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189A - Apparatus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189A
KR20030077189A KR1020020016138A KR20020016138A KR20030077189A KR 20030077189 A KR20030077189 A KR 20030077189A KR 1020020016138 A KR1020020016138 A KR 1020020016138A KR 20020016138 A KR20020016138 A KR 20020016138A KR 20030077189 A KR20030077189 A KR 20030077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transceiver
sectors
base station
redund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선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189A/en
Publication of KR2003007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18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7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using redundant or spare channels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controlling a duplexing structure of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o control a duplexing structure of a transceiver or a power amplifier by considering a continuous service aspect of the base station, thereby maximizing service efficiency of the base station. CONSTITUTION: When signals targeting on alpha, beta, and gamma sectors are inputted to each switch(110), a controller monitors operational states of an alpha sector transceiver, a beta sector transceiver, and a gamma sector transceiver, and checks whether all the operational states are normal. If so, the controller connects the signals targeting on the sectors with the alpha, beta, and gamma sector transceivers by controlling the switch(110). If one of the sector transceivers is abnormal, the controller connects the abnormal transceiver with a redundancy transceiver.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구조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se station redundancy stru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섹터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의 이중화 구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uplex structure of a base station having a sector structure.

도 1은 일반적인 기지국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eneral base station apparatus.

일반적으로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은 기지국(BTS: Basestation Transceiver Subsystem)내 섹터(sector)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α, β, γ의 3 섹터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3 섹터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은 상기 3 섹터당 각각 하나의 송수신기(TRXA: TRansceiver Assembly)들, 즉 α섹터에 연결되는 α섹터 송수신기(111)와, β섹터에 연결되는 β섹터 송수신기(113)와, γ섹터에 연결되는 γ섹터 송수신기(115)와, 상기 3 섹터당 각각 하나의 전력 증폭기(PAU: Power Amplifier Unit)들, 즉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에 연결되는 α섹터 전력 증폭기(121)와, 상기 β섹터 송수신기(113)에 연결되는 β섹터 전력 증폭기(123)와, 상기 γ섹터 송수신기(115)에 연결되는 γ섹터 전력 증폭기(12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3 섹터들 각각에 연결되는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 및 α섹터 전력 증폭기(121)와, 상기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β섹터 전력 증폭기(123)와, 상기 γ섹터 송수신기(115) 및 γ섹터 전력 증폭기(125) 이외에도 상기 송수신기들(111),(113),(115)이 중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경우, 일 예로 파워 오프(power off)와 같은 비정상의 경우에 그 기능을 대체하는 리던던시(redundancy) 송수신기(117)와, 상기 전력 증폭기들(121),(123),(125)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경우 그 기능을 대체하는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를 구비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cheme has a sector structure in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generally has a three sector structure of α, β, and γ. Referring to FIG. 1, a base station having a three sector structure includes one transceiver (TRXA) for each of the three sectors, that is, an α sector transceiver 111 connected to an α sector, and an β sector. ? sector transceiver 113,? sector transceiver 115 connected to? sector, and one power amplifier unit (PAU) for each of the 3 sectors, i.e.,? sector transceiver 111 and a? sector power amplifier 121, a? sector power amplifier 123 connected to the? sector transceiver 113, and a? sector power amplifier 125 connected to the? sector transceiver 115. And the base station includes the α-sector transceiver 111 and α-sector power amplifier 121, the β-sector transceiver 113 and β-sector power amplifier 123, and the γ-sector transceiver connected to each of the three sectors. In addition to the 115 and γ sector power amplifier 125, when the transceivers 111, 113, and 115 do not operate normally, they function in the case of abnormality such as power off. Redundant transceiver (117) to replace the power amplifiers 121, 123, and a redundancy power amplifier (127) to replace the function when the normal operation is not provided.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3섹터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α섹터 송수신기(111)와,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아 절체(switch over)를 필요로 할 경우 스위치(switch)(110)를 제어하여 외부 장치, 일 예로 채널 카드(channel card) 혹은 중간 주파수 변환기(IFDA: Inter Frequency Down converter Assembly)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절체를 필요로하는 송수신기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117)로 연결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가 절체되어야 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스위치(110)를 제어하여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117)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requires a switch-over because any one of the α-sector transceiver 111, β-sector transceiver 113, and γ-sector transceiver 115,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three sectors, does not operate normally. In this case, the switch 110 is controlled to be input to a transceiver that requires the switching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hannel card or an inter frequency down converter assembly (IFDA). The signal to be connected to the redundancy transceiver 117. For example, when the α-sector transceiver 111 is to be switched, the base station controls the switch 110 to input the signal input to the α-sector transceiver 111 to the redundancy transceiver 117.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와,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α섹터 전력 증폭기(121)와, β섹터 전력 증폭기(123) 및 γ섹터 전력 증폭기(125)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아 절체를 필요로 할 경우 스위치(130)를 제어하여 상기 절체를 필요로 하는 전력 증폭기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로 연결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가 절체되어야 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스위치(130)를 제어하여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base station includes an αsector transceiver 111, an β sector transceiver 113 and a gamma sector transceiver 115, an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a β sector power amplifier 123, and a gamma sector. If any one of the power amplifiers 125 is not normally operated and needs switching, the switch 130 is controlled to connect the signal input to the power amplifier requiring the switching to the redundancy power amplifier 127. . For example, when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needs to be switched, the base station controls the switch 130 to input the signal input to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to the redundancy power amplifier 127. It is.

