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158Y1 - 절첩식 책상 - Google Patents

절첩식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158Y1
KR200304158Y1 KR20-2002-0035439U KR20020035439U KR200304158Y1 KR 200304158 Y1 KR200304158 Y1 KR 200304158Y1 KR 20020035439 U KR20020035439 U KR 20020035439U KR 200304158 Y1 KR200304158 Y1 KR 200304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leg
legs
desk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석
Original Assignee
한림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기업(주) filed Critical 한림기업(주)
Priority to KR20-2002-0035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1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cross leg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상판과 다리가 손쉽게 절첩되도록 하는 절첩식 책상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판형으로 구비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되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전방에스자형다리와 후방에스자형다리가 대칭으로 교차되게 힌지결합되어 접이식다리로 구비되고, 2개의 상기 접이식다리가 좌우로 이격되어 구비된 후에 그 전면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지지대가 부착되며, 한 쌍의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의 상단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상판결합봉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면으로 상기 상판결합봉이 장착되며, 상기 접이식다리의 절첩이 제한되도록 절첩제한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절첩식 책상을 제공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단하며 보관이 용이하고 대량으로 적재가 용이하며 사용상의 편리성이 현저히 증대되고 설치공간의 활용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절첩식 책상{A fold-down desk}
본 고안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상판과 다리가 손쉽게 절첩되도록 하는 절첩식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받치고 쓰는 가구로써, 학원이나 학교 및 일반 가정에서 주요한 생활용품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학교나 학원 등에서 사용되는 책상은 절첩되는 구조로 구성되지 않아, 대량으로의 보관이나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책상은 대량의 운송이나 이송이 매우 불편하고 그에 따라 운송이나 이송작업에 많은 인력과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책상은 보관이 용이하지 않음으로,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상판과 다리가 손쉽게 절첩되도록 하는 절첩식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게 접철이 제한되면서 동시에 2단으로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첩식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펼쳐진 후에 안정성과 견고성이 증대되면서 동시에 2단으로 조립된 후에 견고히 지지되며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해지도록 하는 절첩식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판형으로 구비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되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전방에스자형다리와 후방에스자형다리가 대칭으로 교차되게 힌지결합되어 접이식다리로 구비되고, 2개의 상기 접이식다리가 좌우로 이격되어 구비된 후에 그 전면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지지대가 부착되며, 한 쌍의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의 상단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상판결합봉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면으로 상기 상판결합봉이 장착되며, 상기 접이식다리의 절첩이 제한되도록 절첩제한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첩제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전방에스자형다리와 후방에스자형다리의 사이로 양단이 각각 부착되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의 상부 전면에 각각 삽입부가 부착되고, 상기 삽입부에 수직으로 조립봉이 삽입되며, 상기 조립봉의 상단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보조상판결합봉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상판결합봉의 상면으로 보조상판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보조상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후방에스자형다리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그에 대응하는 상판의 하면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봉의 일면과 대응되는 상판으로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이식다리가 탄성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접이식다리의 힌지축에 비틀림스프링이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책상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책상의 결합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책상의 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는 상판이 들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b는 다리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c는 상판이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결합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
11 : 삽입홈 12 : 지지홈
20 : 다리
21 : 접이식다리
211 : 전방에스자형다리 212 : 후방에스자형다리
22 : 지지대 23 : 상판결합봉
24 : 절첩제한부
241 : 와이어로프
30 : 보조상판부
31 : 삽입부 32 : 조립봉 33 : 보조상판결합봉
