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113A -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113A
KR20030086113A KR1020020024486A KR20020024486A KR20030086113A KR 20030086113 A KR20030086113 A KR 20030086113A KR 1020020024486 A KR1020020024486 A KR 1020020024486A KR 20020024486 A KR20020024486 A KR 20020024486A KR 20030086113 A KR20030086113 A KR 20030086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cs
communication
terminal
f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054B1 (ko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주)누리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텔레콤 filed Critical (주)누리텔레콤
Priority to KR10-2002-002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0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6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transmitting utility meters data, i.e. transmission of data from the reader of the utility 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70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 H04Q2209/75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by polling or interrogating the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와 시리얼 통신을 통해 단말기가 수집한 특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데이터 요청시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이 이루어지면 획득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다수의 CCS와; 모뎀 데이터를 인터넷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인터넷 데이터 패킷을 케이블 모뎀 데이터로 변환하는 CMTS와; TCP/IP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IP 주소를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DHCP 서버와; CCS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각종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원격 다이얼 업 모뎀과 TCP/IP 통신방식으로 CCS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취득하고, 검침 실행 후 모뎀의 초기화를 자동으로 실행시켜 모뎀의 행 업 상태를 방지하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모뎀 또는 회선의 잡음이나 통신왜곡으로 데이터가 손상되는 경우 즉시 관리자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FEP; 및 FEP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FEP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요금관리시스템과의 고객정보, 검침 데이터의 송수신 연계 기능을 수행하며, FEP로부터 수신한 검침 데이터를 관리하고, LAN망을 통해 관리자의 컴퓨터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AMR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고속 인터넷 및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하여 전력 서비스용 통신 서비스, 방범 및 방재용 통신 서비스, 원격 설비용 감시 통신 서비스, 전자상거래 시스템용 통신 서비스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Remote Service using Compact Communication Server}
본 발명은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속 인터넷(예컨대, 케이블 모뎀, ADSL, 무선 LAN 등) 및 저속전용회선 장치(CCS: Compact Communication Server)를 이용하여 전력 서비스용 통신 서비스, 방범 및 방재용 통신 서비스, 원격 설비용 감시 통신 서비스, 전자상거래 시스템용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가적으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연결이 가능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의 발전 및 WWW(World Wide Web)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하여 현재의 사회에서는 정보를 유통하기 위한 방법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특히, 현대 사회와 같이 정보가 중요시되는 사회에서는 누가 보다 빨리 보다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 경쟁력에서의 핵심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인터넷을 통한 급속한 정보의 전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터넷은 다양한 정보의 공유 및 전파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발전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199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수요 폭주와 더불어 보다 진보된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늘어가고 있다. 수년간 대부분의 망 사업자들, 통신회사들 및 가입자 망 사업자들에게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있어서의 주요 관심사는 가입자들이 인터넷을 보다 값싸고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가장 경제적으로 정보 통신망을 구축하면서도 인터넷 서비스 및 향후의 멀티미디어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주요 관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예컨대, 원격검침 시스템, 방범 및 방재 시스템, 전자상거래 시스템 등)은 PSTN 모뎀 또는 DSU/CSU(Digital Service Unit/Channel Service Unit)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서비스 속도 및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당히 떨어지기 때문에 속도를 요하는 다운로드 및 데이터 처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원격검침 시스템에서는 계량기와 이동 통신망 또는 PSTN 등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유/무선 모뎀을 사용하고 있지만, 종래의 유/무선 모뎀은 단지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데이터 교환에 따른 전송속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유/무선 모뎀의 작동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문제가 있다. 특히, 무선 모뎀의 경우, 유선 모뎀과는 달리 특정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접 주파수와의 혼선이 야기될 가능성이 매우 크고, 여러 가지 에러 발생 요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운용함에 있어서, 통신 방식이 다른 각각의 단말기에 서로 다른 통신망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처리가 비효율적이고, 통신회선을 특정 서비스의 전용회선으로 설정하는데 따른 이중 투자비용 및 회선의 비효율성이 문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단말기(예컨대, 전자식 계량기, 설비 감시기, 카드 단말기, 방범기기, 은행용 무인 자동화 기기 등)와의 데이터 교환을 호환 처리하고, 기구축된 초고속 인터넷망을 통해 원하는 목적지로 해당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송하여 추가 비용없이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단말기와 시리얼 통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장비상태 원격 감시 및 관리기능, 데이터 전송의 안정 및 보안기능, 하드웨어 자동 리셋기능 등을 탑재하고, 초고속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지 서버와 단말기간의 데이터를 중계하고,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및 TCP/IP 연결에 의한 각종 서비스를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저속 전용회선 장치인 CCS(Compact Communication Server)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CCS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CCS의 후면 사시도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CS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CCS를 원격검침 시스템(100)에 적용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FEP의 기능별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MR 서버 소프트웨어의 모듈별 기능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요청 및 전송에 대한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CCS를 방범 및 방재 시스템에 적용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CCS를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적용한 전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CCS300: 통신망
400: CMTS500: DHCP 서버
600: FEP700: LAN망