그래서, 결과적으로 상기 3 섹터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α섹터 송수신기(111)와,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 중 어느 하나가 비정상으로 동작할 경우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117)로 절체시키고,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와, β섹터 전력 증폭기(123) 및 γ섹터 전력 증폭기(125) 중 어느 하나가 비정상으로 동작할 경우 상기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로 절체시킴으로써 비정상 상태(abnormal state)에 대비한 이중화를 구현하게 된다.Therefore, as a result, when any one of the? Sector transceiver 111,? Sector transceiver 113, and? Sector transceiver 115, which is connected to each of the three sectors, operates abnormally, the redundancy transceiver 117 When the one of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the β sector power amplifier 123, and the γ sector power amplifier 125 operates abnormally, it is switched to the redundancy power amplifier 127. Redundancy is prepared for abnormal state.

여기서, 상기 스위치(110)의 내부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witch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도 2는 도 1의 스위치(110)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witch 110 of FIG. 1.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장치에서 α섹터와, β섹터 및 γ섹터를 타겟(target)으로 하는 신호들이 각각 상기 스위치(110)로 입력되면, 기지국은 α섹터 송수신기(111),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의 동작 상태를 검사하여 모두 정상 상태에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 모두가 정상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스위치(110)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α섹터와, β섹터 및 γ섹터를 타겟으로 하는 신호들 각각을 α섹터 송수신기(111),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로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검사 결과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중 어느 하나가 비정상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비정상 상태에 있는 송수신기를 리던던시 송수신기(117)에 연결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firs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hen the signals targeting the sectors α, β sectors and γ sectors are input to the switch 110,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sectors α. By check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transceiver 111, the β sector transceiver 113 and the γ sector transceiver 115, it is checked whether all are in a normal state. When the α sector transceiver 111, the β sector transceiver 113, and the γ sector transceiver 115 are all in the normal state, the base station controls the switch 110 to input the α sector and the β sector. And each of the signals targeting the gamma sector to the alpha sector transceiver 111, the beta sector transceiver 113, and the gamma sector transceiver 115. On the other hand, when any one of the [alpha] sector transceiver 111, [beta] sector transceiver 113, and [gamma] sector transceiver 115 is in an abnormal state, the base station transmits to the redundancy transceiver 117 a transceiver in an abnormal state. Connect it.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스위치(110)의 구조를 설명하였는데, 상기 스위치(110) 뿐만 아니라 스위치(130) 역시 상기 스위치(11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입출력되는 신호들만이 상이할 뿐이다.In FIG. 2, the structure of the switch 110 has been described. As well as the switch 110, the switch 130 also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switch 110. However, only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are different.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구비되어 있는 리던던시 송수신기(117) 및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는 단순히 비정상 상태에 있는 송수신기 및 전력 증폭기에 대한 이중화 구조로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에 구비되어 있는 송수신기들 및 전력 증폭기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사용되지않아 자원의 효율성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dundant transceiver 117 and the redundant power amplifier 127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are merely used as a redundant structure for the transceiver and the power amplifier in an abnormal state, the transceivers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are provided. And power amplifiers are not used when they operate normally, resulting in inefficiency in terms of resource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양에 따른 이중화 구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dundant structure according to traffic amou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제1개수의 섹터들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의 이중화 구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섹터들 각각을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 신호들을 입력하고, 상기 섹터들 각각에 해당하는 트래픽 신호들을 처리하는 제1개수의 섹터 송수신기들과,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 중 임의의 어느 한 섹터 송수신기에 대한 이중화 구조로 구현된 리던던시 송수신기와,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 및 리던던시 송수신기에 연결되며,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섹터들을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 신호들을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 및 리던던시 송수신기에 입력되도록 연결하는 스위치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섹터들을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 신호들이 입력되면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이 모두 정상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섹터들 중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트래픽 신호들의 양이 최대인 해당 섹터로 입력되는 트래픽 신호들을 상기 해당 섹터에 대한 섹터 