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87Y1 -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87Y1
KR200300987Y1 KR20-2002-0030704U KR20020030704U KR200300987Y1 KR 200300987 Y1 KR200300987 Y1 KR 200300987Y1 KR 20020030704 U KR20020030704 U KR 20020030704U KR 200300987 Y1 KR200300987 Y1 KR 200300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computer
input device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성
Original Assignee
원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성 filed Critical 원종성
Priority to KR20-2002-0030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키보드의 배열 및 크기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재구성하고 키보드의 보조입력수단 및 개인정보 관리 수단을 키보드에 일체화함으로써, 노인, 주부 또는 환자 등 컴퓨터에 친숙하지 않은 정보화 소외계층의 사용자들도 키보드 자판의 배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설령 키보드 자판에 의하지 않더라도 전통적인 수기(handwriting)의 방법에 의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사용 중에 필요한 개인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AN INPUT DEVICE OF A PERSONAL COMPUTER FOR THE ESTRANGED FROM THE INFORMATIONIZED SOCIETY}
본 고안은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키보드의 배열 및 크기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재구성하고, 키보드의 보조입력수단을 키보드에 일체화함으로써, 복잡한 정보통신기기와 친숙하지 않은 노인, 주부 또는 환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의 사용자에 대한 컴퓨터 사용방법 상의 학습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정보화 강대국 중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 물결이 국내외를 막론하고 급속도로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이제는 컴퓨터 및 인터넷이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삶의 필수도구가 되어 가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10대에서 40대에 이르는 인구층이 컴퓨터 및 인터넷의 주된 사용자 계층을 구성하고 있었으나, 앞으로 점차 50대 이상 중장년층 및 노년층까지도 컴퓨터 및 인터넷의 사용자 대열에 접어들게 될 것이다.
또한, 의학, 생명공학 및 환경공학 등의 발전에 힘입어 인간의 평균수명이 현저하게 늘어나고, 산업사회의 영향으로 독거 노인이 차츰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2000년 11월 현재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7.3%가 기준연령 이상의 고령인구로 분류되는 바, 우리나라도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조기 정년퇴직 또는 명예퇴직 등으로 사회활동을 일찍 마감한 노인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바, 새로운 정보사회에서의 고령 인구층의 사회참여를 위해서는 컴퓨터 사용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의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과 인터넷 그리고 이의 활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키보드, 마우스 등)는 대부분 이들 노인층을 고려하지 않고 이미 컴퓨터 및 인터넷에 익숙한 젊은 세대 위주로 개발 및 제작되고 있는 형편이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키보드 자판의 배열은 가나다 순의 사전적 배열과는 무관하게 사용빈도에 따른 배열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이나 주부 또는 환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이 컴퓨터의 사용방법을 새로이 익히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넘어야 하는 첫단계인 키보드 및 마우스 등 입력장치의 조작방법을 숙달하는 것조차도 상당한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학습장벽으로 작용하게 된다.
결국, 대다수의 노인층은 컴퓨터 및 인터넷의 사용방법을 익히기도 전에, 컴퓨터를 익히는 것의 전단계에 불과한 자판 배열을 익히는 단계에서 더 이상의 학습을 포기하게 되어, 정보화 소외계층으로 전락하게 되는 결과가 야기되는 것이다.
또한, 컴퓨터 키보드 및 마우스의 사용방법 등 컴퓨터의 기본적인 사용방법을 익혔더라도, 인터넷 상의 각종 웹사이트에서 요구하는 개인식별번호(ID) 및 비밀번호(password)를 매번 숙지하였다가 기억을 되살려 입력하는 것 역시 정보화 소외계층의 사용자들이 컴퓨터 및 인터넷을 사용함에 있어서의 큰 어려움으로 닥쳐온다.
