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461A -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capable of inputting japaness alphabet - Google Patents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capable of inputting japaness alphab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461A
KR20030073461A KR1020020013029A KR20020013029A KR20030073461A KR 20030073461 A KR20030073461 A KR 20030073461A KR 1020020013029 A KR1020020013029 A KR 1020020013029A KR 20020013029 A KR20020013029 A KR 20020013029A KR 20030073461 A KR20030073461 A KR 20030073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keys
japanese alphabet
keys
sequentially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어윤형
최장성
Original Assignee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filed Critical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20013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461A/en
Priority to JP2002353022A priority patent/JP2003271297A/en
Publication of KR2003007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461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to input the Japanese alphabet easily by extracting graphic element capable of being used commonly from the Japanese alphabet. CONSTITUTION: A key pad(100_A) includes stroke keys corresponded to basic strokes of the Japanese alphabet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 alphabet database stores Japanese alphabet codes. A control unit executes controls for displaying Japanese alphabets related to a pressed key out of the Japanese alphabet stored in the alphabet database on a display unit(200) by pressing the stroke keys and the function keys. The function keys include the follow keys. A conversion key(150) converts an input mode of the Japanese alphabet. A variance character creation key(120) inputs a flat sound and a semi-flat sound of the Japanese alphabet. The lower character creation conversion key(130) inputs Japanese special sounds of the Japanese alphabet.

Description

일본어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CAPABLE OF INPUTTING JAPANESS ALPHABET}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input Japanese alphabet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CAPABLE OF INPUTTING JAPANESS ALPHABET}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자화시키기 어려운 일본어 알파벳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input a Japanese alphabet that is difficult to be digitalized.

전기·전자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호출기, CDMA, PCS, TDMA, GSM, AMPS, IMT-2000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통신용 단말장치나 PDA, 게임기, 리모트 컨트롤, 카메라, 가전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들이 소형화·첨단화되고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ic and electronic technologies,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such as pagers, CDMA, PCS, TDMA, GSM, AMPS, IMT-2000,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PDAs, game machines, remote controls, cameras, home appliances, etc. It is miniaturized and advanced.

특히, 최근에는 TV나 냉장고와 같은 전통적인 가전기기에 통신기능과 컴퓨팅기능을 추가한 새로운 가전기기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종래 가전기기에 컴퓨팅기능과 통신기능이 추가되면서, 소위 인터넷 가전기기로 불리는이들 신개념의 가전기기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에 특정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알파벳 입력장치가 요구되었다.In particular, recently, new home appliances that add communication and computing functions to traditional home appliances such as TVs and refrigerators are being released one after another. As such, as computing function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conventional home appliance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n alphabet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specific alphabet in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home appliances of these new concepts, such as so-called Internet home appliances.

그러나, 이들 전자기기는 디자인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될 뿐 아니라 대부분 크기도 소형이어서 컴퓨터용 키보드처럼 키의 수를 크게 늘릴 수 없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10-20여 개 정도의 키(버튼)만으로 특정 국가에서 사용되는 모든 알파벳을 입력 처리할 수 있는 알파벳 입력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각 나라마다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However, these electronic devices are not only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design, but are also small in size, and thus cannot increase the number of keys as much as a computer keyboard. For this reason, there is a demand for an alphabet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nd processing all alphabets used in a specific country by using only about 10-20 keys (buttons),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for each country.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문자의 종류는 많지만, 단위 음절에 의미가 주어지느냐의 여부에 따라 표음문자와 표의문자의 2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단위 음절을 음소로 분리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 음소문자와 음절 문자의 2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표음문자의 대표격으로 영어와 일본어 그리고 한국어를 들 수 있고, 표의문자로는 중국어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음절문자의 대표격으로는 일본어를, 음소문자의 대표격으로는 영어와 한국어를 들 수 있다.As is well known, there are many kinds of letters in the world, but the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phonetic and ideograph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meaning is given to unit syllable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nit syllables can be divided into phonemes, it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lowercase letters and syllable characters.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phonetic letters include English, Japanese, and Korean, and examples of the phonetic letters include Chinese. Representative examples of syllable characters include Japanese, and representative examples of lower case letters include English and Korean.

이처럼,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문자의 종류는 최소 4가지 정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들 문자 모두에 적용 가능한 유니코드입력장치를 개발한다는 것은 대단히 힘들 뿐만 아니라, 실제 현존하는 유니코드입력장치의 경우 문자합성규칙도 복잡하고 알파벳 하나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키의 조작 회수도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각 나라에서는 자국문자와 세계공용어인 영어를 병행·사용할 수 있는 알파벳 입력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As such, there are at least four types of characters existing on the earth. Developing a Unicode input device that is applicable to all of these characters is very difficult, and in the case of existing Unicode input devices, the character composition rules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keys required for inputting a single alphabet is complicated, there is a great deal of research into an alphabet input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using and using English, which is a national language, in each country.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알파벳은 46개의 기본문자(청음표기)와 상기 기본문자의 우측 상단에또는이 병기된 25개의 변이문자(탁음 또는 반탁음)와, ア,イ,ウ,エ,オ,ツ,ヤ,ユ,ヨ 8개의 하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알파벳은 다시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2종류로 나뉘어져 그 숫자가 총 151개에 이르고 있다.The Japanese alphab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46 basic characters (phonetic notation) and the upper right of the basic characters or It consists of twenty-five mutant letters (muckyum or halftone), and eight subscripts, ア, イ, ウ, エ, オ, ツ, ヤ, ユ, ヨ, and these alphabets are again represented by Hiraka and Katakana. It is divided into types, and the number reaches 151 in total.

이처럼, 일본어 알파벳은 그 수가 많기 때문에, 음절문자인 일본어 알파벳을 음절 단위로 나누어서 각 키에 할당하는 경우에는, 비록 컴퓨터용 103키보드나 106키보드를 입력장치로 채용한 경우일지라도 변이문자 생성을 위한 별도의 기능키가 마련되어야 한다. 더욱이, 키의 수가 십 수 개 밖에 되지 않는 다이얼패드에 일본어 알파벳을 음절 단위로 나누어 할당하는 경우, 최소한 키 하나 당 4개의 알파벳을 할당해야만 기본문자라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일본어 알파벳 하나를 입력하는데 최대 4회의 키 조작이 필요하다. 특히, 히라카나와 가타카나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 또는 탁음이나 반탁음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는 키의 조작 회수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As such, since the number of Japanese alphabets is large, when the Japanese alphabet, which is a syllable character, is divided into syllable units and assigned to each key, even if a computer 103 keyboard or 106 keyboard is used as an input device, a separate character for generating mutated characters is used. The function key of must be provided. Furthermore, if you assign the Japanese alphabet to syllable units on a dial pad that has only a few dozen keys, you will need to assign at least four alphabetic characters per key, so you can enter even the basic characters. Up to four key operations are required. In particular, the number of key manipulations is further increased in the case of using both hirakana and katakana in parallel, or in the case of inputting a sound tone or a semitone sound.

종래에는 입력하고자 하는 일본어 알파벳의 발음에 해당하는 영문 키를 1-3개 조합하여 입력한 다음 이를 다시 일본어 알파벳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과, 일본어 알파벳이 행(行) 단위로 할당된 키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inputting a combination of one to three English keys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Japanese alphabet to be input and then processing them as Japanese alphabet is displayed again, and using the keys assigned by the Japanese alphabet in units of rows. The direct input method was used.

