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9586A -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9586A
KR20030079586A KR1020020018737A KR20020018737A KR20030079586A KR 20030079586 A KR20030079586 A KR 20030079586A KR 1020020018737 A KR1020020018737 A KR 1020020018737A KR 20020018737 A KR20020018737 A KR 20020018737A KR 20030079586 A KR20030079586 A KR 20030079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lever
latch lev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407B1 (ko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4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7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래치레버(70)는 도어(60)의 선단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프레임(66)에 형성된 가이드슬롯(67)에 가이드돌기(74)가 안내되어 상하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래치레버(70)는 스프링(75)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도록 지지된다. 상기 래치레버(70)의 상하단에는 도어(60)의 배면으로 돌출되게 래치(7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72)가 상기 래치레버(70)에서 연장형성되는 부분에는 단차부(73)가 구비되고, 상기 단차부(73)와 대응되는 도어(60)의 내부 일측, 즉 쵸크커버(80)에는 내측보강리브(84)가 형성되어 래치레버(70)의 승강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보강리브(84)와 대응되는 쵸크커버(80)의 외면에는 전면플레이트(54)에 밀착되는 외측보강리브(85)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84,85)는 상기 래치레버(70)의 변형을 방지하고 정해진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Latch apparatus in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도어의 닫힘상태를 감지할 수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것이어서, 조리중에 조리실 내부와 외부를 차폐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다. 이를 위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에는 래치장치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래치장치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레인지의 본체를 구성하는 캐비티(1)의 내부에 조리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1)는 외부케이스(2)에 의해 그 상면과 양측면이 차폐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1)의 전면을 전면플레이트(3)가 형성하는데, 상기 전면플레이트(3)에는 조리실의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은 도어(4)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도어(4)의 선단 정면에는 핸들(5)이 설치되어 도어(4)의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전면플레이트(3)중 상기 도어(4)의 선단 내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래치슬롯(6)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슬롯(6)이 형성된 전면플레이트(3)의 배면에는 래치보드(7)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보드(7)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래치슬롯(6)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스위치(9)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9)에는 동작버튼(9')이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9)는 상기 래치슬롯(6)과 대응되는 래치보드(7)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동작버튼(9')이 래치(12)에 의해서 직접 또는 별도의 레버에 의해 눌러진다. 상기 래치보드(7)에는 상기 래치슬롯(6)과 대응되는 위치에 래치슬롯(6)의 하부에서 래치보드(7)의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걸이부(10)를 각각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4)의 선단 내면으로 돌출되어 도어(4)가 닫혔을 때 상기 래치슬롯(6)을 통해 상기 래치보드(7)의 안내걸이부(10)에 걸어지고, 상기 스위치(9)를 동작시키는 래치장치가 구비된다.
즉, 상기 도어(4)의 선단 내부에는 래치장치가 구비된다. 즉, 상기 도어(4)의 선단 내부에 래치레버(11)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레버(11)는 그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기 도어(4)의 배면(실제로는 쵸크커버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래치(12)를 구비한다. 상기 래치(12)는 도어(4)가 닫힐 때, 상기 래치보드(7)의 안내걸이부(10)에 안내되어 걸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래치(12)선단의 형상은 상기 안내걸이부(10)에 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래치레버(11)는 스프링(13)에 의해 지지되어 항상 도어의 하부를 향해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래치레버(1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래치레버(11)의 일측면에 가이드돌기(14)가 적어도 2곳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4)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도어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는 가이드슬롯(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도어(4)가 닫힐 때, 상기 래치(12)는 상기 전면플레이트(3)의 래치슬롯(6)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 상기 안내걸이부(10)에 그 선단이 안내된다. 이때, 상기 래치(12)의 선단이 상기 안내걸이부(10)를 따라 안내되기 위해서는 상기 스프링(1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4)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래치(12)의 선단은 상기 안내걸이부(10)의 선단을 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걸이부(10)의 선단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래치(12)가 상기 안내걸이부(10)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아 도어(4)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치(12)는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상기 스위치(9)의 동작버튼(9')을 누르게 된다. 