated and one sid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rame at the penetrated end of the frame is formed cut to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cross section that is consistent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configur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through the incision, 90 degrees on the surface on which the protrusion is formed By bending, the shape of the whole has L shap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The bracket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orming two frames 90 degrees with each other on the same surface by inserting and coupling the two ends of the L-shaped portions into the inside of the frame at the penetrating ends of the different frames.

이하, 본원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고안의 브라켓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브라켓의 정면도이고, 도1a는, 상기 도1의 브라켓의 좌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is a left side view of the bracket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브라켓(60)은 직각을 이루는 적어도 두개의 면을 가지며, 각각의 면상에는 일정 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된 것으로서, 도1a에서같이 일정 두께 및 폭을 가지는 '┑'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브라켓(60)에서 270도 각을 이루는 브라켓(60)의 외부면의 중앙위치에는 일정 깊이의 수용홈(61)이 일 단부는 브라켓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타 단부는 브라켓의 측부면 상에서 관통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61)은 도1a의 A 방향 각각의 면(65)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술한 수용홈(61)의 깊이와 내부의 위치가 도1a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술한 브라켓(60)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61)을 지나서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1a의 도면에 상기 체결공(62)이 도시되어 있다.As shown, the bracke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two sides forming a right angle, and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each side, as shown in Figure 1a to a certain thickness and width Branch has a '┑' shape, the receiving groove 61 of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60 that forms an angle of 270 degrees in the bracket 60, one e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side the bracket The other ends are respectively formed to penetrate on the side surface of the bracket. The receiving groove 61 is formed at the center of each surface 65 of the A direction in Fig. 1A. The depth and the position of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61 described above are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62 penetrating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61 may be formed at the side surface of the bracket 60, and the fastening holes 62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 of FIG. 1A.

도2내지 도2a는 상술한 도1의 브라켓(60)에 의하여 결합되는 프레임(53)의 일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to 2A are diagram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a frame 53 coupled by the bracket 60 of FIG. 1 described above.

도2내지 도2a에 도시된 프레임은, 도1의 브라켓(60)에 의하여 서로 직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일정두께와 폭을 가지며, 일측모서리 또는 양 측 모서리 전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리브(57)가 형성되어 단면이 'ㄷ' 형상을 가진다.2 to 2a are configured to be assembl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by the bracket 60 of FIG. 1, and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are unifor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edge or both edges. A rib 57 protruding by the length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

상기 프레임(54)에 구성된 각각의 리브(57)가 브라켓(60)에 구성된 두개의수용홈 각각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서, 서로 다른 두개의 프레임이 브라켓(60)에 의하여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다. 상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리브(57)의 두께는 수용홈(61)의 폭과 같으며, 그 돌출 길이는 수용홈(61)의 깊이와 같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rib 57 of the frame 54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each of the two receiving grooves of the bracket 60, so that two different frames are join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by the bracket 60. For the above-mentioned coupling, the thickness of the ribs 57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61, the protruding length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equal to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61.

도2a는 도2의 프레임(54)의 변형된 실시 예로서, 도2의 'ㄷ' 단면을 가지는 프레임에서 'ㄷ'자의 리브(57)의 측부면에서 돌출부(56)가 길이방향을 따라 더 형성된다. 상술한 돌출부(56)의 단부에는 도2a의 프레임이 문틀을 이루는 경우, 개폐되는 문짝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생길 수 있는 틈을 메우기 위한 실링부재(56b)가 삽입되는 홈(56a)이 또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돌출부(56)는 프레임(54a)이 수직프레임으로 사용되어 수직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지지력을 높이는 기능을 더 갖는다.FIG. 2A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frame 54 of FIG. 2, in which the protrusions 56 are fur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ide surfaces of the ribs 57 of the letter 'C' in the frame having the cross-section of FIG. 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above-mentioned protrusion 56, a groove 56a into which the frame of FIG. It can be formed as.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56 further has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supporting force when the frame 54a is used as a vertical frame and receives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술한 실링부재(56b)의 일 실시예로는, 식모되는 다수의 식모부재(56d)와 프레임(51)의 홈(56a)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식모부재(56d)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어 ''단면을 가지는 식모부재지지구(56c)로 구성된다. 식모부재(56d)가 구비된 식모부재지지구(56c)가 프레임(51)의 홈(56a)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서 프레임(54a)과 타부재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고, 방풍, 방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sealing member 56b, a plurality of planting members 56d to be planted and grooves 56a of the frame 51 are inserted and fixed, and the planting member 56d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 Is composed of a hair transplant member support 56c having a cross section. The planting member support 56c with the planting member 56d is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groove 56a of the frame 51 to block a gap between the frame 54a and the other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inflow of dust. Windproof, soundproof function can be performed.

