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156A -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156A
KR20030073156A KR1020020012557A KR20020012557A KR20030073156A KR 20030073156 A KR20030073156 A KR 20030073156A KR 1020020012557 A KR1020020012557 A KR 1020020012557A KR 20020012557 A KR20020012557 A KR 20020012557A KR 20030073156 A KR20030073156 A KR 20030073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body casing
main body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조영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156A/ko
Publication of KR2003007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15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2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inlet and outlet arranged on the same side, e.g. for mounting in a wall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판면에 공기배출구(10a)가 형성된 본체케이싱(10) 내부에서 압축기 및 응축기에 의해 발생된 열을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12)이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를 베란다(B) 등에 설치할 때, 상기 본체케이싱(10)의 외면에 상기 공기배출구(10a)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공기배출구(10a)를 통해 송풍되는 열기의 배출방향을 베란다(B) 밖으로 안내하는 열기안내부재(20,120,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기에서 배출되는 열기의 배출방향을 안내하여 베란다 밖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실외기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열기가 다시 설치공간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Guide Structure for Deflation of Air at Air-Conditioner Outdoor Part}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란다 등에 설치된 실외기에서 방출되는 열기(토출공기)의 배출방향을 안내하여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열기가 다시 설치공간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열기의 송풍방향을 안내하는 열기안내부재가 마련된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설치방식에 따라 벽걸이형 에어컨 및 스탠드형 에어컨로 구분되며, 그 구조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마련된 일체형 에어컨와, 실내기 및 실외기를 별도로 분리한 분리형 에어컨로 나뉜다.
상기 분리형 에어컨 중, 실내기 내에는 응축된 냉매를 열교환하는 증발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실외기 내에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및 압축기, 응축기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팬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에어컨 실외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와 응축기 및 송풍팬(12)이 마련된 본체케이싱(10)을 갖는다.
상기 본체케이싱(10)의 판면에는 송풍팬(12)의 위치에 대응하게 공기배출구 (10a)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에어컨이 작동되면, 압축기에서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보내고 응축기에서는 압축된 공기를 응축하여 실내기의 증발기로 제공한다.
이때, 압축기 및 응축기와 더불어 에어컨을 형성하는 소정의 기기 부품들로부터는 소정의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열기는 송풍팬(12)에 의해 본체케이싱(10)의 공기배출구(1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10a)를 통해 배출되는 열기가 다시 에어컨의 설치공간("베란다" 등)으로 재유입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외기에서 토출된 뜨거운 공기의 일부 중 베란다(B)의 차단벽(1)에 부딪혀 와류가 발생시켜 실외기에 유입되는 공기 등과 마찰을 일으키며 재 유입되면서 에어컨의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하는데 하나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에어컨 실외기는 공기배출구(10a)가 외부를 향하도록 주로 가옥의 베란다(B) 등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도 2참조)
그러나, 종래의 에어컨은 토출되는 열기를 외부(O)로 안내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공기배출구(10a)를 통해 배출된 열기가 다시 베란다(B)로 재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베란다(B) 등은 재유입되는 열기로 인해 실내공간(거실;I) 등에 쾌적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베란다 등에 설치된 실외기에서 방출되는 열기의 배출방향을 안내하여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열기가 다시 설치공간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에어컨 실외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베란다 등에 에어컨 실외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토출 상태를 도시한 사용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설치상태에 따른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설치상태에 따른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케이싱 10a : 공기배출구
12 : 송풍팬 14 : 푸트부재
20,120,220 : 열기안내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는, 판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케이싱 내부에서 압축기 및 응축기에 의해 발생된 열을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를 베란다 등에 설치할 때, 상기 본체케이싱의 외면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송풍되는 열기의 배출방향을 베란다 밖으로 안내하는 열기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기안내부재는 내부가 빈 사각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기안내부재는 상기 열기의 송풍방향을 따라 신축 변형 가능한 주름관으로 제조하고, 상기 주름관의 노출단부에 상기 주름관을 소정의 설치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열기안내부재는 상기 본체케이싱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1의 설치상태에 따른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설치상태에 따른 개략적인 측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에 공기배출구(10a)가 형성된 통상의 본체케이싱(10)과, 본체케이싱(10)의 하부에 마련되어 본체케이싱(10)을 지지하는 복수의 푸트부재(14)를 갖는다.
