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813A - Method of controling bell sound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troling bell 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813A
KR20030092813A KR1020020030645A KR20020030645A KR20030092813A KR 20030092813 A KR20030092813 A KR 20030092813A KR 1020020030645 A KR1020020030645 A KR 1020020030645A KR 20020030645 A KR20020030645 A KR 20020030645A KR 20030092813 A KR20030092813 A KR 20030092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power
power value
processing unit
mcu
digit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2813A/en
Publication of KR2003009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813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16B23/0007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controlling a bell sound is provided to control the bell sound in consideration of previously measured peripheral noise for a noise power value, thereby automatically setting the bell sound proper to peripheral environment. CONSTITUTION: An MCU(Micro Control Unit) is in idle mode(200). The MCU checks whether a key for selecting a bell sound automatic mode is inputted(205). If so, the MCU transmi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a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t prestored certain time(215). The MCU checks whether a noise power average value is stored in a shared memory(220). If so, the MCU filters the noise power average value, and determines a current noise power average value(225). The MCU compares the filtered average value with a prestored reference noise power value, and determines a level of bell sound volume(230). The MCU compares a previous bell sound size level with the determined bell sound size level(235). If the size levels are the same, the MCU checks whether a call is generated(245). If so, the MCU performs a speech mode(250).

Description

벨소리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ING BELL SOUND}How to control ringtones {METHOD OF CONTROLING BELL SOUND}

본 발명은 벨소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환경에 알맞은 벨소리 크기로 자동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ngtone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ringtone size suitable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통상적으로 전화가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환경에서 전화를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이동 통신의 발달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급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중화에 비해전화에 대한 예절이 갈수록 무감각해지는 경향이 있다.In general, the popularity of telephones has led to the use of telephones in various environments.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many people can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However, the etiquette of the telephone tends to be insensitive as compared to the rapid popular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벨소리 크기를 주변의 소음과는 상관없이 설정한다. 따라서, 조용한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벨소리 크기가 커서 주위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주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는 벨소리가 작게 울려서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못할 경우가 발생하였다.In general,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the ring size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noise. Therefore, in a quiet environment, the ring size set by the user is large and causes a great damage to the people around. In addition, in a noisy place, the user could not answer the phone because the ringtone was small.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변 상황에 맞게 벨소리 크기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전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벨소리 크기를 직접 설정해 주어야 했다. 이처럼 사용자가 직접 벨소리 크기를 설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주변 상황에 맞게 휴대폰 벨소리를 자동으로 하는 기술들이 제안되었었다.To prevent this case, the ring size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In the past,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had to set the ring size manually.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set the ringtone size,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making a mobile phone ringtone have been proposed.

이러한 기술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0-0030353호가 있다. 이는 주위소리 감지부를 구비하여 주위의 소음을 감지하여 벨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르면 주위의 소음을 감지하기 위해서 주위 감지부가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야만 하였었다.An example of such a technique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0030353. It discloses a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bell volume by detecting the ambient noise with an ambient sound detection unit. However, according to this, the peripheral sensing unit had t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device to detect the ambient noise.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환경에 맞게 벨소리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부품들을 추가해야 했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고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소음인데도 시끄러운 상황으로 판단하여 벨소리 크기를 크게 설정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utomatically adjust the rington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ditional components have to be added, which results in a high cost and a large volume. In addition to this, there was a drawback in that the ringtone size was set large by determining that it was a noisy situation even though it was a temporary noi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주변의 소음을 측정하여 환경에 맞는 벨소리 크기로 자동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to automatically set a ring size suitable for an environment by measuring ambient noise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주변 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for measuring ambient noise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소음 전력값을 측정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블록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measuring a noise power valu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벨소리 자동 조절 프로그램, 기준 벨소리 레벨값, 기준 소음 전력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소음 전력 평균값을 계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크기 자동 조절 방법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부가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 설정이 감지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주기적인 동작 제어 신호를 보내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음 전력을 일정시간 동안 평균을 계산하여 소음 전력 평균값을 공유 메모리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중앙 처리 장치부는 공유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소음 전력 평균값을 필터링하고,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 소음 전력값과 비교하여 증가율 또는 감소율만큼 미리 정해져 있는 벨소리 레벨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memory having a memory for storing the automatic ring tone adjustment program, the reference ring level value, the reference noise power value, and a program for calculating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I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ring siz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nit,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cts the automatic ring mode setting, a process of sending a periodic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is input from the microphone. Calculating the average noise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toring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into the shared memory; and filtering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stored in the shared memory unit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 increase rat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noise power value Or increasing or decreasing a predetermined ring tone level value by a reduction ra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가 주변 소음에 따라 벨소리 크기를 자동 설정하는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ferring to FIG. 1, an operation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sets a ringtone size according to ambient noise will be described.