34 : 보조상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책상의 분해 사시도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절첩식 책상은 판상으로 구비되는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하부로 구비되는 다리(20)로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다리(20)는 두개의 접이식다리(21)가 구비되고, 상기 접이식다리(21)의 전방에 상하로 지지대(22)가 부착되며, 상기 접이식다리(21)의 상부로 상판결합봉(23)이 구비되고, 상기 접이식다리(21)의 사이에 절첩제한부(24)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다리(21)는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가 대칭으로 교체되게 그 중앙에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2)는 전방에스자형다리(211)의 상부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 하부에 수평으로 각각 부착되어 두개의 접이식다리(21)가 접철이 가능한 상태로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판결합봉(23)은 그 상면으로 상판(10)이 장착되어 상기 상판(10)이 다리(20)와 결합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그 전방이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이 상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판(10)이 상기 다리(20)와 절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첩제한부(24)는 접이식다리(21)의 펼쳐짐이 제한되도록 하여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가 적절히 지지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만큼만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절첩제한부(24)는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 사이에 양단이 부착되는 와이어로프(241)로 구성되어, 간단한 설치로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 절첩이 적절히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책상의 결합 측면도를 살펴보면,
와이어로프(241)에 의해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펼쳐짐이 제한된 상태에서 접이식다리(21)의 힌지에 의해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가 펼쳐지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판결합봉(23)에 상판(10)이 장착되어 상기 접이식다리(21)의 상부에 재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판(10)의 하면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1)에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 상부가 끼워져 상기 상판(10)과 접이식다리(21)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는 지지대(22)에 의해 각각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책상의 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써,
도 3a는 상판이 들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다리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c는 상판이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도 3으로 본 고안의 절첩상태를 살펴보면,
본 책상을 사용하다가 보관이나 운송 및 취급을 위해 절첩이 필요한 경우에, 우선 상기 도 3a에 도시한 것처럼 상판(10)을 상판결합봉(23)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판(10)의 삽입홈(11)에서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 상단이 빠지게 되어 접이식다리(21)의 절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판(1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한 것처럼,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가 서로 맞닿도록 접이식다리(21)를 접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를 지지하는 와이어로프(241)가 느슨해지면서 접이식다리(21)의 접음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이식다리(21)를 접는 상태에서 도 3c에 도시한 것처럼,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가 완전히 맞닿도록 접고 이 상태에서 상판(10)을 상판결합봉(23)의 힌지축을 따라 하향으로 접어 본 책상이 최소의 공간을 가진 상태로 완전히 접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책상이 완전히 접혀지면,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대량으로의 운송이 손쉬워지며 대량으로의 적재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 및 취급상에 간편성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살펴보면,
절첩식 책상은 판상으로 상판(10)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0)의 하부로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가 힌지결합된 두개의 접이식다리(21)가 구비되며, 상기 접이식다리(21)의 전방에 상하로 지지대(22)가 부착되고, 상기 접이식다리(21)의 상부로 상판결합봉(23)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 사이에 와이어로프(241)가 구비되고, 상기 상판(10)의상부로 보조상판부(3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상판부(30)는 전방에스자형다리(211)의 상부 전면에 각각 삽입부(31)가 부착되고, 상기 삽입부(31)에 수직으로 조립봉(32)이 삽입되며, 상기 조립봉(32)의 상단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보조상판결합봉(33)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상판결합봉(33)의 상면으로 보조상판(34)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판(10)의 전면으로 조립봉(32)에 대응되는 부위에 지지홈(12)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봉(32)을 적절히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상판부(30)는 상판(10)과 접이식다리(21)에 간단히 조립되어 사용자에 의해 본 책상의 활용도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상판부(3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할 때는 접이식다리(21)와 상판(10)에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는 상기 접이식다리(21)와 상판(10)에서 분해하여 이탈된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책상을 보관할 경우에는 보조상판부(30)를 분해한 다음에 상판(10)과 접이식다리(21)를 절첩하여 보간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에 따른 결합 측면도를 살펴보면,
전방에스자형다리(211) 및 후방에스자형다리(212)가 적절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판(10)이 결합되고,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211)에 부착되는 삽입부(31)에 조립봉(32)이 삽입되어 조립되며, 상기 조립봉(32)의 상부로 절곡된 보조상판결합봉(33)에 보조상판(34)이 장착되어 본 책상의 조립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조립이 마무리되면, 사용자는 상판(10)과 보조상판(34)을 동시에 이용하여 책상을 사용함으로, 그 사용상의 편리성이 한층 강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책상은 보조상판(34)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상판(10)의 사용이 편리하면서 2단으로의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를 살펴보면,