도3은, 도1의 브라켓에 의하여 도2 및, 도2a의 프레임이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술한 브라켓 및 프레임으로서 조립 구성된 구조체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3a는, 도2 및 도2a의 프레임들이 도1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된 후 타부재의 면상에 부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기 구조체의 부분 사시도이다.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constructed as the above-described bracket and frame showing that the frames of FIGS. 2 and 2A are coupl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by the bracket of FIG. 1, and FIG. 3A is a view of FIGS.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frames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another member after they are joined by the bracket of FIG. 1.

도2 및 도2a의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54,54a)의 리브(57)는 도1 및 도1a의 브라켓(60)에 형성된 수용홈(61)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돌출 형성되어, 두개의 프레임(54,54a)에 구성된 리브(57)가 도3 에서와 같이 브라켓(60)의 수용홈(61)에 각각 삽입되고, 체결구(35)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서 두개의 프레임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조립된다. 리브(57)가 프레임(54)의 양측에 형성되는 경우 리브(57)사이의 폭은 브라켓(60)의 수용홈(61)에 리브(57)가 삽입되는 경우 수용홈(61)에 리브가(57)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되지 않은 타 리브(57)가 브라켓(60)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ibs 57 of the frames 54 and 54a having the structures of FIGS. 2 and 2a are protruded and have the same length as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61 formed in the bracket 60 of FIGS. 1 and 1a. The ribs 57 formed on the frames 54 and 54a of the plurality of ribs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s 61 of the bracket 60 as shown in FIG. 3, and fixed by the fasteners 35 so that the two fram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assemble. When the ribs 57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54, the width between the ribs 57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ribs 57 when the ribs 57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s 61 of the bracket 60. 57) It is preferable that the rib 57, which is not inserted so that it can be completely inserte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racket 60.

도3의 과정에 의해서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두개의 프레임(53)은 이후 목재 기둥, 벽체 등의 타부재의 면상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도3a는 상술한 부착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3에 의해서 브라켓(60)과 선택적으로 체결구(35)에 의하여 직각으로 결합된 구조체는 프레임(54,54a)의 단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구(35)에 의하여 목재 기둥, 벽 등의 타부재의 면상에 부착될 수 있다.The two frames 53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by the process of FIG. 3 may then be fixed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other members such as wooden columns, walls, and the like. Figure 3a shows the attachment proces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3A, the structure coupled at right angles to the bracket 60 and, optionally, by the fasteners 35 by FIG. 3 has a plurality of fasteners 35 passing through the cross sections of the frames 54, 54a. It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ther member, such as wooden pillars, walls.

도4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브라켓의 평면도이고, 도4a는, 도4의 브라켓의 측부모서리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4b는, 도4의 변형된실시 예에 따르는 브라켓의 평면도이고, 도4c는, 도4 내지 도4b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는 프레임의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edge surface of the bracket of Figure 4, Figure 4b, of the bracket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Figure 4 4C is a sectional view of the frame joined by the brackets of FIGS. 4 to 4B.

본원 고안의 실시 예로서 도4 내지 도4b에 도시된 브라켓(3,3a)은 직사각형의 강판 부재로 구성된다. 브라켓(3,3a)의 세로(폭)길이는 결합되는 프레임의 단부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브라켓(3,3a)의 가로길이는 결합되는 프레임의 단면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브라켓(3, 3a)에 의하여 조립되는 프레임의 단부면이 접하는 중앙의 일정 영역과 중앙의 영역의 양측부 영역에 체결구(35)가 삽입되는 다수의 구멍(31,33)이 형성된다. 상술한 브라켓(3,3a)의 세로 길이 및 가로길이는 프레임의 단부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s 3 and 3a shown in Figs. 4 to 4b are constituted by rectangular steel plate members. The length (width) of the brackets 3 and 3a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r length of the end of the frame to be joined, and the length of the brackets 3 and 3a is the width or leng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rame to be joined. A plurality of holes 31 and 33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and in which the fasteners 35 are inserted into both side regions of the center and a predetermined region in contact with the end faces of the frame assembled by the brackets 3 and 3a. ) Is formed. The vertical length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brackets 3 and 3a described above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of the ends of the frame.