800: AMR 서버900: DB
1000: 원격검침 시스템2000: 방범 및 방재 시스템
2100: 보안서버3000: 전자상거래 시스템
3100: P/G3200: 카드 밴 시스템
3300: 금융 VAN망3400: 금융 서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식 계량기 및 설비 감시기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요청 및 전달받아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와 시리얼 통신을 통해 단말기가 수집한 특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데이터 요청시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이 이루어지면 획득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다수의 CCS와; 모뎀 데이터를 인터넷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인터넷 데이터 패킷을 케이블 모뎀 데이터로 변환하는 CMTS와; TCP/IP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IP 주소를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DHCP 서버와; CCS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각종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원격 다이얼 업 모뎀과 TCP/IP 통신방식으로 CCS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취득하고, 검침 실행 후 모뎀의 초기화를 자동으로 실행시켜 모뎀의 행 업 상태를 방지하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모뎀 또는 회선의 잡음이나 통신왜곡으로 데이터가 손상되는 경우 즉시 관리자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FEP; 및 FEP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FEP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요금관리시스템과의 고객정보, 검침 데이터의 송수신 연계 기능을 수행하며, FEP로부터 수신한 검침 데이터를 관리하고, LAN망을 통해 관리자의 컴퓨터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AMR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범 및 방재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요청 및 전달받아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방범 및 방재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와 시리얼 통신을 통해 단말기가 수집한 보안 데이터를 획득하고, 보안 데이터 요청시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이 이루어지면 획득된 보안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다수의 CCS; 및 통신망을 통해 CCS와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해당 CCS로 단말기가 획득한 보안 데이터를 요청하고, 해당 CCS로부터 전달된 보안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보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요청 및 전달받아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카드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카드 단말기와 시리얼 통신을 통해 카드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카드정보 데이터를 획득하고, 카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카드정보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다수의 CCS와; 통신망을 통해 각각의 CCS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용 정보, 지불 청구, 등록 업무, 사용자의 결제 요청에 관한 업무 수행에 있어서의 보안 인증을 처리하고, CCS로부터 전달받은 카드정보 데이터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지불 게이트웨이(P/G); 및 P/G와 연결되어 있으며, P/G로부터 전달되는 카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금융 VAN망을 통해 해당 금융 서버로 지불 승인을 의뢰하고 그 결과를 P/G로 전송하는 카드 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CCS(100)의 외부 구성도이며, 도 1a는 CCS(100)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CCS(100)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S(100)는 전원 공급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표시 LED(110), 케이블 모뎀의 연결 여부를 표시하는 케이블 연결표시 LED(120), 데이터의 전송여부를 표시하는 데이터 전송표시 LED(130)를 구비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S(100)는 AC 전원 공급용 플러그(140), 전원 공급용 스위치(150), 각종 단말기(예컨대, 전자식 계량기, 설비 감시기, 방범기기, 카드 단말기 등)와 데이터 교환을 위한 시리얼 포트(160), 통신망(예컨대, xDSL망, HFC망, 케이블 모뎀망, 무선 LAN망 등)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단자(700)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CS(10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CCS(100)는 전원공급부(210),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원격 감시 및 관리 인터페이스부(230), 데이터 전송 및 보안 인터페이스부(240), CPU(250),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60), 메모리부(270) 및 상태 표시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원공급부(210)는 AC 전원 공급용 플러그(도 1b의 140)를 통해 공급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하여 각 구성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은 전원 공급용 스위치(도 1b의 150)에 의해 공급 및 차단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통신망(300)을 통해 인가되거나 통신망(3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식(예컨대, 통신 프로토콜), 동작 속도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여 상호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망(300)을 통한 통신은 특정 데이터를 원하는 서버(예컨대, AMR 서버, 보안 서버, 금융 서버)에서 각CCS(100)로 데이터 전송에 대해 질의하고 준비된 CCS(100)에서 응답 신호가 오면 통신 권한을 부여하는 폴링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며, 통신망(300)과의 통신은 TCP/IP를 지원하는 TCP/IP 스택(Stack)에 의해 수행된다.
원격 감시 및 관리 인터페이스부(230)는 CCS(100)의 상태를 원격(예컨대, AMR 서버, 보안 서버, 금융 서버)에서 감시 및 관리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CCS(100)의 상태 감시 및 관리에 대한 명령은 주기적으로 핑(Ping)을 수행하는 각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간이망 관리 프로토콜인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즉, 각 서버는 설정된 주기마다 핑을 수행하여 CCS(100)가 현재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안정 및 보안 인터페이스부(240)는 SSL(Secure Sockets Layer)을 이용하여 안정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암호화된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CCS(100)는 자신의 인증코드와 일치한 경우에만 해당 데이터(예컨대,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여 정보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한다.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50)는 각종 단말기(예컨대, 전자식 계량기, 설비 감시기, 카드 단말기, 방범기기, 은행용 무인 자동화 기기 등)에 연결되어 있으며, 각종 단말기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의 형식, 동작 속도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해 버퍼링하고, 입출력 데이터를 처리 규격에 맞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각종 단말기는 제조사 및 모델명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및 동작속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러한 입력 데이터를 CPU(260)가 직접 관리하면 CPU(260)의 성능을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CPU(260)는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고, 데이터 교환에 관한 입출력 작업은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50)가 전담하여 처리함으로써, CPU(260)의 부담을 덜고 전체 CCS(100)의 시스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50)에는 프로토콜 처리부 및 펄스정보 보정 처리부를 포함하여 각각의 단말기와의 통신 규약을 처리하고, 히스테리시스 펄스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이상상태를 파악 및 수정하도록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5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예컨대, 검침 데이터, 전자식 계량기 ID, 카드 정보 등)를 수신 및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50)와 각종 단말기간의 통신은 RS-232C 규격에 따른다.
