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689A -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689A
KR20030077689A KR1020020016516A KR20020016516A KR20030077689A KR 20030077689 A KR20030077689 A KR 20030077689A KR 1020020016516 A KR1020020016516 A KR 1020020016516A KR 20020016516 A KR20020016516 A KR 20020016516A KR 20030077689 A KR20030077689 A KR 20030077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ase
air
toilet bowl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량
Original Assignee
한병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병량 filed Critical 한병량
Priority to KR102002001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689A/ko
Priority to PCT/KR2003/000562 priority patent/WO2003080950A1/en
Priority to AU2003210058A priority patent/AU2003210058A1/en
Publication of KR20030077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68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 구성은 양변기의 좌판받침턱과 좌판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내에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부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부를 수용하여 화장실의 냄새를 제거하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좌판받침턱 위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변기의 내측부분에 연장 위치하게 되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토출구를 구비한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변기의 외측부분에 연장 위치하게 되는 제3부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제2부분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용변시 발생하는 냄새나 양변기 내에 존재하는 세균 등을 양변기 내에서 정화하거나 소독하도록 하여 그 냄새나 세균이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s}
본 발명은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를 양변기 내에서 바로 제거하여 그 냄새가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사용되었던 방법은 화장실 내의 벽의 일부에 별도의 배기팬을 부착하거나 화장실 내의 빈 공간에 공기정화기를 설치하는 것이었다.
위와 같은 방법들은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가 양변기에서부터 화장실 전체로 먼저 확산되어 화장실 내의 공기의 대부분을 오염시킨 후에 배기되게 되므로 화장실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는 화장실의 전체면적을 대상으로 오염된 공기를 배기하거나 정화시켜야 하므로 상당히 비효율적이었으며, 더욱이 화장실 내부를 냉방이나 난방을 하는 경우에는 배기팬을 사용하면 배기되는 공기로 인하여 에너지의 낭비까지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점을 반영하여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69457의 양변기용 냄새 정화방법 및 장치에서는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가 양변기에서부터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위의 기술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변기의 커버(4)를 열고 좌판(5) 위에 앉으면 흡입팬(11)이 동작하여 대변이 양변기 본체의 세척수로 낙하할 때 발생되는 냄새를 좌판(5)의 저면에 형성한 절개홀(7)을 통하여 강제로 흡입하여 세척수공급수조(3)의 일측에 설치된 음이온 정화기(10)에 의하여 정화할 수있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냄새정화장치는 대변의 낙하과정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그 즉시 흡입팬에 의하여 흡입하여 음이온 정화기(10)에 의하여 정화함으로써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가 공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위의 구성은 그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고 또 별도의 전용좌판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위 구성의 구조에 의해서는 팬에 의하여 상당히 짧은 시간내에 변기내부의 공기가 음이온정화기에 공급되게 되고 음이온정화기에서 미처 살균되지 않은 균은 자연스럽게 음이온정화기 외부로 방출되어 결과적으로 화장실내부로 균을 확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양변기 시트를 통하여 별도의 덕트를 설치하여 화장실 외부로 배기하는 장치에 의해서 화장실 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도 제안되고 있으나, 위의 구성 역시 화장실 내부를 냉방이나 난방을 하는 경우에는 배기되는 공기로 인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용변시 발생하는 냄새나 양변기 내에 존재하는 세균 등을 양변기 내에서 정화하거나 소독하도록 하여 그 냄새나 세균이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실 전체 면적을 대상으로 공기를 정화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비용으로 화장실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양변기에 좌판받침턱이나 좌판의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실의 주오염원의 발생장소인 양변기내부에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 즉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도 그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는 양변기의 좌판받침턱과 좌판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내에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부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부를 수용하여 화장실의 냄새를 제거하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좌판받침턱 위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변기의 내측부분에 연장 위치하게 되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토출구를 구비한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변기의 외측부분에 연장 위치하게 되는 제3부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제2부분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의 개략적인 외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의 음이온발생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의 설치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케이스 12 : 공기흡입구
13 : 공기토출구 20 : 음이온 발생부
