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792A -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792A
KR20030076792A KR1020020015457A KR20020015457A KR20030076792A KR 20030076792 A KR20030076792 A KR 20030076792A KR 1020020015457 A KR1020020015457 A KR 1020020015457A KR 20020015457 A KR20020015457 A KR 20020015457A KR 20030076792 A KR20030076792 A KR 20030076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rogowski coil
coil
current sensor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만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6792A/ko
Publication of KR2003007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7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1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coils without a magnetic core, e.g. Rogowski co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71Shields or metal c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측정 전류가 흐르는 1차 도체의 외곽을 둘러서 형성된 링 구조의 공심 코어와 상기 공심 코어에 권선된 코일로 구성된 로고스키 코일과, 상기 로고스키 코일을 외부와 전자기적으로 차폐하도록 형성된 쉴드 케이스와, 상기 코일에 연결되어 상기 쉴드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된 인출선과, 그 인출선에 연결된 전류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과 전류 측정 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로고스키 코일에 의해 유도된 유도 전압을 보정하는 가변 저항 블록과; 상기 가변 저항 블록과 전류 측정 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유도 전압에 의해 형성된 정격전류를 조정하는 정격전류 조정용 저항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보정 장치를 제시함으로써, 로고스키 코일의 정확한 제조에 따른 부담을 감소시키고, 로고스키 코일 및 출력 저항의 변경없이 1차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정격에 변경을 가할 수 있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APPARATUS FOR CORRECTION OF INDUCTION VOLTAGE IN CURRENT SENSOR USING LOGOWSKI COIL}
본 발명은 전류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에 있어서, 로고스키 코일에 의해 유도되어 전류 측정 수단에 작용하는 유도 전압의 값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변류기, 션트(shunt), 홀 센서, 로고스키 코일 등 매우 다양한 소자를 이용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종전에 있어서, 배전반 및 각종 고압 스위치 기어 등의 전력기기에서 부하전류 및 사고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전류 센싱 방법은 자성체 코일을 사용하는 전류 변환기(current transformer : CT)를 에폭시 몰딩하여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에폭시 몰딩 전류 변환기는 소형화가 어렵다는 점, 저전류 영역의 특성, 포화 문제, 2차측 쇼트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은 결국 배전반과 같은 전력기기 전체의 체적의 소형화를 곤란하게 하므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에폭시 몰딩 전류 변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 중의 하나가 로고스키(logowski)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이다.
로고스키 코일은 일반 전류 변환기와 달리 금속성 코아를 사용하지않고 특수재질의 프라스틱 보빈을 사용하여 여자를 시키며 무한대까지 전류를 관통시켜도 포화가 되지 않는다. 이런 특성상 높은 전류를 소형의 경량화된 구조에서 수용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기중 차단기, 로벗 용접기, 가스 절연 부하 개폐기 등 고전류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측단면도, 도 2는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는 피측정 전류가 흐르는 1차 도체(13)의 외곽을 둘러서 형성된 링 구조의 공심 코어(31)와 그 공심 코어(31)에 권선된 코일(32)로 구성된 로고스키 코일(30)과, 그 로고스키 코일(30)을 외부와 전자기적으로 차폐하도록 형성된 쉴드 케이스(20)와, 코일(32)에 연결되어 쉴드 케이스(20)의 외측으로 연장된 인출선(6)과, 그 인출선(6)에 연결된 전류 측정 수단(미도시)과, 인출선(6)과 상기 전류 측정 수단의 사이에 형성된 출력 저항(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차 도체(13)와 로고스키 코일(30) 및 쉴드 케이스(20)는 에폭시로 몰딩되어 에폭시 하우징(7)에 함입된 구조를 취한다.
이하, 종래의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고스키 코일(30)을 관통하는 1차 도체(13)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그 1차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로고스키 코일(30)에 쇄교하게 되고, 로고스키 코일(30)의 양단에는 1차 전류보다 위상이 90도 앞선 전압이 유도된다.
유도된 전압은 출력 저항(4)의 양단에 걸리게 되고, 상기 전류 측정 수단은이러한 전압을 센싱하여 1차 전류 값을 계산하게 된다.
1차 도체(13)에는 전류 뿐만 아니라 고전압이 실리게 되는데, 이러한 1차 도체의 고전압에 의해 코일(32)에 유도전압이 유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로고스키 코일(30)은 쉴드 케이스(20)에 의해 전자기적으로 차폐된다.
또한, 로고스키 코일(30)에 의한 전자기 유도에 있어서는, 유도 대상이 전압이기 때문에, 로고스키 코일(30)의 양단에 설치된 출력 저항(4) 및 그 출력 저항(4)으로부터 상기 전류 측정 수단으로 연결되는 인출선(6)도 유도 전압 및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쉴딩처리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종래의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첫째, 출력 저항(4)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로고스키 코일(30)에서 출력된 유도 전압의 값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출력 저항(4)을 교체할 수 밖에 없다.
