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671Y1 -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 Google Patents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671Y1
KR200301671Y1 KR20-2002-0026851U KR20020026851U KR200301671Y1 KR 200301671 Y1 KR200301671 Y1 KR 200301671Y1 KR 20020026851 U KR20020026851 U KR 20020026851U KR 200301671 Y1 KR200301671 Y1 KR 200301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oots
neck
fixing belt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진
임재영
Original Assignee
임영진
임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진, 임재영 filed Critical 임영진
Priority to KR20-2002-0026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6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Abstract

본 고안은 탈화(脫靴)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화의 밑창하면과 목부후면에 각각 벨트고리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벨트고리부에는 벨트잠금쇠가 설치된 고정벨트를 장화의 발등과 발목부위를 동시에 휘감도록 삽입설치하므로써, 하나의 고정벨트에 의해 간편하게 장화의 발등과 발목부위를 동시에 조일 수 있게 되어 진흙탕이나 갯벌작업시 점성에 의한 흡인력으로 인해 장화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활동을 더욱 자유롭고 용이하게 하며, 또한 장화의 갑피에 신축조절부를 음각으로 형성하거나 갑피와 고정벨트의 양면에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하므로써 고정벨트의 조임을 용이하게 하여 장화를 용이하게 신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는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목부(3)가 연장 형성된 갑피(2)와 밑창(4)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장화에 있어서, 상기 갑피(2)의 목부(3)후면과 밑창(4)의 하면중앙에는 각각 벨트고리부(3a)(4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벨트고리부(3a)(4a)에는 일단부에 벨트잠금쇠(5a)가 설치된 고정벨트(5)가 갑피(2)의 중앙부와 목부(3)를 휘감아서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실시예로서는 갑피(2)의 목부(3)에 2 ~ 4개의 신축조절부(6)가 음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갑피(2)와 고정벨트(5)의 양면에 미세한 요철부(7a)(7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Boots with a belt for fastening}
본 고안은 탈화(脫靴)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부가 연장형성된 갑피와 밑창으로 이루어진 장화의 밑창하면과 목부후면에 각각 벨트고리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벨트고리부에는 일단부에 벨트잠금쇠가 설치된 고정벨트를 장화의 발등부위와 발목부위를 동시에 휘감도록 삽입설치하여 체결되도록 하므로써, 장화의 착용시 하나의 고정벨트에 의해 간편하게 장화의 발등과 발목부위를 동시에 조일 수 있게 되므로 진흙탕이나 갯벌 등에서 작업할 경우 진흙탕이나 갯벌의 점성에 의한 흡인력으로 인해 장화가 쉽게 벗겨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진흙탕이나 갯벌에서의 작업활동을 더욱 자유롭고 용이하게 하며, 또한 갑피에 신축조절부를 음각으로 형성하거나 갑피와 고정벨트의 양면에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하므로써 고정벨트의 조임을 용이하게 하여 장화를 용이하게 신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는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화는 착탈화(着脫化) 및 통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장화의 발등부위 및 발목부위를 발의 실제치수보다 크도록 여유치수를 가산하여 설계하는 것이 통례이다.