중앙 처리 장치부(MCU : Micro Control Unit)(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대기 상태(Idle Mode)에서 키 입력부(105)로부터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에 해당하는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주기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 Digital Signal Processer)(110)로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한다.The micro control unit (MCU)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detects an input of a key corresponding to the automatic ring tone control mode from the key input unit 105 in the idle mod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periodically 110 transmits a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또한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공유 메모리부(104)에 소음 전력 평균값이 저장됨을 감지하면, 필터링을 취하여 현재의 소음 전력 평균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소음 전력 평균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 소음 전력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응되는 벨소리 크기의 레벨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설정된 벨소리 크기의 레벨을 메모리부(103)에 저장하고, 호출이 있을 때에 메모리부(103)에 저장되어 있는 벨소리 크기의 레벨값으로 벨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CPU 100 detects that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unit 104, the CPU 100 performs filtering to measure the current noise power average value. The measured noise power average value is compared with a reference noise power value stored in advance and set to a level of a ring ton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In addition, the set level of the ringtone size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03, and when a call is made, the ringtone is output to the level value of the ringtone size stored in the memory unit 103.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되는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음 크기에 따라 벨소리 크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a control flowchar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utomatically setting a ringtone size according to the noise lev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표시부(102)는 단말기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변화를 표시한다. 또한 수신 단문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이런 표시부(102)는 액정 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등과 같은 표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2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or changes in the progress of the program. It also displays incoming short messages. The display unit 102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메모리부(103)는 중앙 처리 장치부(100)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임시 저장하거나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03)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 및 전화번호 테이블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부(103)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메모리부(103)는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측정된 소음 전력 평균값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 소음 전력값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음 전력 평균값과 기준 소음 전력값을 비교하여 증가율 또는 감소율의 기준이 되는 평균 벨소리 레벨값이 저장되어 있다.The memory unit 103 temporarily stores a program execu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unit 100 or temporarily stores data processed by the program. The memory unit 103 also stores the received short message and the telephone number table. The memory unit 103 is composed of a ROM for storing an operation program, an electrically programmable EEPROM, a RAM, and the lik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unit 103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ring tone control mode. The reference noise power value for comparing with the average noise power measured for a certain time is preset and stored. In addition, the average sound level is stored as a reference for the increase rate or decrease rate by comparing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and the reference noise power value.

키 입력부(105)는 일반적으로 키 매트릭스 구조로 구성이 된다. 키 입력부(105)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키 데이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부(100)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키 입력부(105)는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키를 구비할 수도 있고, 메뉴 상에서 키 입력부(105)의 상하, 좌우 키의 수행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The key input section 105 generally has a key matrix structure. The key input unit 105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of the key data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by a user's key inp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unit 105 may include a separate key for selecting the automatic ring tone control mode, or may be selected by performing up, down, left and right keys of the key input unit 105 on the menu.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 Digital Signal Processer)(110)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 등으로 구성되며, 중앙 처리 장치부(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는 무선부(101)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그러면 스피커(SPK)는 수신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는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무선부(101)로 출력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10 is generally composed of a VOCODER or the like, and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decodes the coded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unit 101, converts the coded voice data into an electric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voice signal to the speaker SPK. Then, the speaker SPK converts the received electric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sound.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encodes an electric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and outputs the encoded audio signal to the wireless unit 101.

