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1345A - Timer having Alarm Function - Google Patents

Timer having Alarm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1345A
KR20030071345A KR1020020011005A KR20020011005A KR20030071345A KR 20030071345 A KR20030071345 A KR 20030071345A KR 1020020011005 A KR1020020011005 A KR 1020020011005A KR 20020011005 A KR20020011005 A KR 20020011005A KR 20030071345 A KR20030071345 A KR 20030071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key
time
tim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76408B1 (en
Inventor
유윤근
안병호
Original Assignee
알파 지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지이테크(주) filed Critical 알파 지이테크(주)
Priority to KR10-2002-001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408B1/en
Publication of KR2003007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3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40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7Alarm or error messag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10/00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4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record carriers containing only program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PURPOSE: A timer having an alarm function is provided to generate alarm signals if the user uses the PC over the preset time. CONSTITUTION: The device comprises an input terminal, an output consent, a display, a time setter(10), an output consent sensor(13), an output current sensor(14), and an alarm sound generator(15). The input terminal connects to an external power supply. The output consent,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supplies the electric power for a PC. The display displays a usable time span and a current time. The time setter(10) sets or modifies the usable time span or the current time. The output consent sensor(13) senses whether a PC power plug is detached from the output consent. The output current sensor(14) senses the current flowing between the output consent and the input terminal. The alarm sound generator(15) generates the alarm sound if the set usable time has passed and the current between the output consent and the input terminal is sensed by the sensor(14).

Description

경보 기능을 가진 타이머{Timer having Alarm Function}Timer with Alarm Function

본 발명은 설정된 컴퓨터 사용가능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 경보가 울리게 하는 기능을 가진 타이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mer having a function of causing an alarm to sound when a set computer usable time has elapsed.

컴퓨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대됨에 따라, 어린이 또는 학생이 컴퓨터를 과도하게 장시간 사용하게 되어, 안질환, 두통, 학습방해 및 수면 장애 등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As computers spread rapidly, children or students use computers excessively for a long time,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eye diseases, headaches, learning disabilities, and sleep disorders.

본 발명은 이렇게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가능시간을 경과하여 컴퓨터를 사용하면 경보가 울리게 하는 기능을 가진 타이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mer having a function of causing an alarm to sound when the computer is used after a preset usable tim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using the computer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외부 개략도.1 is an external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도.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입력단자 2 : 타이머1: Input terminal 2: Timer

3 : 출력콘센트 4 : 표시창3: output outlet 4: display window

5 : 선택버튼 6 : 현재시간 조정버튼5: Select button 6: Current time adjustment button

7 : 시간 조정버튼 8 : 강제 사용 버튼7: time adjustment button 8: forced use button

9 : 키9: key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을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입력단자(1)와, 이 입력단자(1)를 통해 들어온 외부 전원이 본 발명의 타이머(2)를 거쳐 출력되어 컴퓨터의 전원으로 사용되기 위한 출력콘센트(3)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이머(2)는 다시, 사용가능한 시간대와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창(4), 사용가능 시간대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설정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시작/종료시간 선택버튼(5), 현재시간을 조정할 것임을 선택하기 위한 현재시간 조정버튼(6), 시작/종료시간 선택버튼(5) 또는 현재시간 조정버튼(6)을 선택하여 해당시간을 증가/감소시키기 위한 시간 조정버튼(7), 상기 표시창(4)에 표시된 사용가능시간대 이외의 시간에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 선택하는 강제 사용 버튼(8), 사용가능한 시간대와 현재시간을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출력콘센트(3)에 연결된 플러그가 빠져 있을 때 울리는 경보를 중지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시간대 이외의 시간에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할때에 상기 강제 사용 버튼(8)과 연동하도록 구성된 키(9)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terminal (1) for applying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1) is output through the tim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utput outlet (3) for use as a power source of a computer. The timer 2 is again composed of a display window 4 displaying the available time zone and the current time, and a start / end time selection button 5 for selecting whether to set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the available time zone. ), A time adjustment button (6), a start / end time selection button (5), or a current time adjustment button (6) for selecting whether to adjust the current time, to adjust the time for increasing / decreasing the corresponding time ( 7), a forced use button (8) for selecting when the computer is to be used at a time other than the available time zon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4), enabling to adjust the available time zone and the current time, and to the output outlet (3). Connected It is possible to stop the alarm that is sounded when the plug is unplugged, and consists of a key 9 configured to work with the forced use button 8 when the computer is to be used at a time other than the available time zone.