상기와 같이 착탈화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여유치수가 가산된 장화를 착용하고 작업할 경우, 지상에서의 작업시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논바닥과 같은 진흙탕이나 갯벌 등의 작업시에는 보행할 때마다 진흙탕이나 갯벌의 점성에 의한 흡인력에 의하여 발로 부터 장화가 쉽게 벗겨지게 되며, 장화가 벗겨질 경우 발이 젖게 되거나 장화내부에 진흙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착용감이 좋지 않게 되므로 가능한 한 장화가 벗겨지지 않도록 천천히 보행해야 하므로 활동이 상당히 부자유스러워질 뿐아니라 이런 상태로 장시간 작업하게 될 경우에는 피로가 가중되어 작업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신발을 신고 있는 상태에서 밑창이 부착된 신발모양의 비닐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비닐시트의 밑창과 비닐시트의 일측에 복수의 벨크로 끈을 각각 부착하여 되는 장화를 착용하여 신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덧신 형태의 신발 방수 장화가 실용신안공개번호 제 1996-16102호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발 방수 장화는 애초에 단지 휴대를 간편하게 하여 우천시 지상에서 신발을 젖지 않도록 보호할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어서, 진흙탕이나 갯벌 등과 같은 특수한 환경에서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진흙탕이나 갯벌 등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복수개의 벨크로 끈이 진흙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지저분하게 오염되어 벨크로 고유의 접착력을 상실하게 되므로 사용수명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목부가 연장형성된 갑피와 밑창으로 이루어진 장화의 밑창하면과 목부후면에 각각 벨트고리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벨트고리부에는 일단부에 벨트잠금쇠가 설치된 고정벨트를 장화의 발등부위와 발목부위를 동시에 휘감도록 삽입설치하여 체결되도록 하므로써, 장화의 착용시 하나의 고정벨트에 의해 간편하게 장화의 발등과 발목부위를 동시에 조일 수 있게 되므로 진흙탕이나 갯벌 등에서 작업할 경우 진흙탕이나 갯벌의 점성에 의한 흡인력으로 인해 장화가 쉽게 벗겨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진흙탕이나 갯벌에서의 작업활동을 더욱 자유롭고 용이하게 하며, 또한 갑피에 신축조절부를 음각으로 형성하거나 갑피와 고정벨트의 양면에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하므로써 고정벨트의 조임을 용이하게 하여 장화를 용이하게 신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목부가 연장 형성된 갑피와 갑피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밑창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장화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목부후면과 밑창의 하면중앙에는 각각 벨트고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벨트고리부에는 일단부에 벨트잠금쇠가 설치된 고정벨트가 갑피의 중앙부와 목부를 휘감아서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실시예로서는 갑피의 목부에 2 ~ 4개의 신축조절부가 음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갑피와 고정벨트의 양면에 미세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에 신축조절부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의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에 요철부가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의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화 2 : 갑피 3 : 목부
3a : 벨트고리부 4 : 밑창 4a : 벨트고리부
5 : 고정벨트 5a : 벨트잠금쇠 6 : 신축조절부
7a, 7a' 7b : 요철부 8 : 상동체부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도 1 내지 도 6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에 신축조절부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의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에 요철부가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는 도 5의 B-B선의 확대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는 목부(3)가 연장형성된갑피(2)와 갑피(2)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밑창(4)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장화에 있어서, 상기 갑피(2)의 목부(3)후면과 밑창(4)의 하면중앙에는 각각 벨트고리부 (3a)(4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벨트고리부(3a)(4a)에는 일단부에 벨트잠금쇠 (5a)가 설치된 고정벨트(5)가 갑피(2)의 중앙부와 목부(3)를 휘감아서 삽입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갑피(2)의 목부(3)에는 좌우측에 2 ~ 4개의 신축조절부(6)가 음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갑피(2)와 고정벨트(5)의 양면 전체에는 엠보싱 처리된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된 미세한 요철부(7a)(7b)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는 통상의 장화 목부(3)에 연성의 비닐시트지등를 재단하여 상동체(上胴體)부(8)를 고주파로 압착하여 융착시켜 구성하거나 상동체부(8)가 없는 장화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동체부(8)는 