상기 스위치(9)중 어느 하나는 동작버튼(9')이 눌러지면 도어(4)가 닫힌 것으로 감지하여, 조리실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스위치(9)중 어느 하나의 동작버튼(9')이 눌러지지 않으면 도어(4)가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조리실에서 조리가 진행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래치(12)가 상기 안내걸이부(10)에 걸어지지 않은 상태, 즉 도어(4)가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조리실로 마이크로웨이브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래치(12)를 구비하는 래치레버(11)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돌기(14)와 가이드슬롯(15)의 안내에 의해 상기 스프링(1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승되고,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도어(4)를 개방하기 위해 화살표 B방향으로 핸들(5)을 당겨주게 되면, 상기 안내걸이부(10)에 걸어져 있는 래치(12)를 포함하는 래치레버(11)를 변형시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래치레버(11)는 상기 가이드돌기(14)가 가이드슬롯(15)에 걸어져 있고 상기 래치(12)는 상기 안내걸이부(10)에 걸어져 있어 상기 도어(4)를 개방하는 힘에 의해,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레버(11)에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래치(12)에 의해 스위치(9)의 동작버튼(9')은 계속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래치(12) 및 래치레버(11)가 변형되면서 상기 도어(4)와 전면플레이트(3)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9)의 동작버튼(9')은 래치(12)에 의해 눌러진 상태이어서 도어(4)가 닫힌 상태로 감지되지만, 실제로는 도어(4)의 배면과 전면플레이트(3) 사이에 틈새가 있어 마이크로웨이브가 누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개방을 위한 힘을 가하더라도 래치와 래치레버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래치장치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래치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래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래치장치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캐비티52: 외부케이스
54: 전면플레이트56: 래치슬롯
60: 도어62: 핸들
64: 도어패널66: 도어프레임
67: 가이드슬롯70: 래치레버
72: 래치73: 단차부
75: 스프링80: 쵸크커버
82: 관통슬롯84: 내측보강리브
85: 외측보강리브90: 래치보드
92: 스위치93: 동작버튼
95: 안내걸림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어 선단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레버와, 상기 래치레버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도어의 배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래치보드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래치와, 상기 래치가 래치보드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래치레버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어의 내부 일측에 상기 래치보드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래치레버의 이동을 안내하고 래치레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1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보강리브는 상기 도어의 내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쵸크커버의 관통슬롯의 일측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래치레버와 래치 사이의 단차부를 안내하여 상기 래치레버가 래치의 연장방향으로 절곡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보강리브와 대응되게 상기 쵸크커버의 외면에는 제1보강리브가 돌출형성되어 캐비티의 전면플레이트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시에 래치가 래치보드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래치레버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래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래치장치의 구성을 보인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내부에 조리실과 전장실이 형성되는 캐비티(50)의 상면과 양측면을 외부케이스(52)가 차폐한다. 상기 캐비티(50)의 전면을 전면플레이트(54)가 형성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54)의 일측, 즉 상기 조리실의 입구 가장자리 일측 상하에 래치슬롯(56)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은 도어(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도어(60)는 상기 캐비티(50)의 일단부에 힌지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장치를 중심으로 그 선단이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개폐된다. 상기 도어(60)의 선단 전면에는 핸들(62)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60)의 외관을 도어패널(64)이 형성하고, 상기 도어패널(64)의 배면에는 도어프레임(66)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프레임(66)은 상기 도어패널(6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략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프레임(66)의 일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래치레버(7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슬롯(6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핸들(62)이 구비되는 도어(60)의 선단 내부에는 래치장치가 설치된다. 먼저, 상기 도어프레임(66)의 일단과 상기 도어패널(64)의 선단 내측 사이의 공간에 래치레버(70)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레버(70)는 상기 도어(60)의 선단 내부에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래치레버(7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래치(72)가 도어(60)의 배면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래치(72)는 상기 전면플레이트(54)의 래치슬롯(56)과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래치레버(70)는 그 두께가 상기 래치(7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래치(72)와 래치레버(70)의 사이에는 단차부(73)가 형성된다.