더욱이, 인터넷 상에서의 전자상거래 등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과 해킹에의 위험성은 이들이라고 해서 예외적인 것은 아니며, 오히려 더욱 그러한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인이나 주부 또는 환자 등 컴퓨터에 친숙하지 않은 정보화 소외계층의 사용자들도 키보드 자판의 배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설령 키보드 자판에 의하지 않더라도 전통적인 수기 (handwriting)의 방법에 의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사용 중에 필요한 개인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의 고안에 대한 요청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요청에 부응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키보드의 배열 및 크기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재구성하고 키보드의 보조입력수단 및 개인정보 관리 수단을 키보드에 일체화함으로써, 노인, 주부, 환자 등 컴퓨터에 친숙하지 않은 정보화 소외계층의 사용자들도 키보드 자판의 배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설령 키보드 자판에 의하지 않더라도 전통적인 수기(handwriting)의 방법에 의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사용 중에 필요한 개인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는, 숫자키 자판부, 특수키 자판부, 자음키 자판부, 모음키 자판부, 방향키 자판부 및 기능키 자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수키 자판부는 대소문자 전환키, 제어(Ctrl)키, 보조(Alt)키, 전환(Shift)키, 다음(Tab)키, 삽입(Insert)키, 한영 전환키 및 빈칸(Space)키 등의 특수키를 포함하고,
상기 자음키 자판부는 상기 자음키 자판부의 좌상측에서 우하측으로 ㄱ,ㄴ,ㄷ,ㄹ,...,ㅍ,ㅎ 순서로 배열된 한글 자음키 및 뒤지움(Delete)키와 앞지움 (Backspace)키를 포함하고,
상기 모음키 자판부는 상기 모음키 자판부의 좌상측에서 우하측으로 ㅏ,ㅑ,ㅓ,ㅕ,...,ㅡ,ㅣ 순서로 배열된 한글 모음키 및 쉼표(,)키와 마침표(.)키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키 자판부는 상,하,좌,우의 각 방향을 가리키는 4개의 방향키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키 자판부는 웹사이트 바로가기 기능, 전자우편 관리프로그램 실행 기능, 즐겨찾기 탐색기능, 인쇄 기능 등의, 사용자가 직접 설정 및 변경 가능한 복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컴퓨터 입력장치는 각 자판부가 형성된 면에 형성되는 유전체 필름 터치 방식의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 문자, 그림 및 명령 등을 입력하고, 컴퓨터용 마우스의 버튼 역할을 수행하는 2 이상의 누름 스위치가 구비된 펜(pen) 형상의 보조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컴퓨터 입력장치는 스마트 카드에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 리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인용 키보드의 한 면에는 상기 스마트 카드 리더로 상기 스마트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10)는, 고령으로 인하여 손가락의 동작이 용이하지 않고, 노안으로 인하여 자판 상에 인쇄된 각 자판의 명칭을 잘 볼 수 없는 노인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현행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키보드보다도 약 120% 내지 150% 가량 자판의 크기를 확대하여 만들도록 하였다.
즉, 일반적인 키보드의 키 피치(자판 사이의 간격)가 19mm인 데 반해서, 본 고안에 의한 노인용 키보드는 약 22.8mm 내지 약 28.5mm의 키 피치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10)가 종래의 키보드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인 자판의 배열을 살펴본다.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10)는 종래의 키보드와 달리, 키보드 상에서 자음과 모음의 영역을 분리하여 각각 자음키 자판부 및 모음키 자판부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자음키 자판부 및 모음키 자판부는 각각 좌상측으로부터 우하측으로 ㄱ,ㄴ,ㄷ,...,ㅍ,ㅎ 순서 또는 ㅏ,ㅑ,ㅓ,ㅕ,...,ㅡ,ㅣ 순서의 키 배열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노인이나 주부 또는 환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의 사용자 중 상당수가 두 손가락만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이른바 '독수리 타법'을 사용한다는 사실에 착안한 구성이다. 즉, 흔히 쓰이는 키를 더욱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키보드의 키 배열에 의하면 가나다 순으로 배열된 키보드보다 훨씬 키의 입력 속도가 빨라지게 될 것이지만, 이는 자판 배열에 충분히 숙달이 된 다음의 문제인 것이다. 자판 배열에 충분히 숙달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일견하여 무작위적으로까지 보이는 ㅂ-ㅈ-ㄷ-ㄱ-ㅅ-ㅁ-ㄴ-ㅇ-ㄹ-ㅎ-ㅋ-ㅌ-ㅊ-ㅍ의 키 배열 순서에서 원하는 키를 찾기조차 상당히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그보다는 차라리 오랜 시간동안 체득되어 있는 가나다 순의 배열로써 자음과 모음을 각각 배열하는 것이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입력장치의 주된 사용 계층으로 하여금 컴퓨터를 사용하는 데에는 한층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자음키 자판부(120)에는 뒤지움(Delete)키와 앞지움(Backspace)키가 더 포함되며, 상기 모음키 자판부(130)에는 쉼표(,)키와 마침표(.)키가 더 포함된다.
