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412A -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및 레이어 2 스위칭 방법 - Google Patents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및 레이어 2 스위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412A
KR20030085412A KR1020020023824A KR20020023824A KR20030085412A KR 20030085412 A KR20030085412 A KR 20030085412A KR 1020020023824 A KR1020020023824 A KR 1020020023824A KR 20020023824 A KR20020023824 A KR 20020023824A KR 20030085412 A KR20030085412 A KR 20030085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hy
onu
frame
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483B1 (ko
Inventor
송재연
김아정
이민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483B1/ko
Priority to EP03007443A priority patent/EP1351449A1/en
Priority to CN03109223.3A priority patent/CN1263255C/zh
Priority to JP2003100143A priority patent/JP2003333061A/ja
Priority to US10/406,468 priority patent/US7330654B2/en
Publication of KR2003008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6Fixed carrier allocation, e.g. according to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 H04J14/0246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using one wavelength per O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 H04J14/0247Sharing one wavelength for at least a group of O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L2 스위치를 포함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tion)와 상기 OLT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트나 가입자 포트를 포함하는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L2 스위칭 방법은, 상기 각 ONU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트나 가입자 포트에 각각 소정 PHY ID를 부여하는 과정과; PHY ID 태깅/디태깅 레이어를 이용하여 전송 프레임에 PHY ID를 태깅/필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ONU에 연결된 소정 포트를 목적지로 하는 이더넷 프레임이 상기 OLT로 수신된 경우에 상기 포트에 할당된 L2 스위치의 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및 레이어 2 스위칭 방법{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AND L2 SWITCHING METHOD}
본 발명은 광네트웍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에 관한 것이다.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tion)에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를 1×N ODN(Optical Distribution Network)을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트리 구조의 분산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가입자 네트웍 구조이다. 최근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ect)에서는 ATM-PON(Asynchronous Transfer Mode-Passive Optical Network) 시스템에 대한 표준화 내용을 ITU-T G.982, ITU-T G.983.1, ITU-T G.983.3으로 문서화하였다. 또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정한 IEEE 802.3ah TF에서는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 기반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의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에 있다.
ITU-T와 IEEE 802.3 등과 같은 표준 기구에서 논의되고 있는 ATM-PON과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전송 용량은 OLT과 ONU 사이에 서로 다른 두 파장에 실리는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의존하게 된다. 즉, 전화국측의 OLT에서 가입자측 ONU로의 하향 전송은 1550㎚(또는, 1490㎚) 파장의 신호에 ATM 셀(cell) 또는 이더넷 프레임(Ethernet frame)을 실어서 전송하게 되고, 가입자측의 ONU에서 전화국측 OLT으로의 상향 전송은 1310㎚ 파장의 신호에 데이터를 실어서 전송하는 방식을 국제 기구인 ITU-T와 IEEE 802.3에서 논의하고 있다.
또한, 점 대 점 방식의 기가비트 이더넷과 ATM-PON용 MAC 기술은 이미 표준화가 완료되어 있는 상태로서, 그 내용은 IEEE 802.3z 및 ITU-T G.983.1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Gigad Ghaib 등에 의해 발명되고 1999년 11월 2일자로 특허 발행된미국특허번호 5,978,374{PROTOCOL FOR DATA COMMUNICAITON OVER A POINT-TO-MULTIPOINT PASSIVE OPTICAL NETWORK}에서는 ATM-PON에서의 MAC 기술이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이더넷 표준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OLT(Optical Line Terminal, 110)와, ODN(Optical Network Unit, 120)과,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 132, 134 및 136)로 구성된다.
