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625A - Golf practice device - Google Patents

Golf practi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625A
KR20030078625A KR1020020083851A KR20020083851A KR20030078625A KR 20030078625 A KR20030078625 A KR 20030078625A KR 1020020083851 A KR1020020083851 A KR 1020020083851A KR 20020083851 A KR20020083851 A KR 20020083851A KR 20030078625 A KR20030078625 A KR 20030078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hot
lamps
golf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8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83036B1 (en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JP2003001623U priority Critical patent/JP3096737U/en
Publication of KR2003007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625A/en
Priority to US10/746,468 priority patent/US2004013799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0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29Visual means not attached to the body for aligning, positioning the trainee's head or for detecting head movement, e.g. by paralla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PURPOSE: A golf training apparatus is provided to allow a golfer to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perform a blow correcting training and down blow correcting training with a single apparatus. CONSTITUTION: The golf training apparatus comprises a main switch(10), a gang of selecting switch(11)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 selecting switches(11a,11b), a shot condition conforming unit(13) having first and second lamps(15,15a) connected to the first selecting switch so as to be turned on by an output signal from a shot detecting device(12), and a sound generating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selecting switch so as to output sound by the output signal from the shot detecting device, and a keeping unit for adjusting the lighting time of the first and second lamps.

Description

골프 연습 장치{.}Golf Practice Device {.}

본 발명은 골프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골프 연습자가 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하고 난 후에 클럽의 헤드와 매트와의 접촉되는 지점에 샷 감지 스위치를 설치하여 다운 블로우(down blow)와 블로우(head up) 여부를 스스로 인지하면서 골프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practice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after the golf practicer hits the golf ball with the club, a shot detection switch is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head of the club contacts the mat and the down blow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practice apparatus that can practice golf while recognizing whether the head is up.

골프를 잘 하기 위한 방법은 골프 클럽의 특성을 잘 활용함과 동시에 올바른 자세를 숙련하는 것이다. 특히 아이언의 경우에는 골프 클럽으로 골프공(ball)을 다운 블로우 하여야 방향의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다.The best way to play golf is to make good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lf club, and at the same time be skilled in the right postu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ron, golf balls should be blown down to the golf club to expect the accuracy of the direction.

다운 블로우는 톱 오브 스윙(top of swing)에서 내려친 클럽 헤드의 중심이 최저점에 이르기 전에 골프공을 치는 것으로, 이는 클럽헤드가 골프공을 타격한 후 골프공이 놓여져 있던 위치를 바로 지난 위치의 매트 표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The down blow is to hit the golf ball before the center of the club head hits the top of the swing to the lowest point, which is the mat just past the position where the ball was placed after the club head hit the ball.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그러나 대부분의 초심자의 경우에는 클럽 헤드의 하단부가 골프공이 놓여진 바로 아래쪽의 표면이나 그 앞쪽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게 되고, 그나마도 자신이 다운 블로우를 하였는지의 여부를 알 수가 없다.However, in most beginners, the lower end of the club hea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immediately below or in front of the golf ball, and it is im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he has blown down.

또한 골프 연습을 하면서 샷 이후에 블로우(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얼굴이 일찍 목표를 향하는 것)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초심자는 연습 과정에서 다운 블로우 및 블로우에 대한 자세를 교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자세 교정은 숙련된 자로부터 지도를 받아야 함으로 스스로 연습을 할 경우에는 자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할 수 없다.In addition, during the practice of the golf blow after the shot (face before heading the golf ball to the target early) occurs, the beginner must correct the position for the down blow and blow during the exercise. This posture correction requires guidance from an experienced person, so if you practice on your own, you will not be able to recognize your posture correctly.

본 발명은 특히 골프에 입문하는 초심자를 위하여 다운 블로우의 성공여부와 블로우을 하였는지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골프 연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개인이 연습하기에 적합하도록 일정한 크기의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매트에서 다운 블로우가 되는 적합한 위치와 다운 블로우가 적합하지 않은 위치에 각각의 스위치를 설치하여 음향 신호로 샷의 성공 여부를 연습자에게 인식하게 함과 동시에 블로우을 방지하기 위해 골프공이 놓여진 위치의 근거리에 램프를 설치하여 연습자로 하여금 램프를 보도록 유도하여 블로우을 방지하는 자세를 스스로 교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exerciser that can grasp the success of the down blow and whether or not the blow was blown, especially for beginners beginners golf, in particular down on the mat formed on a base frame of a constant size suitable for individual practice Each switch is installed at the proper position to be blown and the position not to be blown down,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recognize the success of the shot by the acoustic signal, and the lamp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golf ball is placed to prevent the blow. By instructing the practitioner to look at the ramp, he can correct his posture to prevent blows.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들과 골프에 입문하는 연습자들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를 고찰하면서 본 발명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and practitioners of golf will appreciate the useful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upon reviewing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 회로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1A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골프 연습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lf exercis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샷 감지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shot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샷 감지 장치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shot det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스위치 플레이트가 베이스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base

도 6은 본 발명에서 클럽 헤드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ing state of the club hea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감지 스위치가 접점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before the sensing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acted

도 8은 본 발명의 감지 스위치가 접점되는 상태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that the sensing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적인 특징은 매트 하부에 설치되면서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의 뒷쪽에서 다운 블로우가 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제1감지 스위치와,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의 앞쪽에서 다운 블로우의 실패 위치에 설치되는 제2감지 스위치로 구성되고, 골프공을 타격할 때 클럽헤드와 매트의 접촉상태를 감지하는 샷 감지 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골프 연습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메인 스위치; 상기 메인 스위치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제1선택스위치와 제2선택스위치로 되는 선택스위치; 상기 선택스위치의 제1선택스위치에 연결되고 샷 감지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점등되는 제1·제2램프와, 제2선택스위치에 연결되고 샷 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샷 상태에 따르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발생장치로 구성되는 샷 상태 확인부; 상기 샷 상태 확인부의 제1·제2램프가 일정 시간 동안 점등된 다음 소등되도록 하는 램프 점등 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ructural features for achieving the intende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detection switch is installed in the down blow from the back of the position where the golf ball is placed while being installed under the mat, and down from the front of the position where the golf ball is placed The main switch comprises a second sensing switch installed at a failure position of the blow, and forming a golf practice device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from a shot sensing device that detects a contact state between the club head and the mat when hitting the golf ball. ; A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the selection switch being a first selection switch and a second selection switch switched by a user; The first and second lamps connected to the first selection switch of the selection switch and turned on by a signal output from the shot sensing device, and the shot state is connected by a signal connected to the second selection switch and output from the shot sensing device. Shot state confirmation unit consisting of a sound generating device for outputting a voice; And a lamp lighting maintenance means for causing the first and second lamps of the shot state checking unit to be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urned off.

