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4Y1 - 필기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필기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4Y1
KR200300764Y1 KR20-2002-0030501U KR20020030501U KR200300764Y1 KR 200300764 Y1 KR200300764 Y1 KR 200300764Y1 KR 20020030501 U KR20020030501 U KR 20020030501U KR 200300764 Y1 KR200300764 Y1 KR 200300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writing instrument
tip
core member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조
Original Assignee
김옥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조 filed Critical 김옥조
Priority to KR20-2002-0030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6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Landscapes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뚜껑체의 분리 또는 결합이 미끄럼 없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필기구 조립체에 대해 개시한다. 이 조립체는 심부재의 선단(31)이 돌출되도록 심부재를 지지하는 필기구몸체(30)와, 필기구몸체(30)의 선단에 결합되어 심부재의 선단(31)을 보호하는 뚜껑체(40)를 구비한다. 뚜껑체(30)는 필기구몸체(40)의 선단에 억지삽입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되어지고, 뚜껑체(40)의 외측에는 휴대시 주머니 등에 걸기 위한 클립(41)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체(30)는 그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42)가 형성되어서, 뚜껑체(40)를 파지하여 뚜껑체(40)를 필기구몸체(30)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미끄럼방지부(42)는 뚜껑체(4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 또는 외주면에 오목하게 진입된 복수의 오목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기구조립체는 뚜껑체의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없이 안정된 동작으로 뚜껑체를 필기구몸체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어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뚜껑체의 외주면에 평면부를 형성함으로써 테이블 상에서 안정된 위치유지를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필기구 조립체{pen cap}
본 고안은 필기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필기구몸체의 선단에 결합되어 심부재를 보호하는 뚜껑체를 필기구몸체에 분리 또는 결합시킬 때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필기구 조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에 심부재(11)를 수용하는 필기구몸체(10)와, 상기 필기구몸체(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심부재(11)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심부재(11)로부터 액상의 잉크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뚜껑체(20)를 구비한다. 미설명부호 21은 휴대시에 주머니 등에 꽂을 수 있도록 하는 클립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체(20)는 통상 매끄러운 외주면을 가지고,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필기구몸체(10)에 억지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뚜껑체(20)를 가지는 종래의 필기구 조립체는, 뚜껑체(20)의 외주면이 원형형상으로 매끄럽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필기구몸체(10)로부터 뚜껑체(20)를 분리할 시에 미끄러워서 분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의 손에 발생된 땀 등으로 인하여 뚜껑체(20)의 분리/결합이 더욱 곤란해진다.
또한, 필기구몸체(10)와 함께 뚜껑체(20)가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테이블 상에서 구름 이동하게 되어 위치유지가 곤란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필기구몸체로부터 뚜껑체를 미끄럼 없이 안정된 동작으로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필기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필기구몸체 및 뚜껑체가 테이블 상에서 안정된 위치유지가 될 수 있도록 개선된 필기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 미끄럼방지부에 점자를 형성하여 시각장애인에게 필기구인 것을 인식할 수 있는 필기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통상의 필기구 조립체를 나타낸 조립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뚜껑체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뚜껑체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필기구몸체 31...심부재
40...뚜껑체 41...클립
42...돌기 43...(뚜껑체의)평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심부재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심부재를 지지하는 필기구몸체와, 상기 필기구몸체의 선단에 결합되어 심부재의 선단을 보호하는 뚜껑체를 구비하는 필기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는 그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체를 파지하여 뚜껑체를 필기구몸체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뚜껑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 또는 외주면에 오목하게 진입된 복수의 오목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체의 외주면에는 평면부가 형성되어서, 약간의 경사진 테이블에서도 필기구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필기구 조립체는 뚜껑체의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없이 안정된 동작으로 뚜껑체를 필기구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부에 점자를 형성하여 시각장애인에게 필기구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필기구 조립체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심부재의 선단(31)이 돌출되도록 심부재를 지지하는 필기구몸체(30)와, 상기 필기구몸체(30)의 선단에 결합되어 심부재의 선단(31)을 보호하는 뚜껑체(40)를 구비한다. 상기 뚜껑체(30)는 필기구몸체(40)의 선단에 억지삽입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되어지고, 뚜껑체(40)의 외측에는 휴대시 주머니 등에 걸기 위한 클립(41)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으로써, 상기 뚜껑체(30)는 그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42)가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체(40)를 파지하여 뚜껑체(40)를 필기구몸체(30)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미끄럼방지부(42)는 상기 뚜껑체(4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 또는 외주면에 오목하게 진입된 복수의 오목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뚜껑체(40)의 외주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필기구몸체(30)에 대해 뚜껑체(40)를 회전시키면서 분리시킬 때 상기 미끄럼방지부(42)에 의해서 미끄럼이 방지되면서 안정된 분리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체(40)의 외주면에는 평면부(43)가 형성되어서, 약간의 경사진 테이블에서도 필기구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평면부(43)는 상기 클립(41)에 대해 반대쪽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필기구가 테이블 상에 놓여질 때 클립(41)이 상방향으로 놓여지게 되므로 외관상 미려할 뿐만 아니라 파지하기도 수월해진다.
미끄럼방지부(42)를 필기구를 뜻하는 점자를 형성하여 시각장애인이 본 고안의 필기구 조립체의 파지한 경우 필기구인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본 고안 필기구 조립체는 뚜껑체의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없이 안정된 동작으로 뚜껑체를 필기구몸체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어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둘째, 뚜껑체의 외주면에 평면부를 형성함으로써 테이블 상에서 안정된 위치유지를 할 수 있게 한다.
셋째, 미끄럼방지부에 점자를 형성하여 시각장애인에게 필기구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Claims (5)

