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844A - 전력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844A
KR20030073844A KR1020020013596A KR20020013596A KR20030073844A KR 20030073844 A KR20030073844 A KR 20030073844A KR 1020020013596 A KR1020020013596 A KR 1020020013596A KR 20020013596 A KR20020013596 A KR 20020013596A KR 20030073844 A KR20030073844 A KR 20030073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amplification
signal
amplifier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844A/ko
Publication of KR2003007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84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증폭기로 이루어진 증폭부와, 상기 복수개의 증폭기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증폭률에 따라 증폭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에서 선택된 증폭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출력부로 구성되어,
전력 증폭 장치에 연결되는 PA의 규격에 따른 크기의 출력 신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상기 전력 증폭 장치에서 증폭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증폭기 사이에 형성하여 복수개의 크기를 가지는 출력 신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PA 의 규격에 따른 별도의 전력 증폭 장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력 증폭 장치{Power Amplitude device}
본 발명은 전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테나 전단에 형성되어 외부로 송신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증폭기(Power Amplifier, 이하 PA 라 함) 전단에 형성되어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려는 신호를 상기 PA 에 적합한 크기로 증폭하는 전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시장의 확대에 따른 단말기 및 통신 기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과동시에 소형 및 경량화되고 소모 전력이 적으면서도 장시간 사용 가능한 통신 기기가 요구되고 있고 이를 위해 제한된 통신 기기의 크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유선 또는 무선 전화기나 휴대폰등의 통신 기기에는 그 송신 출력단에 전력을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 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특히, 휴대폰등의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전력 증폭 모듈은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까지 송출하는 기능을 하는 부품으로 이동 단말기의 통화 시간 및 통화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력 증폭 장치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송신하려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2)와, 상기 입력 단자(2)로 입력된 신호를 설정된 증폭률에 따라 증폭하는 복수개의 증폭기(11, 12, 13)로 이루어지는 증폭부(10)부와, 상기 증폭부(10)에서 증폭된 신호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려는 신호를 최종적으로 증폭하는 PA(미도시)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단자(4)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력 증폭 장치는 상기 PA의 후단에 위치되어 상기 PA로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PA의 규격에 적합하도록 미리 증폭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력 증폭 장치는 상기 증폭부의 증폭률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력 증폭 장치에서 증폭된 신호가 상기 PA 의 규격에 맞지 않을 경우 상기 PA의 규격에 맞는 별도의 전력 증폭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PA 의 규격에 따라 복수개의 크기를 가지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전력 증폭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력 증폭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6: 입력 단자8: 출력 단자
20: 증폭부21, 22, 23: 증폭기
30: 스위치부31: 전원단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 장치의 특징에 따르면, 복수개의 증폭기로 이루어진 증폭부와, 상기 복수개의 증폭기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증폭률에 따라 증폭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에서 선택된 증폭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출력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 장치는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6)와, 상기 입력 단자(6)로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제2 및 제3 증폭기(21, 22, 23)로 이루어진 증폭부(20)와, 상기 제1 내지 제3 증폭기(21, 22, 23)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증폭률에 따라 증폭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하는 스위치부(30)와, 상기 스위치부(30)에 의해 선택된 증폭 신호가 출력되는 제1 및 제2 출력부(41, 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30)는 상기 제2 및 제3 증폭기(22, 23)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21, 22)에 의해 증폭된 신호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증폭기(21, 22, 23)에 의해 증폭된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30)는 외부의 전원에 따라 출력신호를 선택하게 되며, 상기 스위치부(30)는 상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전원단(31)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증폭부(20)에 상기 입력 단자(6)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증폭부(20)의 설정된 증폭률에 따라 증폭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30)에 의해 상기 증폭부(20)에서 증폭된 신호가 입력되는 PA의 규격에 따른 출력 신호가 선택된다. 즉, 상기 스위치부(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출력부(41, 42)로 출력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되는데, 상기 제1 출력부(41)로는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21, 22)에 의해 증폭된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출력부(42)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증폭기(21, 22, 23)에 의해 증폭된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전력 증폭 장치에 연결되는 PA의 규격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출력부(41, 42)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PA의 규격에 따라 별도의 전력 증폭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 장치에 연결되는 PA의 규격에 따른 크기의 출력 신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상기 전력 증폭 장치에서 증폭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증폭기 사이에 형성하여 복수개의 크기를 가지는 출력 신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PA 의 규격에 따른 별도의 전력 증폭 장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복수개의 증폭기로 이루어진 증폭부와;
    상기 복수개의 증폭기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증폭률에 따라 증폭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에서 선택된 증폭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외부 전원에 의해 출력 신호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KR1020020013596A 2002-03-13 2002-03-13 전력 증폭 장치 KR20030073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596A KR20030073844A (ko) 2002-03-13 2002-03-13 전력 증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596A KR20030073844A (ko) 2002-03-13 2002-03-13 전력 증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844A true KR20030073844A (ko) 2003-09-19

Family

ID=3222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596A KR20030073844A (ko) 2002-03-13 2002-03-13 전력 증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38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1455B2 (en)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KR950010252B1 (ko) 전력증폭기 및 이동무선장치
KR20030073844A (ko) 전력 증폭 장치
CN101335536B (zh) 降低因地不平衡产生的音频噪声的电子装置及其通讯装置
KR20030062692A (ko) 전력 증폭 모듈
KR20040054276A (ko) 전력 증폭기 모듈
KR20040054277A (ko) 전력 증폭기 모듈
KR20040054278A (ko) 전력 증폭기 모듈
CN115694544B (zh) 射频前端模块和控制射频前端模块的方法
KR20040054952A (ko) 전력 증폭기 모듈
KR20040054950A (ko) 전력 증폭기 모듈
KR20040003617A (ko) 가변 임피던스 전력 증폭 모듈
KR100442201B1 (ko) 가변 임피던스 전력 증폭기 모듈
KR100565720B1 (ko) 이동 단말기의 전력 증폭기
KR100485880B1 (ko) 전력 증폭기 모듈
KR20040054953A (ko) 가변 임피던스 전력 증폭기 모듈
KR100691969B1 (ko) Rf송수신장치와 전원절환장치와 절환방법 및이동통신단말기
KR1006982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연결 또는 종료시 노이즈 감소 방법
KR1006642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기능 이어폰
ATE263456T1 (de) Sender für mobiles telekommunikationsendgerät
KR200249930Y1 (ko) 이동 단말기용 고효율 전력증폭기
KR19980077196A (ko) 스위칭 방식을 적용한 이동 통신 기지국용 저잡음 증폭기
KR20030005783A (ko) 이동 단말기용 고효율 전력증폭기
KR20040054275A (ko) 가변 임피던스 전력 증폭기 모듈
KR19980077195A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저잡음 증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