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441Y1 - 조립식 의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441Y1
KR200301441Y1 KR20-2002-0031671U KR20020031671U KR200301441Y1 KR 200301441 Y1 KR200301441 Y1 KR 200301441Y1 KR 20020031671 U KR20020031671 U KR 20020031671U KR 200301441 Y1 KR200301441 Y1 KR 200301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upport frame
prefabricated
shelf member
ch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석
Original Assignee
박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석 filed Critical 박우석
Priority to KR20-2002-0031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수를 보관할 수 있는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상면 중앙에 수용홈(11)이 형성된 선반부재(10)와, 상기 수용홈(11)에 안착된 시트부재(20)와, 양 단부에 조립공(32)이 형성된 고정관(31)이 중앙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10)의 저면에 결합된 결속부재(30)와, 상기 조립공(32)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지지프레임(40)과, 상기 지지프레임(40)의 타측 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다수의 결합부(51)가 구비된 받침부재(50)로 구성된다.
따라서, 의자(1)의 각 구성요소가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으로 구성되므로써, 용도에 따라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야외 등지에서 사용할 경우 운반 및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립된 후에는 적층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수의 의자(1)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운송료 및 보관료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키게 되므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의자{A Collapsible Chair}
본 고안은 조립 및 분해가 자유롭고, 보관이 용이한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각 구성요소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휴대에 따른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수의 의자를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가구의 하나로 형태, 용도, 구조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으며, 가장 기본적인 의자의 구성은 신체의 둔부를 받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자를 형태에 구분하면, 크게 등받이 의자와 팔걸이 의자로 구분될 수 있으며, 등받이 의자는 기본적인 의자의 구성에 신체의 등을 받칠 수 있도록 등받이가 설치된 것이고, 팔걸이 의자는 상기 등받이 의자의 좌, 우 양측에 사용자의 팔을 걸칠 수 있는 팔걸이가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자를 용도상으로 나누게 되면, 작업목적용 의자, 휴식목적용 의자, 특수목적용 의자로 나눌 수 있으며, 작업목적용 의자로는 사무용 의자, 학습용 의자, 식사용 의자 등이 있고, 휴식목적용 의자로는 안락의자 및 소파 등이 있으며, 특수목적용 의자로는 이발, 미용, 의료, 극장 등에서 사용되는 의자가 있다.
또한, 구조상으로 의자를 구분하게 되면, 고정식, 접이식, 경사조절식, 회전식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의자를 구분하게 되면, 목재 의자, 금속 의자, 합성수지 의자 등이 있다.
한편, 시트 및 등받이는 신체부위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곳으로, 부드러운 재질의 직물 또는 가죽 등으로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 내부에는 짚, 면포, 양모, 새털, 우레탄 폼 등을 첨가하여 접촉된 신체부위에 탄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형태, 용도,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의자가 구비되어 있어 기호에 맞는 의자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의자는 신체의 각 부위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휴식시간을 편하게 보내도록 하는 편의수단으로의 기능은 수행하고 있으나, 운반 및 이동이 불편하고, 보관상 한정된 공간 내에 다수의 의자를 보관하기에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의자는 분해 및 조립이 불가능한 완제품상태에서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어 야외 등지에서의 사용에 따른 운반 또는 이동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다량의 의자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운반작업에 많은 수의 인력이 추가로 투입되어야 하므로, 운송료의 추가지출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의자는 제원에 따른 부피를 그대로 갖게 되어 보관에 따른 보관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의자를 적출시켜 보관하고 있으나, 적층이 용이하지 못할 뿐 아니라 적층이 이루어져도 의자와 의자 사이의 공간이 넓어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수의 의자를 보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보관료 및 운송료 등의 상승시키는 요소로 작용하여 의자의 구입에 따른 소비자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제품의신뢰성의 하락으로 이어져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조립 및 분해가 자유로울 뿐 아니라, 아울러,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수의 의자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각 구성요소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휴대에 따른 운반 및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층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적층된 의자와 의자 사이의 거리를 좁혀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수의 의자를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운송료 및 보관료의 효과적인 절감을 통한 저렴한 가격으로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립식 의자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조립식 의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선반부재의 상, 하부에 시트부재와 결속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선반부재 11 - 수용홈