상기 OLT(110)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상기 각 ONU(132, 134 또는 136)의 데이터를 액세스하게 된다. 상기 OLT(110)는 레이어 2 스위치(Layer 2 switch, L2 switch)를 구비하며, 상기 각 ONU(132, 134 또는 136)에서 수신한 프레임(frame)을 주소와 포트를 매칭하여 전송한다. 주소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주소 학습(address learning) 절차가 필요한데, ONU(132, 134 또는 136)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학습은 초기화할 때, L2 스위치가 일정 포트에서 수신한 프레임의 발신지 주소(Source Address, SA)를 소정 테이블에 저장하면서 포트별로 부여된 주소를 학습한다. 이 때 발신지 주소나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 DA)는 ONU(132, 134 또는 136) 포트의 MAC 주소를 사용한다. 학습 절차가 끝난 후 프레임을 수신한 L2 스위치는 포트가 부여된 목적지 주소에 대해서만 프레임을 송신하며 정적 필터링 엔트리(static filtering entry)를 사용한다(IEEE802.1d clause 7.9.1).
상기 802.1d L2 스위치에 의한 동작을 보면 주소 테이블에서 수신한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찾지 못하는 학습되지 않은 주소의 경우는 프레임이 수신된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프레임을 전송한다. 테이블에 주소가 있으나 이 주소에 할당된 포트가 수신된 포트와 동일한 경우에 이 프레임은 폐기된다.
즉, L2 스위치는 목적지 주소를 해석하여 특정 코드일 경우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고, 목적지 주소 및 발신지 주소의 포트가 같을 경우는 이더넷의 특성상 "broadcast and select"의 개념에 의해 이미 프레임을 그 포트에 연결된 종단 사용자(142)가 다 수신하였기 때문에 다시 전달할 필요가 없다는 원리 하에 수신된 프레임을 폐기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는 어느 한 ONU에서 같은 수동형 광가입자망에 연결된 다른 ONU로 보낸 프레임은 모든 ONU에게 다 전달되지 않고 OLT에게만 전송된다. 따라서, 같은 포트를 통해 상향 전송되고 하향 전송되어야 할 프레임은 목적지 주소와 발신지 주소에 부여된 포트가 같기 때문에 L2 스위치 테이블에 의해 폐기되어지므로 전송될 수 없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L2 내에서 ONU 간에는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하나의 ONU에 연결된 멀티 가입자(subscriber)나 멀티 서비스에 대해서도 적용되어 하나의 ONU에 대하여 다수의 랜이나 여러 종류의 서비스들을 분류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통신 지원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과 L2 스위치의 비호환성이 야기될 수 있으며, OLT의 L2 스위치에서 같은 포트로 어떻게 프레임을 재전송시킬 수 있는가하는 점이 큰 관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가입자 대 가입자 통신이나 멀티 서비스를 지원하면서 기존의 L2 스위치와 호환가능한 스위칭 기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L2 스위치의 비호환성을 극복하고,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구조에서 가입자 대 가입자 통신이나 멀티 가입자나 멀티 서비스를 지원하고 그에 대해 서비스의 질(QoS)을 지원할 수 있는 L2 스위칭 기법과 그 구현을 위한 이더넷 프레임 구조와, 이를 이용한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및 L2 스위칭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L2 스위치를 포함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tion)와 상기 OLT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트나 가입자 포트를 포함하는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L2 스위칭 방법은,
상기 각 ONU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트나 가입자 포트에 각각 소정 PHY ID를 부여하는 과정과;
PHY ID 태깅/디태깅 레이어를 이용하여 전송 프레임에 PHY ID를 태깅/필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ONU에 연결된 소정 포트를 목적지로 하는 이더넷 프레임이 상기 OLT로 수신된 경우에 상기 포트에 할당된 L2 스위치의 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이더넷 표준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그 이더넷 MAC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태그 이더넷 MAC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PHY ID 필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피어-투-피어 통신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그 이더넷 MAC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프레임은 목적지(destination) 어드레스(DA) 필드(210)와, 소스(source) 어드레스(SA) 필드(220)와, 타입 필드(230)와, PHY ID 필드(240)와, 메시지 필드(250)와, 프레임 체크 (FCS) 필드(260)로 구성된다.
