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615Y1 -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615Y1
KR200301615Y1 KR20-2002-0032301U KR20020032301U KR200301615Y1 KR 200301615 Y1 KR200301615 Y1 KR 200301615Y1 KR 20020032301 U KR20020032301 U KR 20020032301U KR 200301615 Y1 KR200301615 Y1 KR 200301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enoid
reed switch
filter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종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정수기종합관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수기종합관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수기종합관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2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6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6Wireless systems for monitoring the fil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필터의 사용수명이 다될 직전에 예보신호를 알려 정수기 수요자로 하여금 미리 대처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정수기 AS센터에도 곧바로 그런 사실이 알려져 즉각 출동해 새 정수필터로 교체토록 함으로서 불시의 통수중단으로 인한 불이익을 당하지 않게 할 수 있는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구(2)를 가진 제1 부재(1a)와 출구(3)를 가진 제2 부재(1b)로 양분되어 나사식으로 체결해 일체화하도록 된 본체(1), 제1 부재(1a)에 내장된 변체(4)와 그 구동수단용 솔레노이드(5), 상기 양측 부재(1a,b) 사이에 낀 깔데기형 밸브 시트(6), 제2 부재(1b)의 후단부 겉에 설치된 리드 스위치(8), 상기 리드 스위치(8)와 솔레노이드(5)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과 전기적 유기적으로 연결된 적산회로(21), 지시기(22), 솔레노이드 동작회로기판(23), 배터리 등이 내장된 제어장치(20)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1b)에 내장된 리드 스위치 ON/OFF용 자석 스크류(9)와, 상기 지시기(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수필터 교체시기 외부 알림용 LED(25)와 부저(26) 및 외부 발신기(27)로 이루어진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omitted}
본 고안은 가정용 및 업소용 정수기에 내장된 정수필터의 교체시기가 도래한 직후 사용불가 판정이 내려진 정수필터의 계속 사용을 강제하기 위한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의 성능은 정수필터의 기능 여하에 달려 있으며, 정수필터는 기계적 사용수명이 정해져 있다. 일반인들로서는 정수기에 내장된 정수필터가 사용수명을 다하였는지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아 정수필터의 교체시기를 놓치는 예가 허다하다. 정수필터의 교체시기가 초과한 정수기를 계속 사용하다가는 비위생수를 정수로 오인하고 마시게 되므로 곤란하다.
이 점을 고려하여 고안된 것이 본인에 의한 실용신안등록 제180082호의 정수기 출수계통의 수량계측용 자동개폐장치이다. 이 선행기술은 입구와 출구를 가진 본체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양분한 제1,2 부재 사이에 출구 쪽으로 향하는 깔데기형 밸브 시트가 설치되어 있고, 제1부재에는 상기 밸브 시트를 입구 측에서 개폐하는 변체와 이것의 왕복구동용 솔레노이드가 내장되어 있으며, 제2부재에서는 유출수의 수압에 의해 후진하여 리드 스위치를 ON시키고 유출수를 막아 수압이 저하되었을 때 복귀스프링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 쪽으로 복귀하는 자석부착형 리드 스위치용 작동판이 삽입되어 있으며, 제2부재의 말단 부근에 장착된 리드 스위치는 적산회로와 지시기, 동작회로기판, 배터리가 내장된 제어장치에 상기 솔레노이드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정수기의 출구로 빠져나간 정수의 양을 기늠한 결과, 정수필터의 기계적 사용수명이 다 되었을 때 리드 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가 전진하여 더 이상 통수되지 못하게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단점은 정수필터의 교체주기가 도래한 경우 외부에서는 그 사실을 확인할 길이 없다. 그러다 정수필터의 사용수명을 다한 사실을 확인한 리드 스위치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기가 작동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통수구를 차단하는 돌발사태가 벌어지면 그 상태로는 더 이상 정수기를 사용할 수 없는 비상사태에 직면하게 돼 곤혹스러워진다.