송수신기와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로 분산시켜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1. A duplex structure control apparatus of a base station having a first number of sectors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number for inputting traffic signals targeting each of the sectors from an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the traffic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tors; A sector transceiver, a redundancy transceiver implemented in a redundant structure for any one of the sector transceivers, a traffic coupled to the sector transceivers and the redundant transceiver, and targeting the sector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A switch connecting signals to be input to the sector transceivers and the redundancy transceiver, and when the traffic signals targeting the sectors ar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sector transceivers are all in a normal state, Incoming traffic signal And the amount of the traffic signal is input to the maximum of the sector is characterized by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 to and dispersed in the redundancy sector transceivers and transceiver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ect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제1개수의 섹터들 각각을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 신호들을 입력하고, 상기 섹터들 각각에 해당하는 트래픽 신호들을 처리하는 제1개수의 섹터 송수신기들과,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 중 임의의 어느 한 섹터 송수신기에 대한 이중화 구조로 구현된 리던던시 송수신기를 가지는 기지국의 이중화 구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섹터들을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 신호들이 입력되면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이 모두 정상 상태에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이 모두 정상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섹터들 중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트래픽 신호들의 양이 최대인 해당 섹터로 입력되는 트래픽 신호들을 상기 해당 섹터에 대한 섹터 송수신기와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로 분산시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rst number of sector transceivers for inputting traffic signals targeting each of the first number of sectors from an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the traffic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tors, and any one of the sector transceivers A method for controlling a duplex structure of a base station having a redundant transceiver implemented in a duplex structure for a sector transceiver, the method comprising: checking whether all sector transceivers are in a normal state when traffic signals targeting the sectors ar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when the sector transceivers are all in a normal state, the traffic signals inputted to the sector having the maximum amount of traffic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among the sectors and the sector transceiver and the redundancy transceiver for the corresponding sector. Distributed b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ntrolling to.

도 1은 일반적인 기지국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eneral base station apparatus

도 2는 도 1의 스위치(110)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2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switch 110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위치(110)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switch 110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위치(110)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switch 110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도 3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장치 내부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며, 다만 스위치(switch)(110) 및 스위치(130)가 상기 기지국의 이중화 구조, 즉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송수신기(TRXA: TRansceiver Assembly)들, 즉 3 섹터(sector) 구조를 가지는 상기 기지국의 α섹터에 연결되는 α섹터 송수신기(111)와, β섹터에 연결되는 β섹터 송수신기(113)와, γ섹터에 연결되는 γ섹터 송수신기(115) 및 리던던시(redundancy) 송수신기(117)와, 상기 3 섹터당 각각 하나의 전력 증폭기(PAU: Power Amplifier Unit)들, 즉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에 연결되는 α섹터 전력 증폭기(121)와, 상기 β섹터 송수신기(113)에 연결되는 β섹터 전력 증폭기(123)와, 상기 γ섹터 송수신기(115)에 연결되는 γ섹터 전력 증폭기(125) 및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와 같은 이중화 구조를 스위칭함에 있어서 상이하게 동작한다.Firs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 apparat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the sa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witch 110 and the switch ( 130 is an α sector transceiver 111 connected to an α sector of the base station having a redundant structure of the base station, that is, the transceiver assemblies (TRXA) described in FIG. 1, that is, a 3 sector structure, and β Β sector transceiver 113 connected to the sector, γ sector transceiver 115 and redundancy transceiver 117 connected to the sector γ, and one power amplifier unit (PAU) for each of the three sectors. That is,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connected to the α sector transceiver 111, the β sector power amplifier 123 connected to the β sector transceiver 113, and the γ sector transceiver 115 are connected to the γ sector transceiver 115. Γ sector power amplifier 125 and re The differently motion is switched as a redundant structure as deonsi power amplifier (127).

