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870Y1 - The spoon for a handicapped person - Google Patents

The spoon for a handicapped per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870Y1
KR200302870Y1 KR20-2002-0034073U KR20020034073U KR200302870Y1 KR 200302870 Y1 KR200302870 Y1 KR 200302870Y1 KR 20020034073 U KR20020034073 U KR 20020034073U KR 200302870 Y1 KR200302870 Y1 KR 200302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utlery
handle
head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0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천
Original Assignee
김도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천 filed Critical 김도천
Priority to KR20-2002-0034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87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870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애인용 수저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박과 손목부분 중 어느 한 곳 이상 이상이 있는 장애인의 경우 또한 입의 움직임을 좋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수저로 혼자 음식물을 섭취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여러 형태의 장애에도 용이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타원형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수저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lery for the handicapped,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hav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nights and wrists, and also if the movement of the mouth is not good, the cutlery is generally produc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sume food alone. In the cutlery consisting of an elliptical head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extended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indented so as to be able to easily ingest food even in a variety of obstacles;

중앙부에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주위로 완만한 곡선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어 그 끝단은 수직으로 경사진 수직경사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사선을 이루는 상기 수직경사부 일측은 내용물이 용이하게 흘러나오도록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뾰족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배출부를 가지는 헤드부와;A bottom portion formed of a gentle curve in a central portion, a vertical slope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a gentle curve around the bottom portion, and an end thereof vertically inclined vertically, and the vertical inclined portion diagonally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One side has a head portion having a discharge portion to have a pointed shape with a gentle inclination so that the contents easily flow out;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과 연결되어 용이하게 파지 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가진 손잡이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소의 연결부는 일정힘에 의하여 굴절 고정되도록 자바라 형식의 제1 및 제2굴절부로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장애인용 수저에 관한 것이다.A first fram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part, a second fram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a handle frame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so as to be easily gripped by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location relates to a spoon for a disabled person consisting of a handl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leads to the first and second refractive portion of the bellows type to be refracted and fixed by a certain force.

Description

장애인용 수저{The spoon for a handicapped person}The spoon for a handicapped person}

본 고안은 장애인용 수저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장애인용 수저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박과 손목부분 중 어느 한 곳 이상 이상이 있는 장애인의 경우 또한 입의 움직임을 좋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수저로 혼자 음식물을 섭취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여러 형태의 장애에도 용이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애인용 수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lery for the handicapp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lery for the handicapped, in the case of a disabled person having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stomachs and wrist parts,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mouth is not good, the cutlery is generally produced al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on for a handicapped person, to solve the problem of having a lot of difficulties in eating food so that food can be easily consumed even in various types of disorders.

선천적 또는 사고로 의한 장애인 중에서 혼자 음식물 섭취가 힘든 사람은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저의 모양이 적합하지 않아 불편을 겪고 있는 경우도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고 하겠다.Many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gesting food alone due to congenital or accidents take up a large portion, and most of them are suffering from inconvenience due to the inappropriate shape of the cutlery.

도 5는 일반인의 종래 수저의 사용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정상적인 손의 기능을 하고 손목 및 팔꿈치, 어깨관절의 사용이 가능한 일반인들은 도면과 같이 엄지와 검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손의 방향에서 약간 경사지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있다.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conventional cutlery of the general public, the general people who can use the normal function of the wrist and elbow, shoulder joint using a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as shown in the figure slightly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 I use it in the state which kept losing.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정상적인 악력과 신체를 가지는 사람에 한정된 것으로서 악력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에는 불가능한 자세란 것은 어린 아이의 경우를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다.However, such a case is limited to those who have normal grip and body, and in the case of a lack of grip, the impossible posture can be easily seen even in the case of a young child.

도 6은 장애인의 종래 수저의 사용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엄지와 검지 및 중지에 장애가 있거나 힘이 부족한 경우 손가락 전체를 사용하여 수저를 잡게 되며 이 경우 상박을 완전히 들어서 먹지 않으면 수저가 기울어져 내용물이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conventional cutlery of the disabled, when the thumb and forefinger and middle finger is disabled or lack of strength to catch the cutlery using the entire finger, in this case, the cutlery is tilted if you do not eat the upper arm completely Many cases will flow down.

더구나 상박의 움직임이 불안정할 경우 혼자 힘으로 수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먹는 것은 더욱 어려워지게 되며 기타 수저를 이용하여 먹기 위하여 필요한 동선이 불가능한 사람들의 경우도 상당히 많이 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upper arm is unstable,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eat food by using a spoon alone.