또, 정수필터의 교체는 특정 정수기 관리업체에서 전담하는 현실정하에서 긴급하지는 않더라도 다른 일을 하다가 일시 중단하고 정수기 AS센터에 그 사실을 알리려 전화연락을 취한다는 건 성가신 일로 여기기 십상이고, 그 때 마침 담당자가 자리를 비운 경우라면 애를 태울 수밖에 없는 노릇일테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수필터의 사용수명이 다될 직전에 예보신호를 알려 정수기 수요자로 하여금 미리 대처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정수기 AS센터에도 곧바로 그런 사실이 알려져 즉각 출동해 새 정수필터로 교체토록 함으로서 불시의 통수중단으로 인한 불이익을 당하지 않게 할 수 있는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를 입구를 가진 제1 부재와 출구를 가진 제2 부재로 양분하고, 상기 양측 부재 사이에 낀 깔데기형 밸브시트, 제1부재에 내장된 변체와 그 구동수단인 솔레노이드, 제2 부재에 설치된 리드 스위치, 상기 리드 스위치와 솔레노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산회로, 지시기, 솔레노이드 동작회로기판, 배터리가 내장된 제어장치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제2 부재에 장치되던 리드 스위치용 스프링 장착형 작동판을 자석 스크류로 대체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정수필터 교체시기를 외부에 알려주는 LED와부저 및 인근 정수기 AS센터에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외부발신기를 정수기에 장착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의 단면을 포함한 전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a: 제1 부재
1b : 제2 부재 2 : 입구
3 : 출구 4 ; 변체
5 : 솔레노이드 6 : 밸브 시트
8 : 리드 스위치 9 : 자석 스크류
20 : 제어장치 22 : 지시기
25 : LED 26 : 부저
27 : 외부 발신기
도 1에서, 본체(1)는 일측에 정수가 들어가는 입구(2)가 형성된 제1 부재(1a)와 본체 속으로 들어 온 정수가 빠져나가는 출구(3)를 가진 제2 부재(1b)로 양분되고, 이들 사이에 깔데기형 밸브 시트(6)를 개입시킨 상태에서 나사식으로 체결시켜 일체화한다.
제1 부재(1a)측에는 변체(4)와 이 변체(4)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5)가 삽입되어 있다. 변체(4)는 솔레노이드(5)에 의해 전진하여 밸브 시트를 폐쇄하여 통수를 차단하고, 또한 복귀하여 통수를 재개시키는 것이고, 솔레노이드(5)는 변체(4)의 뒤쪽 제1 부재(1a)에서 입수(2)를 뒤쪽으로 비껴 난 곳에 위치하여 변체(4)를 구동하게 된다.
변체(4)의 이면에는 자석(7)이 부착되어 있어서 솔레노이드(5)가 통전되면 전자석이 되어 동극으로 될 때 이에 반발하여 밸브 시트로 전진해 물길을 닫고 솔레노이드(5)가 단전되어 이극으로 바뀌면 이에 흡착되어 복귀하고 물길을 틔우게 된다.
제2 부재(1b)의 말단 외면 일정에 장착된 리드 스위치(8)는 제1,2 부재(1a,b) 밖에 설치된 제어장치(20)의 적산회로(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솔레노이드(5)는 제어장치(20)의 솔레노이드 작동회로(23)와 배터리(24)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장치(20)는 리드 스위치(10)의 ON/OFF 횟수로 유량을 측정한 신호로써 정수의 사용량을 적산하고, 그 적산수치가 미리 입력된 소정의 횟수와 일치되었을 때 지시기(22)에 신호를 보내고, 지시기(22)는 그 신호를 받아 솔레노이드 작동회로(23)에 통전신호를 보내 솔레노이드(5)를 통전시킴으로서 변체(4)로 하여금 전진하여 입구(2)로 들어가는 정수를 차단토록 하고, 정수필터가 교체되고 모든 상황이 단수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면 솔레노이드(5)는 단전되고 변체(4)도 솔레노이드(5)에 흡인되어 복귀하며, 제어장치(20)도 단수 이전의 상태로 환원된다. 예까지는 상기한 선행기술에 의해 공지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출구(3)와 밸브 시트(6) 사이에 자석 스크류(9)를 내장한다. 이 자석 스크류(9)는 밸브 시트(6)를 거쳐 제2 부재(1b)의 출구(3)로 유출되는 정수의 수압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리드 스위치(8)를 ON/OFF시키는 것으로, 계수기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진 것을 원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22)는 LED(25)와 부저(26) 및 외부발신기(27)를 전기적으로 추가 연결하고, LED(25)와 부저(26) 및 외부발신기(27)는 정수기에서 물과 접촉되지 않고 눈에 잘 띄는 곳에 장착한다.
출구(3)에 연결된 도시하지 아니한 밸브를 잠가서 출수가 중지된 상태에서는 자석 스크류(9)가 회전하지 아니하므로 리드 스위치(8)도 수량을 감지하는 기능이 정지된다. 그리고 변체(4)는 단전된 상태의 솔레노이드(5)에 흡입되어 복귀해 있음에 따라 입구(2)를 통한 급수는 대기상태에 머물고 있는다.
도시 외의 밸브를 열어 출구(3) 쪽으로 물을 유출시키면 그 수류에 의하여 자석 스크류(9)가 회전하고, 그 회전에 따라 리드 스위치(8)가 ON되고, 그 때의 ON 신호는 즉각 제어장치(20)의 적산회로(21)에 적산된다.
