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509A -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509A
KR20030092509A KR1020020030191A KR20020030191A KR20030092509A KR 20030092509 A KR20030092509 A KR 20030092509A KR 1020020030191 A KR1020020030191 A KR 1020020030191A KR 20020030191 A KR20020030191 A KR 20020030191A KR 20030092509 A KR20030092509 A KR 20030092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lan
speed mobile
high speed
server
service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근
정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3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2509A/ko
Publication of KR2003009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50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오프-라인(Off-Line) 또는 지향성이 크고 이득이 높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온-라인(On-Line)으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고속 이동체에 서버를 설치하여 상기 고속 이동체가 정지하는 곳에서 상기 서버의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며, 상기 고속 이동체의 각 차량마다 무선랜 AP(Access Point)를 설치하여 상기 서버의 자료를 가지고 무선랜 단말을 가진 사용자에게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Method for Wireless LAN Service in Highly Moving Object}
본 발명은 무선랜(Wireless 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기술을 사용하여 무선랜 통신영역을 주행하는 고속 이동체(특히, 열차, 지하철 등)를 대상으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들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이하 "랜"이라 함)에 접속되어 있는데, 랜 시스템은 근거리 정보망으로서 망 접속을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PC) 데이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의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랜 시스템은 장소 이동 가능의 유무에 따라 유선 랜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선랜 시스템은 정보망을 케이블을 통하여 고정된 장소에서 정보 및 자원을 공유하는데,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소이동이 불편하고, 설치시 전문적인 케이블 설치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유지 보수시 시간이 오래걸리게 되고 업무에 장애를 받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아서 무선랜 시스템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무선랜 시스템은 전자파(전파) 또는 광(적외선) 등 전선(유선 케이블) 이외의 전송로를 이용하는 구내 정보 통신망(LAN)으로서, 개인용 컴퓨터(PC) 등 컴퓨터 단말을 비교적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단말에 무선 통신 접합기를 접속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히 무선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미국 전기 전자 학회(IEEE) 802.11b 분과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무선랜은 2400MHz ~ 2483.5M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무선랜의 기본 동작형태는 유선랜을 단순히 무선구간으로 확장한 형태로 동작하는 브리지(Bridge)모드 동작형태와 별도의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단말의 인증과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 및 서버 기능이 있어서 망으로부터 공중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받고 단말에게는 사설 IP 주소를 할당해 주는 기능 등이 추가된 형태가 있다.
한편, 무선랜접속장치(Access Point : 이하 "AP"라 함)는 무선랜 중계기능 이외에 유선랜 허브(Hub) 기능을 내장하여 이동성이 필요없이 주로 고정된 위치에 놓여져 있는 프린터나 데스크탑 PC 등을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유선포트를 내장하고, PDA 및 노트북 등의 휴대단말과는 무선랜으로 접속하게 한다.
무선랜의 경우 사전에 사용 허가된 단말들만이 망에 접속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단말기에 부착된 단말접속장치(NIC)의 맥 식별자(MAC ID)들을 사전에 무선랜 AP내에 등록하여, 등록된 단말기가 무선랜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접속을 허용하고, 맥 식별자(MAC ID)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단말은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관리기능이 무선랜에 탑재되어 있고, 이러한 관리기능은 웹(Web) 방식으로 인터넷 익스플로어 등의 브라우저 창을 이용하여 일반이용자들이 쉽게 다양한 기능들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랜 서비스 범위가 실내에서는 100m 이내, 실외에서는 300m 이내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지하철이나 기차와 같은 고속 이동체를 대상으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범위 제한, 고속 이동에 따른도플러(Doppler) 효과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오프-라인(Off-Line) 또는 지향성이 크고 이득이 높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온-라인(On-Line)으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2, 121 : AP(Access Point)
111 : 서버(Server)110, 120 : 고속 이동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고속 이동체에 서버를 설치하여 상기 고속 이동체가 정지하는 곳에서 상기 서버의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며, 상기 고속 이동체의 각 차량마다 무선랜 AP(Access Point)를 설치하여 상기 서버의 자료를 가지고 무선랜 단말을 가진 사용자에게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방법은,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고속 이동체가 운행하는 궤도의 일정간격으로 브리지(Bridge) 기능을 하는 무선랜 AP(Access Point)를 설치하고, 상기 고속 이동체의 양끝에 브리지(Bridge) 기능을 하는 무선랜 AP를 설치하고, 각 차량에는 무선랜 AP를 설치하여, 상기 고속 이동체가 운행하는 궤도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무선랜 AP로부터 상기 고속 이동체의 양끝에 있는 브리지 기능의 AP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 차량의 AP로 전달하여 상기 고속 이동체내의 무선랜 단말을 가진 사용자에게 온-라인(On-Line)으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100"은 AP, "110", "120"은 고속 이동체, "111"은 고속 이동체에 탑재된 서버, "112", "121"은 고속 이동체에 탑재된 AP를 각각 나타낸다.