샷 감지장치는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의 전후, 즉 다운 블로우를 이루지 않는 골프공의 뒷쪽과 다운 블로우를 이루는 골프공의 앞쪽에서 매트 안쪽에 각각 스위치를 형성하여서 되며, 그 구성은 매트 하부의 베이스 상에 고정되는 스위치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하부접점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접점 플레이트의 상부로 적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하여 설치되며, 하부 플레이트를 향하는 다수개의 스위치 단자를 구비하는 상부접점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접점 플레이트가 하부접점 플레이트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승강하며 스위칭 작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The shot detection device is formed before and after the position where the golf ball is placed, i.e., behind the golf ball that does not form a down blow and in front of the golf ball that forms a down blow. A lower contact plat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witch plate fixed to the; An upper contact plate disposed to face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ntact plate at an appropriate distance and having a plurality of switch terminals facing the lower plate; The upper contact plat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supporting the lower contact plate to move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이러한 샷 감지 장치는 연습자의 샷 동작시 클럽 헤드가 매트 위를 스치면서 지나갈 때에 눌려지는 매트에 의하여 상부접점 플레이트가 탄성부재를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하부접점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스위치의 접점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샷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is shot detection device is shot by the contact of the switch is made in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late by lowering the upper contact plate while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by the mat is pressed when the club head is passing over the mat during the shot movement of the exerciser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by detecting the state of.

이때 골프 연습자는 "굿샷(Good shot)", "노굿(No good)" 등과 같이 음향발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 효과로써 다운 블로우를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블로우 여부는 램프의 불빛을 보았는지 안보았는지의 여부에따라 인식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golf practitioner can visually recognize whether the down blow is successful by the sound effect output from the sound generator such as "Good shot" and "No good". It can be recognized depending on whether you have seen or not seen the lights.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매트 상부면이 클럽 헤드에 의하여 눌려지게 될 때에 매트 내부의 스위치의 스위칭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제1·제2선택스위치를 선택한 상태에 따라 음향발생장치로부터 특정한 음향이 발생되게 하거나, 램프가 점등되게 하고, 또는 상기 음향과 램프가 동시에 작동되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 is pressed by the club head, the switching of the switch inside the mat is made.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switches are selected, a specific sound is generated from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The lamp may be turned on, or the sound and the lamp may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즉, 연습자가 골프 클럽을 스윙하여 골프공을 타격한 다음 계속 포물선을 그리며 다운 블로우가 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매트 아래의 스위치가 접점되어 회로에 전류가 흐르면서 음향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음향을 듣게 됨으로써 다운 블로우의 성공 여부를 알 수 있게 되고, 다운 블로우가 아닌 위치에 스윙이 되었을 때에도 특정한 음향에 의하여 다운 블로우를 실패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ractitioner swings the golf club and hits the golf ball and reaches the position where it continues to draw a parabolic and down blow, the switch under the mat is contacted to hear a specific sound generated by the acoustic generator as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circuit.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down blow is successful, and even when the swing is not in the down blow position, the down blow is caused by a specific sound.

또한, 블로우을 하였다면 램프의 불빛을 보지 못하였거나 보는 순간이 짧았을 것이고, 대조적으로 램프의 불빛을 오래 보았다면 블로우을 하지 않은 것으로 연습자는 인식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연습자의 스윙에 의하여 램프가 점등되는 시간이 극히 짧을 경우에는 블로우 여부를 인지하기가 곤란할 수 있기 때문에 램프가 점등되는 시간을 1~2초 정도 지속할 필요가 있으며, 연습자는 램프가 점등된 것을 보게 된 다음 소등될 때까지 램프를 계속 주시(注視)하도록 유도하여 블로우을 방지하는 연습을 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f the blower did not see the light of the lamp or the moment of seeing the light would be short, in contrast, if the watch of the lamp for a long time, the practitioner recognizes that the blow is not. In the above process, when the lamp is turned on by the practitioner's swing, it may be difficult to recognize whether the lamp is blown, so it is necessary to keep the lamp on for about 1 to 2 seconds. After seeing what happened, you will be encouraged to keep watching the lamp until it goes out, thus preventing the blow.

상기에서 블로우 연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램프를 점등시키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일정시간 동안 램프가 점등된 상태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데, 본발명은 이러한 램프가 점등된 상태를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지속시킬 수 있는 유지수단으로써 릴레이, 타이머,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램프가 약 2~3초 동안 점등된 다음에 소등되도록 한다.In order to effectively practice the blow abov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lamp on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respect to the input signal for lighting the lamp.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lamp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As a holding means, the lamp is turned on for about 2-3 seconds and then turned off for a signal input using a relay, a timer, or a microcomputer.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찰되면서 더 완전하고 구체적으로 이해될 것이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fully understood in the light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이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고, 도 2는 골프 연습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1 is a circuit diagram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golf practice device.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 연습 장치를 형성하는 회로의 구성은 메인 스위치(10), 제1·제2선택스위치(11b)(11b)로 되는 선택스위치(11), 샷감지장치(12), 음향발생장치(13), 제1·제2릴레이(14·14a), 제1·제2램프(15·15a) 및 상기 제1·제2릴레이(14·14a)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1·제2릴레이 스위치(16·16a)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ircuit forming the golf practi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switch 10, a selection switch 11 including first and second selection switches 11b and 11b, and a shot sensing device 12) operated by the acoustic generator 13, the first and second relays 14 and 14a,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s 14 and 14a. It consists of the 1st, 2nd relay switch 16 * 16a.