디지털 신호 처리 메모리부(112)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의 동작 프로그램 및 각종 참조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 메모리부(112)는 벨소리 음량을 자동 조절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emory unit 112 stores an operation program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10 and various reference data.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emory unit 112 stores a progra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ring tone volum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2 is a control flowchar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원이 온(ON)되면, 먼저 200 단계에서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대기 상태이다. 여기서 "대기 상태"란 중앙 처리 장치부(100)가 이벤트가 일어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205 단계에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키 입력부(105)로부터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를 선택하는 키가 입력되었는지 검사한다. 검사 결과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를 선택하는 키의 입력이 있으면, 21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1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is in a standby state in step 200. Here, the "standby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CPU 100 waits for an event to occur. In step 20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checks whether a key for selecting the automatic ring tone control mode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05. As a result of the test, if there is an input of a key for selecting the automatic ring tone control mod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5;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가 선택되어 진행한 215 단계에서,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주기의 일정 시간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로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타이머를 구동시킴으로써 주기적으로 동작 제어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로 전송하거나, 페이징 채널을 체크하는 시간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operation 215 in which the automatic ring tone control mode is select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transmi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10 at a predetermined time of a pre-stored period. In this case, the CPU 100 may periodically transmit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by driving a timer, or may transmit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every time a paging channel is checked.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가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소음 전력 평균값을 계산하여 공유 메모리부(104)에 저장한다. 여기서 소음 전력 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송신 전력값을 계산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다.Whe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receives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calculates an average noise power value and stores the average noise power in the shared memory 104. Here, calculating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is the same as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호 설정이 되어 통화를 할 때에는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이 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 전력값으로 계산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호 설정 전의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110)를 구동시킴으로서 송신 전력값을 계산하는 대신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소음 전력값을 측정하게 된다. 이를 하기 도 3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general,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up to make a call, a user's voice input through a microphone (MIC) is calculated as a transmission power valu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riving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110 periodically in the state before call setup, instead of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the noise power value input to the microphone MIC is measur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의 주변 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for measuring ambient noise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소음 전력값을 측정하여 일정 주기동안의 소음 전력 평균값을 계산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의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for calculating a noise power average value for a predetermined period by measuring a noise power valu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300 단계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대기 상태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가 동작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즉, 호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310 단계에서 중앙 처리 장치부(100)로부터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를 위한 동작 제어 신호가 입력이 되면, 320 단계로 진행한다. 320 단계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음을 코덱(Codec)(111)을 통해 펄스 코드 변조(PCM : Pulse Code Modulation)방식으로 샘플링하여 인코딩 버퍼(112)에 160개의 샘플들을 저장한다. 이때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의 보코더는 인코딩 과정을 진행하지 않고, 인코딩 버퍼(112)에 저장되어 있는 160개의 샘플들, 즉 1개의 프레임(Frame)을 최소 평균 자승(LMS : Least Mean Square)값으로 계산한다. 이를 하기의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in step 300,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maintains a standby state. Here, the standby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10 does not operate. In other words, the call is not set. When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the automatic ring tone control mode is in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in step 31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20. In step 320,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samples the nois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using a pulse code modulation (PCM) method through a codec 111 to collect 160 samples in the encoding buffer 112. Save it. At this time, the vocoder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10 does not proceed with the encoding process, and the minimum mean square (LMS) value of 160 samples, that is, one frame, stored in the encoding buffer 112 is calculated. Calculat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quation 1 below.

<수학식 1>에서 PN1은 1개의 프레임(Frame) 소음 전력값이고, X1, X2, ···,X159 는 인코딩 버퍼(112)에 저장되는 160개 샘플들이다. 이때, 160개의 샘플이 1개의 프레임(Frame)이다. 상기 <수학식 1>은 1개의 프레임(Frame) 소음 전력값을 최소 평균 자승(LMS)값으로 계산한 것이다.In Equation 1, PN1 is one frame noise power value, and X1, X2, ..., X159 are 160 samples stored in the encoding buffer 112. At this time, 160 samples are one frame. Equation 1 calculates one frame noise power value as a minimum mean square (LMS) value.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의 송신 전력 측정기(114)는 연속적으로 10개의 프레임 소음 전력값을 측정하여 소음 전력 평균값을 공유 메모리부(104)에 저장한다. 이를 하기 <수학식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transmission power meter 114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continuously measures ten frame noise power values and stores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in the shared memory 104.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quation 2 below.