기존의 이더넷 프레임의 경우 상기 DA 필드(210)는 6바이트, 상기 SA 필드(220)는 6바이트, 상기 타입 필드(230)는 2바이트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PHY ID 필드(240)는 OLT에서 ONU로 하향 전송할 때나 상기 ONU에서 상기 OLT로 상향 전송할 때 태깅 기법(tagging method)을 이용하여 삽입된다. 상기 PHY ID는 상기 각 ONU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트나 가입자 (subscriber)의 포트에 각각 부여된 고유 ID로서 상기 OLT의 L2 스위치에 소정 포트를 할당하기 위하여 구분되어 상기 OLT의 L2 스위치의 각 포트에 맵핑되어 진다. 상기 PHY ID 필드(240)는 PHY ID(PON) 태깅/디태깅 레이어에서 삽입되거나 제거되어져서 전송된다. 태그 이더넷 MAC 프레임의 구분은 상기 타입 필드(230)를 기존에 정의된 이더넷 프레임과 동시에 태그 이더넷 MAC 프레임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도록복합적으로 정의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태그 이더넷 MAC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프레임은 DA 필드(310)와, SA 필드(320)와, 제 1타입 필드(330)와, PHY ID 필드(340)와, 제2 타입 필드(350)와, 메시지 필드(360)와, FCS 필드(370)로 구성된다. 제 1타입 필드(330)는 PHY ID 태그 이더넷 MAC 프레임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필드이고, 제2 타입 필드(350)는 기존에 정의된 이더넷 프레임 타입 필드이며, 상기 프레임 구조는 제2 타입 필드(350)가 삽입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3a에 도시된 프레임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3a의 경우는 PHY ID 디태깅하면서 타입 필드(230)를 기존에 정의된 이더넷 프레임 타입 중 하나로 전환하여 상위 레이어에 전달 처리될 수 있게 해 주어야 하므로 기존의 이더넷 프레임과의 호환성이 약하나, 도 3b의 경우는 PHY ID 디태깅하면서 제 1 타입 필드(330)와 PHY ID를 같이 디태깅하여 상위레 이어에 전달하면 되므로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크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PHY ID 필드(240)가 가질 수 있는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PHY ID 필드(240)는 2바이트로 정의했을 때 3 비트의 클래스(242), 1 비트의 모드(244) 및 12 비트의 PHY ID(246)로 구성된다.
상기 PHY ID(246)는 새로운 ONU나 가입자 포트 또는 분류된 서비스 포트가 등록시에 부여된 고유 번호에 해당한다.
상기 클래스(242)는 가입자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나 지원하는 멀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구분한 등급을 나타낸다. 상기 클래스(242)에 따라서우선권을 부여할 수도 있는데 OLT의 L2 스위치의 해당 포트의 큐(que)에 우선권을 주거나 대역 부여시 ONU의 해당 포트에 최우위의 우선권을 주어서 멀티 서비스 지원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할 수 있다. 가입자에 대한 SLA의 클래스에 따라서도 구분이 가능하다.
상기 모드(242)는 전송 프레임에 대한 점 대 점 링크 모드(P)와 점 대 다점 브로드캐스트 모드(B)를 구분지어 준다. B 모드의 경우는 L2 스위치 포트를 통하지 않고 바로 L3 라우터(Layer 3 router)로 연결되어 전달되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L2 스위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하나의 OLT(410)와 그에 트리의 구조로 연결된 다수의 ONU(450, 510 및 550)로 구성된다.
상기 ONU(450, 510 또는 550)는 각각 상기 OLT(410)로의 연결 포트외에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트나 가입자의 포트(S1, S2, S3, S4, S5, S6, S7, S8, S9)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트나 가입자의 포트들(S1, S2, S3, S4, S5, S6, S7, S8, S9)에 대해 상기 OLT(410)의 L2 스위치(440)에 소정 포트를 할당하기 위하여 각각 소정 PHY ID를 부여한다. 이는 초기 등록 과정시 수행가능한데 상기 OLT(410)는 새로운 ONU나 가입자 포트 또는 분류된 서비스 포트가 등록시에 PHY ID를 부여한다. 이러한 ONU나 가입자/서비스 포트가 퇴거(deregister)하여 콜드 ONU(cold ONU) 또는 포트로 남을 시에는 부여되었던 PHY ID를 취소 접수(release)하였다가 다른 새로운 ONU나 가입자/서비스 포트가 등록시에 부여하여 PHY ID를 재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부여된 PHY ID는 상기 OLT(410)의 L2 스위치(440)에 소정 포트를 할당하기 위하여 논리적 링크를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하여 상기 OLT(410)의 L2 스위치(440)의 각 포트에 맵핑되어 진다.