메인 스위치(10)는 Vcc 전원이 인가되며, 출력측이 선택스위치(10)의 제1선택스위치(10a)와 제2선택스위치(10b)의 입력측으로 분기된다.The main switch 10 is supplied with Vcc power, and the output side is branched to the input side of the first selection switch 10a and the second selection switch 10b of the selection switch 10.

제1·제2선택스위치(11a·11b)는 제1·제2램프(15·15a)와 음향발생장치(13)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 스위치로써, 제1선택스위치(11)는 제1·제2릴레이(14·14a)와 제1·제2램프(15·15a)와 연결되고, 제2선택스위치(11b)는 음향발생장치(13)에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switches 11a and 11b are power switches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and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3. The first and second relays 14 and 14a and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are connected, and the second selection switch 11b is connected to the sound generator 13.

샷감지장치(12)는 제1감지 스위치(11a)와 제2감지 스위치(11b)로 되는 두개의 감지 스위치로 구성된다.The shot sensing device 12 is composed of two sensing switches including a first sensing switch 11a and a second sensing switch 11b.

제1감지스위치(11a)는 아웃단자(OUT1)가 음향발생장치(13)의 인에이블 단자(EN1)와 제1릴레이(14)에 연결되며, 제2감지스위치(11b)의 아웃단자(OUT2)는 음향발생장치(13)의 인에이블 단자(EN2)와 제2릴레이(14a)에 연결되어 있다.In the first sensing switch 11a, the out terminal OUT1 is connected to the enable terminal EN1 and the first relay 14 of the acoustic generator 13, and the out terminal OUT2 of the second sensing switch 11b. ) Is connected to the enable terminal EN2 and the second relay 14a of the acoustic generator 13.

또한 샷감지장치(12)는 상기한 제1·제2선택스위치(11a·11b)와 연결할 수도 있지만 별도의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ot detection device 1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switches 11a and 11b, but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separately by applying a separate driving power source.

제1감지스위치(11a)와 제2감지스위치(11b)의 기구적인 구성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100)와 인조잔디 매트(120) 사이에 형성되는 각각의 접점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위치로 구성되는데, 제1감지스위치(11a)는 인조잔디 매트(120) 위에 놓여지는 골프공(300)의 위치로부터 앞쪽에 설치되고, 제2감지스위치(11b)는 골프공(300)의 뒤쪽에 형성된다.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sensing switch 11a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11b is formed by the respective contact points formed between the base 100 and the artificial turf mat 120 as shown in FIGS. 2 to 4. The first detection switch (11a)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position of the golf ball 300 placed on the artificial turf mat 120, the second detection switch (11b) of the golf ball 300 It is formed on the back.

즉, 제1감지스위치(11a)는 다운 블로우를 이루는 구간에 형성되고, 제2감지스위치(11b)는 다운 블로우를 실패하는 구간에 형성된다.That is, the first sensing switch 11a is formed in the section which makes the down blow,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11b is formed in the section which fails the down blow.

이와 같은 샷감지장치(12)는 클럽 헤드가 골프공(300)을 타격할 때 제1감지스위치(11a)가 온(ON) 이 되면서 제1감지스위치(11a)의 아웃단자(OUT1)를 통해서 다운 블로우를 성공하였음을 알려주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2감지스위치(11b)가 온(ON)이 되면 제2감지스위치(11b)의 아웃단자(OUT2)를 통해서 다운 블로우가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shot detection device 12 is the first detection switch (11a) is turned on (ON) when the club head hits the golf ball 300 through the out terminal (OUT1) of the first detection switch (11a).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the down blow is successful is output. When the second sensing switch 11b is turned on, the control signal indicates that the down blow has failed through the out terminal OUT2 of the second sensing switch 11b. Outputs a control signal.

음향발생장치(13)는 샷감지장치(12)와 연결되어 샷감지장치(12)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 즉, 다운 블로우를 성공하였음을 알려주는 제어신호와, 다운 블로우를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각각 설정된 음향을 출력한다.The acoustic generator 13 is connected to the shot detection device 12 to control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shot detection device 12, that is,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the down blow is successful, and a control indicating that the down blow has failed. Outputs the sound set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제1릴레이(14)는 다운 블로우 성공시 샷감지장치(12)의 아웃단자(OUT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여자되어 제1릴레이 스위치(16)를 접점시켜서 제1램프(15)를 점등시키며, 제2릴레이(14a)는 다운 블로우 실패시 샷감지장치(12)의 아웃단자(OUT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여자되어 제2릴레이스위치(16a)를 접점시켜서 제2램프(15a)를 점등시킨다.The first relay 14 is excit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out terminal OUT1 of the shot detection device 12 when the down blow is successful, and contacts the first relay switch 16 to light the first lamp 15. , The second relay 14a is excit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out terminal OUT2 of the shot detection device 12 when the down blow fails, and contacts the second relay switch 16a to turn on the second lamp 15a. Let's do it.

따라서 제1램프(15)는 다운 블로우를 성공하였을 경우에 점등되며, 제2램프(15a)는 다운 블로우를 실패하였을 경우에 점등된다.Therefore, the first lamp 15 is turned on when the down blow is successful, and the second lamp 15a is turned on when the down blow has fail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로의 작용은 먼저, 사용자가 메인 스위치(10)를 온(ON)시키고, 다운 블로우 연습만을 할 것인지, 다운 블로우와 블로우 연습을 겸할 것인지에 따라서 제1선택스위치(11a)와 제2선택스위치(11b)를 선별하여 선택하거나 모두 선택하면 된다.The operation of the circu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first selection switch 11a and the second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turns on the main switch 10 and performs only down blow exercises, or combines down blow and blow exercises. The selection switch 11b may be selected and selected or all selected.

이러한 선택은 제1·제2램프(15·15a)만을 구동할 것인지, 음향발생장치(13)만을 구동할 것인지, 또는 제1·제2램프(15·15a)와 음향발생장치(13)를 동시에 구동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제1·제2선택스위치(11a·11b)를 개별적으로 조작하는 것이다.This selection determines whether to drive only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only the acoustic generators 13, or to drive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and the acoustic generators 13. By selecting whether to drive simultaneously,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switches 11a and 11b are operated individually.