상기 래치레버(70)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도어프레임(66)의 가이드슬롯(67)에 삽입되어 안내되게 가이드돌기(7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74)와 가이드슬롯(67)은 적어도 2곳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래치레버(70)는 스프링(75)에 의해 지지되어 도면을 기준으로 하부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상기 도어(60)의 도어패널(64) 가장자리와 도어프레임(66)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쵸크커버(80)가 안착된다. 상기 쵸크커버(80)는 상기 도어패널(64)의 가장자리 내면과 상기 도어프레임(66)의 가장자리 내부 일측에 그 양단이 안착된다. 상기 쵸크커버(80)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패널(64)과 도어프레임(66)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4각형의 창틀모양이다. 상기 쵸크커버(80)중 상기 래치(7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슬롯(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슬롯(82)은 상기 래치(72)의 승강이 가능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롯(82)을 통해서는 상기 래치(72)가 도어(60)의 배면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쵸크커버(80)의 내면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슬롯(82)의 일측에 관통슬롯(82)의 형성방향으로 길게 내측보강리브(8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보강리브(84)와 대응되게 상기 쵸크커버(80)의 외면에는 외측보강리브(85)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보강리브(85)는 상기 래치슬롯(56)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상기 전면플레이트(54)에 밀착되게 돌출된다.
한편, 상기 전면플레이트(54)의 배면에는 상기 래치슬롯(56)과 대응되는 위치에 래치보드(90)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보드(90)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하단의 래치슬롯(56)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래치보드(90)에는 도어(60)의 개폐상태 등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스위치(92)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92)에는 각각 동작버튼(93)이 구비된다.
상기 래치보드(90)에는 상기 래치슬롯(56)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안내걸이부(95)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걸이부(95)는 각각 상기 래치슬롯(56)에서 후방을 향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래치(72)의 선단을 안내하고 도어(60)가 닫혔을 때 상기 래치(72)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도어(60)는 조리실을 외부와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선단 배면에 래치(7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래치(72)는 상기 도어(60)가 닫혔을 때, 상기 래치슬롯(56)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스위치(92)를 동작시키고 상기 안내걸이부(95)에 걸어져 도어(6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래치(72)는 도어(6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상기 관통슬롯(82)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60)가 닫히면, 상기 래치(72)는 상기 래치슬롯(56)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래치슬롯(56)의 내부로 삽입된 래치(72)는 각각 상기 래치보드(90)의안내걸이부(95)를 따라 안내된다. 이때, 사용자가 도어(60)를 밀어주는 힘에 의해 상기 스프링(7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안내걸이부(95)를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이 래치(72)가 안내걸이부(95)를 따라 안내되면, 상기 래치레버(70)는 상기 스프링(7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래치레버(70)의 상방향 운동시에 상기 내측보강리브(84)는 상기 래치레버(70)의 상승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어(60)가 완전히 닫혀 상기 래치(72)가 상기 안내걸이부(95)의 선단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가 하부로 이동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상기 래치(72)가 상기 안내걸이부(95)에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3의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72)가 상기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걸이부(95)에 밀착되어 걸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치(72)는 직접 또는 별도의 레버에 의해 상기 스위치(92)의 동작버튼(93)을 눌러서 도어(60)의 폐쇄상태를 감지하게 한다.