CPU(26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원격 감시 및 관리 인터페이스부(230), 데이터 전송 안정 및 보안 인터페이스부(240) 및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50)에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50)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데이터(예컨대, 검침 데이터, 전자식 계량기 ID, 카드 정보 등)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지시하고, CCS(100)의 현재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지시하고, 각 인터페이스부(220, 230, 240)와의 데이터 교환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부(270)는 CPU(26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CCS(100)에 연결된 단말기의 정보(예컨대, 단말기 ID 등)를 저장하고, CCS(100)의 기능별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CPU(260)의 지령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다.
상태 표시부(280)는 CPU(260)에 연결되어 있으며, CPU(260)로부터 인가되는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흐름 및 CCS(100)의 현재 상태를 LED를 통해 표시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태 표시부(280)에는 전원 공급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표시 LED(110), 케이블 모뎀의 연결 여부를 표시하는 케이블 연결표시 LED(120), 데이터의 전송여부를 표시하는 데이터 전송표시 LED(130)가 포함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CCS(100)를 원격검침 시스템(100)에 적용한 전체 구성도로서, 본 원격검침 시스템(1000)은 다수의 CCS(100), 통신망(300), CMTS(400), DHCP 서버(500), FEP(Front End Processor)(600), LAN망(700), AMR 서버(800) 및 DB(9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CCS(100)는 전자식 계량기 또는 설비 감시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식 계량기 또는 설비 감시기와 시리얼 통신(즉, RS-23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식 계량기 또는 설비 감시기로부터 취득한 각종 데이터 및 고유 ID 정보를 인터넷 케이블 모뎀을 통해 통신망(300)으로 전송하는 중계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CCS(100)는 간이망 관리 프로토콜인 SNMP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장비상태를 감시 및 관리하도록 지원하는 원격 감시 및 관리기능, SSL을 이용하여 안정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암호화된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이터 전송의 안정 및 보안기능, 하드웨어 리셋 주기(예컨대, Default:1시간 최소 15분, 최대 24시간, 96단계)를 설정하고, 설정된 주기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리셋하는 기능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전자식 계량기(반전자식 계량기 포함)는 디지털 방식으로 수용가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검침 데이터 전송명령이 수신되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검침 데이터(즉, 에너지 사용량)와 함께 해당 수용가의 고유 ID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식 계량기는 단상 2선식 회로에서 단독으로 부설하여 시간대별 유효전력량 계량 및 제반자료의 기록이 가능하여야 하고, 계기에 착탈식 모뎀을 부착하여 무선 및 전력선 방식의 원격검침이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설비 감시기(환경 감시기 포함)는 환경 및 설비 감시에 필요한 각종 단말기(예컨대, 개폐기)를 포함하며, 획득된 감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외부 요청시 해당 감시 데이터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망(300)은 통신회선으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데이터를 지정된 경로로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통신망(300)은 xDSL망, HFC(Hyvrid Fiber Coax)망, 케이블 모뎀망, 무선 LAN망 등을 포함하는 초고속 인터넷망을 의미하는 광의의 망이다. 현재 통신망(300)은 국내 대부분의 지역에 구축되어 있으며, 전화선 다음가는 가입자망 인프라로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인프라 기반을 토대로 넓은 지역에 많은 수의 CCS(100)가 필요한 저속전용회선 서비스를 통신망(300)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MTS(400)는 모뎀 데이터를 인터넷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인터넷 데이터 패킷을 모뎀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CMTS(400)는 케이블 시스템 내에 로컬 데이터를 담기 위한 라우팅 기능, 원치 않는 해킹으로부터 케이블 운영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필터링 기능,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트래픽 구체화 기능 등을 포함한다. 즉, CMTS(400)는 통신망(300)과 후술하는 FEP(600)간의 데이터 형식을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HCP 서버(500)는 TCP/IP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IP 주소를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HCP는 TCP/IP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할당, 관리하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서, RFC 1541에 규정되어 있다. DHCP 서버(500)는 TCP/IP 환경의 통신망에서 IP 주소의 일률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DHCP는 초기 적재 통신 규약(BOOTP)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상의 프로토콜로서 DHCP 서버는 DHCP 클라이언트[예컨대, FEP(600)]의 요구에 따라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FEP(600)는 통신망(3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최대 16개의 다이얼 업 회선을 수용할 수 있는 통신처리모듈을 4개까지 탑재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고, TCP/IP, SLIP, PPP, Async Protocol 등을 지원하며 통신망(300)을 통해 CCS(100)와 데이터를 교환하고, 통신장비와 회선의 장애로 인한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포트별 상태감시로 문제의 원인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하며, 검침 실행 후 모뎀의 초기화를 자동으로 실행시켜 모뎀의 행 업(Hang up)상태를 미연에 방지하고, 전자식 계량기로부터의 검침 데이터 또는 설비 감시기로부터의 감시 데이터(이하에서는, '검침 데이터'라 칭함)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모뎀 또는 회선의 잡음이나 통신왜곡으로 데이터가 손상되는 경우 즉시 관리자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AMR 서버(800)로부터 인가되는 CCS(100) 고유 ID, 검침주기, 계기고유번호 등의 초기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 설정하고, CCS(100)로부터 취득한 검침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망[예컨대, LAN(700)]을 통해AMR 서버(800)로 전송한다. FEP(600)의 모듈별 기능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AMR 서버(800)는 LAN망(700)을 통해 FEP(60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900)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주전산기의 요금관리시스템과의 고객정보, 검침 데이터의 송수신 연계 기능을 수행하며 FEP(600)로부터 수신한 검침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AMR 서버(800)는 주전산기로부터 받은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마스터용 데이터베이스를 신규 생성, 자동 갱신, 검침통계관리를 담당하는 데몬 형태의 프로세스를 가지며, 해당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AMR 서버(800)에서의 모든 통신에 필요한 기능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AMR 서버(800)의 모듈별 기능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FEP(600)의 기능별 블록도로서, FEP(600)는 원격검침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예컨대, 'PowerAMR')에 의해 동작하며, 최대 64개의 회선을 수용할 수 있는 통신변환장치와 TCP/IP로 연계하여 최대 6,000개의 CCS(100)를 연결하여 고객증가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포트별로 각기 다른 통신방식의 설정이 가능하여 하나의 FEP(600)에 서로 다른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CCS(100)의 수용이 가능하다.