예컨대, 히라가나 "こ"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영문 "k"가 할당된 키와 영문 "o"가 할당된 키를 순차적으로 누르거나, "か"행이 표기되어 있는 키를 5회 누르거나, 상기 "か"행이 표기되어 있는 키를 1회 누른 후 이동키나 방향키를 4회 눌러야 했다.For example, if you want to enter Hiragana or "こ", press the key assigned with "k" in English and the key assigned with "o" in sequence, or press the key marked "か" five times. , After pressing the key marked "ka" once, the shift key or the direction key had to be pressed four times.

따라서,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일본어 입력방식에 따르면, 알파벳마다 키의 조작 회수가 다르고 특히 "お"단에 속하는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를 5회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속도가 늦고 오입력의 유발요인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urrent Japanese input method, the number of key operations differs from alphabet to alphabet, and in order to input alphabets belonging to the "O" stage, the keys must be operated five times.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한 방법으로 일본어 알파벳인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inputting Hiragana and Katakana, which are Japanese alphabets, in an easy wa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절 단위로 표기되는 일본어 알파벳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그래픽요소들을 추출하여 이들을 기본도형(획)으로 정의하고, 상기 획들을 조합하여 정해진 합성규칙에 의해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를 생성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ract the graphic elements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the Japanese alphabet written in syllable units, define them as basic shapes (strokes), and combine the strokes to generate hiragana or katakana by a predetermined synthesis rule. It is to provide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본어의 탁음, 반탁음 및 촉음 등의 변이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niently inputting mutated characters such as Japanese sound, half sound and tactile sound.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히라카나와 가타카나를 선택해서 입력할 수 있는 일본어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apanes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and inputting hiracana and katakana.

도 1은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중의 하나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tele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one of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의 회로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2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키패드의 획 키들과 변이문자 생성키 그리고 하첨자 생성 변환키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FIG. 3 is an enlarged view of stroke keys, mutated letter generation keys, and subscript generation conversion keys of the keypad shown in FIG. 1;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의 키패드를 다르게 구성한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n which the keypad of the portable telephone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differently;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용 전화기의 키패드에 히라가나를 분해하여 추출한 획들이 획 키들에 할당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that strokes extracted by decomposing hiragana in the keypad of the portable telephone are assigned to the stroke key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는 히라가나 46 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 순서를 정리해서 보여주는 도면;6A to 6C collectively show key pressing sequences for inputting 46 hiragana characters;

도 7a 및 도 7b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의 다른 예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7A and 7B sh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which are another example of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도 8a 및 도 8b는 PDA에 가타카나를 입력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8A and 8B illustrate an example of a method of inputting katakana into a PDA; And

도 9a 및 도 9b는 PDA에 히라가나를 입력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9A and 9B illustrate an example of a method of inputting hiragana into a PDA.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_A, 100_B : 키패드120 : 변이문자 생성키100_A, 100_B: Keypad 120: Mutation character generation key

130 : 하첨자 생성 변환키140 : 방향키130: subscript generation conversion key 140: direction key

150 : 히라가나-가타카나 변환기150: Hiragana to Katakana Converter

200 : 표시부300 : 제어부200: display unit 300: control unit

400 : 알파벳 데이터베이스500 : 단어 데이터베이스400: Alphabet Database 500: Word Database

(구성)(Configu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일본어 알파벳의 기본 획들에 각각 대응하는 획 키들과 복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입력 장치, 일본어 알파벳 코드들을 저장하는 알파벳 데이터베이스, 표시 장치, 그리고상기 획 키들 및 상기 기능키들 중 어느 하나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알파벳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일본어 알파벳들 중 상기 눌러진 키와 관련된 일본어 알파벳들이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n input device having stroke keys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basic strokes of the Japanese alphabet, an alphabet database storing Japanese alphabet codes, a display device,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Japanese alphabets related to the pressed key among the Japanese alphabets stored in the alphabet databas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any one of the stroke keys and the function keys.

상기 입력 장치는, 각 키마다 하나 또는 두 개의 획이 할당되어 있는 획 키들과, 입력된 획 중 ① か, さ, ね, た, は행의 문자를 탁음인 が, ず, だ, ば 행의 문자로 변환시키거나, ② は행의 문자를 반탁음인 ぱ 행의 문자로 변환시키는 변이문자생성키와, 일본어 알파벳의 입력모드를 히라카나 모드나 가타카나 모드로 양방향 변환시키는 히라카나-가타카나 변환키와, 단독으로 또는 기본키와의 조합입력에 의해서 ① 입력된 い 단(段)에 속하는 기본문자에 반모음인 ゃ,ょ,ゅ를 하첨(下添)하여 요음(拗音)화시키거나, ② 입력된 か, さ, た, ぱ 행(行)에 속하는 기본문자에 っ를 하첨(下添)하여 촉음(促音)화시키는 하첨자생성변환키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탁음, 반탁음에 해당하는 문자를 "변이문자"로, 타 문자에 하첨(下添)되는 문자를 "하첨자"로 각각 지칭하기로 한다.The input device includes stroke keys having one or two strokes assigned to each key, and a line of characters, ず, だ, and 탁 of the input strokes as 탁, ず, だ, and 중 of the input strokes. Mutation character generation key for converting characters into lines, or converting lines of characters into lines of lines that are halftones, and Hiraka-Katakana conversion keys for bidirectionally converting the input mode of Japanese alphabet to Hiraka mode or Katakana mode. Or, by inputting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primary key, by subtracting the half vowels ゃ, ょ, 에 to the basic characters belonging to the inputted い step (요), or ② inputting them. And at least one function key, such as a subscript generating key, which subtracts っ into a basic character belonging to k, さ, た, and lin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letters corresponding to Takum and Bantaum will be referred to as "mutant letters" and letters subscripted to other letters as "subscript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입력된 모음 기본문자를 작은 글자로 변환시키는 소형화키,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가 한자로 표현가능한 경우에 이를 한자로 변환시키는 한자화키 등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function key such as a miniaturization key for converting the input vowel basic character into a small character, and a Chinese character key for converting the input or selected word into a Chinese character when the input or the selected word can be expressed in Chinese characters.

여기서, 상술한 입력장치는, 통상의 키보드 또는 다이얼패드와 같은 키 패드나 키보드가 장착된 주변기기(마우스 등)의 형태로 제공되겠지만, 최근 들어 사용추세가 늘고 있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Here, the above-described input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keypad or a peripheral device equipped with a keyboard (such as a mouse) such as a conventional keyboard or a dial pad, but may also be provided in a form such as a touch screen, which has recently been increasingly used. It is possible.

또한, 상기 기능키로는 입력된 단어 사이를 띄워주는 스페이스키(space key)나 이동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통상의 정보통신기기에 필요한 통화중지키나 신호전송키 또는 각종 메뉴키와 같은 특수 기능키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특수문자 입력키나 일본어-영어 입력모드 변환키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 key may include a space key or a moving key that floats between input words, and includes a special function key such as a call stop key, a signal transmission key, or various menu keys required for a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an be. If necessary, a special character input key or a Japanese-English input mode conversion key may be included.