즉, 일반적인 기지국 장치의 제어기(controller, 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3섹터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α섹터 송수신기(111)와,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아 절체(switch over)를 필요로 할 경우 상기 스위치(110)를 제어하여 외부 장치, 일 예로 채널 카드(channel card) 혹은 중간 주파수 변환기(IFDA: Inter Frequency Down converter Assembly)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절체를 필요로하는 송수신기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117)로 연결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가 절체되어야 할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위치(110)를 제어하여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117)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ler of the general base station apparatus (not shown) is any one of the α sector transceiver 111, β sector transceiver 113 and γ sector transceiver 115 connected to each of the three sectors normally. When the switch is not activated and needs to be switched over, the switch 110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switch 110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hannel card or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inter frequency down converter assembly (IFDA). The signal input to the transceiver requiring the switching is connected to the redundancy transceiver 117. For example, when the α-sector transceiver 111 is to be transferr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witch 110 to input a signal input to the α-sector transceiver 111 to the redundancy transceiver 117.

또한 일반적인 기지국 장치의 제어기는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와,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α섹터 전력 증폭기(121)와, β섹터 전력 증폭기(123) 및 γ섹터 전력 증폭기(125)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아 절체를 필요로 할 경우 스위치(130)를 제어하여 상기 절체를 필요로 하는 전력 증폭기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로 연결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가 절체되어야 할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위치(130)를 제어하여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controller of a general base station apparatus includes an αsector transceiver 111, an αsector transceiver 113 and a gamma sector transceiver 115, an αsector power amplifier 121, and a βsector power amplifier 123. And when any one of the gamma sector power amplifiers 125 is not normally operated and needs switching, the switch 130 is controlled to transfer the signal input to the power amplifier requiring the switching to the redundancy power amplifier 127. To be connected. For example, when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needs to be switch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witch 130 to input the signal input to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to the redundancy power amplifier 127. It i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110) 및 스위치(130)가 리던던시 송수신기(117) 및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로 입력신호들을 연결하게 되는 경우가 단순히종래 기술과 같이상기리던던시 송수신기(117) 및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에 대응하는 구조들이 비정상 상태일 경우, 즉상기리던던시 송수신기(117)에 대응하는 α섹터 송수신기(111)와,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 중 어느 하나가 비정상 상태이거나 상기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에 대응하는 α섹터 전력 증폭기(121)와, β섹터 전력 증폭기(123) 및 γ섹터 전력 증폭기(125) 중 어느 하나가 비정상 상태일 경우 뿐만 아니라기존에 고려된 바 없는비정상 상태가 아닌 트래픽 양(traffic capacity)에 따른 경우에도 리던던시 구조들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witch 110 and the switch 130 connect the input signals to the redundant transceiver 117 and the redundant power amplifier 127, the redundancy transceiver 117 is simply as in the related art. ) And when the structures corresponding to the redundancy power amplifier 127 are in an abnormal state, that is, the α sector transceiver 111 corresponding to the redundancy transceiver 117, the β sector transceiver 113, and the γ sector transceiver 115. Not only when one is abnormal or when any one of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and the β sector power amplifier 123 and the γ sector power amplifier 125 corresponding to the redundancy power amplifier 127 is in an abnormal state, It shows that the control is connected to the redundancy structures even when the traffic capacity is not abnormal, but according to the traffic capacity .