FEP(600)를 동작시키는 소프트웨어(즉, PowerAMR)는 다이얼 처리 모듈(610), 통신 처리 모듈(620), 데이터 관리 모듈(630), 스케줄 처리 모듈(640), 장애 관리 모듈(650) 및 패킷 데몬 모듈(660)을 포함한다.
다이얼 처리 모듈(610)은 통신변환장치(670)와 TCP/IP로 연계하여 모뎀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CCS(100)와 통신 경로를 구성하여 CCS(10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로서, 최대 64개의 다이얼 처리 모듈(610)이 동적으로 구동 가능하다. 검침 실행 후 자동으로 모뎀의 초기화를 시켜줌으로써 모뎀의 행 업(Hang-Up) 상태를 미연에 방지한다.
통신 처리 모듈(620)은 FEP용 소프트웨어(즉, PowerAMR)의 통신 처리 모듈과 TCP/IP 방식으로 통신하는 모듈로서, 다이얼 처리 모듈 또는 패킷 데몬 모듈(660)로부터 취득 및 해석된 데이터를 TCP/IP 방식으로 AMR 서버(8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처리 모듈(620)은 PowerAMR(695)의 성공적인 데이터 취득여부를 판단하여 오류 발생시 재전송을 요구하여 PowerAMR(695)과 FEP(600)간의 데이터를 일치시켜주며, CCS(100)의 프로토콜을 변환, 가공, 해석하여 동일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AMR 서버(800)와 통신한다.
데이터 관리 모듈(630)은 CCS(100)로부터의 검침 데이터를 취득, 해석 및 보관하는 모듈로서, 데이터 취득 및 해석은 각각의 CCS(100)에 따라 지원하며, CCS(100)로부터 데이터 취득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송신시에 CRC 및 BCC를 생성하며, 수신시에는 CRC 및 BCC 에러 체크로 취득된 데이터의 에러 유무를 판단하여 오류 발생시 재전송을 요구한다. 데이터 리드/라이트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DAO(Date Access Object) 방식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데이터를 처리한다. 데이터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CCS(100)의 메모리부와 상호 일치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케줄 처리 모듈(640)은 기본 검침주기를 1시간으로 하여 24시간까지 가변할 수 있으며, 정기검침 일의 경우 자동으로 정기검침을 할 수 있는 최대 64회선에 최대 6,000개의 CCS(100)를 수용하고, 주기적 폴링 방식으로 각각 수용가별로 데이터 취득을 위한 검침 스케줄링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CCS(100)의 데이터 취득 오류 발생에 대한 처리 스케줄을 동시에 운용할 수 있다. 고객별 검침 스케줄 데이터 구축은 FEP(600) 기동시 PowerAMR(695)로부터 회선번호, 검침주기, 계기 제작사 및 번호 등 초기 정보를 일괄 수신 또는 일부 수신하여 다이얼 업 방식의 검침 경로를 구축한다. PowerAMR(695)의 스케줄 변경시 실시간으로 스케줄 처리 모듈(640)에 적용하거나 관리자에 의한 임의의 변경도 가능하다.
장애 관리 모듈(650)은 SNMP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및 기타 장비를 SNM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비처럼 변환하는 모듈이다. 통신변환장치(670)의 포트별로 연결된 CCS(100)의 통신 상태를 AMR 서버(600)상의 자원 관리용 소프트웨어인 PowerRMS(680)의 관리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 관리 모듈(650)을 이용하여 FEP(600)의 동작상태 및 자원정보, 모뎀의 동작상태 및 자원정보가 PowerRMS(680)로 전송되어 효과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장애 관리 모듈(650)에서의 IP 할당은 스케줄 초기 데이터 등록시 자동적으로 할당된다.
패킷 데몬 모듈(660)은 TCP/IP로 연계하여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몬 프로세스로서, CCS(100)와 패킷 방식을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로 통신한다. 동시에 여러 개의 CCS(100)와 통신하기 위하여 동적 복제방식을 이용하므로 통신의 병목현상을 최소화하여 검침 데이터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MR 서버 소프트웨어의 모듈별 기능 블록도로서, AMR 서버(800)에서의 모든 통신에 필요한 기능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AMR 서버 소프트웨어는 클라이언트 모듈(PA-CLT)(810), 서버 모듈(PA-SVR)(820), 통신 처리 모듈(PA-FEPC)(830), 마스터 관리 모듈(PA-MST)(840), 스케줄 관리 모듈(PA-SCHD)(850), DB 관리 모듈(PA-DBMS)(860), 검침 관리 모듈(PA-MDPR)(870) 및 계기 제어 모듈(PA-MCPR)(880)로 이루어져 있다.
클라이언트 모듈(810)과 서버 모듈(820)은 원격검침 전용 클라이언트/서버 소프트웨어로서, 검침 데이터 조회, 각종 통계 데이터 조회, 계기 제어명령 등을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GUI 환경으로 개발된 모듈이며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기본적인 툴이다.