다음으로, 상기 특수키 자판부(110)는 대소문자 전환키, 제어(Ctrl)키, 보조(Alt)키, 전환(Shift)키, 다음(Tab)키, 삽입(Insert)키, 한영 전환키 및 빈칸(Space)키 등의 특수키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입력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Shift, Tab, Insert 등의 영문 명칭을 전환, 다음, 삽입 등으로 한글화하여 키 표면에 인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키의 역할 및 기능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방향키 자판부(140)는 일반적인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상,하,좌,우의 각 방향을 가리키는 4개의 방향키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 자판부(150,160,170)는 웹사이트 바로가기 기능, 전자우편 관리프로그램 실행 기능, 즐겨찾기 탐색기능, 인쇄 기능 등의, 사용자가 직접 설정 및 변경 가능한 복수의 기능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닫기" 버튼은 활성화 되어 있는 대화창(응용프로그램)을 종료 하도록 할 수 있고, "노인타운" 버튼은 인터넷 탐색기를 구동하여, 벤더(vendor)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지정된 웹사이트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면확대" 버튼은 화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의 해상도를 낮추어서 화면을 크게 보이게 할 수 있고, "편지쓰기" 버튼은 수기(handwriting) 메일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즐겨찾기" 버튼은 기존에 사용자가 작성한(MS익스플러러에서 작성한) '즐겨찾기'를 대화창으로 실행하도록 할 수 있고, "바탕화면" 버튼은 화면에 보이는 모든 대화창을 최소화(minimizing)하여 윈도우 바탕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인쇄" 버튼은 활성화된 대화창(응용프로그램 포함)의 인쇄(출력)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입력장치(10)에서 각 자판부가 형성된 면에는 터치패드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마우스가 없이도 마우스 등에 의하여 수행되는 보조 입력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터치패드는 유전체 필름 터치 방식으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터치패드의 해상도는 200 dpi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입력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입력장치 상에 구비된 터치패드 상에서 문자, 그림 및 명령 등을 입력하고, 컴퓨터용 마우스의 버튼 역할을 수행하는, 2 이상의 누름 스위치(211,212)가 구비된 펜(pen) 형상의 보조 입력장치(21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위 펜 형상 보조 입력장치(210)는, 일반적인 휴대용 개인정보단말(PDA)에 적용되는 터치패드 상에서 문자 또는 명령을 입력하고 그림을 그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른바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입력장치(210)에 구비된 누름 스위치(211,212)에 의하여 마우스의 좌우버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노인들이 컴퓨터로 많이 이용하고 싶은 작업 중의 하나는 바로 메일을 주고 받는 것이다. 손자,손녀 또는 동일 세대의 노인들과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전자메일을 활용하고자 하지만, 키보드 입력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의 해결수단으로 일상적인 글씨쓰기에 해당하는 펜 형상 보조 입력장치에 의한 입력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터치패드(180)에 상기 펜 형상 보조 입력장치(210)로 쓴 글씨가 컴퓨터에서 인식될 수 있는 형태의 텍스트 파일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키보드에 의한 입력보다 한층 용이하고 친숙하게 노인등 정보화 소외계층의 사용자들이 컴퓨터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컴퓨터 입력장치(200)는 스마트 카드에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 리더(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더 포함하고, 컴퓨터 입력장치(200)의 한 면에는 상기 스마트 카드 리더로 상기 스마트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홈(220)을 형성하고 있다.