무선랜은 2400~2483.5M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보통 서비스 범위가 실내에서는 100m 이내, 실외에서는 300m 이내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지하철이나 기차와 같은 고속 이동체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서비스 범위 제한, 고속 이동에 따른 도플러 효과의 극복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100m/s(360Km/h)(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기차의 경우 이 속도 이하로 운행)로 이동하는 지하철의 경우, 무선랜 서비스를 온라인(On-line)으로 제공받기 위해서는 실외 환경을 가정하더라도 매 3초마다 로밍(Roaming)을 해야 한다. 이에 따른 오버헤드(Overhead)는 별도로 하더라도, 통신 사업자 입장에서 300m 간격으로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AP를 설치한다는 것도 상당한 비용이 요구된다. 또한, 지하철의 경우에는 지하의 통로를 이용하므로 전파의 입장에서는 전송 가능한 컷-오프(Cut-Off) 주파수가 존재하게 되며, 다양한 고조파도 존재한다. 또한, 고속 이동으로 인한 도플러(Doppler) 효과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은 오프-라인(Off-Line)으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지하철이나 기차와 같은 고속 이동체(110, 120)에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속 이동체에 서버(111)를 설치하여 고속 이동체(110, 120)가 정지해 있는 역에서 서버(111)의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며, 각 차량마다 무선랜 AP(112, 121)를 설치하여 서버(111)의 자료를 가지고 무선랜 단말을 가진 사용자에게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철이나 기차와 같은 고속 이동체(110, 120)가 정지하게 되면, 지하철역이나 기차역에 설치된 AP(100)를 통하여 고속 이동체(110, 120)의 서버(111)로 정보를 전달하여 고속 이동체(110, 120)의 서버(111)를 업데이트(Update)시킨다. 그리고, 서버(111)의 업데이트된 내용을 고속 이동체(110, 120)에 설치된 AP(112, 121)를 통하여 오프-라인(Off-Line)으로 무선랜 단말을 가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즉, 고속 이동체(110, 120)가 정지시 새로운 정보를 받아 고속 이동체(110, 120)의 서버(111)를 업데이트하여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2에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은 지하철 또는 기차의 양끝에 브리지(Bridge) 기능을 하는 무선랜 AP를 설치하고, 각차량에는 무선랜 AP를 설치하여, 기차의 양끝에 있는 브리지 기능의 AP 신호를 각 차량의 AP가 수신하여 차량내의 무선랜 단말을 가진 사용자에게 온-라인(On-Line)으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향성 크고 이득이 높은 안테나를 사용한다. 지하철의 경우 직선 경로이거나 혹은 완만히 굽은 곡선 경로가 대부분이므로, 가능한 LOS(Line of Sight)가 확보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3Km 간격으로 브리지 기능의 AP를 선로에 설치하여, 차량과 브리지 기능으로 통신을 하도록 한다.
도 2는 지향성이 크고 이득이 높은 안테나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시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고속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이므로 도플러(Doppler) 효과가 예상되어진다.
도플러(Doppler) 효과로 인한 효과는 관측자와 주파수 발생 소스(Source)의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서로 다른 경우로 발생한다.
도플러(Doppler) 효과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측자가 정지해 있고, 주파수 발생원(Source)이 이동하는 경우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도플러(Doppler) 효과로 인해 관측자가 관측한 주파수,는 주파수 발생원의 주파수,는 주파수 발생원의 이동속도, 그리고는광속(m/s)을 나타낸다. 또한, "+"의 경우는 주파수 발생원이 관측자로부터 멀어져 가는 경우를 나타내고, "-"의 경우는 주파수 발생원이 관측자에 접근해 가는 경우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관측자가 이동하고, 주파수 발생원이 정지해 있는 경우 하기 [수학식 2]와 같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도플러(Doppler) 효과로 인해 관측자가 관측한 주파수,는 주파수 발생원의 주파수,는 주파수 발생원의 이동속도, 그리고는 광속(m/s)을 나타낸다. 또한, "+"의 경우는 관측자가 주파수 발생원에 접근해 가는 경우를 나타내고, "-"의 경우는 관측자가 주파수 발생원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지하철이나 기차의 속도를 100m/s(360Km/h)로 가정하면, 도플러 효과로 인한 주파수 편이는 "100/(3×108) = 0.33×10-6"으로 국내 무선랜 관련 전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중심주파수 편이인 "±50×10-6"이내에 포함되므로, 큰 문제로 작용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AP의 서비스 범위를 두 배로 하기 위해서는 외장 안테나의 이득은 기존 안테나에 비해 6dBi 이상 높아야 한다. 그리고, 실외 환경에서 서비스 범위를 300m라고 가정하면, 3Km로 서비스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송신 수신 안테나 이득을 합하여 10log10102dB, 즉 20dB 이상이 되도록 하는 외장 안테나를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공중 무선랜을 지하철이나 기차와 같은 고속으로 이동하되 일정한 궤도를 가지는 고속 이동체에 서비스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비용이 매우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고속 이동체에 서버를 설치하여 상기 고속 이동체가 정지하는 곳에서 상기 서버의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며, 상기 고속 이동체의 각 차량마다 무선랜 AP(Access Point)를 설치하여 상기 서버의 자료를 가지고 무선랜 단말을 가진 사용자에게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이동체는,
    지하철, 기차와 같이 일정한 궤도를 가지고 고속으로 이동하며, 여러 차량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서비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고속 이동체가 정지하는 곳에 설치된 무선랜 AP(Access Point)로부터 상기 고속 이동체가 정지하였을 때, 동기를 맞추어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서비스 방법.