상기 알파벳 데이터베이스는, 입력 장치에 구비된 획 키들이 눌러진 순서에 대응하는 일본어 알파벳 정보를 저장한다. 알파벳 데이터베이스는 물리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ROM(read only memory)과 같은 기억장치로 구성된다. 알파벳 데이터베이스에는 변이문자와 하첨자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lphabet database stores Japanese alphab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stroke keys included in the input device are pressed. The alphabetic database physically consists of storage devices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or read only memory (ROM). In the alphabetic database, it is desirable to additionally store information on mutant characters and subscripts.

상기 제어기는, 상술한 입력 장치로부터 최초로 기본키 입력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기본키 입력신호 다음에 기능키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알파벳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입력받은 기본키 및/또는 기능키의 신호순열에 대응하는 일본어 알파벳을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When the primary key input signal is first inputted from the above-described input device or the function key input signal is input after the basic key input signal, the controller inquires an alphabetic database and inputs the signal sequence of the basic key and / or function key received. Functions to extract the corresponding Japanese alphabet.

이 제어기는 일종의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This controller can be provided as a kind of program.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알파벳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어기가 물리적으로 일체화 된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alphabetic database and the controller may be provided as a physically integrated database and database program.

상기 표시 장치는, 모니터나 액정패널처럼 기 입력된 각종 정보 또는 전자기기의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The display device is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pre-inputted information such as a monitor or a liquid crystal panel.

제어부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작동관계를 조절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The control unit functions to adjust and control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의 어두에 위치한 알파벳을 하나 또는 둘 이상만 입력하여도 그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 또는 그와 유사한 단어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된 단어들 중에서 한 단어를 선택하여 원하는 단어의 입력을 단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only one or two or more alphabets located in the dark of the Japanese word to be input, the word to be entered or a similar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one word among the words displayed by the user You can also shorten the input of the desired word by selecting.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 소정의 사용빈도 이상인 일본어 단어와 이들 단어의 사용빈도 정보가 저장된 단어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며; (2) 상기 제어기에 의해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알파벳이 추출되면,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추출된 알파벳을 어두에 포함하는 소정 개수의 단어를 상기 표시부의 소정 부위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디스플레이된 단어 중 어느 하나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기능이 상기 제어부에 추가되고; (3) 상기 기능키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향키와, 커서에 의해 지정된 단어를 선택하여 상기 추출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알파벳과 치환하는 선택키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1) a word database in which Japanese words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of use or more and frequency of use of these words are stored; (2) When one or a plurality of alphabets are extracted by the controller, any one of the displayed words is displayed while querying the word database and display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words including the extracted alphabet in the dark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 function is added to the control to position the cursor at; (3) The function key may include a direction key for moving the cursor and a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word designated by the cursor and replacing the extracted one or a plurality of alphabets.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와 이들 단어의 사용빈도 정보가 저장되는데, 1~3개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는 단어는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ord database stores words with high frequency of use and frequency of use of these words. It is preferable to exclude words consisting of 1 to 3 alphabets.

또한,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어는 필요에 따라 기본형(a fundamental form)과 활용형(an inflected form)을 각각 별개의 단어로 취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word stored in the word database may be treated as a separate word for a fundamental form and an inflected form, if necessary.

그러나,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을 고려하여 ① 기본형만을 대상으로 하고, 사용자는 기본형을 선택한 후 별도의 키 입력으로 활용형으로 변환시키도록 하거나, ② 기본형만을 디스플레이 한 후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기본형에 대한활용형을 다시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considering the capacity of the database, ① target only basic types, and the user selects the basic type and converts it to utilization type by using a separate key input, or ② displays only the basic type and then selects one word. It is desirable to use a method of displaying the utility type agai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저장되는 단어의 종류 및 그의 사용빈도 순위의 결정은, 입력키의 숫자가 적은 전자기기, 예를 들면, 휴대폰의 문자메시지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Determination of the type of words to be stored and the frequency of use thereof can be determin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ext messages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mall number of input keys, for example, a mobile phone.

나아가, 이러한 정보는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면 분기별로 수정보완(up-date)될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such information may be up-dat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quarterly.

이때, 디스플레이 되는 단어는 한자에 오쿠리카나가 병기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한자표시기능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키(한자화키)가 채용되어 있어서 그 기능키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ed word is displayed in the form of writing Okuricana in Chinese characters. The user can select the user by operating the function key.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적절한 기능키와 연동시켜 다음 순위의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을 소정 개수 디스플레이 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necessary, it is also preferable to display a predetermined number of words or utilization forms of the next rank in association with an appropriate function key.

또한,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된 단어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단어 위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향키와, 커서에 의해 지정된 단어를 선택하여 상기 추출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알파벳과 치환하는 선택키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word to be input among the displayed words, the direction key for moving the cursor over the word, and the word specified by the cursor to select and replace the extracted one or a plurality of alphabets Contains an access key.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한 후 ① 방향키와 선택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된 단어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일본어 단어를 입력하거나, ②원하는 단어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다음 알파벳을 입력하게된다.Therefore, the user inputs one or more alphabets and then inputs a desired Japanese word by selecting the displayed word using the ① direction keys and the selection key, or ② continues to enter the next alphabet if the desired word is not displayed. .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중의 하나인 휴대용 전화기(10)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10)는 키패드(100_A)와 표시부(200)를 포함한다. 키패드(100_A)에는 2 개의 획들이 할당된 획 키들(110_A), 탁음, 반탁음 등의 변이문자를 생성하는 변이문자 생성키(120), 입력된 일본어 알파벳을 촉음 또는 요음으로 변환하는 하첨자 생성 변환키(130), 커서 이동을 위한 방향키(140), 히라카나-가타카나 변환키(150), 그리고 그 밖의 특수 기능키들(160, 170)이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10)는 가타카나로부터 추출된 획들에 대응하는 획 키들(110_A)을 구비하나 히라가나로부터 추출된 획들에 대응하는 획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telephone 10 which is one of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lephon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100_A and a display unit 200. The keypad 100_A includes stroke keys 110_A to which two strokes are assigned, a variant character generation key 120 for generating mutated characters such as a table sound and a semitone sound, and a subscript generation for converting an input Japanese alphabet into a tactile sound or a bass sound. A conversion key 130, a direction key 140 for moving a cursor, a hiragana-katakana conversion key 150, and other special function keys 160 and 170 are provided. The portable telephone 10 shown in FIG. 1 has stroke keys 110_A corresponding to strokes extracted from katakana, but may include stroke keys corresponding to strokes extracted from hiragana.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이 실시예에서 히라카나 및 가타카나 한 글자(character)는 일련의 두 키들의 누름에 의해 완성되는 소위 반자타법(半字打法)에 의해서 입력된다. 청음 か, さ, た 또는 は행의 문자가 입력된 후 변이문자 생성키(120)가 눌러지면, 청음 か, さ, た 또는 は행의 문자는 탁음 が, ざ, だ 또는 ば 행의 문자로 변환된다. 또, 청음 は행의 문자가 입력된 후 변이문자 생성키(120)가 눌러지면, 청음 は행의 문자는 반탁음인 ぱ 행의 문자로 변환된다. 모음(い)를 제외한 い단의 문자와 반모음 や, ゆ 또는 よ가 입력되고 나서 하첨자 생성 변환키(130)가 눌러지면, 반모음や, ゆ 또는 よ는 하첨자 크기로 작아진다. つ가 입력된 후 하첨자 생성 변환키(130)가 눌러지면, つ는 촉음으로 변환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탁음, 반탁음에 해당하는 문자를 "변이문자"로, 타 문자에 하첨(下添)되는 문자를 "하첨자"로 각각 지칭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hirakana and katakana single characters are input by the so-called anti-jata method, which is completed by pressing a series of two keys. When the mutant character generation key 120 is pressed after a character of the listening か, さ, た or は line is input, the characters of the listening か, さ, た or は line are the characters of the line 탁, ざ, だ or ば line. Is converted. In addition, when the mutant character generation key 120 is pressed after the letter of the listening line is input, the character of the listening line is converted into the letter of the line B, which is a halftone sound. If the letter of the step I except the vowel and the half vowels YA, YU or YO is input and then the subscript generation conversion key 130 is pressed, the half vowels YA, YU or YO become smaller to the subscript size. After subscript is input and subscript generation conversion key 130 is pressed, つ is converted into a tactile sou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letters corresponding to Takum and Bantaum will be referred to as "mutant letters" and letters subscripted to other letters as "subscripts", respectively.