이를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장치에서α섹터와, β섹터 및 γ섹터를 타겟(target)으로 하는 신호들이 각각 상기 스위치(110)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는 α섹터 송수신기(111),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의 동작 상태를 검사하여 모두 정상 상태에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 모두가 정상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위치(110)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α섹터와, β섹터 및 γ섹터를 타겟으로 하는 신호들 각각을 α섹터 송수신기(111),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로 연결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검사 결과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중 어느 하나가 비정상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어기는 비정상 상태에 있는 송수신기를 리던던시 송수신기(117)에 연결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firs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hen the signals targeting the sectors α, β sectors and γ sectors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switch 110, the controller may generate α. The operation states of the sector transceiver 111, the β sector transceiver 113, and the γ sector transceiver 115 are examined to see if they are all in the normal state. When the inspection results show that the [alpha] sector transceiver 111, [beta] sector transceiver 113, and [gamma] sector transceiver 115 are all in a normal stat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witch 110 to input alpha sector and beta sector. And each of the signals targeting the gamma sector to the alpha sector transceiver 111, the beta sector transceiver 113, and the gamma sector transceiver 115. If one of the α sector transceiver 111, β sector transceiver 113, and γ sector transceiver 115 is in an abnormal state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transceiver in the abnormal state to the redundant transceiver 117. Connect it.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 모두가 정상 상태에 있다고 할지라도,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 중 어느 한 송수신기에 트래픽 양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일 예로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의 트래픽 양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위치(110)를 제어하여 상기 α섹터를 타겟으로 하는 신호들을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 뿐만 아니라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117)로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α섹터를 타겟으로 하는 신호들이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117)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α섹터를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 양이 분산되어 과부하가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117)를 상기 α섹터 송수신기(111), β섹터 송수신기(113) 및 γ섹터 송수신기(115) 중 어느 한 송수신기가 비정상 동작될 경우에 이중화 구조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트래픽 양에 따른 과부하 방지용으로도 사용하여 특정 섹터의 서비스 중단 상태(no service state)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even if all of the α-sector transceiver 111, β-sector transceiver 113, and γ-sector transceiver 115 are in a normal state, the α-sector transceiver 111 and β-sector transceiver 113 ) And when the amount of traffic is overloaded in any one of the? Sector transceiver 115,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witch 110 when the amount of traffic of the? Sector transceiver 111 is overloaded. Signals targeting an sector are controlled to be connected to the redundant transceiver 117 as well as the α sector transceiver 111. Then, when signals targeting the sector S are not only connected to the sector S transceiver 111, but also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redundancy transceiver 117, the traffic volume targeting the sector S is distributed, causing overload. Will be prevented. Therefore, the redundancy transceiver 117 is not used in a redundant structure when any one of the α-sector transceiver 111, β-sector transceiver 113, and γ-sector transceiver 115 is abnormally operat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traffic. It can also be used for overload protection to prevent the no service state of a particular sector.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스위치(110)의 구조를 설명하였는데, 상기 스위치(110) 뿐만 아니라 스위치(130) 역시 상기 스위치(11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입출력되는 신호들만이 상이할 뿐이다.Meanwhile, in FIG. 3, the structure of the switch 110 has been described. In addition to the switch 110, the switch 130 also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switch 110. However, only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are different.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예를 들어,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 β섹터 전력 증폭기(123) 및 γ섹터 전력 증폭기(125) 모두가 정상 상태에 있다고 할지라도,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 β섹터 전력 증폭기(123) 및 γ섹터 전력 증폭기(125) 중 어느 한 전력 증폭기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일 예로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위치(130)를 제어하여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를 타겟으로 하는 신호들을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11) 뿐만 아니라 상기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로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는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들, 일 예로 송수신기들의 연결이 많거나 혹은 상기 연결된 송수신기, 일 예로 α섹터 송수신기(1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양이 많은 경우를 의미한다.For example, the α-sector power amplifier 121, the β-sector power amplifier 123, and the γ-sector power amplifier 125 are all in a normal state, even if the α-sector power amplifier 121 and the β-sector power amplifier are in a steady state. When an overload occurs in any one of the power amplifier 125 and the sector power amplifier 125, for example, when the overload occurs in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witch 130 to control the α. Signals targeting the sector power amplifier 121 are controlled to be connected to the redundant power amplifier 127 as well as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11. In this case, when an overload occurs in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has a large number of connections between the transceivers, for example, or the connected transceiver, for example, an α sector transceiver. This means that the amount of the signal output from 111 is large.