제작자가 그 길이를 임의로 선택하여 부착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장화의 예를 들면 무릎까지 높이의 장화, 허벅지까지의 수중 장화, 방수 바지류에 부착되는 수중 작업복이 부착된 장화 또는 멜빵이 부착된 앞가슴까지 높이의 수중작업복이 부착된 장화등이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9)는 목부(3)에 상동체부(8)가 고주파 압착에 의하여 접착되는 접착부위를 나타내는 접착부(9)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에 의한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에 대한 제조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는 열가소성수지인 PVC(PolyVinyl Chloride)로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게 되며, 상기 갑피(2)의 목부(3)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벨트고리부(3a)와 밑창(4)의 하면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는 벨트고리부(4a)는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열융착시켜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갑피(2)나 밑창(4)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장화에 고정벨트(5)의 일단부에 벨트고리부(4a)를 삽입 통과하여 갑피(2)의 발등부위를 지나 목부(3)를 휘감는 동시에 벨트고리부 (3a)를 삽입 통과한 후, 상기 목부(3)의 측면에서 고정벨트(5)의 타단부에 형성된 벨트잠금쇠(5a)에 체결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잠금쇠(5a)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통상적으로 가방끈이나 신발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조의 벨트잠금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주로 진흙속이나 물속에서 사용되므로써 벨트잠금쇠(5a)를 스테인레스강 같은 내식성이 강한 금속재질로 형성하거나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표면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고정벨트(5)의 일단부가 벨트고리부(4a)를 삽입 통과하여 갑피(2)의 발등부위를 지나 목부(3)의 감싸는 동시에 벨트고리부(3a)를 삽입 통과한 후, 상기 목부(3)의 측면에서 고정벨트(5)의 타단부에 형성된 벨트잠금쇠(5a)에 체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장화(1)의 갑피(2)에 형성된 목부(3)를 통하여 발을 삽입하여 밑창(4)의 상면에 안착시킨 다음, 고정벨트(5)의 일단부를 벨트잠금쇠(5a)를 통과시켜 강하게 당겨주게 되면 고정벨트(5)가 발등부위와 발목부위를 동시에 조이게 되며, 이때 벨트잠금쇠(5a)를 체결하여 고정벨트(5)를 고정시키게 되면 장화(1)가 작업자의 발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착용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의 발에 착용된 탈화방지용 장화는 하나의 고정벨트(5)에 의해 간편하게 장화(1)가 발의 발등과 발목에 밀착되므로써 진흙탕이나 갯벌에서의 작업활동시 전혀 벗겨질 염려가 없게 되므로 더욱 더 자유롭고 용이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를 현저히 경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화를 신을 경우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갑피(2)의 목부(3)에 음각으로 2 ~ 4개 형성되는 신축조절부(6)가 삽입되는 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40mm 정도 늘어나 펼쳐지면서 장화를 용이하게 신을 수 있게 되며, 장화를 신고 난 후에는 늘어난 신축조절부(6)가 다시 자동적으로 줄어들어 작업자의 발목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므로 장화(1)의 착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벨트(5)에 의해 발목부위가 조여지게 될 때 장화(1)의 목부(3)와 작업자의 발목부위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된 통기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장화(1)내부로의 자유로운 통기가 가능해져 장화(1)의 착용감이 보다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장화를 벗을 경우에는 갑피(2)의 목부(3)에 음각으로 2 ~ 4개 형성되는 신축조절부(6)가 삽입되는 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40mm 정도 늘어나게 되어 장화를 용이하게 벗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신축조절부(6)를 2 ~ 4개로 한정하는 이유는 2개 이하로 할 경우에는신축되는 부위가 협소하여 신축효과가 저하되므로 장화를 신거나 벗기는데 불편하게 되며, 4개 이상으로 신축조절부(6)가 많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목부(3)의 강도가 저하되어 쉽게 찢어지는 결함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고정벨트(5)를 타단부에 형성된 벨트잠금쇠(5a)에 체결하기 위하여 고정벨트(5)를 조이게 될 때, 갑피(2)와 고정벨트(5)에 미세한 요철부(7a)(7b)가 없는 경우에는 갑피(2)와 고정벨트(5)의 접촉면이 긴밀하게 접촉되어 있어 고정벨트(5)를 조이는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으나,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갑피(2)와 고정벨트(5)에 내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요철부(7a)(7b)에 의하여 갑피(2)와 고정벨트(5)사이에 공기를 통하게 하여 상기의 긴밀하게 접촉되어 있는 접촉면을 적게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키므로써 고정벨트(5)를 용이하게 조일 