휴대용 전화기(10)의 일본어 알파벳 입력모드는 히라카나 입력 모드와 가타카나 입력 모드를 포함한다. 히라카나 입력 모드와 가타카나 입력 모드는 히라카나-가타카나 변환키(150)를 누를 때마다 번갈아 선택되며, 현재의 입력 모드를 표시부(200)의 소정 영역에 표시한다.The Japanese alphabet input mode of the cellular phone 10 includes a hiragana input mode and a katakana input mode. The hiragana input mode and the katakana input mode are alternately selected each time the hiragana to katakana conversion key 150 is pressed, and the current input mode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20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10)의 회로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전화기(10)는, 도 1에 도시된 키패드(100_A), 표시부(200)뿐만 아니라 제어부(300), 알파벳 데이터베이스(400) 및 단어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한다. 알파벳 데이터베이스(400)는 일련의 획 키들(110_A) 및 기능키들(120-160)의 누름에 대응하는 가타카나 및 히라가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단어 데이터베이스(500)는 단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어들의 사용 빈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키패드(100_A)는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제어부(300)는, 키패드(100_A)로부터 입력되는 일련의 신호들에 대응하는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를 알파벳 데이터 베이스(40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200)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고, 키패드(100_A)로부터 입력되는 일련의 신호들에 대응하는 단어들을 단어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200)의 소정 영역에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200)에 표시되는 단어들은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들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10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lephone 10 includes a controller 100, an alphabet database 400, and a word database 500 as well as the keypad 100_A and the display unit 200 illustrated in FIG. 1. The alphabet database 400 stores katakana and hiragan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ressing of a series of stroke keys 110_A and function keys 120-160. The word database 500 stores words an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words. The keypad 100_A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to the controller 300. The controller 300 reads the hiragana or katakana corresponding to a series of signals input from the keypad 100_A from the alphabet database 400, displays the hiragana or katakana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display unit 200, and inputs the input from the keypad 100_A. Words corresponding to a series of signals are read from the word database 500 an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200. In this case, the wor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are words that have a high frequency of use.

다음 표 1은 총 46 개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가타카나(カタカナ)로부터 추출된 20 개의 도형들과 각 도형들에 관련있는 가타카나를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 도형들은 획이라 정의한다.Table 1 shows 20 figures extracted from katakana consisting of a total of 46 characters, and the katakana related to each figure. In this embodiment, each figure is defined as a stroke.

상기 획들은 최소 10 개 이상의 키들이 장착된 키보드나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알파벳 입력부 상에 배치된다.The strokes are placed on an alphabet input such as a keyboard, keypad or touch screen equipped with at least 10 key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 전화기(10)는 키패드(100_A)에 구비할 수 있는 키의 수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하나의 획 키에 2 개의 획들이 할당되나, 컴퓨터용 키보드처럼 사용할 수 있는 키의 수가 많은 입력수단인 경우에는 하나의 획이 하나에 키에 즉 1:1 대응방식으로 할당될 것이다.The portable telephone 10 as shown in FIG. 1 has a limited number of keys that may be provided in the keypad 100_A. Therefore, two strokes are allocated to one stroke key. However, in the case of an input means having a large number of keys that can be used like a computer keyboard, one stroke will be assigned to one key, that is, in a 1: 1 correspondence.

또한, 2개 한 쌍으로 표시된 기본도형은 본 실시예와 다른 방식으로 조합되어 키 표면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키의 배치는 본 발명의 본질이 아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각각의 기능키 위치를 바꿔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하첨자 생성 변환키(130)는 획 키들(110_A)과의 조합을 통해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거나 단독으로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sic figures shown in two pairs may be combined and displayed on the key surface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since the arrangement of these keys is not essential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function keys can be changed. In addition, the subscript generation conversion key 130 may perform a given functio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stroke keys 110_A.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에 의한 20개의 기본 획들이 각각 하나의 획 키(따라서 20개의 획 키들)에 할당될 때, 획 키들이 눌러진 순서에 대응하는 가타카나를 보여주고 있고, 표 3은 상기 기본 획들이 가장 적절하게 2개씩 조합되어서 하나의 획 키(따라서 10개의 기본키)에 할당될 때, 획 키들이 눌러진 순서에 대응하는 가타카나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키패드(100_A)의 획 키들(110_A)과 변이문자 생성키(120) 그리고 하첨자 생성 변환키(130)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Table 2 below shows the katakana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stroke keys are pressed when 20 basic strok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assigned to one stroke key (and thus 20 stroke keys), and Table 3 shows the above. When the basic strokes are most appropriately combined in two and assigned to one stroke key (and thus ten primary keys), it shows the katakana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stroke keys were pressed. 3 is an enlarged view of stroke keys 110_A, a variant character generation key 120, and a subscript generation conversion key 130 of the keypad 100_A shown in FIG.

표 2 및 표 3에서는 일련의 획 키들이 눌러짐에 따라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로 입력되는 가타카나 만을 표시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히라가나-가타카나 변환키(150)를 이용하여 히라가나도 입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Tables 2 and 3, only the katakana input to 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s displayed as a series of stroke keys are pressed, but it is obvious that hiragana can also be input using the hiragana-katakana conversion key 150 as described above. Do.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입력하고자 하는 알파벳(가타카나 기준)의 필순에 따라 상술한 20개의 기본도형 중 2개를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46개의 기본문자를 모두 입력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2, 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d inputs two of the 20 basic figures according to the alphabetical order of the alphabet (Katakana standard) to input all 46 basic characters. You can enter