그러면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를 타겟으로 하는 신호들이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상기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를 타겟으로 하는 신호들이 분산되어 과부하가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리던던시 전력 증폭기(127)를 상기 α섹터 전력 증폭기(121), β섹터 전력 증폭기(123) 및 γ섹터 전력 증폭기(125) 중 어느 한 전력 증폭기가 비정상 동작될 경우에 이중화 구조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과부하 방지용으로도 사용하여 특정 섹터의 서비스 중단 상태(no service state)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n, since the signals targeting the α-sector power amplifier 121 are not only connected to the α-sector power amplifier 121, but also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redundant power amplifier 127, the α-sector power amplifier 121 is targeted. The signals are distribut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verload. Thus, the redundant power amplifier 127 may be used only in a redundant structure when any one of the α sector power amplifier 121, β sector power amplifier 123, and γ sector power amplifier 125 is abnormally operated. It can also be used for overload protection to prevent the no service state of a particular sector.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섹터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에서 이중화 구조로 구현되어 있는 구성들, 일 예로 송수신기 혹은 전력 증폭기와 같은 이중화 구조로 구현되어 있는 구성들에 대한 이중화 제어를 단순히 비정상 상태뿐만 아니라 트래픽 양에 따른 과부하 방지 등과 같은 기지국의 서비스 지속성 면을 고려하여 제어함으로써 기지국 서비스 효율성을 최대화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dundancy control for components implemented in a redundant structure in a base station having a sector structure, for example, components implemented in a redundant structure such as a transceiver or a power amplifier. By controlling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 continuity of the base station such as overload protection according to the amount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base station service efficiency.

Claims (4)

제1개수의 섹터들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의 이중화 구조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the redundant structure control apparatus of a base station having a first number of sectors structure,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섹터들 각각을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 신호들을 입력하고, 상기 섹터들 각각에 해당하는 트래픽 신호들을 처리하는 제1개수의 섹터 송수신기들과,A first number of sector transceivers for inputting traffic signals targeting each of the sectors from an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the traffic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tors;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 중 임의의 어느 한 섹터 송수신기에 대한 이중화 구조로 구현된 리던던시 송수신기와,A redundancy transceiver implemented in a redundant structure for any one of the sector transceivers;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 및 리던던시 송수신기에 연결되며,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섹터들을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 신호들을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 및 리던던시 송수신기에 입력되도록 연결하는 스위치와,A switch coupled to the sector transceivers and a redundant transceiver, for connecting traffic signals targeting the sectors to the sector transceivers and the redundant transceiv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섹터들을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 신호들이 입력되면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이 모두 정상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섹터들 중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트래픽 신호들의 양이 최대인 해당 섹터로 입력되는 트래픽 신호들을 상기 해당 섹터에 대한 섹터 송수신기와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로 분산시켜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구조 제어 장치.When traffic signals targeting the sectors ar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sector transceivers are all in a normal state, traffic signals input to the corresponding sector having the maximum amount of traffic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among the sectors are inpu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 to distribute and connect the sector transceiver for the corresponding sector to the redundancy transcei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 중 어느 한 섹터 송수신기가 비정상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비정상 상태에 있는 섹터 송수신기로 입력되는 트래픽 신호들을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로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구조 제어 장치.The controller controls the switch to connect traffic signals input to the sector transceiver in the abnormal state to the redundancy transceiver when one of the sector transceivers is in an abnormal state. Base station redundancy structure control device. 외부 장치로부터 제1개수의 섹터들 각각을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 신호들을 입력하고, 상기 섹터들 각각에 해당하는 트래픽 신호들을 처리하는 제1개수의 섹터 송수신기들과,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 중 임의의 어느 한 섹터 송수신기에 대한 이중화 구조로 구현된 리던던시 송수신기를 가지는 기지국의 이중화 구조 제어 방법에 있어서,A first number of sector transceivers for inputting traffic signals targeting each of the first number of sectors from an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the traffic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tors, and any one of the sector transceivers A method of controlling a redundant structure of a base station having a redundant transceiver implemented with a redundant structure for a sector transceiver,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섹터들을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 신호들이 입력되면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이 모두 정상 상태에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all sector transceivers are in a normal state when traffic signals targeting the sectors ar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이 모두 정상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섹터들 중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트래픽 신호들의 양이 최대인 해당 섹터로 입력되는 트래픽 신호들을 상기 해당 섹터에 대한 섹터 송수신기와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로 분산시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구조 제어 방법.When the sector transceivers are all in a normal state, the traffic signals inputted to the sector having the maximum amount of traffic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among the sectors are transferred to the sector transceiver and the redundancy transceiver for the corresponding sector. A method of controlling a base station redundancy struct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o be distributed and connect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섹터 송수신기들 중 어느 한 섹터 송수신기가 비정상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비정상 상태에 있는 섹터 송수신기로 입력되는 트래픽 신호들을 상기 리던던시 송수신기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구조 제어 방법.And if any one of the sector transceivers is in an abnormal state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controlling traffic signals inputted to the sector transceiver in the abnormal state to be connected to the redundancy transceiver. Base station redundancy structure control method in system.
KR1020020016138A 2002-03-25 2002-03-25 Apparatus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300771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138A KR20030077189A (en) 2002-03-25 2002-03-25 Apparatus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138A KR20030077189A (en) 2002-03-25 2002-03-25 Apparatus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189A true KR20030077189A (en) 2003-10-01