그리고, 도어(6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쵸크커버(80)의 외면에 형성된 외측보강리브(85)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플레이트(54)의 전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60)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핸들(62)을 당겨주어야 한다. 이때, 상기 도어(60)의 래치(72)는 상기 래치보드(90)의 안내걸이부(95)에 걸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래치(72)가 상기 안내걸이부(95)에 걸린 상태가 해제될 때까지는 상기 래치레버(70)에 래치(72)의 연장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래치(72)와 래치레버(70) 사이의 단차부(73)에 내측보강리브(84)를 형성하여 상기 래치레버(7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보강리브(84)와 대응되게 외측보강리브(85)를 형성하여 전면플레이트(54)에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래치레버(70)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핸들(62)을 당겨주는 힘에 의해 상기 래치(72)의 선단이 상기 안내걸이부(95)의 선단을 타고 넘으면, 다시 안내걸이부(95)를 따라 안내되면서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6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되면 상기 래치(72)는 관통슬롯(82)의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하단에 구비되는 래치(72)와 대응되는 부분에만 상기 내측보강리브(84)와 외측보강리브(85)를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래치(72)와 대응되는 부분 모두에 상기 내측보강리브(84)와 외측보강리브(8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래치에서는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와 닫힘 상태 유지를 위한 래치에 힘에 가해질 때 래치레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래치레버의 승강방향으로 쵸크커버의 내외면에 내측보강리브와 외측보강리브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보강리브가 래치레버의 변형을 방지하여 도어가 닫힘 상태로 감지되면서도 실제로는 개방상태가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도어 선단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레버와,
    상기 래치레버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도어의 배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래치보드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래치와,
    상기 래치가 래치보드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래치레버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어의 내부 일측에 상기 래치보드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래치레버의 이동을 안내하고 래치레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1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리브는 상기 도어의 내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쵸크커버의 관통슬롯의 일측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래치레버와 래치 사이의 단차부를 안내하여 상기 래치레버가 래치의 연장방향으로 절곡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리브와 대응되게 상기 쵸크커버의 외면에는 제1보강리브가 돌출형성되어 캐비티의 전면플레이트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KR10-2002-0018737A 2002-04-04 2002-04-04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KR100437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737A KR100437407B1 (ko) 2002-04-04 2002-04-04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737A KR100437407B1 (ko) 2002-04-04 2002-04-04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586A true KR20030079586A (ko) 2003-10-10
KR100437407B1 KR100437407B1 (ko) 2004-06-25

Family

ID=3237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737A KR100437407B1 (ko) 2002-04-04 2002-04-04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8881A (zh) * 2013-12-24 2015-06-24 Lg电子株式会社 烹饪器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922B1 (ko) * 2013-12-24 202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521A (ja) * 1984-01-30 1985-08-21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電子レンジ
JPS62195005U (ko) * 1986-06-03 1987-12-11
US5170303A (en) * 1990-04-30 1992-12-08 Seagate Technology Inc. Inductive thin film head having improved readback characteristics
KR200178155Y1 (ko) * 1995-05-29 2000-05-01 전주범 전자렌지의 도어록 취부 보조장치
KR19980074664A (ko) * 1997-03-26 1998-11-05 윤종용 전자렌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8881A (zh) * 2013-12-24 2015-06-24 Lg电子株式会社 烹饪器具
CN104728881B (zh) * 2013-12-24 2017-06-09 Lg电子株式会社 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7407B1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407B1 (ko)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US7034269B2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EP0371611A1 (en) Cabinet for cooking appliances
KR100487153B1 (ko) 전자렌지
KR100578399B1 (ko) 전자렌지
KR10115761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장치
KR100265637B1 (ko) 전자렌지의도어잠금장치
EP3557140A1 (en) Cooking appliance
KR100402577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KR100420341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래치구조
KR100399136B1 (ko) 전자렌지
KR100265407B1 (ko) 전자렌지
CN211408698U (zh) 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950013652B1 (ko) 전자렌지용 도어의 열림 및 잠금장치
KR0113673Y1 (ko) 전자렌지의 도어 록 장치
KR930010848B1 (ko) 가전제품용 도어 개방 장치
KR20030023052A (ko) 전자레인지의 인터록장치
US20240090093A1 (en) Cooking appliance
KR200232705Y1 (ko) 전자렌지의 도어와 전판의 밀착구조
KR20030073479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100274671B1 (ko) 전자렌지의 표시창 결합장치
KR10038503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100303562B1 (ko) 전자렌지의 버튼 지지구조
KR960002688Y1 (ko) 상면열림방식 전자렌지
KR0120193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