또한,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か, さ, た 또는 は행의 문자가 입력된 후 변이문자 생성키(120)가 한 번 눌러지면, か, さ, た 또는 は행의 문자는 탁음 が, ざ, だ 또는 ば 행의 문자로 변환된다. 또, 청음 は행의 문자가 입력된 후 변이문자 생성키(120)가 연속해서 두 번 눌러지면, 청음 は행의 문자는 반탁음인 ぱ 행의 문자로 변환된다. 또, 하첨자 생성 변환키(130)를 이용하여 요음 및 촉음을 입력할 수 있다. 즉, 표 2 및 표 3에서는 하첨자로 사용되는 ア,イ,ウ,エ,オ,ツ,ヤ,ユ 및 ヨ의 합성규칙에 대한 것은 생략하였는데, 이들 문자들은 획 키를 2회 입력 후 변이문자 생성키(120)를 누르거나 하첨자 생성 변환키(130)를 누름으로써 간단히 해결될 수 있다. 특히, 하첨자로 많이 사용되는 ツ,ヤ,ユ 및 ヨ은 기본키의 입력 없이 직접 하첨자생성변환키를 누른 후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ables 2 and 3, if the mutant character generation key 120 is pressed once after the characters か, さ, た or は, are entered, the characters か, さ, た or は are The sound is converted to characters on the が, ざ, だ, or ば line. In addition, if the mutant character generation key 120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after the character of the listening line is inputted, the character of the listening line is converted to the character of the line 인, which is a halftone sound. In addition, by using the subscript generation conversion key 130, the sound and the sound may be input. In other words, Table 2 and Table 3 omit the synthesis rules of A, I, W, E, O, ツ, ヤ, ユ, and 사용, which are used as subscripts. It can be solved simply by pressing the character generation key 120 or by pressing the subscript generation conversion key 130. In particular, ツ, ヤ, ユ and 되는, which are frequently used as subscripts,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ed by using a direction key or the like after directly pressing a subscript generation conversion key without inputting a primary key.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10)의 키패드(100_A)를 다르게 구성한 변형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획 키들(110_A)과 변이문자 생성키(1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나, 하첨자 생성 변환기(130_1)는 도 1에 도시된 하첨자 생성 변환기(130)와 달리 직접 요음을 입력한다. 즉, 하첨자 생성 변환기(130_1)가 한 번 눌러지면 ャ, 연속해서 두 번 눌러지면 ュ 그리고 연속해서 세 번 눌러지면 ョ에 대응하는 신호가 제어부(300)로 입력되고, 표시부(200)에 표시된다.FIG. 4 illustrates a modification in which the keypad 100_A of the portable telephone 10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differently. Referring to FIG. 4, the stroke keys 110_A and the mutated letter generation key 120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1, but the subscript generation converter 130_1 is different from the subscript generation converter 130 shown in FIG. 1. Otherwise enter the note directly. That is, when the subscript generating converter 130_1 is pressed once, ャ, twice in succession, ュ and three times in succession, a signal corresponding to ョ is input to the controller 3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do.

한편, 문장부호 중 마침표는키 또는키를 누른 후 변이문자 생성키(120)를 눌러 생성할 수 있으며, 쉼표는키를 연속 2회 조작하여 생성할 수 있고, 장음기호는키를 2회 연속으로 눌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ノ-ト"(note)에서와 같은 장모음 표시(-)는또는를 2회 입력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periods in punctuation Key or After pressing the key can be generated by pressing the variant character generation key (120), the comma is Can be generated by operating the key twice in succession. Can be generated by pressing the key twice in succession. Also, long vowel marks (-) as in "ノ-ト" (note) or Can be displayed by inputting twice.

계속해서, 상기 휴대용 전화기(10)에 일본어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로 든 단어는, "선물"을 뜻하는 'プレザント'이다.Subsequently, a process of inputting Japanese words into the portable telephone 10 will be described. An example word is プ レ ザ ン ト which means "gift".

먼저, 키패드(100_A)에 구비된 획 키들(110_A) 중에서 숫자 5가 표시되어 있는 획 키를 2회 연속으로 누른 후, 변이문자생성키(120)를 1회 누른다. 키패드(100_A)로부터 획 키들,의 누름에 대응하는 신호들이 제어부(300)로 전달된다. 제어부(300)는 알파벳 데이터베이스(400)를 조회하여 획 키들,의 누름에 대응하는 フ를 독출해서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한다. 나머지 글자들 "レザント"도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된다.First, two strokes of the stroke keys 110_A included in the keypad 100_A are sequentially pressed twice, and then the mutated character generation key 120 is pressed once. Stroke keys from keypad 100_A , An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of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00. The control unit 300 inquires the alphabet database 400 and strokes the keys. , And F corresponding to pressing of is read ou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The remaining letters "レ ザ ン ト" are also sequentially in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휴대용 전화기(10)에 'プレザント'을 입력하는 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다.Another method for inputting the 'preset' into the portable telephone 10 is as follows.

우선, 사용자가 획 키들,을 누른다. 제어부(300)는 획 키들,의 누름에 대응하는 'フ'를 알파벳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독출해서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단어 데이터베이스(500)를 조회하여 'プ'를 어두에 포함하는 단어 중 사용빈도가 높은 순위대로, 예를 들면 5개까지를 추출하여 표시부(200)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된 단어들 중에서 원하는 단어가 있으면 방향키나 선택키를 눌러 선택하면 된다. 한편, 추출된 알파벳을 어두에 포함하는 단어가 오직 1개뿐인 경우 자동적으로 그 단어가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user strokes keys , And Press. The control unit 300 is stroke keys , And 'F' corresponding to pressing of is read out from the alphabet database 4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Then, the controller 300 searches the word database 500 and extracts, for example, up to five of the words including 'プ' in the dark, and displays them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200. do. Therefore, when the user has a desired word among the wor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the user may select by pressing the direction key or the selection key.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only one word including the extracted alphabet in the dark, it is preferable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word on the display unit 200.

그러나,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된 단어들 중에서 원하는 단어가 없을 경우 다음의 2가지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패드(100_A)에 배치된 키들 중에서 단어 조회 기능이 부여된 특정 기능키가 눌러지면 'プ'를 어두에 포함하고 있으면서 사용빈도 순위가 낮아 처음에는 디스플레이 되지 않았던 나머지 단어들 중 5개가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プレ'가 입력되고 나서 'プレ'를 어두에 포함하고 있는 단어들이 사용빈도 순위에 따라 1개 내지 5개 디스플레이된다.However, if there is no desired word among the wor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one of the following two methods may be selected. For example, when a specific function key to which word search function is assigned among the keys arranged on the keypad 100_A is pressed, five of the remaining words that are not initially displayed because the frequency of use is low and include 'プ' are dark. The display unit 200 is displayed. Alternatively, after the word 'fre' is input, 1 to 5 words including 'fre' in the dark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한편, 일본어는 가타카나와 히라카나를 구별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획들은 가타카나에 기초한 것이지만 키패드(100_A) 상에 히라카나-가타카나 변환키(150)를 두어서 필요에 따라 입력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Japanese uses katakana and hirakana differently, as shown in FIG. 1, basic strokes are based on katakana, but by placing a hirakana-katakana conversion key 150 on the keypad 100_A as necessary.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witch the input mode.