접이식다리(21)는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가 대칭으로 교차되게 힌지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다리(21)의 힌지축에 비틀림스프링(213)을 구비하여 상기 접이식다리(21)가 탄성적으로 접힌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 힌지결합에 비틀림스프링(213)을 구비하여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가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상태로 접이식다리(21)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이식다리(21)가 비틀림스프링(213)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히도록 구성되면, 본 책상의 절첩 시에 상판(미도시)을 들어올려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 상단이 상판(미도시)의 하면으로 형성되는 삽입홈(미도시)에서 이탈되도록 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접이식다리(21)가 탄성복원되어 접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본 책상을 펼쳐 사용할 때는 사용자가 비틀림스프링(213)이 비틀리는 상태로 접이식다리(21)를 벌리고, 상판(미도시)의 삽입홈(미도시)으로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 상단을 삽입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책상은 접이식다리(21)에 비틀림스프링(213)을 구비하여 절첩이 자연스럽고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상판과 다리가 손쉽게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단하며 보관이 용이하고 대량으로 적재가 용이하며 사용상의 편리성이 현저히 증대되고 설치공간의 활용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하게 절첩이 제한되면서 동시에 2단으로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절첩제한부의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상의 편리성이 보다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펼쳐진 후에 안정성과 견고성이 증대되면서 동시에 2단으로 조립된 후에 견고히 지지되며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해지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도 변형되지 않고 2단의 사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상의 편리성이 한층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판형으로 구비되는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을 지지하는 다리(20)로 구성되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다리(20)는,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가 대칭으로 교차되게 힌지결합되어 접이식다리(21)로 구비되고, 2개의 상기 접이식다리(21)가 좌우로 이격되어 구비된 후에 그 전면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지지대(22)가 부착되며,
    한 쌍의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211)의 상단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상판결합봉(23)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0)의 하면으로 상기 상판결합봉(23)이 장착되며, 상기 접이식다리(21)의 절첩이 제한되도록 절첩제한부(24)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제한부(24)는, 서로 마주보는 전방에스자형다리(211)와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 사이로 양단이 각각 부착되는 와이어로프(2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전방에스자형다리(211)의 상부 전면에 각각 삽입부(31)가 부착되고, 상기 삽입부(31)에 수직으로 조립봉(32)이 삽입되며, 상기 조립봉(32)의 상단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보조상판결합봉(33)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상판결합봉(33)의 상면으로 보조상판(34)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보조상판부(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후방에스자형다리(212)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그에 대응하는 상판(10)의 하면으로 삽입홈(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봉(32)의 일면과 대응되는 상판(10)으로 지지홈(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다리(21)가 탄성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접이식다리(21)의 힌지축에 비틀림스프링(213)이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책상.
KR20-2002-0035439U 2002-11-27 2002-11-27 절첩식 책상 KR200304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39U KR200304158Y1 (ko) 2002-11-27 2002-11-27 절첩식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39U KR200304158Y1 (ko) 2002-11-27 2002-11-27 절첩식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158Y1 true KR200304158Y1 (ko) 2003-02-17

Family

ID=4940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439U KR200304158Y1 (ko) 2002-11-27 2002-11-27 절첩식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1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67Y1 (ko) * 2008-12-26 2011-10-10 서원호 상판 접이식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67Y1 (ko) * 2008-12-26 2011-10-10 서원호 상판 접이식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411B1 (en) Foldable chair with utility side desk
CN101449893B (zh) 婴儿床及可折叠床板
WO2002028227A3 (en) Collapsible chair with resilient support elements
KR200409316Y1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120006355U (ko) 접이식 책 받침대
KR200304158Y1 (ko) 절첩식 책상
US20120047650A1 (en) Bed that is Folded and Expanded Easily and Quickly
US6409410B1 (en) Coupler for sport practice net rack
KR200464280Y1 (ko) 휴대용 테이블
KR200445283Y1 (ko) 접이식 테이블
CN211533120U (zh) 便携式折叠桌
KR200296016Y1 (ko) 절첩식 간이 테이블
KR102275210B1 (ko) 야외용 원목 테이블
CN212630337U (zh) 一种可拆装折叠式椅腿
JP2959716B1 (ja) 薄型折畳テーブル
CN215126458U (zh) 折叠隐形床
KR200242483Y1 (ko) 받침대가 부설된 다이어리
CN216494376U (zh) 一种便携摇椅结构
CN112617502A (zh) 床架
KR100580947B1 (ko) 강의용 일체형 책걸상
CN212185600U (zh) 一种可折叠吊床
KR20190002731U (ko) 접이식 침대의 폴 받침부재
CN217937671U (zh) 一种休闲椅
CN216723902U (zh) 一种折叠床架结构
KR200409716Y1 (ko) 휴대용 접철식 보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