도시 외의 밸브를 잠그면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본체(1)내에서의 물 흐름도 정지되고 자석 스크류(9)도 회전을 멈춘다. 이때 리드 스위치(8)가 OFF된다. 나머지 요소들은 적산회로(21)에 미리 입력시킨 수치에 이르기 전까지 원래의 상태로 머문다.
이 같은 물의 인출이 반복되다가 마침내 리드 스위치(8)의 ON 횟수가 적산회로(21)에 입력된 수치와 합치되는 순간 지시기(22)는 LED(25)와 부저(26)에 동시 신호를 보내 정수기 수요자에게 정수필터의 수명이 다한 사실을 알리게 하고, 또한 외부 발신기(27)로 하여금 관리중인 어느 정수기가 정수필터의 수명이 다한 사실을 통보하게 된다. 또한 동시에 솔레노이드 작동회로(23)에도 그 신호를 보내서 솔레노이드(5)로 변체(4)를 진출시켜 밸브 시트(6)를 차단, 물길을 닫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정수필터를 교체한다. 솔레노이드(5)에 의한 밸브 시트(6)의 봉쇄조치는 정수필터를 교체한 후 리세트될 때가지 그 상태로 머문다.
정수필터 교체 후 리세트하면 솔레노이드(5)가 단전되어 변체(4)를 흡입해 통수로를 열게 해서 정상 가동이 이뤄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출구 밖의 밸브를 열어도 출구로 물이 유출되지 않을 때 비로서 정수필터의 수명이 다 된 사실을 알게 된 것으로부터 정수기 수요자는LED의 발광과 부저음으로 정수필터의 사용수명이 다 된 사실을 즉각 감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정수기 AS센터에서도 수신신호로 관리하고 있는 어느 정수기의 정수필터가 교환대상인지를 즉시 알 수 있으므로 정수기 수요자의 불편을 신속히 해소할 수 있는 등의 실익을 가져다 준다.

Claims (1)

  1. 입구(2)를 가진 제1 부재(1a)와 출구(3)를 가진 제2 부재(1b)로 양분되어 나사식으로 체결해 일체화하도록 된 본체(1), 제1 부재(1a)에 내장된 변체(4)와 그 구동수단용 솔레노이드(5), 상기 양측 부재(1a,b) 사이에 낀 깔데기형 밸브 시트(6), 제2 부재(1b)의 후단부 겉에 설치된 리드 스위치(8). 상기 리드 스위치(8)와 솔레노이드(5)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과 전기적 유기적으로 연결된 적산회로(21), 지시기(22), 솔레노이드 동작회로기판(23), 배터리 등이 내장된 제어장치(20)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1b)에 내장된 리드 스위치 ON/OFF용 자석 스크류(9)와, 상기 지시기(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수필터의 교체시기 외부 알림용 LED(25)와 부저(26) 및 외부 발신기(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
KR20-2002-0032301U 2002-10-29 2002-10-29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 KR200301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01U KR200301615Y1 (ko) 2002-10-29 2002-10-29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01U KR200301615Y1 (ko) 2002-10-29 2002-10-29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615Y1 true KR200301615Y1 (ko) 2003-01-24

Family

ID=4939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301U KR200301615Y1 (ko) 2002-10-29 2002-10-29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6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0813A (zh) * 2017-07-17 2019-01-25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用于净水机的水路板组件和具有其的净水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0813A (zh) * 2017-07-17 2019-01-25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用于净水机的水路板组件和具有其的净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722B1 (en) Water flow control system
US7779852B2 (en) Water conservation safety shut-off valve
JP3590664B2 (ja) 浄水システムのための水質監視装置
US7204270B2 (en) Automated water shut-off valve
US5503175A (en) Water safety system
CN108975540B (zh) 净水系统及净水机
US20200180988A1 (en) Water system having uv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8975543B (zh) 净水系统及净水机
TW201607895A (zh) 逆滲透淨水處理方法及其系統
KR100278078B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301615Y1 (ko)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
KR200320059Y1 (ko) 정수기의 사용수량 측정 및 통수 자동차단장치
JP4310856B2 (ja) 水栓装置
RU2010107222A (ru) Перколяционная фильтрующая система
CN210920264U (zh) 水龙头装置
CN211619965U (zh) 净水设备
CN211999117U (zh) 三芯反渗透净水系统及三芯反渗透净水器
CN220003219U (zh) 带漏水报警及自动断水功能的前置过滤器及净水器
CN108975542B (zh) 净水系统及净水机
CN207356693U (zh) 一种新型多功能前置过滤器
JP3270116B2 (ja) ライフメーター付き家庭用浄水器
CN201777909U (zh) 水处理装置
KR20080030399A (ko) 정수기 및 그의 정수필터 교환시기 통보방법
TWM589198U (zh) 淨水裝置
JPH11283146A (ja) スプリンクラ設備を利用した漏水・停滞水の報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