은 10개의 프레임 소음 전력 평균값이다. 연속적인 프레임의 소음 전력 평균값을 계산할 때, 본 발명에서는 10개의 프레임 소음 전력 평균값을 계산하였지만, 정확한 평균 소음 전력값을 계산하기 위해 더 많은 프레임의 평균 소음 전력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그리고 10개의 프레임의 평균 소음 전력값보다 더 적은 프레임으로 계산할 수도 있다. 33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소음 전력 평균값을 저장한다.Is the average of 10 frame noise powers. When calculating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of consecutive frames,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10 frame noise power average values, but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average noise power values of more frames in order to calculate an accurate average noise power value. It can also be calculated with fewer frames than the average noise power of 10 frames. In operation 330,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is stored.

한편, 220 단계에서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공유 메모리부(104)에 소음 전력 평균값이 저장되는 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소음 전력 평균값이 저장이 되면, 225 단계로 진행하여 소음 전력 평균값을 필터링하여 현재의 소음 전력 평균값을 결정한다.In operation 220, the CPU 100 checks whether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is stored in the shared memory 104. If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is stored as the result of the tes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25 to filter the noise power average value to determine the current noise power average value.

본 발명의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현재 소음 전력 평균값을 이전에 측정되어 있는 기준 소음 전력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가지고 벨소리 음량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짧은 시간동안의 급격한 소음 레벨 변화를 벨소리에 적용하지 않고, 일정한 소음 전력값 레벨 변화에 따라 벨소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즉, 조용한 상황에서 잠시 큰 목소리가 들렸을 때 주변의 소음을 검사하여 시끄러운 상황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막기 위해서, 이전에 측정되어 있는 주변 소음을 고려하여 벨소리 조절에 이용하는 것이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current noise power average value with the reference noise power value previously measured and adjusts the volume of the ring tone volume with the difference value. This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ringtone according to a constant noise power level level change without applying a sudden change in the noise level for a short time to the ringtone. In other words, when a loud voice is heard in a quiet state for a while, the noise is examined and the ring noise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previously measured ambient noise in order to prevent an error of judging it as a noisy situation.

그러면, 하기의 <수학식 3>을 참조하여 소음 전력 평균값을 필터링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Next, the process of filtering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quation 3 below.

여기서 FPNn는 소음 전력 평균값을 필터링 한 값이다. 그리고 B는 실험치로서 공유 메모리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의 소음 전력값을 감안하여 현재 저장되는 평균 소음 전력값을 그대로 벨소리 레벨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지 않게 하기위해서 사용된다.Where FPNn is the filtered value of the average noise power. In addition, B is used as an experimental value so that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currently stored in consideration of the previous noise power value stored in the shared memory unit 104 is not used to determine the ring tone level as it is.

예를 들어, 현재 공유 메모리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소음 전력 평균값이 20, 이전의 저장되어 있던 소음 전력 평균값이 10이고, B값을 0.9라고 가정하면, 상기의 필터링을 통과한 현재의 소음 평균 전력값은 19가 된다. 따라서 필터링을 거친 소음 전력값은 공유 메모리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소음 전력값보다는 더 평탄해지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소음으로 인한 주변 소음 크기의 오판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currently stored in the shared memory unit 104 is 20, the previously stored noise power average value is 10, and the B value is 0.9, the current noise that has passed the above filtering The average power value is 19. Therefore, the filtered noise power value becomes flatter than the current noise power value stored in the shared memory unit 104, thereby preventing an error of the ambient noise level due to sudden noise.

이후 230 단계에서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필터링된 소음 전력 평균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 소음 전력값과 비례하여 벨소리 음량의 레벨을 결정을 한다. 이를 하기의 <수학식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step 23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determines the level of the ring tone volume in proportion to the filtered noise power average value in advance with the reference noise power value stored in advanc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quation 4 below.