  4.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고속 이동체가 운행하는 궤도의 일정간격으로 브리지(Bridge) 기능을 하는 무선랜 AP(Access Point)를 설치하고, 상기 고속 이동체의 양끝에 브리지(Bridge) 기능을 하는 무선랜 AP를 설치하고, 각 차량에는 무선랜 AP를 설치하여, 상기 고속 이동체가 운행하는 궤도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무선랜 AP로부터 상기 고속 이동체의 양끝에 있는 브리지 기능의 AP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 차량의 AP로 전달하여 상기 고속 이동체내의 무선랜 단말을 가진 사용자에게 온-라인(On-Line)으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이동체는,
    지하철, 기차와 같이 일정한 궤도를 가지고 고속으로 이동하며, 여러 차량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서비스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Bridge) 기능을 하는 무선랜 AP(Access Point)는,
    지향성이 크고, 이득이 높은 외장 안테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서비스 방법.
KR1020020030191A 2002-05-30 2002-05-30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 KR20030092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191A KR20030092509A (ko) 2002-05-30 2002-05-30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191A KR20030092509A (ko) 2002-05-30 2002-05-30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509A true KR20030092509A (ko) 2003-12-06

Family

ID=3238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191A KR20030092509A (ko) 2002-05-30 2002-05-30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25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072B1 (ko) * 2004-01-29 2004-12-09 아크로웨이브시스템 주식회사 무선랜 텔레메틱스 시스템
KR100825457B1 (ko) 2006-10-27 2008-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량을 이용한 이동통신망 릴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9061136A2 (en) * 2007-11-06 2009-05-14 Kmw Inc. Mobile communication repeating method in moving object and repeater thereof
KR100902744B1 (ko) * 2002-09-28 2009-06-15 주식회사 케이티 지하철 무선 랜용 고정중계기 위치 선정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744B1 (ko) * 2002-09-28 2009-06-15 주식회사 케이티 지하철 무선 랜용 고정중계기 위치 선정 방법
KR100461072B1 (ko) * 2004-01-29 2004-12-09 아크로웨이브시스템 주식회사 무선랜 텔레메틱스 시스템
KR100825457B1 (ko) 2006-10-27 2008-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량을 이용한 이동통신망 릴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9061136A2 (en) * 2007-11-06 2009-05-14 Kmw Inc. Mobile communication repeating method in moving object and repeater thereof
WO2009061136A3 (en) * 2007-11-06 2009-06-25 Kmw Inc Mobile communication repeating method in moving object and repeater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9220B (zh) 與行動裝置無線通訊之系統及方法
KR100660242B1 (ko) 무선 클라이언트의 이동이 자유로운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US7149197B2 (en) Movable access points and repeaters for minimizing coverage and capacity constrai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AU2007319632B2 (en) IP layer-handoff using mobility domains and IP caching
US200501749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aming in data -and communication- networks
EP1576767A1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halting communications with devices of a first wireless network while communicating with devices of a second wireless network, e.g. by sending a message in the first network
US7844312B2 (en) System for accessing information and for communication in a vehicle having a plurality of coupled units
KR100652336B1 (ko) 무선랜/휴대인터넷 연동 기능을 가지는 이동접속장치 및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US2007014913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US7130904B2 (en) Multiple link layer wireless access point
US7177643B2 (en) Wireless network for routing a signal without using a tower
KR20030092509A (ko) 고속 이동체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방법
JP2002344478A (ja) 列車内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
Jain et al. Collision detection and avoidance in railways using WiMAX
US20040252997A1 (en) Asymmetric broadband optical wireless network to a target device
WO2012120189A1 (en) Server address distribution
KR20030088730A (ko) 무선 중계기를 이용한 지하철에서의 공중 무선랜 서비스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486844B1 (ko) 무선랜 기술을 이용한 이동체 내부에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501026B1 (ko) 지하철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KR20040001354A (ko) 광역 무선랜 서비스 방법
KR200280666Y1 (ko) 무선랜을 이용한 지하철 역사 및 달리는 전동차 내에서의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Raghunandan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JP2004336429A (ja) 車両向け無線通信システム
GB2436933A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public transport system
KR20060028501A (ko) 중계장치를 이용한 이동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