30 : 고전압발생부 41 : 판스프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에 대한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로서 그 내부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부(20)와, 상기 음이온발생부(20)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발생부(30)와, 상기 음이온발생부(20)와 상기 고전압발생부(30)를 수용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를 양변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음이온발생부(20)는 케이스(1)의 좌측내면부에 형성한 공기흡입구(12)측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설치되는 음전극판(21)과, 케이스(1)의 좌측하면부에 형성한 공기토출구(13)측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설치되는 그라운드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음전극판(21)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압의 음전기가 인가되는 복수개의 전극침(23)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극침(23)은 그 단부를 뾰족하게 돌출시켜 전하가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음이온이 보다 많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운드부(22)는 상기 음전극판(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상기 그라운드부(22)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링들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하여 각각의 링(24)들이 음전극판(21)의 전극침(23)과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그라운드부(22)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그라운드부(22)는 오염되어 더럽혀져 있는 표면을 그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토출구(13)를 통하여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1)를 분해하여 청소하여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고전압발생부(30)는 도 3 및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케이스(1)의 좌측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음이온발생부(20)에서 필요한 고전압으로 바꾸어 음이온발생부(20)로 공급하도록 하며,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구성과 그 작용은 본 발명의 출원전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는 도 2 및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변기의 좌판받침턱(6)과 좌판(5)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좌판받침턱(6)위에 얹혀지는 제1부분(7)과, 상기 제1부분(7)으로부터 양변기의 내측부분에 연장 위치하게 되는 제2부분(8)과, 상기 제1부분(7)으로부터 양변기의 외측부분에 연장 위치하게 되는 제3부분(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부분(7)은 양변기의 좌판받침턱(6)과 좌판(5) 사이에 설치되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양변기의 좌판받침턱(6)이나 좌판(5)의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고 그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가급적 그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를 7 mm이하로 하는 것이 권장된다. 상기 제1부분(7)은 상기제2부분(8)에 소요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선이 내장된다.
상기 제2부분(8)은 음이온발생부(20)가 수용되어 있으며, 양변기의 내측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필요 이상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부분(8)은 그 내면에 다수의 공기흡입구(12)를 형성하여 상기 음이온발생부(20)에 의해서 유도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하면에는 상기 음이온발생부(20)에서 정화된 공기가 잘 빠져 나갈 수 있도록 공기토출구(13)를 형성한다.
상기 제3부분(9)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장치를 양변기의 좌판받침턱(6)과 좌판(5) 사이에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인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3부분(9) 내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전압발생부(30)가 위치하는 것이 케이스(1) 내부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양변기의 좌판받침턱(6)과 좌판(5) 사이에 상기 케이스(1)가 유동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요구된다. 상기 케이스(1)를 양변기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일 예로서 상기 제3부분(9)의 일면에 판스프링(41)을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41)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를 양변기의 좌판받침턱(6)에 끼울 때, 상기 판스프링(41)이 양변기의 측면을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41)은 양변기의 좌판받침턱(6)의 폭에따라 판스프링(41)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41)의 하면에 슬롯(42)을 형성하여 상기 슬롯(42)의 적정 지점에 나사를 조이게 되면 판스프링(41)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고정수단(40)은 상기 케이스(1)를 다양한 두께의 양변기에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를 양변기에 설치할 때에는 먼저 양변기의 좌판(5)을 들어 올린 다음에 본 발명의 제2부분(8)이 양변기의 내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양변기의 좌판받침턱(6)위에 끼우면 판스프링(41)이 양변기의 외부벽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므로 간단하게 설치를 완료할 수가 있다.
위와 같이 설치를 완료한 다음에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전원스위치(2)를 누르면, 고전압발생부(30)에서 고전압이 발생되는데 이때 고압의 음전기는 음전극침(23)으로 인가되어 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그라운드부(22)로 미세 전류가 흐르는 과정에서 음전극침(23)으로부터 음이온과 미량의 오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제2부분(8)의 내측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로 변기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면서 음이온과 오존에 의해 각종 균이나 냄새가 살균, 탈취되어 정화된 다음 깨끗한 공기는 제2부분(8)의 하면에 형성한 공기토출구(13)쪽으로 토출되어 양변기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화장실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살균이나 탈취가 더욱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화장실에서 주오염원의 발생장소인 양변기 내부에서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한 것이다.