상기의 <수학식 4>와 같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평균 벨소리 레벨값(Nominal Gain)과 소음 전력값(Noise Power) 및 필터링된 소음 전력 평균값(FPNn)을 이용하여 벨소리 레벨의 증가율 또는 감소율을 계산한다. 소음 전력값의 증가율 또는 감소율만큼 평균 벨소리 레벨값(Nominal Gain)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벨소리 크기의 레벨을 결정한다.The rate of increase of the ringtone level using the average ringer level value (Nominal Gain), the noise power value (Noise Power), and the filtered noise power average value (FPNn) that are set in advance as stored in Equation (4) above Or calculate the reduction rate. The level of the ringtone size is determin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verage ringtone level value (Nominal Gain) by the rate of increase or decrease of the noise power value.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235 단계로 진행하여, 이전 벨소리 크기 레벨과230 단계에서 결정된 벨소리 크기 레벨을 비교하여, 이전 벨소리 크기 레벨과 결정된 벨소리 크기 레벨이 동일하면 24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4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결정된 벨소리 음량 레벨을 저장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proceeds to step 235 and compares the previous ringtone size level with the ringtone size level determined in step 230, and if the previous ringtone size level and the determined ringtone size level are the same, proceeds to step 245. In operation 240, the ringer volume level is determined.

상기 245 단계에서,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호출이 있는지를 검사하고, 호출이 있을 때에는 250 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를 수행하고, 호출이 없을 때는 255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통화모드는 통화를 위한 일반적인 절차를 말한다. 이때에 호가 설정이 되면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되어 있는 벨소리 레벨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In step 24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checks whether there is a call, and if there is a call, proceeds to step 250 to perform a call mode, and when there is no call, proceeds to step 255. Here call mode refers to the general procedure for calling. At this time, when the call is se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outputs through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ring tone level stored in the memory 103.

상기 255 단계에서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를 해지하는 키의 입력이 있는 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를 해지하는 키의 입력이 있으면, 26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가 해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265 단계에서,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로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미리 정해져 있는 설정 주기가 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설정 주기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한 215 단계로 진행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로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설정 주기가 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245 단계로 진행하여 호출이 있는가를 검사한다.In step 25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check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key for canceling the automatic ring tone control mode. If there is an input of a key for canceling the automatic ring tone control mod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60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If the automatic ring tone control mode is not terminated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setting period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10 is reached in step 265. When the set period has elapsed,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215 and transmi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If the set period has not been reached, the flow proceeds to step 245 to check if there is a call.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를 선택하면, 주기적으로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신호를 코덱(111)이 펄스 코드 변조(PCM) 샘플링하여 1개의 프레임마다 160개의 샘플을 인코딩 버퍼(112)에 저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에서는 인코딩 버퍼(112)에 저장되어 있는 1개의 프레임값을 최소 평균 자승(LMS)방식으로 소음 전력값을 측정한다. 매 프레임마다 발생하게 되는 소음 전력값을 일정 프레임동안 소음 전력값의 평균을 취하여 주기적으로 공유 메모리부(104)에 저장을 한다. 중앙 처리 장치부(100)는 저장되어 있는 일정 프레임동안의 소음 전력 평균값을 벨소리 제어에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갑작스러운 소음에 의한 주변 레벨 오판을 막기 위해 필터링하여 벨소리 크기 레벨을 설정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utomatic ring tone control mode is selected, the codec 111 pulse code modulates (PCM) the external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periodically to encode 160 samples per one frame. Stored in the buffer 112.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0 measures a noise power value of one frame value stored in the encoding buffer 112 in a least mean square (LMS) method. The noise power value generated every frame is averaged to the noise power value for a predetermined frame and periodically stored in the shared memory unit 104.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does not use the stored noise power average value for a predetermined frame for ringtone control, but sets the ringtone size level by filtering in order to prevent an incorrect level error caused by sudden noise.

