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4Y1 -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64Y1
KR200300964Y1 KR20-2002-0030264U KR20020030264U KR200300964Y1 KR 200300964 Y1 KR200300964 Y1 KR 200300964Y1 KR 20020030264 U KR20020030264 U KR 20020030264U KR 200300964 Y1 KR200300964 Y1 KR 200300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oltage
power
usb por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to KR20-2002-0030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USB 단자가 구성된 충전용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어댑터나 전원 플러그와 같은 전원접속장치에 USB 포트를 구성함으로써 USB 단자가 구성된 충전용 케이블만을 휴대하여 어느 곳에서나 각 종 휴대용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고전압의 상용 교류전원을 전압 강하시키는 전압트랜스; 전압트랜스에 의해 강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게 필터링 하는 필터회로; 필터회로에 의해 필터링된 직류전압을 안정된 충전전압으로 제공하는 정전압회로; 및 정전압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안정된 충전전압을 외부의 USB 단자에 제공하는 USB 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Power connected apparatus having charger for USB port}
본 고안은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댑터, 전원 플러그에 USB포트를 구성하여 카세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휴대폰, 무선전화기 등의 각 종 휴대용기기를 USB 단자가 구성된 충전용 케이블을 통해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전자기기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 회로 등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전원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는 전원 콘센트에 전원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항상 일정한 위치의 한정된 공간에서만 해당 전자기기의 사용이 가능하였다. 즉,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의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근래에는 사용자가 각종 전자기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휴대용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기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동하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카세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의 음향기기, 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의 촬영기기, 집이나 사무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전화를 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 및 이동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어디에서나 전화통화가 가능한 휴대폰 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기기는내부에 구비되는 전자회로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원으로 건전지나 배터리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기기의 대부분은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용 건전지나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 사용한 후에는 건전지나 배터리를 다시 충전시켜 사용할 수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카세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의 음향기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무선전화기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공급되는 220V의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어댑터를 사용하고 있다.
도 1 은 종래 음향기기용 충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휴대폰용 충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종래 교류용 충전장치의 충전회로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어댑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어댑터 본체(12), 어댑터 본체(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플러그(14), 어댑터 본체(12) 내부에 구성되어 입력된 교류전원을 휴대용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충전회로(도 3 참조), 어댑터 본체(12)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충전단자 연결선(16) 및 충전단자 연결선(16)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휴대용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충전회로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용기기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18)로 이루어진다.
한편, 휴대폰의 경우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입시 충전장치(20)가 기본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충전장치(20)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전원 콘센트에전원 플러그(2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220V의 교류전원이 전원 연결선(24)을 통해 충전회로(도 3 참조)가 내장된 휴대폰 거치대(26)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충전회로는 입력된 220V 교류전압을 20V 직류전압으로 1차 변환시킨 후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4.1V 또는 4.2V 등으로 2차 변환시켜 배터리 충전단자(28)를 통해 공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 1 및 도 2 의 220V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충전하는 대부분의 교류용 충전장치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AC전원(30)은 AC/DC 변환수단(32a)을 통해 DC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DC/DC 변환수단(32b)을 통해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용기기에 적합한 DC전원으로 변환시켜 휴대폰(34)과 같은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용기기에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기기 충전장치는 전체적인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사용상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1 및 도 2 의 종래 휴대용기기 충전장치는 사무실이나 가정 전용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근래에는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기기를 충전시키는 충전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자동차용 충전장치는 자동차에서만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자동차용 충전장치는 전체적인 크기가 커서 휴대하고 다니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항상 자동차에 승차하여 이용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전장치의 문제로 제시되었던 