PA-FEPC(830)는 FEP(600)와 연동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침 데이터를 취득하고 부하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현시켜주는 통신 처리 모듈이다. FEP(600)와의 통신은 서버 형태의 데몬 프로세스로 운영되고 FEP(600)의 증설로 인한 서버의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적 프로세스의 생성 기법을 사용하여 통신 처리 및 자료 처리의 시간차를 해소하고, FEP(600)의 요청을 즉시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또한, CRC의 해석 및 재전송 요구를 통한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하며, FEP(600)가 각종 CCS(100)로부터 취득한 단일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PA-MST(840)는 고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보관하고 FEP(600)로부터 취득한 해당 전자식 계량기 또는 설비 감시기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검침의 기본 마스터를 구축하여 관리하는 마스터 관리 모듈이다. 고객 마스터 정보는 신규 생성 또는 갱신하여 항상 최신 상태를 유지하고, 신규 등록 또는 갱신한 내역은 1년 이상 보관하여 그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SCHD(850)는 검침 스케줄을 관리하는 스케줄 관리 모듈로서, 계기 제작사, 계기 번호, 검침주기, 정기 검침일, 검침 우선순위 등을 입력, 조회,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다. 또한, FEP(600)로부터 데이터 요청이 있을 경우 전체 데이터 또는 동기가 되어 있지 않은 신규 데이터만을 선별하여 전송해 줄 수 있으며, FEP(600)로부터 수신한 검침 데이터가 스케줄 DB와 상이할 경우 실시간으로 변경할 자료를 검색하여 FEP(600)로 전송해 주어 자료를 일치시키도록 유지한다.
PA-DBMS(860)는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수준의 데이터를 보관 및 처리하는 모듈이다. 데이터베이스를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하는데, 부적절한 명령어 처리로 중요 자료의 소실 등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DB 관리 모듈(860)은 자료의 백업과 삭제 그리고 재생성 등의 기본적인 운영에 필요한 부분을 GUI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영자가 쉽게 원격검침 DB를 관리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자료 처리 및 관리의 효율화를 위하여 데이터의 유효기간을 설정하여 기간 경과시 자동 삭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항상 적절한 용량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검침 데이터의 논리적 일관성 유지를 위하여 펄스 데이터의 누락을 방지하고, 계기 또는 모뎀의 변경시 자동으로 자료를 갱신하여 연속적인 검침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PA-MDPR(870)은 데이터를 저장 및 가공하고, 통신 처리 모듈(830)의 에러 검증 과정을 거친 펄스 데이터와 이를 가공한 시간별, 일별, 월별집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며, 코드 변환 기능을 통하여 중간 검침, 정기 검침 데이터 등을 요금 계산용 정보로 제공하는 검침 관리 모듈이다. 자료 처리 과정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검침 데이터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면 즉시 운영자에게 통보하여 즉각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운용하고, 정기 검침의 경우 고객 번호의 조정구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일에 자동으로 검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장애로 인해 검침이 실패한 경우 장애 원인 제거시 자동으로 재검침이 이루어지도록 운영하여 검침 DB를 갱신하도록 운용한다. 또한, 펄스 검침, 정기 검침시 계기의 정전이나 계기의 장애 코드를 분석하여 장애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계기 담당자가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PA-MCPR(880)은 전자식 계량기 또는 설비 감시기의 펄스 시간이 규정된 시간과 상이하거나 현재 시간이 오차가 발생할 때 타임 셋 기능과 계기의 장애를 원격에서 클리어 시킬 수 있는 계기 제어 모듈이다. 따라서, 관리자가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 원격에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동작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침 데이터 요청 및 전송에 대한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CCS는 전자식 계량기 또는설비 감시기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AMR 서버에서 전자식 계량기 또는 설비 감시기로 요청하는 데이터는 전자식 계량기 또는 설비 감시기가 측정한 '검침 데이터'라고 가정한다.
먼저, AMR 서버는 스케쥴 관리 모듈(PA-SCHD)을 통해 주기적으로 LAN망을 통해 FEP로 검침 데이터 수집을 위해 데이터 통신망의 사용 여부를 의뢰하고, FEP는 AMR 서버의 검침 의뢰에 대해 통신망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를 검사한다(S610). AMR 서버는 통신 처리 모듈(PA-FEPC)을 통해 FEP와 통신하며, FEP(600)와의 통신은 서버 형태의 데몬 프로세스로 운영되고 FEP(600)의 증설로 인한 서버의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적 프로세스의 생성 기법을 사용하여 통신 처리 및 자료 처리의 시간차를 해소하고, FEP의 요청을 즉시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EP는 IP 주소를 자동 할당하는 DHCP 서버를 통해 TCP/IP 통신이 가능한지를 검사할 수 있다. FEP는 통신 가능 상태가 아니면 회선 및 모뎀의 점검을 AMR 서버 또는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조속한 기간 내에 통신 가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 FEP는 CCS로 핑을 수행하여 CCS와의 검침 데이터 수집을 위한 검침 가능 상태인지를 검사한다(S630). 마찬가지로, FEP는 검침 가능 상태가 아니면 CCS 및 모뎀의 점검을 AMR 서버 또는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조속한 기간 내에 검침 가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통신망을 통한 FEP와 CCS간의 데이터 통신은 인터넷 데이터 패킷과 케이블 모뎀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는 CMTS를 통해 이루어지며, CCS는 원격 감시 및 관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핑을 수신하여 현재 CCS의 상태를 SNMP를 이용하여 FEP로 전달한다. 통신망을 통한 통신은 FEP에서 각 CCS로 데이터 전송에 대해 질의하고 준비된 CCS에서 응답 신호가 오면 통신 권한을 부여하는 폴링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며, CCS는 TCP/IP를 지원하는 TCP/IP 스택(Stack)을 통해 FEP와 통신을 수행한다.