  1. 심부재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심부재를 지지하는 필기구몸체와, 상기 필기구몸체의 선단에 결합되어 심부재의 선단을 보호하는 뚜껑체를 구비하는 필기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는 그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체를 파지하여 뚜껑체를 필기구몸체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뚜껑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뚜껑체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진입된 복수의 오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외주면에 평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에 시각장애인에게 필기구인 것을 인식하기 위한 점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조립체.
KR20-2002-0030501U 2002-10-12 2002-10-12 필기구 조립체 KR200300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501U KR200300764Y1 (ko) 2002-10-12 2002-10-12 필기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501U KR200300764Y1 (ko) 2002-10-12 2002-10-12 필기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4Y1 true KR200300764Y1 (ko) 2003-01-14

Family

ID=4939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501U KR200300764Y1 (ko) 2002-10-12 2002-10-12 필기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81Y1 (ko) * 2011-03-14 2013-04-17 (주)미래휴먼기술 음수대용 버블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81Y1 (ko) * 2011-03-14 2013-04-17 (주)미래휴먼기술 음수대용 버블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95987A1 (en) Nail Polish Container Holder
USD960977S1 (en) Writing instrument
USD433447S (en) Writing instrument with perforated grip
USD473437S1 (en) Combination disposable lighter holder and bottle cap opener with clip
US5774944A (en) Band cable easily released from coupling state
USD440605S1 (en) Finger gripping device for a writing instrument
KR200300764Y1 (ko) 필기구 조립체
USD471400S1 (en) Tray holder with hand grips
USD433446S (en) Writing instrument with bulbous grip
USD451549S1 (en) Writing instrument grip and body
USD448805S1 (en) Writing instrument grip and body
USD501882S1 (en) Writing instrument
USD575819S1 (en) Pen
JP4072086B2 (ja) 筆記具
USD448408S1 (en) Marking device
US7766571B2 (en) Accessory for a writing implement or the like
USD500084S1 (en) Applicator
USD436622S1 (en) Writing instrument with flashlight and/or bulbous grip
JP2016020071A (ja) 筆記具
USD473898S1 (en) Writing instrument
KR200381350Y1 (ko) 미끄럼 방지구가 구비된 우산손잡이
USD925650S1 (en) Writing instrument
USD485300S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lip ornament
USD500791S1 (en) Writing instrument
USD486858S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lip orn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