휴대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상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충전장치"(특허출원 제2000-63910호)를 2000년 10월 30일자로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충전장치"(특허출원 제2000-63910호)는 부피가 적은 케이블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휴대의 용이성은 인정되나, 컴퓨터가 없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 종 휴대용기기의 구입시 제공되는 USB 단자가 구비된 충전용 케이블(특히, 디지털 캠코더나 디지털 카메라에서 화상편집 등을 위해 제공되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로 USB 포트에서 공급되는 5V 전원으로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컨버터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제품의 케이블) 역시 컴퓨터가 없는 곳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USB 단자가 구성된 충전용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어댑터나 전원 플러그와 같은 전원접속장치에 USB 포트를 구성함으로써 USB 단자가 구성된 충전용 케이블만을 휴대하여 어느 곳에서나 각 종 휴대용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댑터나 전원 플러그와 같은 전원접속장치에 USB 포트를 구성하여 USB 단자가 구성된 충전용 케이블의 사용이 어느 곳에서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 음향기기용 충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휴대폰용 충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종래 교류용 충전장치의 충전회로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도 5 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 은 도 7 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원접속장치 110. 전압트랜스
112. 1차측 권선 114. 2차측 권선
120. 정류회로 130. 필터회로
140. 정전압회로 150. USB 포트
200. 휴대용기기 210. 충전용 케이블
212. USB 단자 214. 충전접속단자
216. 전원 연결선 300. 어댑터
310, 410. 충전 케이블 312, 412. 연결선
314, 414. 충전단자 400. 전원플러그
402. 플러그 선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는 고전압의 상용 교류전원을 전압 강하시키는 전압트랜스; 전압트랜스에 의해 강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게 필터링 하는 필터회로; 필터회로에 의해 필터링된 직류전압을 안정된 충전전압으로 제공하는 정전압회로; 및 정전압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안정된 충전전압을 외부의 USB 단자에 제공하는 USB 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전원접속장치는 각 종 휴대용기기에 전원 콘센트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에 구성될 수 있다. 이때, USB 포트는 어댑터의 외형을 이루는 어댑터 본체의 일측에 구성된다.
전술한 어댑터에는 USB 포트와는 별도로 어댑터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선과 열결선의 끝단에 구비되어 각 종 휴대용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충전회로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용기기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로 이루어진 충전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전원접속장치는 각 종 전원기기에 전원 콘센트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플러그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USB 포트는 전원 플러그의 외형을 이루는 플러그 본체의 일측에 구성된다.
전술한 전원 플러그에는 USB 포트와는 별도로 전원 플러그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선과 열결선의 끝단에 구비되어 각 종 휴대용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충전회로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용기기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로 이루어진 충전 케이블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는 USB 포트에 접속되어 카세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휴대폰, 무선전화기 등의 각 종 휴대용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USB 단자가 구비된 충전용 케이블의 사용을 요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는 충전용 케이블을 장소를 옮겨 어느 곳에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100)는 상용 교류전원을 전압 강하시키는 전압트랜스(110), 전압 강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120),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게 필터링 하는 필터회로(130), 필터링된 직류전압을 안정된 충전전압으로 제공하는 정전압회로(140) 및 정전압회로(140)를 통해 출력되는 안정된 충전전압을 외부의 USB 단자(212)에 제공하는 USB 포트(15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100)는 입력된 고전압의 상용 교류전원을 전압트랜스(110)를 통해 전압 강하시킨 후, 이 전압 강하된 교류전압을 정류회로(120)를 통해 직류전압으로 변화시키고, 정류회로(12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압을 필터회로(130)를 통해 필터링 하며, 필터링된 직류전압을 정전압회로(140)를 통해 안정화시켜 USB 포트(150)를 통해 안정된 충전전압을 외부 접속단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USB 포트(150)에 연결되는 외부 접속단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접속장치(100)의 USB 포트(1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USB 단자(212), 각 종 휴대용기기(200)의 충전용 접속포트(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충전접속단자(214) 및 USB 단자(121)와 충전접속단자(214)를 연결하는 전원 연결선(216)으로 이루어진 충전용 케이블(210)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충전용 케이블(210)의 USB 단자(212)는 통상적으로 그 규격이 통일화되어 있는 어떠한 장치의 USB 포트와도 인터페이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만, 휴대폰의 경우 데이터 포트의 크기나 신호배열이 아직 통일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 또한 통일안이 마련되어 시행만을 남겨두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100)는 USB 단자(212), 충전접속단자(214) 및 전원 연결선(216)으로 이루어진 충전용 케이블(210)만 휴대하게 되면 어디서든 각 종 휴대용기기(2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가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100)에서 충전회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때, 도 4 의 충전회로(각 종휴대용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회로의 구성이므로 충전회로라 할 수 있다.)의 구성은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으로, 다른 구성이 있을 수 있으며, 도 4 의 회로적인 구성이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220V의 상용 교류전압이 입력되면 전압트랜스(110)의 1차측 권선(112)과 2차측 권선(114)의 권선비에 따라 전압 강하가 이루어진다. 이때, 입력된 220V의 상용 교류전압이 10V의 교류전압으로 강하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전압트랜스(110)에 의해 220V의 고전압 상용 교류전압이 10V의 저전압으로 강하된 후, 강하된 저전압의 교류전압은 정류회로(120)에 의해 정류되어 교류전압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된다. 이때, 변환된 직류전압은 10V를 유지한다.