수 있게 되며, 장화를 신을 경우에도 발이 갑피(2)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7a')에 의하여 접촉면이 감소되므로 마찰력이 줄어들게 되어 용이하게 장화를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는 목부가 연장 형성된 갑피와 밑창으로 이루어진 장화의 밑창하면과 목부후면에 각각 벨트고리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벨트고리부에는 일단부에 벨트잠금쇠가 설치된 고정벨트를 장화의 발등부위와 발목부위를 동시에 휘감도록 삽입설치하여 체결되도록 하므로써, 장화의 착용시 하나의 고정벨트에 의해 간편하게 장화의 발등과 발목부위를 동시에 조일 수 있게 되므로 진흙탕이나 갯벌 등에서 작업할 경우 진흙탕이나갯벌의 점성에 의한 흡인력으로 인해 장화가 쉽게 벗겨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진흙탕이나 갯벌에서의 작업활동을 더욱 자유롭고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장화의 목부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신축조절부에 의해 장화의 착탈화시 자동적으로 신축조절되어 작업자의 발목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는 동시에 고정벨트에 의한 고정시 장화의 목부와 발목부위사이에 일정한 통기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자유로운 통기가 가능해져 장화의 착용감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갑피와 고정벨트에 내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요철부에 의하여 고정벨트를 더욱 더 용이하게 조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목부(3)가 연장형성된 갑피(2)와 갑피(2)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밑창(4)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장화에 있어서,
    상기 갑피(2)의 목부(3)후면과 밑창(4)의 하면중앙에는 각각 벨트고리부 (3a)(4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벨트고리부(3a)(4a)에는 일단부에 벨트잠금쇠(5a)가 설치된 고정벨트 (5)가 갑피(2)의 중앙부와 목부(3)를 휘감아서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2)의 목부(3)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2 ~ 4개의 신축조절부(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2)와 고정벨트(5)의 양면에는 미세한 요철부(7a)(7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KR20-2002-0026851U 2002-09-07 2002-09-07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KR200301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51U KR200301671Y1 (ko) 2002-09-07 2002-09-07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51U KR200301671Y1 (ko) 2002-09-07 2002-09-07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057A Division KR100468228B1 (ko) 2002-09-07 2002-09-07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671Y1 true KR200301671Y1 (ko) 2003-01-29

Family

ID=4932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851U KR200301671Y1 (ko) 2002-09-07 2002-09-07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6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86B1 (ko) * 2006-06-02 2007-08-22 김중호 일회용 비닐장화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86B1 (ko) * 2006-06-02 2007-08-22 김중호 일회용 비닐장화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4009A (en) Inner shoe for skiing boots or for use with shellike uppers of skiing boots
CA2227783C (en) Article of footwear
EP1467637B1 (e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tented upper
CA2417160C (e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tented upper
KR101642339B1 (ko) 장화
WO1992014372A1 (en) Protective foot capsule
CA2502899A1 (en) Ankle support designed to maintain proper integral boot fit
CN210672261U (zh) 透气防泼水工作鞋
KR200301671Y1 (ko)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KR100468228B1 (ko) 탈화방지용 고정벨트가 설치된 장화
JP4047871B2 (ja) 甲留めベルトで係合する靴
KR100742397B1 (ko)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CN219515429U (zh) 一种休闲凉鞋
CN219460466U (zh) 一种耐褶皱运动鞋
CN214509752U (zh) 一种便于穿脱的跑步运动鞋
CN217064996U (zh) 一种便于穿上脚的宠物鞋
CN218551506U (zh) 一种pvc和eva复合鞋底及鞋子
CN220308540U (zh) 一种便于调节松紧的雨靴
CN219229184U (zh) 一种防脱落男鞋
CN213029934U (zh) 一种女式单鞋
CN215819976U (zh) 一种具有防扭伤功能的休闲鞋
CN215936448U (zh) 一种防滑效果好的皮鞋
CN215992923U (zh) 一种防臭男鞋
CN209473685U (zh) 一种多用途水域防护鞋
CN217851617U (zh) 一种防水布面休闲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