이는 수저에서 음식물을 담기 위한 개방면이 항상 수직 상면으로만 형성되고 손잡이부는 수평으로 연결된 획일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음식물을 담기 위한 헤드부의 형태에서 그 미차는 있으나 거의 모든 수저가 이러한 모양으로 한정되어있는 것이 그 중요한 이유라고 할 수 있다.The open surface for food in the cutlery is always formed only in the vertical upper surface, and the handle portion has a uniform shape connected horizontally.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orm of the head portion for holding food, almost all cutlery is limited to this shape. That is why it is importan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저를 이용하여 혼자 힘으로 음식물의 섭취가 곤란한 사람들이 용이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수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cutlery that can easily ingest food by those who have difficulty ingesting food by themselves using a cutlery generally u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타원형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수저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tlery comprising an oval head portion formed by recessing a bottom surface and a handle portion extended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중앙부에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주위로 완만한 곡선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어 그 끝단은 수직으로 경사진 수직경사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사선을 이루는 상기 수직경사부 일측은 내용물이 용이하게 흘러나오도록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뾰족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배출부를 가지는 헤드부와;A bottom portion formed of a gentle curve in a central portion, a vertical slope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a gentle curve around the bottom portion, and an end thereof vertically inclined vertically, and the vertical inclined portion diagonally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One side has a head portion having a discharge portion to have a pointed shape with a gentle inclination so that the contents easily flow out;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과 연결되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가진 손잡이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소의 연결부는 일정힘에 의하여 굴절 고정되도록 자바라 형식의 제1 및 제2굴절부로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장애인용 수저에 관한 것이다.A first fram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a second frame connected with the first frame, and a handle frame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connected with the second frame so as to be easily grippe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location relates to a spoon for a disabled person consisting of a handl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leads to the first and second refractive portion of the bellows type to be refracted and fixed by a certain for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B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4 is a state diagram us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일반인의 종래 수저의 사용을 나타낸 사용상태도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conventional cutlery of the general public

도 6은 장애인의 종래 수저의 사용을 나타낸 사용상태도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conventional cutlery of the disabled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헤드부1: head part

11 : 바닥부 12 : 수직경사부11: bottom portion 12: vertical inclined portion

13 : 배출부13 discharge part

2 : 손잡이부2: handle

21 : 제1 프레임 22 : 제2 프레임21: first frame 22: second frame

23 : 손잡이프레임 24 : 제1 굴절부23: handle frame 24: first refracting portion

25 : 제2 굴절부25: second refracting portion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B선 단면도로서, 바닥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타원형의 헤드부(1)와 상기 헤드부(1)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손잡이부(2)로 이루어지는 수저에 있어서;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n the cutlery which consists of an oval head part (1) and a handle part (2) extended to one side of the head part (1);

중앙부에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 주위로 완만한 곡선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어 그 끝단은 수직으로 경사진 수직경사부(12)와, 상기 손잡이부(2)의 길이방향으로 사선을 이루는 상기 수직경사부(12) 일측은 내용물이 용이하게 흘러나오도록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뾰족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배출부(13)를 가지는 헤드부(1)와;A bottom portion 11 formed of a gentle curve in the center portion, a vertical slope portion 12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a gentle curve around the bottom portion 11 and the end thereof is inclined vertically, and the handle portion ( One side of the vertical inclined portion 12 which forms an obliqu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2) has a head portion (1) having a discharge portion (13) having a gentle inclination so that the contents easily flow out;

상기 헤드부(1)와 일체로 형성된 제1프레임(21)과, 상기 제1프레임(21)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22)과, 상기 제2프레임(22)과 연결되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가진 손잡이프레임(23)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소의 연결부는 일정힘에 의하여 굴절 고정되도록 자바라 형식의 제1 및제2굴절부(24,25)로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2)로 이루어지는 장애인용 수저를 나타내었다.The first frame 21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portion 1, the second frame 22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21, and the second frame 22 are easily gripped. The handle is composed of a handle frame 23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so that the two connect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fractive portions 24, 25 of bellows type to be refracted and fixed by a predetermined force. The cutlery for the disabled which consists of part (2) was shown.

또한 상기 제1 및 제2굴절부(24,25)는 일정한 힘 이상에서만 굴절되고 수저를 사용할 때에는 굴절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efractive portions 24 and 25 may be formed to be refracted only by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and not to be refracted when using a cutlery.

또한 상기 손잡이프레임(23)은 상황에 따라 장애인이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그 형상과 크기를 결정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일반적인 수저보다 그 크기가 큰 것이 파지가 용이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유추해 낼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handle frame 23 is to determine the shape and size so that people with a disability can easily grasp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accordingly it is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larger size than the general cutlery will be easy to grip. Can be inferred.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일반인의 파지방법으로 수저를 잡을 경우 수저의 측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먹을 경우가 많으나 수저의 파지가 하박의 수직방향으로 이루어는 경우 그리고 음식물의 용이한 섭취를 위해서는 정방 또는 전방에서 약간 기울어진 방향이 가장 용이하게 된다.Figure 4 is a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tching the cutlery by the holding method of the general people often eat food using the side of the cutlery, but when the grip of the cutlery is ma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Habakku For easy ingestion, the direction slightly inclined from the square or front is easiest.