검침 가능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FEP는 특정 CCS의 ID를 포함하여 해당 CCS로 검침 데이터 전송을 요구한다(S650). CCS는 데이터 전송 안정 및 보안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해당 검침 요구가 적법한 요구인지를 검사한다(S660). 적법한 검침 요구에 대한 검사는 검침 요구 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CCS의 ID를 가지고 검사하며, 전송된 CCS ID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자체 CCS ID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통해 적법한 검침 요구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적법한 검침 요구가 아니면 CCS는 FEP로 오류 메시지를 통보(S670)하여 새로운 검침 요구를 할 것을 유도한다.
CCS는 전자식 계량기 또는 설비 감시기로 요청한 검침 데이터(즉, 전자식 계량기로부터의 검침 데이터 또는 설비 감시기로부터의 감시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신망을 통해 해당 검침 데이터를 FEP로 전송한다(S680). CCS의 검침 데이터 전송은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FEP는 CCS로부터 전송받은 검침 데이터를 LAN망을 통해 AMR 서버로 인가하고, AMR 서버는 해당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여 DB에 저장한다(S690). DB에 저장된 각 CCS별 검침 데이터는 요금 계산용 정보로 추후에 활용될 수 있다.
다음에, FEP는 검침 대상이 더 있는가를 검사(S695)하여 검침 대상이 남아 있으면 초기 단계(S610)로 진행하여 다음 검침 대상에 대해 전술한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검침 대상이 남아 있지 않으면 모든 처리과정을 종료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CCS(100)를 방범 및 방재 시스템(2000)에 적용한 전체 구성도로서, 본 방범 및 방재 시스템(2000)은 다수의 CCS(100), 통신망(300) 및 다수의 보안 서버(2100)를 포함하며, 각각의 CCS(100)에는 방범 기기 또는 무인 자동화 기기 등이 연결되어 있다.
방범 기기는 주요 국가시설의 경비에서부터 공공기관, 금융기관, 일반 사업장, 주택 등에 이르기까지 각종 재난과 사고 및 범죄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시설과 장비를 말한다. 방범 기기는 무인 기계 경비, 홈 시큐리티(Home Security), 무인 은행 경비,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 출입통제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모든 기기들을 포함한다. 무인 자동화 기기는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주로 이용되는 현금 인출기를 가리킨다.
보안 서버(2100)는 통신망을 통해 해당 CCS(100)로 특정 데이터(예컨대, 방범 기기 또는 무인 자동화 기기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요청하고, 해당 CCS(100)로부터 전달된 특정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수의 보안 회사에 설치되어 각각 운영된다. 해당 CCS(100)로의 데이터 요청 및 해당 CCS(100)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1 실시예의 FEP(도 3의 600) 및 AMR 서버(도 3의 800)의 주요 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CCS(100) 및 통신망(300)은 제1 실시예의 CCS(100) 및 통신망(300)과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각각의 보안 서버들(2100)과각각의 CCS(100)간의 데이터 통신은 제1 실시예의 FEP(600) 및 AMR 서버(800)와 각각의 CCS(100)간의 데이터 통신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CCS(100)를 전자상거래 시스템(3000)에 적용한 전체 구성도로서, 본 전자상거래 시스템(3000)은 CCS(100), 통신망(300), 지불 게이트웨이(P/G: Payment Gateway)(3100), 카드 밴 시스템(3200), 금융 VAN망(3300) 및 다수의 금융 서버(34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CCS(100)는 다수개로 구현할 수 있으며, 각각의 CCS(100)에는 전화기(유/무선 전화기 포함), 카드 단말기, PC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는 카드 조회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CCS(100) 및 통신망(300)을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적용한 예이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CCS(100) 및 통신망(300)은 제1 실시예의 CCS(100) 및 통신망(300)과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P/G(3100)는 통신망(300)을 통해 각각의 CCS(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대금지불 정보를 처리하는 POS(Point Of Sale)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신용 정보, 지불 청구, 등록 업무, 사용자의 결제 요청에 관한 업무 수행에 있어서 보안 인증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드 밴(VAN: Value Added Network) 시스템(3200)은 P/G(3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P/G(3100)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데이터(예컨대, 카드 데이터, 인증 데이터등)를 수신하여 금융 VAN망(3300)을 통해 해당 금융 서버(3400)로 지불 승인을 의뢰하고 그 결과를 P/G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금융 VAN망(3300)은 공중 통신사업자로부터 대여받은 회선에 프로토콜, 부호, 형태, 속도 등을 변화시켜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부가가치 통신망을 의미한다. 또한, 금융 서버(3400)는 각 카드사에 의해 운용 및 관리되는 서버로서, 카드 밴 시스템(3200)에서 의뢰한 지불 승인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카드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를 금융 VAN망을 통해 카드 밴 시스템(32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먼저, 카드 단말기 운영자는 카드 단말기에 본 발명의 CCS(100)를 연결하여야 한다. 다음에, 카드 단말기 운영자가 카드의 지불 승인에 대한 절차를 수행하면, CCS(100)는 해당 정보를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수신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및 통신망(300)을 통해 해당 정보를 P/G(3100)로 전달한다. P/G(3100)는 보안 인증을 수행하여 해당 정보를 카드 밴 시스템(3200)에 전달하고, 카드 밴 시스템(3200)은 금융 VAN망(3300)을 통해 해당 금융 서버(3400)로 지불 승인에 대해 의뢰하고, 그 처리 결과를 금융 서버(3400)로부터 전송받아 P/G(3100)로 전달함으로써, 지불 승인에 대한 조회 업무를 처리한다.