상기 본체케이싱(10) 내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미도시)와, 압축기 및 응축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열기를 송풍하는 송풍팬(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12)은 본체케이싱(10)의 내부 공기배출구(10a) 영역에 마련되어 압축기 및 응축기에 의해 발생된 열을 공기배출구(10a)를 통해 송풍한다.
상기 본체케이싱(10)의 외면 공기배출구(10a) 영역에는 공기배출구(10a)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공기배출구(10a)를 통해 송풍되는 열기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열기안내부재(20)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열기안내부재(20)는 내부가 빈 사각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열기안내부재(20)의 단부에는 본체케이싱(10)의 외면에 결합되는 플랜지부(20a)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플랜지부(20a)는 용접에 의해 본체케이싱(10)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볼트나 리벳 등에 의해 본체케이싱(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이 가옥의 베란다(B)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베란다(B)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도시 않은 실내기가 설치된 실내공간(I)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외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실외공간(O)과 베란다(B)는 관통공(1a)이 형성된 차단벽(1, 이를 "설치면"이라 함)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베란다(B)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을 설치한 후, 본체케이싱(10)의 외면에 마련된 열기안내부재(20)의 노출단부를 차단벽(1)의 관통공 (1a)으로 배치한다.
그런 다음,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압축기 및 응축기와 더불어 에어컨을 형성하는 소정의 기기 부품들로부터는 발생한 열기는 송풍팬(12)에 의해 본체케이싱 (10)의 공기배출구(10a)로 향한 후, 열기안내부재(20)에 의해 안내되면서 차단벽 (1)의 관통공(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배출된 열기가 베란다(B)로 재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어 베란다(B)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가 베란다(B)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에서 채용하고 있는 열기안내부재(120)는 열기의 송풍방향을 따라 신축 변형 가능한 주름관(120a)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에어컨 실외기에 의하면, 에어컨 실외기의 설치공간과 차단벽(1)의 관통공(1a)까지의 거리를 신축 변형 가능한 주름관(120a)에 의해 적절하게 보정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주름관(120a)의 노출단부를 차단벽(1)의 관통공(1a)에 결합시켜야 한다.
이에, 주름관(120a)의 노출단부에는 차단벽(1)의 관통공(1a)에 결합되는 결합부(120b)가 마련되어 있다.
만일, 차단벽(1)이 철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면 결합부(120b)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그 외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면, 결합부(120b)는 관통공(1a)에 끼워 맞춤되는 프레임(미도시)의 형태로 채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를 베란다(B)에 설치하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열기안내부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열기가 베란다(B)로 재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어 베란다(B)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에서 채용하고 있는 열기안내부재(220)는 본체케이싱(10)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단위부재(22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컨을 사용할 경우, 제1단위부재(221)는 본체케이싱(10)의 전면으로 펴서 이용할 수 있다.
만일 에어컨 실외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다면, 제1단위부재(221)를 접어본체케이싱(10)의 상면에 배치하면 된다.