둘째, 로고스키 코일(30)은 공심 코일(31)에 코일(32)을 권선하는 방식에 따라 출력 값의 차이가 있고, 원하는 출력 값의 범위에 적합하도록 코일(32)을 권선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일단 제작된 로고스키 코일(30)의 출력 값의 범위에 대응하는 값으로 출력 저항의 값을 변경해 줄 필요가 있다.
세째, 부하 증설로 인하여 1차 도체(13)에 흐르는 전류의 정격이 변경된 경우, 기존의 로고스키 코일(30) 및 출력 저항(6)은 교체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로고스키 코일의 정확한 제조에따른 부담을 감소시키고, 로고스키 코일 및 출력 저항의 변경없이 1차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정격에 변경을 가할 수 있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측단면도
도 2는 정단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사시도
도 4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횡단면도
도 5는 쉴드 케이스와 인출선 보호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
도 7은 저항 블록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인출선 보호관7 : 에폭시 하우징
8 : 금속함9 : 베이스 플레이트
10 : 가변 저항 블록11 : 정격전류 조정용 저항 블록
14 : 가변 저항15 : 직렬 저항
16 : 병렬 저항17 : 써지 흡수 수단
20 : 쉴드 케이스30 : 로고스키 코일
31 : 공심 코어32 : 코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측정 전류가 흐르는 1차 도체의 외곽을 둘러서 형성된 링 구조의 공심 코어와 상기 공심 코어에 권선된 코일로 구성된 로고스키 코일과, 상기 로고스키 코일을 외부와 전자기적으로 차폐하도록 형성된 쉴드 케이스와, 상기 코일에 연결되어 상기 쉴드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된 인출선과, 그 인출선에 연결된 전류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과 전류 측정 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로고스키 코일에 의해 유도된 유도 전압을 보정하는 가변 저항 블록과; 상기 가변 저항 블록과 전류 측정 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유도 전압에 의해 형성된 정격전류를 조정하는 정격전류 조정용 저항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 블록은 가변 저항과, 그 가변 저항을 보호하기 위한 직렬 저항 및 병렬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 블록은 가변 저항과, 그 가변 저항을 보호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된 써지 흡수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인출선은 상기 쉴드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된 인출선 보호관 내에 삽입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사시도, 도 4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횡단면도, 도 5는 쉴드 케이스와 인출선 보호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 도 7은 저항 블록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도 전압 보정 장치는 피측정 전류가 흐르는 1차 도체(13)의 외곽을 둘러서 형성된 링 구조의 공심 코어(31)와 그 공심 코어(31)에 권선된 코일(32)로 구성된 로고스키 코일(30)과, 그 로고스키 코일(30)을 외부와 전자기적으로 차폐하도록 형성된 쉴드 케이스(20)와, 상기 코일(32)에 연결되어 상기 쉴드 케이스(20)의 외측으로 연장된 인출선(18)과, 그 인출선에 연결된 전류 측정 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인출선(18)과 전류 측정 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로고스키 코일(30)에 의해 유도된 유도 전압을 보정하는 가변 저항 블록(10)과; 그 가변 저항 블록(10)과 전류 측정 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유도 전압에 의해 형성된 정격전류를 조정하는 정격전류 조정용 저항 블록(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 있어서, 가변 저항 블록(10)은 에폭시 하우징(7)의 전단 상부에 위치한 금속함(8)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정격전류 조정용 저항 블록(11)은 에폭시 하우징(7)의 전단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9) 위에 위치한 PCB 기판(12)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선(18)은 쉴드 케이스(20)의 외측으로 연장된 인출선 보호관(6) 내에 삽입되어 보호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저항 블록(10)은 가변 저항(14)과, 그 가변 저항(14)을 보호하기 위한 직렬 저항(15) 및 병렬 저항(16)과, 병렬로 연결된 써지(surge) 흡수 수단(1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정격전류 조정용 저항 블록(11)은 각 저항들의 분압비의 조정에 의해 모든 정격전류에서 일정한 출력 전압이 얻어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저항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도 전압 보정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로고스키 코일(30)을 관통하는 1차 도체(13)에 전류가 흐르면, 그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코일(32)에 쇄교되어 소정의 출력 전압이 로고스키 코일(30)에 유도된다.
이러한 유도 전압은 1차 도체(13)에 흐르는 1차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고 위상은 90도 앞서는 것으로서, 인출선(18)을 통해 가변 저항 블록(10) 및 정격전류 조정용 저항 블록(11)으로 인입된다.