상기 ONU(450, 510, 550)에서 상기 OLT(410)로의 상향 전송의 경우 상기 ONU(450, 510, 550)의 PHY ID 태깅/디태깅 레이어(455, 515, 555)는 LLC 레이어(480, 540, 580)로부터 생성된 이더넷 프레임에 태깅 프레임 타입을 설정하고 자신의 PHY ID를 태깅하여 전송한다. 이 후 상기 이더넷 프레임은 PHY 레이어(475, 535, 575) 등을 거쳐서 상기 OLT(410)로 상향 전송되는데 상기 OLT(410)의 PHY ID 태깅/디태깅 레이어(435)에서는 수신된 프레임의 PHY ID를 확인한후 디태깅함과 동시에 L2 스위치(440)의 해당 포트로의 링크를 디멀티플렉싱하여 해당 L2 스위치 포트로 전송한다. 상기 L2 스위치(440)는 주소 학습과정을 통해 DA를 보고 해당 포트로 프레임을 스위치하여 출력한다.
출력된 프레임은 상기 OLT(410)에서 해당 ONU(450, 510, 550)로 하향 전송되는데, 이 때 상기 OLT(410)의 PHY ID 태깅/디태깅 레이어(435)에서는 태깅 프레임 타입을 설정하고 출력된 L2 스위치(440)의 포트에 해당하는 PHY ID를 태깅하여 해당 ONU(450, 510, 550)로 하향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ONU(450, 510, 550)의 PHY ID 태깅/디태깅 레이어(455, 515, 555)는 태깅 프레임 타입을 확인하고 PHY ID를 디태깅하면서 수신된 PHY ID가 자신의 PHY ID와 일치하면 상위 레이어로 전송하여 가입자나 서비스 포트(S1, S2, S3, S4, S5, S6, S7, S8, S9)로 전송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프레임을 폐기한다.
전송하는 프레임이 브로드케스트 용도일 경우는 도 4의 모드(242)를 보고 알 수 있는데, 점 대 다점 브로드캐스트 모드(B)일 경우는 OLT(410)의 PHY ID 태깅/디태깅 레이어(435)에서 논리적 링크 멀티플렉싱한 후 L2 스위치 포트를 통하지 않고 바로 L3 라우터(Layer 3 router)로 전송되어진 다음 라우팅되어 다시 상기 OLT(410)로 전송되는데 이 때 PHY ID 태깅/디태깅 레이어(435)에서는 브로드캐스트용으로 지정된 디폴트(default) PHY ID나 상기 OLT(410)의 PHY ID를 태깅하여 하향 전송한다. 이 하향 전송 프레임은 모든 ONU(450, 510, 550)가 받게 되는데 상기 ONU(450, 510, 550)의 PHY ID 태깅/디태깅 레이어(455, 515, 555)에서 모드를 보고 브로드캐스트용 프레임임을 안 후 PHY ID가 자신의 PHY ID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PHY ID를 디태깅하여 상위 레이어로 전송처리한다. 브로드캐스트 모드(B)일 경우 L2 스위치 포트를 통하지 않고 바로 L3 라우터(Layer 3 router)로 전송되어지는 이유는 L2 스위치 포트를 통할 경우 입력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에 전송이 되어지므로 프레임이 (L2 스위치 포트수-1)개 만큼의 중복 브로드캐스트가 되기 때문에 이런 멀티플 브로드캐스트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전송 프레임이 태그 콘트롤 프레임인지의 확인은 태그 프레임에 대한 타입 필드를 두는 방법이외에, MAC 컨트롤 레이어(465, 525, 565) 이외의 레이어에서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한 후, PHY ID 태그만을 MAC 컨트롤 레이어(465, 525, 565)까지 전달되게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4에서와 같이 PHY ID에 전송프레임에 대한 클래스를 지정하여 이에 따라서 우선권을 부여할 수도 있는데 OLT(410)의 L2 스위치(440)의 해당 포트의큐(que)에 우선권을 주거나 대역 부여시 ONU(450, 510, 550)의 해당 포트에 최우위의 우선권을 주어서 멀티 서비스 지원시 QoS를 보장할 수 있다. 가입자에 대한 SLA의 클래스에 따라서도 구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기존의 L2 스위치의 비호환성을 극복하고 가입자 대 가입자 통신이나 멀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L2 스위칭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L2 내에서 ONU 대 ONU 뿐만 아니라 가입자 대 가입자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PHY ID를 부여하여 이러한 서비스 포트에 대한 점 대 점 에뮬레이션(emulation) 기법을 구현함으로써 멀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더욱이, 가입자의 SLA나 지원하는 