Family

ID=3237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138A KR20030077189A (en) 2002-03-25 2002-03-25 Apparatus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718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628B1 (en) * 2002-12-11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25118B1 (en) * 2004-03-25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raffic bandwidth in b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427A (en) * 1999-04-16 2000-11-15 김영환 Dual apparatus of transceiver unit in the base st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10059489A (en)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plicating transfer unit of base transfer system
KR20020018734A (en) * 2000-09-04 2002-03-09 송문섭 Duplicate apparatus of transceiver shelf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current monitoring
KR20020046626A (en) * 2000-12-15 2002-06-21 박종섭 Device for dualing transmit frequency converter using switch in transmit diversity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427A (en) * 1999-04-16 2000-11-15 김영환 Dual apparatus of transceiver unit in the base st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10059489A (en)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plicating transfer unit of base transfer system
KR20020018734A (en) * 2000-09-04 2002-03-09 송문섭 Duplicate apparatus of transceiver shelf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current monitoring
KR20020046626A (en) * 2000-12-15 2002-06-21 박종섭 Device for dualing transmit frequency converter using switch in transmit diversit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628B1 (en) * 2002-12-11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25118B1 (en) * 2004-03-25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raffic bandwidth in b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85039C2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pilot signal to make active switching of communication channels
US200402146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fully redundant antenna hopping with multi-carrier power amplifiers and combining schemes within a base station
US2009000319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standby radio
US7218954B2 (en) LPA shelf and LPA type switching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JPH11168424A (en) Simplified portable telephone base station system
KR2003007718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936236B2 (en) Switchable combiner/divider with multiple inputs/outputs
CN100433574C (en) Redundancy backup system and RF switching device for base station forward link
KR10028930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xpansion of upca and hpa and controlling redundancy module
CN100433575C (en) Redundancy backup system and RF switching device for base station backward link
KR100307399B1 (en) Dual apparatus of transceiver unit in the base st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20069965A (en) Power amplifier system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44196B1 (en) A redundancy circuit for major component in the system
KR100310197B1 (en) Base station channel card circuit capable of supporting multi-sector
KR10024655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dundancy module of base station transmitter/receiver and high power amplifier
KR20030062133A (en) Transmitter for a base transceiver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44192B1 (en) The method and the equipment of removing redundancy of output power amplifier in pcs
KR20000002159A (en) Sector redundancy typed linear power amplifier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KR100448218B1 (en) Duplication board system and active/standby decision method and thereof
KR100551166B1 (en) A device for sharing a redundant large power amplifier for each channel of a multi-channel base station
KR19980077383A (en) Automatic Change of CDMA Channel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
KR20020050533A (en) High power amplifier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multi frequency allocation
KR20040054106A (en) A high generating power variable combiner
KR20040039031A (en) High power combiner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018901B2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channel card assignment method and assignmen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