상기 브라켓(3,3a)의 일면이 프레임의 단부에 접촉 위치되고, 프레임과 맞닿는 중앙의 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31,33)들을 통해 체결구(35)가 삽입되어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서, 브라켓(3)이 프레임의 단부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브라켓(3)이 프레임의 단부에 접하는 면의 대향면이 타 부재의 면상에 부착되고, 브라켓의 양측부면 또는 일 측부면 상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체결구가 삽입되어 타 부재의 면상에 고정됨으로서, 브라켓(3)에 부착된 프레임을 타 프레임의 측부 또는 목재기둥, 벽체 등을 포함하는 타 부재의 면상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게된다.One surface of the brackets 3 and 3a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rame, and the fasteners 35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rame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31 and 33 formed in a central area in contact with the frame. (3)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frame. Next,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where the bracket 3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rame is attached on the surface of the other member, and the fastener is inserted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r one side surface of the bracket to form the other member. By being fixed on the surface of the bracket 3, the frame attached to the bracket 3 can be fixedly vertical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other frame or to the surface of the other member including a wooden column, a wall, and the like.

또한, 상술한 프레임의 내부가 빈 파이프 형인 경우, 상술한 프레임의 단부면이 접하는 브라켓(3,3a)의 중앙영역의 각 꼭지점에는 브라켓(3,3a)이 프레임의단부에 위치되는 경우 프레임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프레임의 내부면과 접촉됨으로서, 체결구(35)에 의하여 고정되기 이전에 프레임의 단부면 상에서 브라켓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고정 후에는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돌기(3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32)는 브라켓(3)의 일부가 절개되어 돌출되도록 꺽여져 구성되는 것으로서 선택적 구성요소이다.In addition, when the inside of the frame is an empty pipe type, when the brackets 3 and 3a are located at the end of the frame at each vertex of the center region of the brackets 3 and 3a that the end faces of the fram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the projection 32 to prevent the bracket from flowing on the end surface of the frame before being fixed by the fastener 35 and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after the fixing is provided. Can be further formed. The protrusion 32 is an optional component that is configured to be bent so that a portion of the bracket (3) is cut out to protrude.

도4b의 브라켓(3a)은 도4의 브라켓의 변형된 실시 예로서, 도4의 브라켓(3)이 특정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경우, 브라켓(3)의 일 측부가 프레임의 단부영역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bracket 3a of FIG. 4B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bracket of FIG. 4. When the bracket 3 of FIG. 4 is coupled to the end of a specific frame, one side of the bracket 3 protrudes out of the end region of the frame. This is to avoid.

상술한 도4 내지 도4b에 도시된 브라켓(3,3a)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의 일 실시 예로서의 프레임(23)의 단면도가 도4c에 도시되어 있다.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23 as one embodiment of the frame that can be coupled by the brackets 3, 3a shown in Figs. 4-4B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4C.

도4c에 도시된 프레임(23)은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파이프 내부에서 하나의 대향되는 각각의 면에는 체결구(35)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23a)이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술한 프레임의 단면은 사각형, 원통형 등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으며, 본원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사각형으로 도시하였다. 프레임(23)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공(23a)의 측부에는 체결구(35)가 체결공(23a)에 삽입되는 경우 느슨해지도록 벌어짐으로서 체결공(2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절개부(23c)가 실시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23 shown in FIG. 4C has a hollow pipe structure, and a fastening hole 23a for inserting and fastening the fastener 35 into each of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pipe is provided in the pipe. I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ross-section of the above-described fram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rectangle, a cylindrical shap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 rectangle. In the side of the fastening hole (23a) formed in the frame 23 is a cutout to prevent the fastening hole (23) from being broken by opening to loosen when the fastener 35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a) ( 23c) may be selectively formed according to the practitioner.