나아가, 히라카나 입력모드에서 입력된 단어는, 소위 문화일본어의 표기법에 맞추어, 어두부분은 한자로 표시하고 어미는 히라카나(오쿠리카나)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ord entered in the hiragana input mode be displayed in kanji and the ending in hirakana (okuricana) in accordance with the so-called cultural Japanese nota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용 전화기(20)의 키패드(100_B)에 히라가나를 분해하여 추출한 획들이 획 키들(110_B)에 할당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20)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10)와 동일하게 키패드(100_B)와 표시부(200)를 구비한다. 키패드(100_B)는 2 개의 획들이 할당된획 키들(110_B), 탁음, 반탁음 등의 변이문자를 생성하는 변이문자 생성키(120), 입력된 일본어 알파벳을 촉음 또는 요음으로 변환하는 하첨자 생성 변환키(130), 커서 이동을 위한 방향키(140), 히라카나-가타카나 변환키(150), 그리고 그 밖의 특수 기능키들(60)이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키패드(600)의 각 획 키들(610)에는 히라가나로부터 추출된 획들이 할당된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10)에서, 10 개의 숫자키들에는 각각 획 키가 할당되고 '*' 키에는 변이문자 생성키가 할당되고 그리고 '#' 키에는 하첨자 변환키가 할당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라가나로부터 추출된 획들은 모두 12 개의 키들에 할당되어야 하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다른 용도로 사용되던 기능키들(160, 170)을 변이문자 생성키(120)와 하첨자 변환키(130)로 할당하여 사용한다. 12 개의 획 키들에 할당되는 획은,,,,,,,,,,이다.FIG. 5 shows that strokes extracted by decomposing hiragana in the keypad 100_B of the portable telephone 20 are assigned to the stroke keys 110_B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lephone 20 illustrated in FIG. 4 includes a keypad 100_B and a display unit 200 in the same manner as the portable telephone 10 illustrated in FIG. 1. The keypad 100_B is a variable key generation key 120 for generating mutated characters such as stroke keys 110_B assigned to two strokes, a table sound, and a semitone sound, and a subscript generation for converting an input Japanese alphabet into a tactile sound or a bass sound. A conversion key 130, a direction key 140 for moving a cursor, a hiragana-katakana conversion key 150, and other special function keys 60 are provided. Strokes extracted from hiragana are assigned to respective stroke keys 610 of the keypad 600 illustrated in FIG. 5. In the portable telephone 10 shown in Fig. 1, the ten number keys are assigned a stroke key, the '*' key is assigned a variant character generation key, and the '#' key is assigned a subscript conversion key. However, as shown in FIG. 5, since the strokes extracted from hiragana must all be assigned to 12 keys, in this embodiment, the function keys 160 and 170 used for other purposes in FIG. 120 and the subscript conversion key 130 are used. The stroke assigned to the 12 stroke keys is , , , , , , , , , , And to be.

도 6a 내지 도 6c는 히라가나 46 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 순서를 정리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히라가나 한 자는 2 개 또는 3 개의 획 키들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휴대용 전화기(20)로 입력된다. 예컨대, 'ぁ'는 획 키들을 순차적으로 누름으로서 입력된다. 또다른 예로서 'か'는 획 키들,을 순차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휴대용 전화기(20)로 입력된다. 그러나, 획 키들과 조합되어서 히라가나 한 자를 형성하는 획 키는뿐이므로, 획 키들가 입력되면 'か'를 입력하기 위한 획 키들,이 눌러진 것으로 간주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 괄호 '()' 안에 씌여진 키는 이와 같이 생략 가능한 키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히라가나 46 자는 각각 2 개의 획 키들을 누르는 것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2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ひ'는 획 키들의 누름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의 누름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6A to 6C collectively show key pressing sequences for inputting Hiragana 46 characters. 6A-6C, the hiragana kanji is input to the portable telephone 20 by pressing two or three stroke keys. For example, 'ぁ' is the stroke keys And It is input by pressing sequentially. As another example, 'か' is the stroke keys , And It is input to the portable telephone 20 by sequentially pressing. However, stroke keys And In combination with the to form a hiragana kanji Only stroke keys And Stroke keys for entering 'か' when is input , And Is considered pressed. Keys written in parentheses '()' in FIGS. 6A to 6C indicate keys that can be omitted.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hiragana 46 characters can be input to the portable telephone 20 by pressing two stroke keys, respectively. Meanwhile, 'ひ' is the stroke keys And Entered by pressing And Can be entered by pressing.

또한,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20)의 획 키들(110_B)에는 히라가나로부터 추출된 획들이 각각 할당되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히라가나/가타카나 변환기(150)를 이용하여 히라가나 뿐만 아니라 가타카나도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stroke keys 110_B of the portable telephone 20 illustrated in FIG. 5 are respectively assigned strokes extracted from hiragana. As described above, hiragana / katakana converter 150 is used to input not only hiragana but also katakana. can do.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10, 20)에 구비되는 키들의 크기는 작아서 가타카나로부터 추출된 획들과 히라가나로부터 추출된 도형을 동시에 키들에 표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휴대용 전화기(10, 20) 제조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히라가나로부터 추출된 획들을 키들에 할당하거나 또는 가타카나로부터 추출된 획들을 키들에 할당하여 표시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떠한 방식을 채용하더라도 히라가나/가타카나 변환기(150)를 이용하여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모두 입력할 수 있다.In general, the keys provided in the portable telephones 10 and 20 are so small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simultaneously display strokes extracted from katakana and figures extracted from hiragana on the keys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manufacturer of the portable telephone 10, 20 assigns and extracts strokes extracted from hiragana to keys or assigns strokes extracted from katakana to key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even if employing any method, it is possible to input both the hiragana and katakana using the hiragana / katakana converter 150.

도 7a 및 도 7b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의 다른 예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30은 PDA, 참조번호 31_A 및 31_B는 키패드 그리고 참조번호 32는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이고 그리고 참조번호 33은 눌러진 키와 관련있는 히라가나/가타카나 또는 입력된 히라가나/가타카나와 관련있는 단어들이 표시되는 제 2 표시부이다. 키패드(31_A 및 31_B)에 구비된 키들 가운데 참조번호 34는 히라가나/가타카나 변환기(34)이고, 참조번호 35는 변이문자 생성키 그리고 참조번호 36은 하첨자 변환키이다.7A and 7B sh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which are other examples of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7A and 7B,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PDA, reference numerals 31_A and 31_B are keypads, and reference numeral 32 is a first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s, and reference numeral 33 is a hiragana / key associated with a pressed key. It is a second display unit in which words related to katakana or input hiragana / katakana are displayed. Among the keys provided in the keypads 31_A and 31_B, reference numeral 34 is a hiragana / katakana converter 34, reference numeral 35 is a variant character generation key, and reference numeral 36 is a subscript conversion key.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대부분의 PDA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채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히라가나/가타카나 변환기(34)가 눌러질 때마다 히라가나 입력 모드와 가타카나 입력 모드는 번갈아 선택되고,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의 자판 배열이 변화된다. 즉, 가타카나 입력 모드일 때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타카나로부터 추출된 획들이 할당된 키패드(31_A)를 디스플레이하고, 히라가나 입력 모드일 때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라가나로부터 추출된 획들이 할당된 키패드(31_B)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타카나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가타카나로부터 추출된 획들을 이용하여 그리고 히라가나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히라가나로부터 추출된 획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PDA에 히라가나/가타카나를 입력할 수 있다. PDA에 히라가나/가타카나를 입력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된 휴대용 전화기에 히라가나/가타카나를 입력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is well known, most PDAs employ a touch scree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hiragana / katakana converter 34, the hiragana input mode and the katakana input mode are alternately selected, and the keypad arrangement of the displayed keypad is changed. That is, in the katakana input mode, as shown in FIG. 7A, the keypad 31_A to which the strokes extracted from the katakana are assigned is displayed, and in the hiragana input mode, the strokes extracted from the hiragana are allocated as shown in FIG. 7B. The keypad 31_B is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input hiragana / katakana to the PDA by using strokes extracted from katakana when inputting katakana and using strokes extracted from hiragana when inputting hiragana. Since the method of inputting hiragana / katakana to the PDA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inputting hiragana / katakana to the portable phone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a 및 도 8b는 PDA에 가타카나를 입력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PDA(30)에 'コ' 를 입력하기 위해서 획 키를 눌렀을 때, 획 키와의 조합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가타카나들은 'ヒ', 'ユ', 'コ', 'ロ' 및 'ヨ'이다. 그리고, 가타카나 'ヒ', 'ユ', 'コ', 'ロ' 또는 'ヨ'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키는,,,또는이다. 따라서, 키패드(30_A)에는 획들,,,대신에 'ヒ', 'ユ', 'コ', 'ロ' 및 'ヨ'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 도시된 가타카나들 'ヒ', 'ユ', 'コ', 'ロ' 및 'ヨ' 가운데 'コ'를 누름으로서 'コ'를 입력할 수 있다.8A and 8B illustrate an example of a method of inputting katakana into a PDA. First, referring to FIG. 8A, a stroke key is used to input 'コ' into the PDA 30. When you press, the stroke key The katakanas that can be entered by combination with are 'ヒ', 'ユ', 'コ', 'ロ' and 'ヨ'. The key required to enter Katakana 'ヒ', 'ユ', 'コ', 'ロ' or 'ヨ' , , , or to be. Thus, the keypad 30_A has strokes , , , And Instead 'ヒ', 'ユ', 'コ', 'ロ' and 'ヨ' ar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may input 'コ' by pressing 'コ' among the katakanas 'ヒ', 'ユ', 'コ', 'ロ' and 'ヨ' shown on the scree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가타카나 획들에 익숙치 않은 초심자들이나 가타카나 획들의 배열을 기억하고 있지 못한 자들에게 가타카나 입력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가타카나 입력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the katakana input to beginn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katakana strok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who do not remember the arrangement of the katakana strokes, and to shorten the katakana input time.