또한 섭취중 손의 유동에도 음식물이 쉽게 쏟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배출부(13)를 제외한 부분의 함몰은 깊숙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food from spilling easily in the flow of the hand during ingestion, it would be desirable to make the recess of the portion except for the discharge portion 13 dee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소의 유동에도 내용물이 쉽게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며 손잡이에 두개의 굴절부를 두어 장애인들이 가능한 운동능력에서 가장 용이하게 수저를 용이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모양으로 만들도록 하여 장애인의 수저에 의한 음식물 섭취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ontents from easily flowing even in the slightest flow, and has two bends in the handle so that the handicapped person can easily eat the food easily in the possible exercise ability. It is effective to facilitate the intake of food by the cutlery.

Claims (1)

바닥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타원형의 헤드부(1)와 상기 헤드부(1)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손잡이부(2)로 이루어지는 수저에 있어서;In the cutlery consisting of an elliptical head portion (1) formed by recessing the bottom surface and a handle portion (2)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1); 중앙부에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 주위로 완만한 곡선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어 그 끝단은 수직으로 경사진 수직경사부(12)와, 상기 손잡이부(2)의 길이방향으로 사선을 이루는 상기 수직경사부(12) 일측은 내용물이 용이하게 흘러나오도록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뾰족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배출부(13)를 가지는 헤드부(1)와;A bottom portion 11 formed of a gentle curve in the center portion, a vertical slope portion 12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a gentle curve around the bottom portion 11 and the end thereof is inclined vertically, and the handle portion ( One side of the vertical inclined portion 12 which forms an obliqu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2) has a head portion (1) having a discharge portion (13) having a gentle inclination so that the contents easily flow out; 상기 헤드부(1)와 일체로 형성된 제1프레임(21)과, 상기 제1프레임(21)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22)과, 상기 제2프레임(22)과 연결되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가진 손잡이프레임(23)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소의 연결부는 일정힘에 의하여 굴절 고정되도록 자바라 형식의 제1 및 제2굴절부(24, 25)로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2)로 이루어지는 장애인용 수저.The first frame 21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portion 1, the second frame 22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21, and the second frame 22 are easily gripped. It consists of a handle frame 23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so that the two connect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fractive portions (24, 25) of bellows type to be refracted and fixed by a certain force Cutlery for the disabled consisting of a handle (2).
KR20-2002-0034073U 2002-11-14 2002-11-14 The spoon for a handicapped person KR20030287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73U KR200302870Y1 (en) 2002-11-14 2002-11-14 The spoon for a handicapped per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73U KR200302870Y1 (en) 2002-11-14 2002-11-14 The spoon for a handicapped pers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870Y1 true KR200302870Y1 (en) 2003-02-11

Family

ID=4933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073U KR200302870Y1 (en) 2002-11-14 2002-11-14 The spoon for a handicapped per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87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984A (en) * 2018-08-02 2020-02-12 송주호 Sanitary spo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984A (en) * 2018-08-02 2020-02-12 송주호 Sanitary spoon
KR102212761B1 (en) * 2018-08-02 2021-02-05 송주호 Sanitary spo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9708A (en) Utensil holder for infants
US8181816B2 (en) Flexible drinking cup
US6173850B1 (en) Ergonomic baby bottle construction
US5058279A (en) Wedged handle eating utensil for the physically disabled
KR200302870Y1 (en) The spoon for a handicapped person
US20060131349A1 (en) Spill-resistant measuring, mixing, and pouring bowl
KR200416517Y1 (en) Spoon for baby
JP2011030729A (en) Spoon for ingesting liquid
JP4475626B2 (en) Tableware
JP3079017U (en) Chopstick holding aid
JP2022010502A (en) Two-hands holding drinking container
JP4425599B2 (en) Liquid bowl
CN216147746U (en) Portable dining bowl for infants
CN215126952U (en) Spoon
JP2005111262A (en) Chopsticks which can be easily held
KR200240980Y1 (en) Spoon(twoon)
KR200340102Y1 (en) Spoon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CN209863182U (en) Sticky spoon
JP3017315U (en) Bowl
JPS6318385Y2 (en)
JP2002321754A (en) Training cup for infant
JP3004047U (en) Care cup
US4887729A (en) Cup for handicapped persons
KR200201401Y1 (en) Spoon and fork with crooked part
KR200450867Y1 (en) Learning chopsti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