따라서 제1선택스위치(11a)를 온(on)으로 설정하면 제1·제2릴레이(14·14a)가 준비 상태가 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제1·제2램프(15·15a)가 점등되는 상태가 되고, 제2선택스위치(11b)를 온(ON)으로 설정하면 음향발생장치(13)가 준비 상태로된다.Therefore, when the first selection switch 11a is set to on, the first and second relays 14 and 14a are ready, and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 this state, when the second selection switch 11b is set to ON, the sound generator 13 is in a ready state.

상기한 본 발명의 골프연습기가 구동되는 상태는 연습자의 선택에 따라 블로우의 연습만을 할 필요만을 느낀다면 제1선택스위치(11)를 온(ON)으로 설정하고, 다운 블로우의 연습만을 하고자 한다면 제2선택스위치(11b)를 온(ON)으로 설정하며, 또한 다운 블로우와 블로우 연습을 동시에 하기를 원한다면 제1·제2선택스위치(11·11b)를 모두 온(ON)으로 설정하면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golf exerci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the first selection switch 11 is set to ON if only the practice of blow is felt according to the exerciser's selection. If the two selector switches 11b are set to ON, and both the down blow and the blow practice are to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selector switches 11 · 11b may be all set to ON.

다음의 설명에서는 다운 블로우와 헤드업 연습을 동시에 하기 위하여 제1·제2램프(15·15a)와 음향발생장치(13)를 동시에 구동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and the acoustic generator 13 are simultaneously driven in order to simultaneously practice down blow and head up.

제1·제2선택스위치(11a·11b)가 모두 온(on)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연습자가 클럽으로 스윙을 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럽의 헤드(200)가 매트(120)와 접촉을 하게 되는데, 이때 연습자가 정상적인 스윙을 하면 골프공(300)의 진행방향으로 약간 앞쪽에서 클럽 헤드(200)와 매트(120)가 접촉하여 제1감지스위치(11a)가 동작한다. 이렇게 제1감지스위치(11a)가 동작하면, 상기 제1감지스위치(11a)의 출력단(OUT1)은 음향발생장치(13)의 인에이블 단자(EN1)와 제1릴레이(14)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음향발생장치(13)와 제1릴레이(14)에 의하여 제1램프(15)가 점등되며, 이와 동시에 음향발생장치(13)는 다운 블로우를 성공하였음을 알려주는 음향, 예를 들면 "굿샷(Good shot)"이라는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1램프(15)가 점멸하는 시간은 2~3초 정도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샷감지장치(12)의 출력단(OUT1)에서 발생한 순간적인 신호는 제1릴레이(14)가 제1릴레이스위치(16)를 2~3초 동안 구동시킨 후에 제1램프(15)를 소등시키게 된다.When the exerciser swings to the club with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switches 11a and 11b all set to on, the club head 200 makes contact with the mat 120 as shown in FIG. 6. At this time, when the exerciser performs a normal swing, the club head 200 and the mat 12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golf ball 300 to operate the first detection switch 11a. When the first detection switch 11a is operated in this way, the output terminal OUT1 of the first detection switch 11a is connected to the enable terminal EN1 of the sound generator 13 and the first relay 14. The first lamp 15 is turned on by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3 and the first relay 14, and at the same time,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3 indicates that the down blow is successful, for example, "good shot" Good shot) "will be output.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for which the first lamp 15 blinks lasts for about 2 to 3 seconds, and the instantaneous signal generated at the output terminal OUT1 of the shot sensing device 12 is the first relay 14 being the first relay. After driving the switch 16 for 2 to 3 seconds, the first lamp 15 is turned off.

즉, 연습자가 샷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여 다운 블로우를 성공하였을 경우에는 제1램프(15)가 점등하면서 블로우 여부를 인식할 수 있고, 동시에 음향발생장치(13)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하여 다운 블로우가 성공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exerciser succeeds in the down blow by performing the shot normally, the first lamp 15 lights up to recognize whether the blow is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down blow is successful by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generator 13. It will be known that.

상기 제1램프(15)는 제2램프(15a)와 구분이 되게 하고, 다운 블로우를 성공하였음을 주지시켜주기 위하여 녹색빛을 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lamp 15 is preferably distinguished from the second lamp 15a and emits green light to inform that the down blow is successful.

상기와는 상반되게 연습자가 정상적인 스윙을 하지 못하여 클럽의 헤드(200)가 골프공(300)에 접촉하기 전에 매트(120)에 먼저 접촉하면 제2감지스위치(11b)가 동작한다. 제2감지스위치(11b)가 동작하면, 상기 제2감지스위치(11b)의 출력단(OUT2)은 음향발생장치(13)의 인에이블 단자(EN2)와 제2릴레이(14a)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음향발생장치(13)와 제2릴레이(14a)에 의하여 제2램프(15a)가 점등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음향발생장치(13)는 "노굿"과 같이 다운 블로우를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2램프(15a)는 제1램프(15)와 용이하게 구분되게 하면서 다운 블로우를 실패하였음을 주지시키기 위하여 적색빛을 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trary to the above, the second detection switch 11b operates when the exerciser does not make a normal swing and contacts the mat 120 before the club head 200 contacts the golf ball 300. When the second detection switch 11b operates, the output terminal OUT2 of the second detection switch 11b is connected to the enable terminal EN2 of the sound generator 13 and the second relay 14a. The second lamp 15a is turned on by the generator 13 and the second relay 14a. At the same time, the acoustic generator 13 outputs a voice indicating that the down blow failed, such as "no good". Preferably, the second lamp 15a emits red light to easily distinguish from the first lamp 15 while notifying that the down blow has failed.

제2램프(15a)가 점멸하는 시간은 제1램프(15)와 같이 2~3초 동안 유지되도록 제2릴레이(14a)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2릴레이스위치(16a)를 구동시킨다. 즉, 연습자가 샷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여 다운 블로우를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제2램프(15a)가 점등되어 블로우 여부를 인식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또한 음향발생장치(13)로부터 다운 블로우를 실패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time that the second lamp 15a blinks is driven like the first lamp 15 to drive the second relay switch 16a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econd relay 14a. That is, when the exerciser fails to perform the down blow due to the failure to perform the shot normally, the second lamp 15a is turned on to recognize whether the blow is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known that the down blow failed from the acoustic generator 13. It will be possible.