전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음 측정을 위해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고, 보코더에서 송신 전력을 측정하는 것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의 추가로만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을 줄이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측정한 소음 전력값을 이전에 측정되어 있는 주변 소음을 고려하여 벨소리 조절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알맞은 벨소리로 자동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device for measuring noise, and can be implemented only by additional software using measuring transmission power in a vocoder, thereby reducing costs and reducing the volum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In addition, since the ring tone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ambient noise previously measured noise power periodically measu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utomatically set to the appropriate ringtone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laims (2)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자동 조절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부와, 소음 전력값을 측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벨소리 자동 조절 프로그램과 평균 벨소리 레벨값 및 기준 소음 전력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소음 전력 평균값을 계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메모리부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부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공유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크기 자동 조절 방법에 있어서,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adjustment of the ring t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for measuring the noise power value,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automatic ring tone adjustment program, the average ring level and the reference noise power value, and the noise A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ring siz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digital signal processing memory unit storing a program for calculating an average power value; and a shared memory unit for exchanging data betwe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상기 중앙 처리 장치부가 벨소리 자동 조절 모드 설정이 감지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주기적인 동작 제어 신호를 보내는 제 1과정과,A first process of sending a periodic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cts an automatic ring tone setting mode;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음 전력을 일정시간 동안 평균을 계산하여 소음 전력 평균값을 상기 공유 메모리로 저장하는 제 2과정과,A second process of calculating an average of the noise power input from the micro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toring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into the shared memory; 상기 중앙 처리 장치부는 상기 공유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소음 전력 평균값을 필터링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 소음 전력값과 비교하여 증가율 또는 감소율만큼 미리 정해져 있는 벨소리 레벨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소리 제어 방법.The central processing unit filters the average noise power value stored in the shared memory unit, and increases or decreases a predetermined ringtone level value by an increase rate or a decrease rate compared to a reference noise power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Ring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hird proc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동작 제어 신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riodic operation control signal, 주기적으로 타이머를 구동시켜 신호를 발생하거나, 페이징 채널을 검사하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제어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소리 제어 방법.And generating a signal by periodically driving a timer, or generating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using a time for checking a paging channel.
KR1020020030645A 2002-05-31 2002-05-31 Method of controling bell sound KR200300928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645A KR20030092813A (en) 2002-05-31 2002-05-31 Method of controling bell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645A KR20030092813A (en) 2002-05-31 2002-05-31 Method of controling bell s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813A true KR20030092813A (en) 2003-12-06

Family

ID=3238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645A KR20030092813A (en) 2002-05-31 2002-05-31 Method of controling bell s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281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259B1 (en) 2003-11-10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audio level automatically in portable device
KR100928647B1 (en) * 2008-02-19 2009-11-27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volume of incoming call ring to adapt to ambient noi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201A (en) * 1996-12-20 1998-09-15 배순훈 Volume automat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xternal noise level
KR19990010114U (en) * 1997-08-27 1999-03-15 김영환 Automatic bell volume control device of mobile phone according to ambient noise level
KR20000002497A (en) * 1998-06-20 2000-01-15 윤종용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receiving sound volum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201A (en) * 1996-12-20 1998-09-15 배순훈 Volume automat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xternal noise level
KR19990010114U (en) * 1997-08-27 1999-03-15 김영환 Automatic bell volume control device of mobile phone according to ambient noise level
KR20000002497A (en) * 1998-06-20 2000-01-15 윤종용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receiving sound volum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259B1 (en) 2003-11-10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audio level automatically in portable device
KR100928647B1 (en) * 2008-02-19 2009-11-27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volume of incoming call ring to adapt to ambient noi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0683A1 (en) Adaptive notification of an incoming call in a mobile phone
KR200100143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lephone ring signal
US2008013229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environmental triggering of missed message alerts
US20070140471A1 (en) Enhanced usage of telephone in noisy surroundings
US8363820B1 (en) Headset with whisper mode feature
FI109158B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device
KR20030092813A (en) Method of controling bell sound
US7177417B2 (en) Telephone handset with user-adjustable amplitude, default amplitude and automatic post-call amplitude reset
US200700322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amplitude feedback in a communications device
KR20010017204A (en) Method for tone signal level control in a mobile phone
WO2012144887A1 (en) Voice immersion smartphone application or headset for reduction of mobile annoyance
KR20030000713A (en) The device of bell auto setting in Mobile phone to environment and Method of bell auto setting using the device of bell auto setting in Mobile phone
KR100705039B1 (en) Voice level over warning function
KR100452345B1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displaying voice activity quantity
KR100255615B1 (en) Method for controling a level of receiving call volume and a answering operation in telephone having function auto answering
KR960043556A (en) Automatic reception level adjusting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microphone input level
KR20070082349A (en) Method for controlling bell on noi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00560B1 (en) Method for notifying incoming call in portable terminal
JPH1127377A (en) Call tone volume setting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terminal
JPH07162955A (en) Portable telephone set provided with remaining speaking time display function
KR20070067342A (en) Method for notification of received call information at sleep mode
KR20070018515A (en) Vibr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400954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bration mode conversion by surrounding noise degre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07231276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set
KR200300347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rrival of the bell by surrounding noise degree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