정류회로(120)의 정류에 의해 교류전압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된 후에는 필터회로(130)에 의해 직류전압은 평활하게 필터링된다. 이때, 필터회로(130)를 통해 필터링된 직류전압은 8V의 전압으로 필터링시 약간의 전압강하가 일어난다.
필터회로(130)에 의해 필터링된 직류전압은 정전압회로(140)에 의해 해당 휴대용기기에 일치하는 충전전압으로 안정화되어 USB 포트(150)에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전압의 상용 교류전압을 충전시키고자 하는 해당 휴대용기기에 일치하는 직류의 안정화된 충전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충전회로의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및 정전압회로(140)의 구성에 더하여 변환된 직류전압을 외부 접속단으로 출력하기 위해 USB 포트(150)를 구성한 점이 종래의 구성과 다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정전압회로(140) 및 USB 포트(1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10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USB 단자(212), 충전접속단자(214) 및 전원 연결선(216)으로 이루어진 충전용 케이블(210)만 휴대하게 되면 어디서든 각 종 휴대용기기(2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가 있는 구성이므로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100)의 실 예를 보인 것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도 5 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100)가 적용된 예를 보인 것으로,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정전압회로(140) 및 USB 포트(150)로 이루어진 전원접속장치(100)의 구성이 각 종 휴대용기기(200)에 전원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300)에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어댑터는 각 종 휴대용기기나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용 어댑터와 각 종 휴대용기기나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용 어댑터로 나눌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정전압회로(140) 및 USB 포트(150)가 구성되는 어댑터(300)는 충전용 어댑터와 전원공급용 어댑터 모두에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 에서와 같이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정전압회로(140) 및 USB 포트(150)가 구성된 어댑터(300)에는 USB 포트(150)와는 별도로 어댑터(300)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선(312)과 열결선(312)의 끝단에 구비되어 각 종 휴대용기기(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충전회로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용기기(200)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314)로 이루어진 충전 케이블(3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충전 케이블(310)은 일반적인 구성에 지나지 않으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정전압회로(140) 및 USB 포트(150)가 구성된 어댑터(300)에 충전 케이블(310)을 더 구성함으로써 USB 단자가 구비된 충전용 케이블(210)을 이용하여 충전시키는 구조의 휴대용기기(200)와 그렇지 않고 일반적인 충전 케이블(310)을 사용하는 구조의 휴대용기기 모두에 본 고안의 어댑터(300)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 은 도 7 에 따른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고안의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100)가 적용된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정전압회로(140) 및 USB 포트(150)로 이루어진 전원접속장치(100)의 구성이 각 종 전자기기에 전원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플러그(400)에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원 플러그는 모든 전기제품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원 플러그에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정전압회로(140) 및 USB 포트(150)로 이루어진 전원접속장치(100)가 구성된 상태로 가정은 물론 사무실 및 각 종 시설에 보급되었다고 가정한다면 그 파급효과는 가히 폭발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8 에서와 같이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정전압회로(140) 및 USB 포트(150)가 구성된 전원 플러그(400)에는 USB 포트(150)와는 별도로 전원 플러그(400)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선(412)과 열결선(412)의 끝단에 구비되어 각 종 휴대용기기(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충전회로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용기기(200)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414)로 이루어진 충전 케이블(4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정전압회로(140) 및 USB 포트(150)로 이루어진 전원접속장치(100)가 구성된 전원 플러그(400)는 그 내부에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정전압회로(140) 및 USB 포트(150) 등이 구성되기 때문에 기존보다는 부피가 커진다는 점은 있으나, 휴대하고 다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겠다.