멀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클래스의 등급을 명기할 수 있는데, 상기 클래스에 따라서 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멀티 서비스 지원시 QoS를 보장하거나 SLA에 따른 과금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하나의 메인 포트와 다수의 서브 포트를 구비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tion)와, 상기 메인 포트와 연결되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트를 구비하는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에 있어서,
    상기 OLT와 다수의 ONU 간에 전송되는 프레임은,
    목적지 주소를 나타내는 DA 필드와;
    발신지 주소를 나타내는 SA 필드와;
    상기 각 ONU에 부여된 고유 번호인 PHY ID를 나타내는 PHY ID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OLT는 상기 각 PHY ID에 하나의 서브 포트를 부여하며, 상기 메인 포트를 통해 소정 PHY ID를 나타내는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에 해당 서브 포트를 통해 상기 메인 포트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Y ID 필드는,
    상기 각 ONU에 부여된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PHY ID와;
    지원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구분한 등급을 나타내는 클래스와;
    점 대 점 링크 모드와 점 대 다점 브로드캐스트 모드를 구분하기 위한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3. L2 스위치를 포함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tion)와 상기 OLT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트나 가입자 포트를 포함하는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L2 스위칭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ONU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트나 가입자 포트에 각각 소정 PHY ID를 부여하는 과정과;
    PHY ID 태깅/디태깅 레이어를 이용하여 전송 프레임에 PHY ID를 태깅/필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ONU에 연결된 소정 포트를 목적지로 하는 이더넷 프레임이 상기 OLT로 수신된 경우에 상기 포트에 할당된 L2 스위치의 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L2 스위칭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ONU에 연결된 각 포트에 클래스를 부여함으로써 우선권에 따라 전송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L2 스위칭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전송하는 프레임의 모드를 부여함으로써 피어-투-피어 통신용과 브로드캐스트용 신호를 구분하여 전송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L2 스위칭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목적지 주소를 나타내는 DA 필드와;
    발신지 주소를 나타내는 SA 필드와;
    프레임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필드와
    상기 각 ONU에 연결된 에 부여된 고유 번호인 PHY ID를 나타내는 PHY ID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L2 스위칭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HY ID 필드는,
    상기 각 ONU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된 서비스 포트나 가입자 (subscriber)포트에 대해 각각 부여된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PHY ID와;
    지원하는 서비스의 종류나 가입자에 따라서 구분한 등급을 나타내는 클래스와;
    점 대 점 링크 모드와 점 대 다점 브로드캐스트 모드를 구분하기 위한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L2 스위칭 방법.