20 - 시트부재 30 - 결속부재
21 - 고정관 32 - 조립공
40 - 지지프레임 50 - 받침부재
51 - 결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 중앙에 수용홈이 형성된 선반부재와;
상기 수용홈에 안착된 시트부재와;
양 단부에 조립공이 형성된 고정관이 중앙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저면에 결합된 결속부재와;
상기 조립공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 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결합부가 구비된 받침부재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의자의 각 구성요소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운반 및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의자를 적층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수의 의자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립식 의자의 형상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며,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수를 보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인 조립식 의자의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조립식으로 이루어진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결합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선반부재의 상, 하부에 시트부재와 결속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저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선반부재의 상, 하부에 시트부재 및 결속부재가 각각 볼트 결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일부 걸결하여 정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선반부재의 상, 하부에 시트부재 및 결속부재가 볼트 체결되고, 상기 결속부재에는 선반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되며, 이 지지프레임은 내주면에 결합부가 형성된 받침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을 적층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의자(1)를 조립 및 분해가 자유로운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운반 또는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아울러,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수를 보관할 수 있도록 적층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선반부재(10) 및 상기 선반부재(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시트부재(20)와, 상기 선반부재(10)의 저면에 결합되는 결속부재(300)와, 상기 선반부재(10) 및 시트부재(2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과, 상기 지기프레임(40)를 고정하는 받침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선반부재(10)는 무게가 가볍고, 대량생산에 유리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사용 용도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면 중앙에는 수용홈(11)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11)에는 신체부위중 둔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시트부재(20)가 안착되고, 그 저면에는 양 단부에 조립공(32)이 관통지게 형성된 고정관(31)이 중앙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형성된 결속부재(3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부재(20)는 착좌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곳으로, 기본 골조인 베이스부재(22)를 부드러운 재질의 직물 또는 가죽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커버부재(23)로 감싼 후 그 내부에 짚, 면포, 양모, 새털, 우레탄 폼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쿠션부재(24)를 첨가하여 접촉된 신체부위에 탄력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선반부재(10)의 저면에 결합되는 결속부재(30)에는 조립된 선반부재(10) 및 시트부재(2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조립공(32)에 삽입되며, 타측 단부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프레임(40)이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40)은 내주면에 다수의 결합구(51)가 구비된 받침부재(50)에 의해 고정되는 데, 상기 결합구(51)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40)의 타측 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5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선반부재(10)의 상, 하부에 시트부재(20) 및 결속부재(30)를 각각 결합한 후 상기 결속부재(30)에 지지프레임(40)을 체결하고, 받침부재(50)를 통하여 지지프레임(40)을 고정하는 것으로, 본 고안인 조립식 의자(1)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선반부재(10) 및 시트부재(20)와 결속부재(30)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있는 데, 그 실시 예로 본 고안에서는 선반부재(10)에 형성된 수용홈(11)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구멍(12)이 형성되고, 좌판부재(20)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구멍(12)과 동일한 위치로 나사홈(21)이 형성되며, 상응하는 위치의 고정관(31)과 이 고정관(31)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40)에는 결합공(33)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어 볼트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체결구(60)를 통하여 체결된다.