양변기 내부에 오염원이 없는 경우, 즉 용변을 보지 않는 평상시에 본 장치를 가동시키면, 양변기 내부는 상기한 음이온 발생부에서 음이온과 오존을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음이온과 오존의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변(51)을 보면 용변(51)과 함께 방출되는 세균과 냄새가 높은 음이온과 오존의 농도에 의해 즉시 소독 및 탈취할 수 있으므로,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최대의 정화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는 양변기 내부의 한정된 공간 일측에 음이온 발생부와 공기통로를 형성함에 의해서 양변기 내부에 발생되었던 냄새나 각종 균은 발생 즉시 양변기 내에서 바로 정화 및 소독을 실시함으로써 양변기의 외부 즉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장실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화장실 전체면적을 대상으로 환기를 실시하거나 공기를 정화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는 기존의 양변기에 좌판받침턱이나 좌판의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도 그 내부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Claims (8)

  1. 양변기의 좌판받침턱(6)과 좌판(5)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1) 내에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부(20)와, 상기 음이온발생부 (2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발생부(30)를 수용하여 화장실의 냄새를 제거하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좌판받침턱(6) 위에 위치하는 제1부분(7)과, 상기 제1부분(7)으로부터 양변기의 내측부분에 연장 위치하게 되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12)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토출구(13)를 구비한 제2부분(8)과, 상기 제1부분(7)으로부터 양변기의 외측부분에 연장 위치하게 되는 제3부분(9)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음이온발생부(20)는 상기 제2부분(8)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양변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제3부분(9)의 일측에 부착되어 양변기의 외측과 제3부분(9)의 내면 사이에서 탄성작용을 할 수 있는 판스프링(41)으로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41)은 양변기의 좌판받침턱(6)의 폭에 따라 판스프링(4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12)는 제2부분(8)의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토출구(13)는 제2부분(8)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발생부(20)는 공기흡입구(12)측에 인접설치되며 복수개의 전극침(23)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음전극판(21)과, 상기 음전극판(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기토출구(13)측에 고정설치되며 다수의 링(24)들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 그라운드부(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발생부(30)는 제3부분(9)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7)은 그 두께를 7mm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KR1020020016516A 2002-03-26 2002-03-26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KR20030077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16A KR20030077689A (ko) 2002-03-26 2002-03-26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PCT/KR2003/000562 WO2003080950A1 (en) 2002-03-26 2003-03-24 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s
AU2003210058A AU2003210058A1 (en) 2002-03-26 2003-03-24 A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16A KR20030077689A (ko) 2002-03-26 2002-03-26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997U Division KR200282630Y1 (ko) 2002-03-26 2002-03-26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689A true KR20030077689A (ko) 2003-10-04

Family

ID=2845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516A KR20030077689A (ko) 2002-03-26 2002-03-26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0077689A (ko)
AU (1) AU2003210058A1 (ko)
WO (1) WO20030809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0663A (zh) * 2018-05-25 2018-09-21 深圳元启环境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蹲便器除臭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9897A (en) * 1995-03-13 1996-05-28 Desimone; Joh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toilet odors
US6041449A (en) * 1999-02-03 2000-03-28 Brown; Christopher L.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objectionable odors in toilet bowls and the like
KR100322379B1 (ko) * 2000-01-28 2002-02-07 윤의현 다목적 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80950A1 (en) 2003-10-02
AU2003210058A1 (en)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8891A (en) Air purifier
US8161579B2 (en) Toilet tank mounted odor eliminator
JP2005124797A (ja) 殺菌装置
KR20180080064A (ko) 음이온 발생장치를 활용한 화장실과 욕실 살균 시스템
KR200282630Y1 (ko)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KR102183301B1 (ko)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KR200308605Y1 (ko) 소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KR20030077689A (ko)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KR19990007160U (ko) 변기의 탈취 및 살균장치
US11473286B2 (en)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KR200312657Y1 (ko) 소변기용 살균 탈취장치
KR20040086874A (ko) 화장실 냄새 제거 시스템
CN215759404U (zh) 一种具有除臭杀菌功能的马桶机芯、智能马桶
WO2020050911A1 (en)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KR20050083155A (ko) 살균장치가 내장된 화장지걸이 하우징
KR200393220Y1 (ko) 양변기용 악취 및 세균 제거 탈취기
KR100567563B1 (ko) 실 내부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 정화기
KR0129517B1 (ko) 좌변기의 탈취장치
KR100626200B1 (ko) 화장실 공기 정화기
KR20040045178A (ko)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비데용 변기시트
KR100322379B1 (ko) 다목적 탈취장치
KR101386612B1 (ko) 악취처리를 위한 클린하우스
KR20000074699A (ko) 냉장고의 탈취장치
KR20040045179A (ko)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시트
JP2004187754A (ja) 気体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