도 7 및 도 8 의 구성에서 미설명 부호 402는 플러그 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전압트랜스(110), 정류회로(120), 필터회로(130), 정전압회로(140) 및 USB 포트(150)로 이루어진 전원접속장치(100)를 어댑터(300)나 전원 플러그(400)의 내부에 구성하여 USB 단자(212)가 구비된 충전용 케이블(21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디서든 USB 단자(212)가 구비된 충전용 케이블(210)만을 휴대하게 되면 각 종 휴대용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USB 단자가 구성된 충전용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어댑터나 전원 플러그와 같은 전원접속장치에 USB 포트를 구성함으로써 USB 단자가 구성된 충전용 케이블만을 휴대하여 어느 곳에서나 각 종 휴대용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어댑터나 전원 플러그와 같은 전원접속장치에 USB 포트를 구성하여 USB 단자가 구성된 충전용 케이블의 사용이 어느 곳에서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고전압의 상용 교류전원을 강하시키는 전압트랜스;
    전압트랜스에 의해 강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
    상기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게 필터링 하는 필터회로;
    상기 필터회로에 의해 필터링된 교류전압을 안정된 충전전압으로 제공하는 정전압회로; 및
    상기 정전압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안정된 충전전압을 외부의 USB 단자에 제공하는 USB 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속장치는 각 종 휴대용기기에 전원 콘센트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USB 포트와는 별도로 상기 어댑터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선과 상기 열결선의 끝단에 구비되어 각 종 휴대용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충전회로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휴대용기기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로 이루어진 충전 케이블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속장치는 각 종 전원기기에 전원 콘센트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플러그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플러그에는 상기 USB 포트와는 별도로 상기 전원 플러그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선과 상기 열결선의 끝단에 구비되어 각 종 휴대용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충전회로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휴대용기기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로 이루어진 충전 케이블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KR20-2002-0030264U 2002-10-10 2002-10-10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KR200300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264U KR200300964Y1 (ko) 2002-10-10 2002-10-10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264U KR200300964Y1 (ko) 2002-10-10 2002-10-10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666A Division KR20040032492A (ko) 2002-10-10 2002-10-10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4Y1 true KR200300964Y1 (ko) 2003-01-15

Family

ID=4932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264U KR200300964Y1 (ko) 2002-10-10 2002-10-10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36B1 (ko) 2007-03-05 201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충전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36B1 (ko) 2007-03-05 201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충전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3769B2 (en) Inductively chargeable audio devices
AU2011201146B2 (en) Inductive power charger
US8469746B2 (en) Computer adapter with power outlet and replaceable and rechargeable battery, wireless card, and transceiver
JP3148046U (ja) 携帯型給電装置
US6950320B2 (en) Portable charging apparatus having a charging battery built-in
US20120319487A1 (en) Integrated Battery Backup and Charging for Mobile Devices
US20140253038A1 (en) Mobile devices and cases with built-in power supplies
KR20130118413A (ko) 유무선 충전 장치 및 회로
US20020195993A1 (en) Structure of an AC adaptor for mobile telephones
US200902733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harg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Headset
JP3143554U (ja) 蓄電式携帯型充電アダプタ
EP1508944A1 (en) Electrical apparatus with cover for retractably housing an electrical cable connected thereto
KR200300964Y1 (ko)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KR20040032492A (ko) 충전용 usb 포트가 구비된 전원접속장치
KR200410889Y1 (ko) Usb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충전장치
CN105406566B (zh) 电子产品组合体和电子设备
CN212626416U (zh) 一种多通道电源适配器及多通道电源适配系统
CN210669904U (zh) 一种电源适配器及适用于该电源适配器的无线麦克风
CN212909065U (zh) 一种可折叠式充电储物盒
JP2002044881A (ja) 充電器
KR200253455Y1 (ko)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CN114765711A (zh) 一种蓝牙耳机
KR20000006932U (ko) 개인 휴대 통신기의 전원
TW201340443A (zh) 可攜式行動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