연습자는 제1·제2램프(15·15a)가 켜져 있는 것을 일정 시간동안 볼수록 헤드업을 안하게 됨으로써 좋은 자세의 연습을 할 수 있으므로 골프공dl 놓여지는 기준 위치에서 가까운 곳에 제1·제2램프(15·15a)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제2램프(15·15a)가 켜졌다가 2~3초 후에 꺼지는 것을 연습자가 눈으로 확인하면서 블로우을 방지하는 연습을 하게 된다.As the practitioner sees that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are turned 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first and second lamps are located closer to the reference position where the golf ball dl is placed because the head up is not allowed to pract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15 · 15a is located, and the exerciser performs exercises to prevent the blow while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 15a are turned on and then turn off after 2 to 3 seconds.

따라서, 연습자는 제1·제2램프(15·15a)의 점등, 또는 음향발생장치(13)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샷 상태를 스스로 인식하면서 연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actitioner can practice while recognizing his own shot state by checking the lighting of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占 a and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ound generator 13.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는 부분들을 포함한다. 이렇게 변경 실시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다음에서 설명한다.The above embodiment includes part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arts which can be changed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below.

도1a는 도1의 제1·제2릴레이(14·14a) 및 제1·제2램프(15·15a)와 스위치(16·16a)의 작동을 타이머(130)를 통하여 구현한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FIG. 1A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s 14 and 14a and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and the switch 16 and 16a of FIG. It is a circuit diagram.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샷감지장치(12)에서 발생하여 출력단(OUT1)으로 출력되는 신호는 스위치(141)에 대응하고, 제1릴레이(14) 및 제1릴레이스위치(16)는 타이머(130)와 상기 타이머(130)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100㏀,1㏁) 및 커패시터(0.1㎌, 2㎌)에 대응하고, 제1램프(15)는 다이오드(134)에 대응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hot sensing device 12 and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UT1 corresponds to the switch 141, and the first relay 14 and the first relay switch 16 are the timer 130. And a resistor (100㏀, 1㏁) and a capacitor (0.1㎌, 2㎌) connected to the timer 130, the first lamp 15 corresponds to the diode 134.

연습자의 샷에 의한 샷감지장치(12)의 출력단(OUT1)에서 발생한 신호가 스위치(131)의 입력에 인가되면, 타이머(130)의 2번입력단(Trigger, TG)에 전압이 0 V가 되어 타이머가 동작하면서, 3의 출력단이 하이레벨(High level) 되는 것과 동시에 7번 단자(Discharge, DIS)가 개방이 된다. 상기 7번의 단자를 통해 항상 방전하고 있던 커패시터(133)는 저항(132)1㏁을 통하여 충전이 된다.When a signal generated at the output terminal OUT1 of the shot sensing device 12 by the shot of the exerciser is applied to the input of the switch 131, the voltage becomes 0 V at the second input terminal (Trigger, TG) of the timer 130. As the timer operates, the output terminal of 3 becomes high level and terminal 7 (Discharge, DIS) is opened. The capacitor 133 that has always discharged through the seventh terminal is charged through the resistor 132 1 ㏁.

상기 전압이 전원 전압의 2/3가 되면 출력은 로우레벨(Low level)로 돌아오며 커패시터(133)에 쌓인 전하는 7번 단자를 통해 방전이 된다.When the voltage reaches 2/3 of the power supply voltage, the output returns to the low level, and the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133 is discharged through the terminal 7.

출력이 하이 레벨로 유지 되는 시간은 커패시터(133)가 저항(132)1㏁를 통하여 충전되는 시간으로 결정이 된다.The time for which the output remains at a high level is determined by the time that the capacitor 133 is charged through the resistor 132 1 ㏁.

이러한 시간은 간이적으로 커패시터(133)와 저항(132)을 곱하는 것으로 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회로에서는 2㎌(0.000003 F)과 1㏁ (1,000,000 )을 곱셈하여 2초를 계산 할 수 있다.This time can be obtained by simply multiplying the capacitor 133 and the resistor 132. For example, in the circuit, 2 seconds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2 ㎌ (0.000003 F) and 1 ㏁ (1,000,000).

더 정확한 시간을 얻기 위해서는 저항(132)을 가변 저항으로 설정하여 스위치(131)의 동작을 입력하면서 가변저항을 조절하여 다이오드(134)가 작동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연습자의 상황에 맞는 정확한 작동 시간을 설정 할 수 있다.In order to obtain more accurate time, the resistor 132 is set to a variable resistor to input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31, and the variable resistor is adjusted to measure the time when the diode 134 is operated to obtain an accurate operating time suitable for the exerciser's situation. Can be set.

이러한 회로도에 타이머(130)의 출력단 3에 다이오드(134)를 접속하여 스위치(131) 동작에 의하여 다이오드(134)에 2초 동안에 불이 켜지게 할 수 있으나, 상기한 타이머(130)를 이용한 아날로그식 릴레이의 회로도를 이용하는 것 보다, CPU 의 기능이 부가된 반도체 칩(CHIP), 예를들면 PIC16C84 또는 PIC16F84와 같은 마이크로 컴퓨터을 사용하여 릴레이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에러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설정된 명령어를 통하여 작동 시간을 설정 할 수 있다.In this circuit diagram, the diode 13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3 of the timer 130 so that the diode 134 may be turned on for 2 seconds by the switch 131 operation. Rather than using a circuit diagram of a formula relay, configuring the relay circuit using a semiconductor chip (CHIP) with a CPU function, for example, PIC16C84 or PIC16F84, can minimize errors and The operating time can be set by the set command.