도 8b는 사용자에 의해서 'コ'가 입력되었을 때 PDA(30)의 제 1 및 제 2 표시부들(32, 33)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 1 표시부(32)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コ'가 디스플레이되고, 제 2 표시부(33)에는 'コ'와 관련된 단어들 가운데 사용빈도가 높은 3개의 단어들 'コロヒロ', 'コツプ' 및 'コビロ'가 디스플레이된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상기 세 개의 단어들 가운데 하나이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단어를 선택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하기를 원하는 단어의 스펠링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타카나 입력 시간이 단축된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상기 세개의 단어들 중에 없다면 키패드(31_A)에 디스플레이된 획들을 이용하여 다음 글자를 직접 입력하면 된다.FIG. 8B exemplarily shows what i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32 and 33 of the PDA 30 when 'CO' is input by the user. Referring to FIG. 8B, 'CO' input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2, and three words 'CORO' is used frequently among words related to 'コ' on the second display unit 33. ',' コ ツ プ 'and' コ ビ ロ 'are displayed. If the word to be input by the user is one of the three words, the user selects a desired word by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stylus. According to this method,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to input the spelling of the word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the katakana input time is shortened. If the word to be input by the user is not among the three words, the next letter may be directly input by using the strokes displayed on the keypad 31_A.

도 9a 및 도 9b는 PDA에 히라가나를 입력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PDA(30)에 'ふ'를 입력하기 위하여키를 눌렀을 때와의 조합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히라가나들은 'ら', 'ふ', 'う' 또는 'え'이다. 그리고, 히라가나 'ら', 'ふ', 'う' 또는 'え'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다음 획은,,또는이다. 따라서, PDA(30)는 키패드(31_B)의 획,,의 위치에 'ら', 'ふ', 'う' 또는 'え'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31_B)에 디스플레이된 4 개의 히라가나들 'ら', 'ふ', 'う' 또는 'え' 가운데 'ふ'를 누름으로서 'ふ'를 입력할 수 있다.9A and 9B illustrate an example of a method of inputting hiragana into a PDA. First, referring to FIG. 9A, in order to input 'ふ' into the PDA 30 When the key is pressed Hiragana that can be entered by the combination of and is 'ら', 'ふ', 'う' or 'え'. And the next stroke needed to enter hiragana, ら, ふ, う, or え , , or to be. Therefore, the PDA 30 strokes the keypad 31_B. , , And Display 'ら', 'ふ', 'う' or 'え' at the position of. Therefore, the user may input 'ふ' by pressing 'ふ' among the four hiragana 'Ra', 'ふ', 'う' or 'え' displayed on the keypad 31_B.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히라가나 획들에 익숙치 않은 초심자들이나 히라가나 획들의 배열을 기억하고 있지 못한 자들에게 히라가나 입력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히라가나 입력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hiragana input to the beginn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hiragana strok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o those who do not remember the arrangement of the hiragana strokes, and to reduce the hiragana input time.

도 9b는 사용자에 의해서 'ふ'가 입력되었을 때 PDA(30)의 제 1 및 제 2 표시부들(32, 33)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 1 표시부(32)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ふ'가 디스플레이되고, 제 2 표시부(32)에는 와 관련된 단어들 가운데 사용빈도가 높은 3 개의 단어들 'ふつう(普通)', 'ふね(船)' 및 'ふゆ(冬)'가 디스플레이된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상기 세 개의 단어들 가운데 하나이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단어를 선택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하기를 원하는 단어의 철자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히라가나 입력 시간이 단축된다. 만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상기 세 개의 단어들 중에 없다면 키패드(31_B)에 디스플레이된 획들을 이용하여 다음 글자를 직접 입력하면 된다.FIG. 9B exemplarily shows what i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2 and 33 of the PDA 30 when 'ふ' is input by the user. Referring to FIG. 8B, 'ふ' input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2, and three words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mong words related to ar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32. ',' ふ ね (船) 'and' ふ ゆ (冬) 'are displayed. If the word to be input by the user is one of the three words, the user selects a desired word by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stylus.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hiragana input time is shortened because the user does not have to input the spelling of the word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If the word to be input by the user is not among the three words, the next letter may be directly input by using the strokes displayed on the keypad 31_B.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그러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exemplary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roadly as possible to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similar construction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히라가나 46자, 가타카나 46자, 촉음, 요음, 탁음, 반탁음과 같이 많은 수의 일본어 알파벳을 제한된 수의 키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더욱이, 입력된 히라가타 또는 가타카나를 어두에 포함하는 단어들 가운데 사용빈도가 높은 다수의 단어들을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를 끝까지 입력하지 않고도 방향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large number of Japanese alphabets such as 46 hiragana characters, 46 katakana characters, tactile sounds, bass sounds, tuck sounds, and half-tone sounds can be easily input to 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limited number of keys. In addition, by displaying a plurality of words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mong the words including the input hiragata or katakana in the dark, the user can easily input the desired words without using the direction keys.