한편, 본 고안인 조립식 의자는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수를 보관할 수 있도록 적층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데, 이를 위하여 선반부재(10)의 직경은 지지프레임(40)을 고정하고 있는 받침부재(50)의 내측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립이 완료된 의자(1)를 적층시키기 위해서는 적층될 지지프레임(40) 및 상기 지지프레임(40)을 고정하고 있는 받침부재(50)가 다른 의자의 선반부재(10)를 통과해야 하므로, 상기 선반부재(10)의 직경이 받침부재(50)의 내측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적층되는 과정에서 지지프레임(40)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의자(1)를 조금씩 다른 각도로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층되는 의자(1)의 결속부재(30)는 다른 의자의 시트부재(20)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적층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적층이 이루어지게 되면, 의자(1)와 의자(1) 사이의 거리가 현격하게 줄어들게 되어 한정된 공간 내에서도 많은 수의 의자(1)를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조립식 의자(1)를 통하여 사용상의 간편함 및 보관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의자의 각 구성요소가 조립 및 분해가 자유로운 조립식으로 구성되므로써, 용도에 따라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야외 등지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운반 및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반부재가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받침부재의 내측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므로써, 적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적층된 의자와 의자사이의 거리를 좁혀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수의 의자를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운송료 및 보관료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키게 되므로써, 저렴한 가격으로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상면 중앙에 수용홈(11)이 형성된 선반부재(10)와;
    상기 수용홈(11)에 안착된 시트부재(20)와;
    양 단부에 조립공(33)이 형성된 고정관(31)이 중앙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10)의 저면에 결합된 결속부재(30)와;
    상기 조립공(32)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지지프레임(40)과;
    상기 지지프레임(40)의 타측 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다수의 결합부(51)가 구비된 받침부재(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재(10)에 형성된 수용홈(11)에는 일정간격으로 관통구멍(12)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부재(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시트부재(20)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구멍(12)과 동일한 위치로 나사홈(21)이 형성되며, 상응하는 위치의 고정관(31)와 이 고정관(31)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40)에는 결합공(33)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어 볼트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재(10)의 직경은 지지프레임(40)을 고정하고 있는 받침부재(50)의 내측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KR20-2002-0031671U 2002-10-23 2002-10-23 조립식 의자 KR200301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671U KR200301441Y1 (ko) 2002-10-23 2002-10-23 조립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671U KR200301441Y1 (ko) 2002-10-23 2002-10-23 조립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441Y1 true KR200301441Y1 (ko) 2003-01-24

Family

ID=4939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671U KR200301441Y1 (ko) 2002-10-23 2002-10-23 조립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991A (ko) * 2021-05-31 2022-12-07 박범진 조립식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991A (ko) * 2021-05-31 2022-12-07 박범진 조립식 의자
WO2022255633A1 (ko) * 2021-05-31 2022-12-08 박범진 조립식 의자
KR102509700B1 (ko) 2021-05-31 2023-03-14 박범진 조립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0055A1 (en) Composite assembly of interconnectable furniture
US10448744B2 (en) Chair
US6270155B1 (en) Foldable upholstered chair
US4828320A (en) Chair frame and cushion assembly
US20060181115A1 (en) Furniture with seating space and entertainment center
CA2352727A1 (en) Chair with reclining back rest
JP2011527925A (ja) モジュール式座席システム
JP2012223484A (ja) 組立・組替え可能なソファ構造物
US20100244501A1 (en) Cushion that converts into an ottoman
US3822079A (en) Furniture having components which can be assembled in different ways
US20060033368A1 (en) Modular furniture piece having interchangeable arms
US5431479A (en) Tandem chair assembly
KR200301441Y1 (ko) 조립식 의자
US20120104824A1 (en) Modular convertable furniture assembly using stackable components
KR102057897B1 (ko) 조립식 의자
KR200250514Y1 (ko) 절첩식 좌의자
US20110220522A1 (en) Compact children's table and stool set
KR20160002665U (ko) 조립식 소파
US20210386205A1 (en) Foam seat with removable nesting insert
KR200427977Y1 (ko) 조립식 의자
RU2463934C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предмет мебели
US2830656A (en) Knockdown chair
US11103074B2 (en) Multi-positional chair assembly
US20240065446A1 (en) Modular Sofa System
US3722953A (en) Furniture formed of arcuate and cylindrical me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