또한, CCS(100)에 카드 단말기 뿐만 아니라 전화기 또는 PC를 연결하여 VoIP 서비스 또는 TCP/I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전화기 또는 PC를 통한 전자상거래에 있어서의 지불 승인에 대한 모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CCS(100)에는 VoIP 및 TCP/IP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처리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므로여러 가지 수단(예컨대, 카드 단말기, 전화기, PC 등)을 이용한 지불 승인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초고속 인터넷 및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하여 전력 서비스용 통신 서비스, 방범 및 방재용 통신 서비스, 원격 설비용 감시 통신 서비스, 전자상거래 시스템용 통신 서비스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저속전용회선 장치에 전화기 또는 PC를 연결하여 전화기를 통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및 PC를 통한 TCP/IP 연결이 가능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전자식 계량기 및 설비 감시기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요청 및 전달받아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와 시리얼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수집한 특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요청시 상기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이 이루어지면 획득된 상기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다수의 CCS;
    모뎀 데이터를 인터넷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인터넷 데이터 패킷을 케이블 모뎀 데이터로 변환하는 CMTS;
    TCP/IP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IP 주소를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DHCP 서버;
    상기 CCS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각종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원격 다이얼 업 모뎀과 TCP/IP 통신방식으로 상기 CCS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고, 검침 실행 후 모뎀의 초기화를 자동으로 실행시켜 모뎀의 행 업 상태를 방지하고,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모뎀 또는 회선의 잡음이나 통신왜곡으로 데이터가 손상되는 경우 즉시 관리자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FEP; 및
    상기 FEP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FEP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요금관리시스템과의 고객정보, 상기 검침 데이터의 송수신 연계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FEP로부터 수신한 상기 검침 데이터를 관리하고, LAN망을 통해 관리자의 컴퓨터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AMR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EP는 원격검침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FEP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FEP용 소프트웨어는
    통신변환장치와 TCP/IP로 연계하여 다이얼 업으로 접속되는 상기 CCS와 통신 경로를 구성하여 상기 CCS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다이얼 처리 모듈;
    상기 다이얼 처리 모듈로부터 취득 및 해석된 상기 데이터를 TCP/IP 방식으로 상기 AMR 서버로 전송하고, 데이터 취득여부를 판단하여 오류 발생시 재전송을 요구하고, FEP용 소프트웨어와 상기 FEP간의 데이터 형식을 일치시켜 주고, 각각의 CCS로부터 인가되는 프로토콜을 변환, 가공, 해석하여 동일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AMR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처리 모듈;
    상기 CCS로부터 데이터 취득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송신시에 CRC 및 BCC를 생성하고, 수신시에는 CRC 및 BCC 에러 체크로 취득된 데이터의 에러 유무를 판단하여 오류 발생시 재전송을 요구하고, DAO(Date Access Object)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CCS와 데이터의 상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관리 모듈;
    기본 검침주기를 일정 시간대별로 설정하고, 주기적 폴링 방식으로 각각 수용가별로 데이터 취득을 위한 검침 스케줄링을 설정하고, 상기 CCS의 데이터 취득 오류 발생에 대한 처리 스케줄을 운용하고, 상기 FEP 기동시 상기 FEP용 소프트웨어로부터 회선번호, 검침주기, 계기 제작사 및 번호에 관한 초기 정보를 일괄 수신 또는 일부 수신하여 다이얼 업 방식의 검침 경로를 구축하는 스케줄 처리 모듈;
    특정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하고, 상기 FEP의 동작상태 및 자원정보, 무선모뎀의 동작상태 및 자원정보를 관리하는 장애 관리 모듈; 및
    상기 TCP/IP로 연계하여 상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CCS와 패킷 방식을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로 통신하는 패킷 데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MR 서버는
    클라이언트 모듈과 상호 연결되어 검침 데이터 조회, 각종 통계 데이터 조회, 계기 제어명령을 GUI 환경으로 지원하는 서버 모듈;
    상기 FEP와 연동하여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FEP의 증설로 인한 서버의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적 프로세스의 생성 기법을 사용하여 통신 처리 및 자료 처리의 시간차를 해소하는 통신 처리 모듈;
    고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보관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취득한 해당 단말기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검침의 기본 마스터를 구축하여 관리하는 마스터 관리 모듈;
    계기 제작사, 계기 번호, 검침주기, 정기 검침일, 검침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입력, 조회, 수정 및 삭제하고, 상기 FEP로부터 데이터 요청이 있을 경우 전체 데이터 또는 동기가 되어 있지 않은 신규 데이터만을 선별하여 전송해 주고, 상기 FEP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가 스케줄 DB와 상이할 경우 실시간으로 변경할 자료를 검색하여 상기 FEP로 전송주도록 각종 검침 스케줄을 관리하는 스케줄 관리 모듈;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의 백업, 삭제 및 재생성에 관한 기본적인 운영을 GUI화하여 제공하는 DB 관리 모듈;
    상기 데이터를 저장 및 가공하고, 상기 통신 처리 모듈의 에러 검증 과정을 거친 펄스 데이터와 이를 가공한 시간별, 일별, 월별집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고, 코드 변환 기능을 통하여 중간 검침, 정기 검침 데이터를 요금 계산용 정보로 제공하는 검침 관리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펄스 시간이 규정된 시간과 상이하거나 현재 시간이 오차가 발생할 때 타임 셋 기능과 계기의 장애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계기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방범 및 방재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요청 및 전달받아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범 및 방재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와 시리얼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수집한 보안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 데이터 요청시 상기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이 이루어지면 획득된 상기 보안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다수의 CCS;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CCS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해당 CCS로 상기 단말기가 획득한 보안 데이터를 요청하고, 해당 CCS로부터 전달된 상기 보안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보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카드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요청 및 전달받아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드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카드 단말기와 시리얼 통신을 통해 상기 카드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카드정보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카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카드정보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다수의 CCS;