이때, 본체케이싱(10)의 상면에는 제1단위부재(221)를 걸림 유지시키는 걸림부(221a)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위부재(222)는 그 단부가 봉(222a)에 권취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2단위부재(222) 역시, 에어컨을 사용할 경우, 봉(222a)을 당겨 그 단부를 차단벽(1)의 관통공(1a) 외측에 배치시킴으로써 열기안내부재(220)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단위부재(222) 역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권취되면서 본체케이싱 (10) 내로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단위부재(221)는 상하 한 쌍으로 마련하고, 제2단위부재(222) 역시 좌우 한 쌍으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도시 않은 다른 측의 단위부재는 본체케이싱(10)의 판면 내로 삽입되거나 외면으로 취출되는 슬라이딩판 구조로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판 구조를 취할 경우에는 슬라이딩판이 본체케이싱(10)으로부터 완전히 취출되지 못하도록 스토퍼를 슬라이딩판에 마련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을 베란다(B)에 설치하면,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열기안내부재(220)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된 열기가 베란다(B)로 재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어 베란다(B)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 의하면, 에어컨 실외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열기안내부재(220)를 접어둘 수 있기 때문에 에어컨 실외기의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는 추가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에 의하면, 열기의 배출방향을 안내하여 공기배출구(10a)를 통해 배출된 열기가 다시 설치공간 (베란다(B))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만을 지칭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일체형 에어컨의 실외측 부분에도 본 발명이 사상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컨 실외기를 베란다 등에 설치할 때, 실외기에서 토출되는 열기를 베란다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열기안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실외기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열기가 열기안내부재에 의해 베란다 밖으로 배출되도록 안내 받게되어 다시 설치공간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컨의 성능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판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케이싱 내부에서 압축기 및 응축기에 의해 발생된 열을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를 베란다 등에 설치할 때, 상기 본체케이싱의 외면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송풍되는 열기의 배출방향을 베란다 밖으로 안내하는 열기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안내부재는 내부가 빈 사각통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안내부재는 상기 열기의 송풍방향을 따라 신축 변형 가능한 주름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주름관의 노출단부에는 상기 주름관을 소정의 설치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안내부재는 상기 본체케이싱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
KR1020020012557A 2002-03-08 2002-03-08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 KR20030073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557A KR20030073156A (ko) 2002-03-08 2002-03-08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557A KR20030073156A (ko) 2002-03-08 2002-03-08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156A true KR20030073156A (ko) 2003-09-19

Family

ID=3222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557A KR20030073156A (ko) 2002-03-08 2002-03-08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31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3976A (zh) * 2019-05-21 2019-07-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外机用散热导风件及空调外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157U (ko) * 1996-07-31 1996-10-24 강윤석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 접속용 덕트
KR19980013140U (ko) * 1996-08-30 1998-06-05 배순훈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송풍덕트장치
KR19990030847U (ko) * 1997-12-30 1999-07-26 오상수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 토출안내장치
KR20000006815U (ko) * 1998-09-22 2000-04-25 구자홍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157U (ko) * 1996-07-31 1996-10-24 강윤석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 접속용 덕트
KR19980013140U (ko) * 1996-08-30 1998-06-05 배순훈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송풍덕트장치
KR19990030847U (ko) * 1997-12-30 1999-07-26 오상수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 토출안내장치
KR20000006815U (ko) * 1998-09-22 2000-04-25 구자홍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3976A (zh) * 2019-05-21 2019-07-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外机用散热导风件及空调外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2408A3 (en) Air conditioner
KR20030073156A (ko) 에어컨 실외기의 토출공기 가이드구조
KR100867958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1424877A3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ITTO20000564A1 (it) Dispositivo umidificatore e condizionatore d'aria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KR101392014B1 (ko) 천정형 에어컨
KR100898120B1 (ko) 천장용 에어컨의 드레인호스 설치 구조
WO2017094056A1 (ja) 室外ユニット
JP2004347304A (ja) 天井内設置形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KR100511999B1 (ko) 개선된 덕트 연결구조를 갖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캐비닛
KR100390220B1 (ko) 벽걸이형 실내기의 횡단류팬
KR19980013140U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송풍덕트장치
KR20040003621A (ko) 공기조화기의 분리형 실외기
KR200334432Y1 (ko) 에어컨 실내기의 컨트롤 박스
KR20040017119A (ko) 가정용 중앙집중식 공기조화장치
KR10069642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345084B1 (ko) 룸 에어컨용 보호커버
KR200161181Y1 (ko) 에어컨의 실내기
JPH0754733Y2 (ja) Oa機器の排熱を吸収する空調パネル
KR200227901Y1 (ko) 측정기구를 구비한 에어컨의 실외기
KR19990030847U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 토출안내장치
KR200212811Y1 (ko) 에어컨 실외기의 흡입 및 토출파이프 진동 절연구조
WO2003104582A3 (en) MODULAR WALL PANEL WITH HEATED FAN
KR200379794Y1 (ko) 실내기용 컨트롤박스의 결합구조
JPS6222940A (ja) 天井内設置型換気兼用冷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