"정보의 바다"라고 일컬어지는 인터넷 상에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많은 웹사이트가 있으며, 네티즌이면 누구나 웹사이트에 온라인 상으로 가입하여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시피 한 형편이다. 대부분의 사이트는 네티즌을 활용한 비즈니스를 전개하기 위하여 회원 가입을 권고 또는 의무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컴퓨터 자체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에게는 웹사이트마다의 ID 및 패스워드를 관리하는 일이 용이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한 번 설정한 ID 및 패스워드를 각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마다 번거롭게 기억해내지 않고도 용이하게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마치 KEY의 개념으로서 집중관리할 수 있는 수단에 의한다면 한층 컴퓨터 및 인터넷의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바 있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2756호 발명("색채 아이디 시스템")에 의한 개인인증 시스템을 수정 및 보완하여 적용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KEY의 역할을 하게 되는 집중관리 수단으로 각 사용자마다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를 부여함으로써, 단지 스마트 카드를 키보드 상의 슬롯(220)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인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마트 카드 및 스마트 카드 리더 대신에 근래들어 급속히 대중화되고 있는 플래시 저장장치 및 USB 인터페이스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를 사용하면, 종래의 키보드의 배열 및 크기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재구성하고 키보드의 보조입력수단 및 개인정보 관리 수단을 키보드에 일체화함으로써, 노인, 주부 또는 환자 등 컴퓨터에 친숙하지 않은 정보화 소외계층의 사용자들도 키보드 자판의 배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설령 키보드 자판에 의하지 않더라도 전통적인 수기(handwriting)의 방법에 의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사용 중에 필요한 개인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숫자키 자판부, 특수키 자판부, 자음키 자판부, 모음키 자판부, 방향키 자판부 및 기능키 자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로서,
    상기 특수키 자판부는 대소문자 전환키, 제어(Ctrl)키, 보조(Alt)키, 전환(Shift)키, 다음(Tab)키, 삽입(Insert)키, 한영 전환키 및 빈칸(Space)키 등의 특수키를 포함하고,
    상기 자음키 자판부는 상기 자음키 자판부의 좌상측에서 우하측으로 ㄱ,ㄴ,ㄷ,...,ㅍ,ㅎ 순서로 배열된 한글 자음키 및 뒤지움(Delete)키와 앞지움(Backspace)키를 포함하고,
    상기 모음키 자판부는 상기 모음키 자판부의 좌상측에서 우하측으로 ㅏ,ㅑ,ㅓ,ㅕ,...,ㅡ,ㅣ 순서로 배열된 한글 모음키 및 쉼표(,)키와 마침표(.)키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키 자판부는 상,하,좌,우의 각 방향을 가리키는 4개의 방향키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키 자판부는 웹사이트 바로가기 기능, 전자우편 관리프로그램 실행 기능, 즐겨찾기 탐색기능, 인쇄 기능 등의, 사용자가 직접 설정 및 변경 가능한 복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입력키 간의 피치(pitch)는 22.8mm 내지 28.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상기 각 자판부가 형성된 면에 형성되는 유전체 필름 터치 방식의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 문자, 그림 및 명령 등을 입력하고, 컴퓨터용 마우스의 버튼 역할을 수행하는 2 이상의 누름 스위치가 구비된 펜(pen) 형상의 보조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스마트 카드에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 리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의 한 면에는 상기 스마트 카드 리더로 상기 스마트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 입력장치.
KR20-2002-0030704U 2002-10-15 2002-10-15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입력장치 KR200300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704U KR200300987Y1 (ko) 2002-10-15 2002-10-15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704U KR200300987Y1 (ko) 2002-10-15 2002-10-15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87Y1 true KR200300987Y1 (ko) 2003-01-15

Family

ID=4939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704U KR200300987Y1 (ko) 2002-10-15 2002-10-15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sui POBox: An efficient text input method for handheld and ubiquitous computers
US8766825B2 (en) Multifunction display-based user interface for devices
JP3727399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US8928588B2 (en) Touch-type key input apparatus
US6104317A (en)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RU2277719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системы скоростного письма и устройство скоростного письма
US7170496B2 (en) Zero-front-footprint compact input system
US8381119B2 (en) Input device for pictographic languages
KR101006749B1 (ko) 전자 장치들 내에서 수기 인식
US10990192B2 (en) Multilingual character input device
US6837633B2 (en) Stroke-based input of characters from an arbitrary character set
US20070016862A1 (en) Input guessing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201102090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inputting data
US20140123049A1 (en) Keyboard with gesture-redundant keys removed
WO2010035585A1 (ja) 携帯端末、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US20120176320A1 (en) Touchscreen keyboard displays, alphanumeric input keyboards and control means
CN101183296A (zh) 通过手机触摸屏上显示的虚拟双拼键盘输入汉字
Arif et al. A survey of text entry techniques for smartwatches
JP2019532428A (ja) 文字入力装置
KR20050048758A (ko)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987Y1 (ko) 컴퓨터 비숙련자 등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컴퓨터입력장치
KR20100069089A (ko)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ondado et al. EasyWrite: A touch-based entry method for mobile devices
Wobbrock EdgeWrite: A versatile design for text entry and control
US20100164876A1 (en) Data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