    상기 통신망을 통해 각각의 CCS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용 정보, 지불 청구, 등록 업무, 사용자의 결제 요청에 관한 업무 수행에 있어서의 보안 인증을 처리하고, 상기 CCS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카드정보 데이터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지불 게이트웨이(P/G); 및
    상기 P/G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P/G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카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금융 VAN망을 통해 해당 금융 서버로 지불 승인을 의뢰하고 그 결과를 상기 P/G로 전송하는 카드 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CS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하여 각 구성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TCP/IP를 지원하는 TCP/IP 스택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형식, 동작 속도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여 상호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SNMP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를 감시 및 관리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원격 감시 및 관리 인터페이스부;
    SSL을 이용하여 안정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암호화된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안정 및 보안 인터페이스부;
    상기 단말기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의 형식, 동작 속도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해 버퍼링하고, 입출력 데이터를 처리 규격에 맞도록 인터페이싱하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 원격 감시 및 관리 인터페이스부, 데이터 전송 안정 및 보안 인터페이스부 및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CCS의 현재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와의 데이터 교환을 총괄 제어하는 CPU;
    상기 CPU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기능별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상기 CPU의 지령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흐름 및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 제4항 및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xDSL망, HFC망, 케이블 모뎀망 및 무선 LAN망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1항, 제4항 및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CS에 VoIP 및 TCP/IP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탑재하고,
    VoIP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화기 및 TCP/IP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PC를 상기 CCS에 연결하여 특정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2-0024486A 2002-05-03 2002-05-03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46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486A KR100463054B1 (ko) 2002-05-03 2002-05-03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486A KR100463054B1 (ko) 2002-05-03 2002-05-03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113A true KR20030086113A (ko) 2003-11-07
KR100463054B1 KR100463054B1 (ko) 2004-12-23

Family

ID=3238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486A KR100463054B1 (ko) 2002-05-03 2002-05-03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0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381B1 (ko) * 2001-09-07 2005-05-30 인텔 코오퍼레이션 무선 디바이스용 보안 서비스
KR100634377B1 (ko) * 2004-12-30 2006-10-16 메트로나코리아(주) 케이블 티브이 망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및 보안 시스템
KR101053147B1 (ko) * 2010-08-17 2011-08-02 한국전력공사 타스크 스크립트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55131A (ko) * 2013-11-11 2015-05-21 한국전기연구원 Tcp/ip 기반 스마트 나노―그리드에 적용을 위한 범용 통신 모듈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624B1 (ko) * 1998-03-03 2001-03-02 탁승호 아이씨카드 정산 기능을 갖는 가스계량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381B1 (ko) * 2001-09-07 2005-05-30 인텔 코오퍼레이션 무선 디바이스용 보안 서비스
KR100634377B1 (ko) * 2004-12-30 2006-10-16 메트로나코리아(주) 케이블 티브이 망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및 보안 시스템
KR101053147B1 (ko) * 2010-08-17 2011-08-02 한국전력공사 타스크 스크립트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55131A (ko) * 2013-11-11 2015-05-21 한국전기연구원 Tcp/ip 기반 스마트 나노―그리드에 적용을 위한 범용 통신 모듈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3054B1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55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support services and premises gateway support infrastructure
RU2446610C2 (ru) Потоковая подготовка к работе в amr/ami-служебных сетях
US8649386B2 (en) Multi-interface wireless adapter and network bridge
US6854010B1 (en) Multi-location management system
US6240091B1 (en) Implementation of access service
US67388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providing mobile users access to legacy systems
US20100150170A1 (en) Scalable and Robust Mechanism for Remote IP Device Monitoring With Changing IP Address Assignment
AU741703B2 (en) Implementation of access service
CN102232177B (zh) 用于确定和管理来自多个测量设备的数据的方法和分布式系统
US20070250625A1 (en) Real-time services network quality control
US8966117B1 (en) System for discovering routers in a communication path of 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MXPA06012390A (es) Sistema de metodo para configuracion eficiente en un sistema de lectura de medidor automatico de red fija.
US81358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 management using periodic status messages in automated teller machines
KR20030034326A (ko) 원격검침 시스템
JP4220306B2 (ja) 電力量計
EP3014814B1 (en) System for connecting smart devices in a building
WO20000023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providing mobile users access to legacy systems
US9100318B1 (en) Method for discovering routers in a communication path of 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KR100463054B1 (ko) 저속전용회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0471159C (zh) 一种缆桥设备自动配置方法
KR20070037148A (ko) 네트워크 장치 제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03047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ble modem based on Web
GB2523123A (en) Method and hardware device for remotely connecting to and controlling a private branch exchange
CN111354124A (zh) 一种智能物联网售货系统及服务设备、售货机
US20090213742A1 (en) Telephone Communicatio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