가변 저항 블록(10)의 가변 저항(14)은 그 양단에 걸리는 상기 유도 전압을 상기 전류 측정 수단에 적절한 값으로 보정하며, 직렬 저항(15), 병렬 저항(16) 및 써지 흡수 수단(17)은 예측하지 못한 고부하 등으로부터 상기 가변 저항(14)을 보호한다.
정격전류 조정용 저항 블록(11)은 각 저항의 분압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정격전류가 변경된 경우, 모든 정격전류에 대해 일정한 출력 전압이 발생하도록 저항 값을 분배한다.
본 발명은 로고스키 코일의 정확한 제조에 따른 부담을 감소시키고, 로고스키 코일 및 출력 저항의 변경없이 1차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정격에 변경을 가할 수 있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를 제공한다.

Claims (4)

  1. 피측정 전류가 흐르는 1차 도체의 외곽을 둘러서 형성된 링 구조의 공심 코어와 상기 공심 코어에 권선된 코일로 구성된 로고스키 코일과, 상기 로고스키 코일을 외부와 전자기적으로 차폐하도록 형성된 쉴드 케이스와, 상기 코일에 연결되어 상기 쉴드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된 인출선과, 그 인출선에 연결된 전류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과 전류 측정 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로고스키 코일에 의해 유도된 유도 전압을 보정하는 가변 저항 블록과;
    상기 가변 저항 블록과 전류 측정 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유도 전압에 의해 형성된 정격전류를 조정하는 정격전류 조정용 저항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블록은
    가변 저항과, 그 가변 저항을 보호하기 위한 직렬 저항 및 병렬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블록은
    가변 저항과, 그 가변 저항을 보호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된 써지 흡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은
    상기 쉴드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된 인출선 보호관 내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
KR1020020015457A 2002-03-21 2002-03-21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 KR20030076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457A KR20030076792A (ko) 2002-03-21 2002-03-21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457A KR20030076792A (ko) 2002-03-21 2002-03-21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792A true KR20030076792A (ko) 2003-09-29

Family

ID=3222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457A KR20030076792A (ko) 2002-03-21 2002-03-21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67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23B1 (ko) * 2004-05-14 2006-07-26 장용무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측정 장치
KR100606422B1 (ko) * 2004-07-12 2006-07-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압/전류 측정장치
KR100724101B1 (ko) * 2005-10-27 2007-06-0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공심코어를 사용한 교류전류 센서
KR100860527B1 (ko) * 2007-04-03 2008-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전류 변성기
CN116719384A (zh) * 2023-08-07 2023-09-08 深圳市思远半导体有限公司 检测控制电路和开关电路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23B1 (ko) * 2004-05-14 2006-07-26 장용무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측정 장치
KR100606422B1 (ko) * 2004-07-12 2006-07-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압/전류 측정장치
KR100724101B1 (ko) * 2005-10-27 2007-06-0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공심코어를 사용한 교류전류 센서
KR100860527B1 (ko) * 2007-04-03 2008-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전류 변성기
CN116719384A (zh) * 2023-08-07 2023-09-08 深圳市思远半导体有限公司 检测控制电路和开关电路
CN116719384B (zh) * 2023-08-07 2023-12-15 深圳市思远半导体有限公司 检测控制电路和开关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2206B2 (en) Current sensor and method of assembly
US8238066B2 (en) Current sensor for earth leakage module
US7969139B2 (en) Rogowski sensor and method for measuring a current
US5943204A (en) Electronic trip unit with dedicated override current sensor
US6441605B1 (en) Current sensor for an electrical device
KR20050007339A (ko) 고 전류 유도성 커플러 및 전력선용 계기용 변류기
KR100882727B1 (ko) 로고스키 센서를 이용한 전류 측정장치
US6437554B1 (en) High current measurement system incorporating an air-core transducer
KR101707152B1 (ko) 전류 측정 장치
WO2023083496A2 (en)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linearity of current sensor for a circuit interrupter
Solovev et al. Study of transient current measurement using micro-CAP circuit simulator
KR20030076792A (ko)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한 전류 센서의 유도 전압 보정 장치
Kojovic Comparativ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urrent transformers and Rogowski coils used for protective relaying purposes
US5896027A (en) Current ratio device for use in forming a current transformer
CA1303155C (en) Electromagnetic shield for electromagnetic apparatus
KR100604614B1 (ko) 측정용 트랜스
KR101939569B1 (ko) 차폐 구조를 가지는 로고스키 코일 전류 센서
KR100498555B1 (ko) 전압/전류 센서
CN210982711U (zh) 三相电流检测电路及电能计量芯片
KR20210044462A (ko) 전류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GB2154806A (en) Clip-on current measuring device
KR102524718B1 (ko) 저전류 변류기를 이용한 고 서지전류측정 방법
US20130027162A1 (en) Miniature Neutral Toroidal Current Transformer
CN104269261A (zh) 一种电流互感器
CA2093288A1 (en) Rod-core current trans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