상기 프레임(23)의 일 측면상에는 프레임이 벽체 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는경우 고정력을 크게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톱니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돌출 형성된 프레임지지돌기(23d)가 선택적으로 더 구성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frame 23, a frame support protrusion 23d protruding with a sawtooth-shaped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when the frame is attached or inserted into a wall or the like. have.

도4d는, 도4내지 도4b의 브라켓에 의하여 도4c의 프레임이 수직으로 조립되어 타부재(2)의 면상에 부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사시도,4D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rame of FIG. 4C is vertically assembled by the brackets of FIGS. 4-4B and is attached on the surface of the other member 2;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3a)의 일면은 하나의 프레임(23)의 단부(24)에 접하게 되고, 체결구(35)가 브라켓(3)에 형성된 구멍(31)을 관통하여 프레임(23) 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23a)에 결합됨으로서 브라켓(3,3a)이 프레임(23)의 단부(24)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23)의 단부(24)에 고정된 브라켓(3)은 타 프레임(23)의 외부측면(a) 또는 타부재(2)의 하부면(b) 등의 면에 접하게 되고, 체결구(35)가 브라켓(3)에 형성된 구멍(33)을 통해 프레임(23)의 외부측면(a) 또는 타부재(2)의 하부면(b)등에 고정됨으로서, 프레임(23)들이 서로를 어긋남이 없이 동일면상에서 서로 직각으로 조립되거나, 프레임(23)을 타부재(2)의 하부면(b) 등의 면(a,b) 상에서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D, one surface of the brackets 3 and 3a is in contact with the end 24 of one frame 23, and the fastener 35 is provided with a hole 31 formed in the bracket 3; The brackets 3 and 3a are fixed to the ends 24 of the frame 23 by being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s 23a formed in the frame 23. The bracket 3 fixed to the end 24 of the frame 23 is in contact with a surface such as an outer side surface a of the other frame 23 or a lower surface b of the other member 2, and a fastener As the frame 35 is fixed to the outer side a of the frame 23 or the lower face b of the other member 2 through the hole 33 formed in the bracket 3, the frames 23 are shifted from each other. Without this, it is assembl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on the same surface, or to allow the frame 23 to be vertically coupled on the surface (a, b), such as the lower surface (b) of the other member (2).

도5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는 프레임의 결합구성도이다.Figure 5 is a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bracket and the frame coupled by the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의 프레임(54b)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단부(54e)는 관통되어 있고, 프레임(54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면에는 내부의 공간까지 관통된 개구부(54d)가 형성된다. 개구부(54d)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턱(54c)을 가진다. 상술한 프레임(54b)을 직각으로 조립하기 위한 브라켓(60a)은 엘로드와 같은 '┑'형상의 봉형 부재이다. 봉의 단면은 상술한 프레임(54b)의 내부의 공간의 단면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브라켓(60a)의 양측이 서로 다른 프레임(54b)의 양 단부에서 삽입됨으로서, 두 개의 프레임(54b)을 서로 90도가 되도록 결합시킨다. 상술한 브라켓(60a)은 프레임(54b)과 결합되는 경우, 프레임이 브라켓(60a)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90도의 각을 이루는 면상에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60b)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60b)의 양측에는 브라켓(54b)의 턱(54c)이 유도될 수 있도록, 턱(54c)의 폭과 일치하는 단턱부(60c)를 각각 가지며, 단턱부(60c)가 연장되어 브라켓(60a)과 만나는 위치에서 상술한 턱(54c)이 걸리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턱가이드홈(60d)을 가진다. 상술한 턱가이드홈(60d)은 브라켓(60a)이 프레임(54b)의 단부에서 삽입되는 경우, 턱이 브라켓(60a)의 면상에서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서, 브라켓(60a)이 프레임(54b)의 내부로 완전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상기 브라켓(60a)의 돌출부에는 브라켓(60a)이 프레임에 결합된 후 프레임에 브라켓(60a)을 더욱 견고히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구가 더 구성될 수 있다.In the frame 54b of Fig. 5, the inside is hollow, both ends 54e are penetrated, and an opening 54d is formed in one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54b to penetrate the inner space.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54d, the jaws 54c protrude in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racket 60a for assembling the above-described frame 54b at right angles is a rod-shaped member having a '┑' shape like an el rod. The cross section of the rod is configured to coincide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space inside the frame 54b described above.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oth sides of the bracket 60a are inserted at both ends of the different frames 54b, thereby coupling the two frames 54b to each other by 90 degrees. When the bracket 60a is coupled to the frame 54b, the bracket 60a has a protrusion 60b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on a plane that forms an angle of 90 degrees so that the frame does not rotate about the bracket 60a.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60b have stepped portions 60c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jaw 54c so that the jaw 54c of the bracket 54b can be guided, and the stepped portions 60c are extended to the brackets. The jaw 54c described above is not caught at the position where it meets the 60a, and has a jaw guide groove 60d for allowing the jaw to pass therethrough. The jaw guide groove 60d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jaw from being caught on the surface of the bracket 60a when the bracket 60a is inserted at the end of the frame 54b, so that the bracket 60a is moved into the frame 54b. The bracket 60a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bracket 60a is coupled to the frame, and then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bracket 60a to the frame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of the bracket 60a. Can be.