Claims (13)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일본어 알파벳의 기본 획들에 각각 대응하는 획 키들과 복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입력 장치와;An input device having stroke keys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basic strokes of the Japanese alphabet; 일본어 알파벳 코드들을 저장하는 알파벳 데이터베이스와;An alphabetic database that stores Japanese alphabetic codes; 표시 장치; 그리고Display device; And 상기 획 키들 및 상기 기능키들 중 어느 하나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알파벳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일본어 알파벳들 중 상기 눌러진 키와 관련된 일본어 알파벳들이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Japanese characters related to the pressed key among the Japanese alphabets stored in the alphabet databas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any one of the stroke keys and the function keys.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능키들은,The function keys, 일본어 알파벳의 입력 모드를 히라가나(ひらがな) 입력 모드와 가타카나(カタカナ) 입력 모드로 변환시키기 위한 히라가나-가타카나 변환키와;A hiragana-katakana conversion key for converting an input mode of a Japanese alphabet into a hiragana input mode and a katakana input mode; 일본어 알파벳의 탁음과 반탁음을 입력하기 위한 변이문자 생성키; 그리고Mutation character generation key for inputting the sound and halftone sound of the Japanese alphabet; And 일본어 알파벳의 요금과 촉음을 입력하기 위한 하첨자 생성 변환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a subscript generating conversion key for inputting a fee and a touch of a Japanese alphab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일본어 단어들과 상기 일본어 단어들의 사용 빈도를 저장하는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A word database for storing Japanese words and frequency of use of said Japanese words;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단어 데이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눌러진 키와 관련된 일본어 알파벳들이 사용 빈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열대로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Japanese alphabets related to the pressed key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a preset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with reference to the word databas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획 키들에 할당되는 기본 획은 가타카나의 기본 획들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The basic strokes assigned to the stroke keys are the basic strokes of katakana. , , , , , , , , , , , , , , , , , , And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기는,The controller,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W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O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k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ス,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in sequence, the Japanese alphabet te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ト,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ニ,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ネ,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f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マ,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マ,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ミ,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ミ, when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ム,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ム,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メ, 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メ,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ヤ, 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ヤ,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Ra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ル,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또는,또는,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or , or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ロ,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ワ,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ワ,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구리고The stroke keys , Pressed by the Japanese alphabetical order ヲ, gurigo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이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The stroke keys , And if so pressed, the Japanese alphabet 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기본 획들은 2개씩 쌍으로 묶여서 10 개의 획 키들에 각각 할당되며;The basic strokes are grouped in pairs of two and assigned to ten stroke keys each; 상기 획 키들에 할당되는 키들은 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The keys assigned to the stroke keys are each , , , , , , , , And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기는,The controller,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W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O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k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ス,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マ,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マ,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ミ,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ミ, when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ム,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ム,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メ, 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メ,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ヤ,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ヤ,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in sequence, the Japanese alphabet te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ト,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ニ,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ネ,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f , 상기 획 키들,또는,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or ,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the keys are pressed in sequence,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Ra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ル,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 상기 획 키들,또는,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The stroke keys , or , Press this sequence when Japanese alphabet ロ,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ワ,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ワ,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그리고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in sequence, the Japanese alphabet , and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이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The stroke keys , And if so pressed, the Japanese alphabet 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획 키들에 할당되는 기본 획은 히라가나의 기본 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The basic stroke assigned to the stroke keys is the basic stroke of hiragana , , , , , , , , , , And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기는,The controller,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あ,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あ,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い,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い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う,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う,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え,The stroke keys ,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え,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お,The stroke keys ,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お,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か,The stroke keys ,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か,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き,The stroke keys , , If you press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き,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く,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く,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け,The stroke keys , け, when the Japanese alphabe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こ,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こ,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さ,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さ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し,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し,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す,The stroke keys , If it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す,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せ,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せ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또는,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そ,The stroke keys , , or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そ,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た,The stroke keys ,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た,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ち,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ち, when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つ,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つ,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또는,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て,The stroke keys , or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と,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と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또는,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な,The stroke keys , , or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な,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に,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に,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ぬ,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ぬ,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ね,The stroke keys , ね, when the Japanese alphabe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の,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の,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は,The stroke keys , If it is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は, 상기 획 키들,또는,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ひ,The stroke keys , or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ひ, 상기 획 키들,또는,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ふ,The stroke keys , or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ふ,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へ,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へ,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ほ,The stroke keys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ほ,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ま,The stroke keys , If it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ま, 상기 획 키들,,또는,,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み,The stroke keys , , or , , Japanese alphabet み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む,The stroke keys , , Japanese alphabet む when it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め,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め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も,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も when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や,The stroke keys , , Is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や,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ゆ,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ゆ,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よ,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よ, when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ら,The stroke keys ,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ら,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り,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Japanese alphabet り,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る,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る is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れ,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れ,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ろ,The stroke keys , When pressed sequentially, the Japanese alphabet ろ,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わ,The stroke keys , Japanese alphabet わ when pressed sequentially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を, 그리고The stroke keys , , When pressed in sequence, the Japanese alphabet を, and 상기 획 키들,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일본어 알파벳 ん이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The stroke keys , And if so pressed, the Japanese alphabet 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이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control the display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9,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said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s a portable telephone.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9,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히라가나-가타카나 변환키가 눌러질 때마다 히라가나 획 키들과 가타카나 획 키들이 번갈아 상기 PDA의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the hiragana stroke keys and the katakana stroke keys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DA each time the hiragana to katakana conversion key is pressed.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일본어 알파벳에 대응하는 두 개의 획 키들 중 첫 번째 키가 입력되면, 상기 첫 번째 키에 연이어 입력될 수 있는 획 키들만 상기 PDA의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when the first key of the two stroke key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alphabet is input, only the stroke keys that can be successively inputted to the first key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DA.
KR1020020013029A 2002-03-11 2002-03-11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capable of inputting japaness alphabet KR2003007346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029A KR20030073461A (en) 2002-03-11 2002-03-11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capable of inputting japaness alphabet
JP2002353022A JP2003271297A (en) 2002-03-11 2002-12-04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japanese alphabet inpu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029A KR20030073461A (en) 2002-03-11 2002-03-11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capable of inputting japaness alphab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461A true KR20030073461A (en) 2003-09-19

Family

ID=2920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029A KR20030073461A (en) 2002-03-11 2002-03-11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capable of inputting japaness alphabe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271297A (en)
KR (1) KR20030073461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384A (en) * 1999-12-01 2000-03-06 김용숙 Character input device by compounding basic sentence pattern
KR20010051183A (en) * 1999-10-21 2001-06-25 정희성 Method for generating characters and/or symbols and th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KR20010064215A (en) * 1999-12-24 2001-07-09 김용숙 Apparatus for inputting japanese and english by combining basic sentence pattern
KR20020055834A (en) * 2000-12-29 2002-07-10 안상범 A word input device with letter reconizing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183A (en) * 1999-10-21 2001-06-25 정희성 Method for generating characters and/or symbols and th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KR20000012384A (en) * 1999-12-01 2000-03-06 김용숙 Character input device by compounding basic sentence pattern
KR20010064215A (en) * 1999-12-24 2001-07-09 김용숙 Apparatus for inputting japanese and english by combining basic sentence pattern
KR20020055834A (en) * 2000-12-29 2002-07-10 안상범 A word input device with letter reconizin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71297A (en)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88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947771B2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64115B1 (en) Key input device
JP2011524595A (en) Methods for customizing data entry for individual text fields
JP2008059568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numeric keypad
US20040105714A1 (en) Arabic-persian alphabet input apparatus
KR20000007129A (en) Input Method of the Korean Alphabet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Keyboard Layout thereof
KR1003652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KR101249329B1 (en)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KR20030073461A (en)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capable of inputting japaness alphabet
KR100766717B1 (en) A text inputting method
JP3110695B2 (en) Key input device
JP2000276288A (en) Portable terminal
KR100436426B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JP3109642U (en) Portable Korean input device
KR100428691B1 (en)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JP2001075708A (en) Key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KR20030034270A (en) Japanese alphabet inputting device
KR20030089190A (en)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KR20030048200A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pecific key-buttons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JP2001265503A (en) Information processor
KR200324244Y1 (en) Keypad for Entry of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Alphabets
JP2001265496A (en) Information processor,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allow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recorded thereon
KR200407401Y1 (en) Hangeul input equipment
KR200289449Y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