구체적으로 PIC16C84는 8비트 타이머/카운터를 하나 내장하고 있으며, 타이머로서의 기능은 내부 클럭(clock)을 이용하여 일정시간이 경과된 다음에 인터럽트(interrupt)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하게 되는데, 스위치(131)의 입력신호에 따라 카운터의 동작으로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고, 내부 클럭을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즉시 인터럽트를 발생시켜서 동작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PIC16C84 has one built-in 8-bit timer / counter, and the function as a timer is to generate an interrupt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by using an internal clock. The switch 131 The correct time is measured by the operation of the counter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and when the set time elapses using the internal clock, an interrupt is generated immediately to stop the operation.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샷 상태를 감지하는 제1감지스위치(11a) 및 제2감지스위치(11b)의 기구적인 조건이 고려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연습자가 샷을 시도할 때에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클럽 헤드가 인조잔디 매트(120)의 표면을 타격하는 힘이 상당하여 감지 스위치가 파손되기 때문이다.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mechanical conditions of the first detection switch 11a and the second detection switch 11b for detecting a shot state. This is because the club head moving at a high speed when the exerciser attempts a shot hits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turf mat 120 so that the detection switch is broken.

반영구적인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샷감지장치(12)의 기구적인 구성의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다.3 to 5 show an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shot detection device 12 capable of ensuring a semi-permanent life.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샷감지장치(12)는 골프 연습기의 베이스(100) 상부면으로부터 계단상으로 개방되는 상부공간(101)과 하부공간(102)에서 하부공간(102)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그 윗쪽으로는 인조잔디로 만들어져서 상기 상부공간(101)에 삽입되는 매트(120)의 저면으로부터 적정한 거리를 두고 놓여지는 스위치 플레이트(150)에 제1감지스위치(12a)와 제2감지스위치(12b)가 형성된다.As referred to in this figure, the shot sensing device 12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102 in the upper space 101 and the lower space 102 which are opened stepwis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0 of the golf exercise machine. The first sensing switch 12a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12a are fixed to the switch plate 150, which is made of artificial grass and placed at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mat 120 inserted into the upper space 101. The sensing switch 12b is formed.

스위치 플레이트(150)의 바깥쪽으로는 베이스(100)에 고정하기 위하여 베이스(100)를 통하여 고정 보울트(178)가 체결되는 나사공(173)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베이스 고정용 브라켓(171)이 적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안쪽으로는 제1·제2감지스위치(12a·12b)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크류(176)가 삽입되는 삽입공(175)이 형성된 스위치 고정용 브라켓(177)이 적정한 간격을 두고 대칭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상기 삽입공(161)의 직하방으로 천공되는 나사홈(174)이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fix the base plate 100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plate 150, a plurality of base fixing brackets 171 having a screw hole 173 to which the fixing bolt 178 is fastened through the base 100 are formed. It is formed at intervals, the switch fixing bracket 177 with the insertion hole 175 is formed at appropriate intervals therein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witches 12a, 12b. It is formed symmetrically,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screw groove 174 to be drilled directly below the insertion hole 161.

제1감지스위치(12a)와 제2감지스위치(12b)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스위치 플레이트(150)의 양쪽 단부에 각각 대칭상으로 형성되며, 스위치 플레이트(150)에서 다운 블로우가 되는 위치, 즉 골프공의 앞쪽이 되는 위치에 제1감지스위치(12a)가 형성되고, 다운 블로우가 아닌 위치, 즉 골프공의 뒷쪽이 되는 위치에는 제2감지스위치(12b)가 형성된다.The first sensing switch 12a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12b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re formed symmetrically at both ends of the switch plate 150, and the position is down blown from the switch plate 150, that is, golf The first sensing switch 12a is formed at a position to be in front of the ball,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12b is form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down blow, that is, at a position behind the golf ball.

제1감지스위치(12a)와 제2감지스위치(12b)는 동일한 구조로 됨으로써 제1감지스위치(12a)를 예로 들어 스위치 구조를 살펴본다.Since the first sensing switch 12a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12b have the same structure, the switch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first sensing switch 12a as an example.

도 3은 스위치 플레이트(150)에서 한쪽의 제1감지스위치(12a)는 분리되고, 다른 한쪽의 제2감지스위치(12b)는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FIG. 3 shows a state in which one first sensing switch 12a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plate 150 and the other second sensing switch 12b is fixed.

스위치 플레이트(160)에서 하나의 제1감지스위치(11a)를 형성하기 위한 스위치 고정용 브라켓(177)은 4개로 형성된다.Four switch fixing brackets 177 are formed in the switch plate 160 to form one first sensing switch 11a.

제1감지스위치(12a)는 스위치 플레이트(150)의 상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 접점 플레이트(170)와, 스위치 고정용 브라켓(177)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접점 플레이트(160)로 구성된다.The first sensing switch 12a includes a lower contact plate 170 fixed to the upper bottom surface of the switch plate 150 and an upper contact plate 160 installed to be elevated on the switch fixing bracket 177. .

하부 접점 플레이트(170)는 스위치 플레이트(150)에 세트 스크류(176), 또는 점용접(spot wellding)에 의하여 고정된다.The lower contact plate 170 is fixed to the switch plate 150 by a set screw 176 or spot wellding.

상부 접점 플레이트(160)의 상부 중앙에는 클럽 헤드의 충격에 대한 강도를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진 마찰판(163)이 형성되고, 스위치 플레이트(150)에 형성되는 네 개의 스위치 고정용 브라켓(177)의 아래쪽에서 스위치 고정용 브라켓(177)에 형성되는 삽입공(175)에 일치하는 네 개의 삽입공(161)이 천공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스위치 단자(164)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upper center of the upper contact plate 160, a friction plate 163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the impact against the impact of the club head, and four switch fixing brackets formed on the switch plate 150 ( Four insertion holes 161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s 175 formed in the switch fixing bracket 177 are drilled at the bottom of the 177, and a plurality of switch terminals 16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thereof. have.