KR1020020023824A 2002-04-03 2002-04-30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및 레이어 2 스위칭 방법 KR10068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824A KR100689483B1 (ko) 2002-04-30 2002-04-30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및 레이어 2 스위칭 방법
EP03007443A EP1351449A1 (en) 2002-04-03 2003-04-03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point-to-point emulation in a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by means of an extended Ethernet frame
CN03109223.3A CN1263255C (zh) 2002-04-03 2003-04-03 以太网无源光网络及点到点模拟方法
JP2003100143A JP2003333061A (ja) 2002-04-03 2003-04-03 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受動型光加入者網及び点対点エミュレーション方法
US10/406,468 US7330654B2 (en) 2002-04-03 2003-04-03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and point-to-point emul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824A KR100689483B1 (ko) 2002-04-30 2002-04-30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및 레이어 2 스위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412A true KR20030085412A (ko) 2003-11-05
KR100689483B1 KR100689483B1 (ko) 2007-03-09

Family

ID=3238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824A KR100689483B1 (ko) 2002-04-03 2002-04-30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및 레이어 2 스위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4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11A (ko) * 2002-04-03 200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가비트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점 대 점에뮬레이션 방법
KR100456675B1 (ko) * 2002-11-26 2004-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pon의 매체접근제어 계층에서의 이더넷 데이터처리방법 및 장치
KR100724875B1 (ko) * 2002-06-24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시스템
KR100841481B1 (ko) * 2005-08-25 2008-06-25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광 액세스 망 장치 및 그를 위한 데이터 신호 송신 방법
KR100869252B1 (ko) * 2006-12-08 2008-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가비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의 gem 프레임 제공 장치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11A (ko) * 2002-04-03 200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가비트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점 대 점에뮬레이션 방법
KR100724875B1 (ko) * 2002-06-24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시스템
KR100456675B1 (ko) * 2002-11-26 2004-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pon의 매체접근제어 계층에서의 이더넷 데이터처리방법 및 장치
KR100841481B1 (ko) * 2005-08-25 2008-06-25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광 액세스 망 장치 및 그를 위한 데이터 신호 송신 방법
KR100869252B1 (ko) * 2006-12-08 2008-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가비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의 gem 프레임 제공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483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0654B2 (e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and point-to-point emulation method
US9455785B2 (en) Unified network management of hybrid fiber coaxial (HFC) network
US76640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ifferentiated service qualities in a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US7450551B2 (en) Multicast transmission method in GEM mode in Gigabit-capable passive optical network and method of processing frame
US9130878B2 (en) Traffic switching in hybrid fiber coaxial (HFC) network
EP2207310B1 (en) Optical network unit
KR100563657B1 (ko)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vlan 인식 및 llid관리 기능을 갖는 공유 랜 에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JP3742406B2 (ja) 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受動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2019519B1 (en) Method for addressing ethernet streams with a structured GPON GEM Port ID
US96812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remote PONs connected via an ethernet switch
US20050129030A1 (en) Multiple shared LAN emulation method in EPON based on group ID
US20100158520A1 (en) Lan emulation method in wdm-pon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0689483B1 (ko)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및 레이어 2 스위칭 방법
KR20030079311A (ko) 기가비트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점 대 점에뮬레이션 방법
Konstadinidis et al. A multilayer comparative study of XG-PON and 10G-EPON standards
CN101141194B (zh) 在无源光网络系统中对用户侧设备远程管理的方法
KR101348121B1 (ko) 음성, 데이터 및 비디오 서비스용 통합형 수동광네트워크 맥 정합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형 수동광네트워크 종단장치
KR100539952B1 (ko) 기가비트 수동형 광 가입자망의 gem 모드에서의멀티캐스트 전송 방법과 그 프레임 처리 방법
KR100957046B1 (ko) 기가비트 수동형 광 가입자망의 지이엠 모드에서 버추얼포트기반 스위칭을 위한 이더넷 프레임 구조 및 이를이용한 스위칭 방법
Gutierrez et al. Next generation optical access networks
Radivojević et al. PON evolution
KR20040070477A (ko) 루프백 방식을 가진 파장 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의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
KR20100070411A (ko) 수동 광가입자망에서 유니캐스팅 기법
Kneifati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FTTx: technology and solutions
Cobos Melià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assive Optical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