본원 고안에 따르는 브라켓은, 프레임부재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프레임 구조체를 완전조립하여 현장으로 이송함이 없이, 각 부재로서의 프레임을 구조체의 설치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구조체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assembly of the frame members, so that the frame as each member can be directly assembled at the installation site of the structure without mounting the frame structure completely and transported to the site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mounted. To provide.

또한, 상술한 브라켓이 보강부재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프레임에 의하여조립된 구조체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 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bracket serves as a reinforcing membe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structure assembled by the frame.

Claims (3)

측부면 면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만큼 돌설된 리브를 가지는 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서,For assembling a frame having ribs protruding a certain h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일정 두께 및 폭을 가지는 '┑'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리브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두 개의 외측면의 각각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로 파여져서 상기 두개의 면이 만나는 외측모서리에서 서로 직각으로 연통되는 수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It has a '┑'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each of the two outer surfaces that mee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so that the ribs of the frame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is dug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wo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receiving groove communicating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t the outer edges of the s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의 양측부면에는 상기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리브를 관통하여 프레임들의 결합을 고정하는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2. The bracket of claim 1, wherein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coupler to insert fasteners for fixing the coupling of the frames through the rib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receiving groove. 삭제delete
KR20-2002-0021483U 2002-07-18 2002-07-18 Bracket KR2003041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83U KR200304189Y1 (en) 2002-07-18 2002-07-18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83U KR200304189Y1 (en) 2002-07-18 2002-07-18 Bracke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758A Division KR100444891B1 (en) 2002-07-09 2002-07-09 Sliding do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251U Division KR200307751Y1 (en) 2002-12-13 2002-12-13 Bracket
KR20-2002-0037252U Division KR200307752Y1 (en) 2002-12-13 2002-12-13 Bra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189Y1 true KR200304189Y1 (en) 2003-02-19

Family

ID=4940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483U KR200304189Y1 (en) 2002-07-18 2002-07-18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18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2449B2 (en) Door panel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6032423A (en) Curtain wall having mullion structure
JP4202892B2 (en) Column removal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beam reinforcement structure in partition
JP4028759B2 (en) Steel structure and column / beam connection structure
KR200304189Y1 (en) Bracket
KR101849919B1 (en) Fire Door Reinforcement Structure
KR200307751Y1 (en) Bracket
JP4344588B2 (en) Tote panel
KR102125430B1 (en) Combining structure for a stainless steel typed window frame
KR200307752Y1 (en) Bracket
JP3888796B2 (en) Protruding corner forming bracket and protruding corner structure using the bracket
KR100395372B1 (en) Assembly structure of sash
JP6855607B1 (en) Elevator three-way frame mounting tool and three-way frame mounting method
JP2555573Y2 (en) Frame assembly structure
KR200382781Y1 (en) Coner Connector for Crime Prevention Window
JP2008057263A (en) Stile assembly structure for door
JP3369750B2 (en) elevator
JPH08312007A (en) Joining stru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in wooden framework and joining hardware
JP4248717B2 (en) Steel beam mounting structure
KR200238287Y1 (en) frame for fire prevention door
JPH1061011A (en) Column joint element
JP2992249B2 (en) Grid mounting structure
JP4694726B2 (en) Shutter rail
KR200355497Y1 (en) Fabricated entrance door
JPH10195993A (en) Joint structure between post and horizontal fram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