이러한 상부 접점 플레이트(160)는 각각의 삽입공(161) 아래쪽에 압축 코일 스프링(162)을 위치시키고, 스위치 플레이트(150)의 개구된 공간을 통하여 스위치 고정용 브라켓(177) 아래쪽으로 삽입한 다음, 스크류(176)를 삽입공(175·161)을 통하여 나사홈(174)에 체결하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다.The upper contact plate 160 has a compression coil spring 162 positioned below each insertion hole 161, and is inserted below the switch fixing bracket 177 through the open space of the switch plate 150. , When the screw 176 is fastened to the screw groove 174 through the insertion hole 175 · 161, the assembly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이렇게 설치되는 제1감지스위치(12a)와 제2감지스위치(12b)는 상부에서 눌려지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 푸쉬 스위치(push switch)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된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트(11a)의 상부에서 클럽 헤드(200)의 스윙 동작이 그리는 임의의 회전 궤도 하부에서 제1감지스위치(12a)는 매트(120)에서 골프공(300)이 놓여지는 지정된 위치(P)의 앞쪽에서 다운 블로우가 되는 부위에 설치되고, 제2감지스위치(12b)는 골프공(300)이 놓여지는 위치(P)의 뒷쪽에 형성되어 스윙시 클럽 헤드(200)가 매트(120) 위를 스치면서 눌려지는 힘에 의하여 제1감지스위치(12a) 또는 제2감지스위치(12b)의 접점이 이루어지게 되어 샷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The first sensing switch 12a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12b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operate as a push switch when a force pressed from the upper side is applied.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golf ball 300 is placed on the mat 120 in the first detection switch 12a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al track drawn by the swing motion of the club head 200 on the top of the mat 11a. Loss is installed at a part which becomes a down blow from the front of the designated position P, and the second detection switch 12b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position P at which the golf ball 300 is placed so that the club head 200 can swing. The contact of the first sensing switch 12a or the second sensing switch 12b is made by the force pressed while passing over the mat 120 to detect the shot state.

제1·제2 감지스위치(12a·12b)를 작동시킨 매트(120)는 자체적인 탄성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고, 제1감지스위치(11a) 및 제2감지스위치(11b)는 각각의 압축 코일 스프링(162)의 탄성에 의하여 상부 접점 플레이트(160)가 상승하면서 단락된다.The mat 120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witches 12a and 12b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elasticity, and the first sensing switch 11a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11b are respectively compressed coils. The upper contact plate 160 is shorted while being rais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62.

도 7과 도 8은 샷감지장치(12)의 스위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7은 오프(off)상태를 도 8은 온(on)상태를 나타낸 것이다.7 and 8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 of the shot sensing device 12 is operated. FIG. 7 is an off state and FIG. 8 is an on state.

도 7의 도면에서 상부접점플레이트(160)와 하부점점플레이트(170)는 압축코일 스프링(162)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어 스위치가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이고, 도 8은 연습자가 스윙에 의한 클럽의 헤드(200)와 매트(120)가 서로 접촉을 하여 상기 접촉 부분의 매트(120)가 눌려지면서 마찰판(163)을 누르고, 상부접점플레이트(160)와 하부접점플레이트(170)가 서로 맞닿아서 되는 온(on)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온(on) 상태는 연습자의 스윙에 따른 순간적인 접촉에 의한 것이며, 매트(120)는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서 원상태로 복귀하고, 상부접점플레이트(160)는 압축코일스프링(162)에 의해 상부접점플레이트(160)가 상승하면서 단락된다.In FIG. 7, the upper contact plate 160 and the lower point plate 17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62 so that the switch is turned off. The head 200 and the mat 120 of the clu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ss the friction plate 163 while the mat 120 of the contact portion is pressed, and the upper contact plate 160 and the lower contact plate 170 fit each other. It shows the on state that is touched. This on (on) state is due to the instantaneous contact according to the swing of the exerciser, the mat 1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elasticity, the upper contact plate 160 is upper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62 The contact plate 160 rises and is short-circuited.

본 발명은 트레이너의 도움이 없이 골프 연습자가 스윙을 하는 상태에 따라서 램프가 점등된 후에 소등되는 것을 보도록 유도하여 연습자 스스로 블로우을 방지하면서 음성에 의하여 다운 블로우의 성공 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되어 자율적으로 자세를 교정하면서 연습을 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자율적인 연습을 제1선택스위치와 제2선택스위치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하여 램프의 점등과 음향발생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골프 연습기에서 블로우 교정 연습과 다운 블로우교정 연습을 동시에 하거나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olf practitioner is able to check the success of the down blow by voice while inducing the practitioner to see the light off after the lamp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swinging state without the help of the trainer. It is possible to practice while correcting posture, and the autonomous exercise can be selectively turned on and the sound is generated by the selective operation of the first selection switch and the second selection switch. The calibration and down blow exercises can be done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또한 클럽 헤드와 매트와의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샷 감지장치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하여 스위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서 반영구적인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shot detection device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club head and the m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witch to ensure a semi-permanent life.

Claims (5)

매트 하부에 설치되면서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의 뒷쪽에서 다운 블로우가 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제1감지 스위치와,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의 앞쪽에서 다운 블로우를 실패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감지 스위치가 구성되고, 골프공을 타격할 때 클럽헤드와 매트의 접촉상태를 감지하는 샷 감지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골프 연습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The first sensing switch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at while the golf ball is placed in the down blow position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down blow fails in front of the golf ball. In forming the golf practice device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shot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contact state of the club head and the mat when hitting the golf ball, 메인 스위치(10);Main switch 10; 상기 메인 스위치(10)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제1선택스위치(11a)와 제2선택스위치(11b)로 되는 선택스위치(11);A selection switch 11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10 and configured as a first selection switch 11a and a second selection switch 11b switched by a user; 상기 선택스위치(11)의 제1선택스위치(11a)에 연결되고 샷 감지장치(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점등되는 제1·제2램프(15·15a))와, 제2선택스위치(11b)에 연결되고, 샷 감지장치(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샷 상태에 따르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발생장치로 구성되는 샷 상태 확인부(13);A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connected to the first selection switch 11a of the selection switch 11 and lit by a signal output from the shot detection device 12, and a second selection switch ( A shot state checking unit 13 connected to 11b) and configured as an acoustic generator for outputting a voice corresponding to a shot state by a signal output from the shot sensing device 12; 상기 샷 상태 확인부(13)의 제1·제2램프(15·15a)가 일정 시간 동안 점등된 다음 소등되도록 하는 램프 점등 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장치.And a lamp lighting holding means for turning off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 15a) of the shot state checking unit (13) after being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 램프 점등 유지수단이 제1선택스위치(11a)에 접속되는 제1·제2릴레이스위치(16·16a)의 접점에 의하여 제1·제2램프(15·15a)가 점등하게 되고, 샷감지장치(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제1·제2릴레이스위치(16·16a)의 접점을 변화시키는 제1·제2릴레이(14·14a)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장치.2.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are l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are turned on by the contacts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 switches 16 and 16a, to which the lamp lighting keep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first selection switch 11a.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s 14 and 14a for changing the contact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 switches 16 and 16a in response to a signal output from the shot sensing device 12. Practic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램프 점등 유지수단이 샷감지장치(12)에서 발생한 신호가 스위치(131)의 입력에 인가되면, 타이머(130)의 2번입력단(Trigger, TG)에 전압이 0V가 되어 타이머가 동작하면서, 3의 출력단이 하이레벨(High level) 되는 것과 동시에 7번 단자(Discharge, DIS)가 개방이 되고, 상기 7번의 단자를 통해 항상 방전하고 있던 커패시터(133)가 가변 저항(132)을 통하여 충전 출력이 하이레벨로 유지되는 시간 동안 제1·제2램프(15)(15a)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lamp lighting means is applied to the input of the switch 131,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shot detection device 12, the voltage is 0V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Trigger, TG) of the timer 130 As the timer operates, the output terminal 3 is at a high level, and 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7 (Discharge, DIS) is opened, and the capacitor 133 which has always discharged through the terminal 7 is a variable resistor 132. And the first and second lamps (15) and (15a) are turned on during the time that the charging output is maintained at a high level. 제 1 항에 있어서, 램프 점등 유지수단이 마이크로 컴퓨터의 내부 클럭을 이용하여 샷감지장치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에 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인터럽트가 발생하기 전까지 일정 시간 동안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장치.2. The golf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mp keeping means turns on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shot sensing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interrupt occurs in the microcomputer using the internal clock of the microcomputer. 제 1 항에 있어서, 샷 감지장치는 매트 하부의 베이스 상에 고정되는 스위치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하부접점 플레이트와;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hot sensing device comprises: a lower contact plate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witch plate fixed on the base of the lower mat; 상기 하부접점 플레이트의 상부로 적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하여 설치되며,하부 플레이트를 향하는 다수개의 스위치 단자를 구비하는 상부접점 플레이트와;An upper contact plate disposed to face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ntact plate at an appropriate distance and having a plurality of switch terminals facing the lower plate; 상기 상부접점 플레이트가 하부접점 플레이트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승강하며 스위칭 작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장치.Golf upp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ontact plat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for lifting and lower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contact plate to enable the switching operation.
KR10-2002-0083851A 2002-03-28 2002-12-26 Golf training apparatus KR1004830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1623U JP3096737U (en) 2002-03-28 2003-03-27 Golf practice equipment
US10/746,468 US20040137999A1 (en) 2002-12-26 2003-12-24 Apparatus for golf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7004 2002-03-28
KR1020020017004 2002-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625A true KR20030078625A (en) 2003-10-08
KR100483036B1 KR100483036B1 (en) 2005-04-15

Family

ID=3237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851A KR100483036B1 (en) 2002-03-28 2002-12-26 Golf trai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96737U (en)
KR (1) KR10048303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74B1 (en) * 2009-10-01 2011-05-06 박승순 foldable box
KR101053248B1 (en) * 2010-06-16 2011-08-01 성우승 A swing exercise mat for confirming the intensity of the golf swing and preventing the head up
KR101133354B1 (en) * 2009-06-01 2012-04-06 박정규 The putting practice system for head up revision
WO2018008965A1 (en) * 2016-07-06 2018-01-11 강현철 Mat for down blow practice
KR102335488B1 (en) * 2021-02-15 2021-12-07 노환승 Golf practice mat and golf simula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277B1 (en) 2008-12-08 2011-10-19 박정규 The shot sensing device for down brought plactice mat.
KR20210002161U (en) 2020-03-20 2021-09-29 노주태 Tongs for supporting crop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354B1 (en) * 2009-06-01 2012-04-06 박정규 The putting practice system for head up revision
KR101032674B1 (en) * 2009-10-01 2011-05-06 박승순 foldable box
KR101053248B1 (en) * 2010-06-16 2011-08-01 성우승 A swing exercise mat for confirming the intensity of the golf swing and preventing the head up
WO2018008965A1 (en) * 2016-07-06 2018-01-11 강현철 Mat for down blow practice
KR102335488B1 (en) * 2021-02-15 2021-12-07 노환승 Golf practice mat and golf simul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3036B1 (en) 2005-04-15
JP3096737U (en) 200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9074B2 (en) Sports training device
US20110306435A1 (en)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unit, and a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000004852A (en) Golf swing assistant device
US6464622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07081905A1 (en) Footwear with force sensing device
US7722485B2 (en) Tennis serve ball machine cum training device
KR20150139181A (en) Sandbag cover mat having a blinked hit point for blow training
KR100483036B1 (en) Golf training apparatus
KR101099479B1 (en) Light guide type golf ball
US20090305805A1 (en) Digital inertially responsive golf club head mounted device for instructing correct club face direction and swing speed
US5042814A (en) Instructional ball hitting device
US6132319A (en) Billiard training device
US6913542B1 (en) Golf club for showing swing condition
KR101194692B1 (en) Mat for exercising down blow
KR102233896B1 (en) A golf club for checking standard impact at golf swing
US20040137999A1 (en) Apparatus for golf training
KR102256720B1 (en) Device for practicing batting timing
KR200303827Y1 (en) Mat for excersizing golf
KR101081473B1 (en) Unit for correcting golf swing movement
KR101075303B1 (en) Golf sway sensing device
KR101075277B1 (en) The shot sensing device for down brought plactice mat.
KR200340423Y1 (en) Apparatus for practicing putting
WO2004112919A1 (en) Electronic circuit and plaything incorporated
CN211705822U (en) Golf club capable of identifying hitting point
JP2739097B2 (en) Effective hit judg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