이제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컴퓨터를 사용가능한 시간대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키(9)를 넣은 상태에서 시작/종료시간 선택버튼(5)을 계속 눌러서 커서를 시작/종료시간의 시, 분 영역에 위치하게 한다. 조정하고 싶은 시, 분의 위치에 커서가 오면 이제 시간 조정버튼(7)을 이용해서 원하는 시, 분으로 맞추게 된다.First, in order to set a time zone in which the computer can be used, the start / end time selection button 5 is continuously pressed while the key 9 is inserted so that the cursor is positioned in the hour / minute area of the start / end time. When the cursor is located at the hour and minute position to be adjusted, the time adjustment button 7 is used to set the desired hour and minute.

다음으로 현재시간을 맞추기 위해서도 키(9)를 넣은 상태에서 현재시간 조정버튼(6)을 계속 눌러 조정하고 싶은 시, 분의 위치에 커서를 놓은 후, 시간 조정버튼(7)을 이용하여 현재시간을 맞춘다.Next, in order to adjust the current time, press and hold the current time adjustment button 6 while pressing the key 9 to move the cursor to the hour and minute position, and then use the time adjustment button 7 to set the current time. To match.

이렇게 사용가능한 시간대와 현재시간을 맞추어 놓으면, 사용자(예를 들면, 학생, 어린이)가 사용가능한 시간대를 경과하여 컴퓨터를 사용한다면 타이머(2) 내부에 설치된 알람(미도시)에 의해 경보가 울리고, 사용자는 컴퓨터를 끄거나 부모에게 키(9)를 받아서 키를 끼우지 않으면 계속해서 경보가 울리게 된다.If you set the available time zone and the current time, if the user (for example, students, children) to use the computer beyond the available time zone, the alarm is triggered by an alarm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timer (2), If the user turns off the computer or receives the key 9 from the parent and does not insert the key, the alarm continues to sound.

특히, 실제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보면, 상기 사용가능한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 컴퓨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키(9)를 삽입한 상태에서 강제 사용 버튼(8)을 눌러 강제 사용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타이머(2)는 키(9)가 끼워 있는 동안에는 경보를 울리게 하지 않고 계속해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while using a real computer, it may be necessary to use the computer in a time zone other than the available time zone. In this case, by pressing the force button 8 with the key 9 inserted, the force mode is used. When switched to, the timer 2 allows the computer to continue to be used without causing an alarm to sound while the key 9 is inserted.

또한, 사용자가 무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키(9)가 끼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컴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플러그가 끼워져 있는 출력콘센트(3)에서 이 플러그를 빼내서 직접 전원에 연결하여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본 발명의 장치를 경유하여 컴퓨터의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직접 컴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또는 저절로 플러그가 출력콘센트(3)에서 빠지는 경우, 빠지자 마자 경보가 울리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uses the computer by unplugging the plug from the output outlet (3) where the plug for powering the computer is inserted while the key (9) is not inserted for unauthorized use, If the computer is powered directly without powering the computer via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f the plug is unplugged from the output outlet 3 by itself, an alarm will sound as soon as it is removed.

이제, 이상에서 설명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머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고로 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Now,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im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시간 설정/조정버튼(10)(도 1의 도면기호 5 내지 7에 해당)에 의해 원하는 동작모드와 시간이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1)에서는 이를 처리하여 액정표시장치(12)(도 1의 도면기호 4에 해당)에 현재시간과 사용가능시간대를 표시한다.When the desired operation mode and time are inputted by the time setting / adjustment button 10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als 5 to 7 of FIG. 1), the CPU 11 processe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2 (see FIG. 1). The current time and available time zone are indicated in the symbol 4).

출력콘센트 감시 센서(13)에서는 플러그가 빠져 있는지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중앙처리장치(11)로 보낸다. 또한, 출력 전류 감시 센서(14)에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중앙처리장치(11)로 보낸다. 만일, 출력콘센트가 빠져 있는 것으로 출력콘센트 감시 센서(13)가 인식하면 중앙처리장치(11)에 의해 스피커(15)에서 경보가 울리게 된다.The output outlet monitoring sensor 13 checks whether the plug is unplugged and sends the resul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The output current monitoring sensor 14 also sends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whether the user is using a computer. If the output outlet monitoring sensor 13 recognizes that the output outlet is miss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generates an alarm in the speaker 15.

또한, 컴퓨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출력 전류 감시 센서(14)에서 컴퓨터로 전송하고 중앙처리장치(11)에서는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고 사용가능한 시간대가 아니면, 키(9)와 강제 사용 버튼(8)을 검사하여 키(9)가 바른 것이 아니거나 강제 사용 버튼(8)이 눌러져 있지 않는 경우에는 경보가 울리게 된다.In addition, the output current monitoring sensor 14 transmits the information from the output current monitoring sensor 14 to the computer, and i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is using the computer and is not in the available time zone, the key 9 and the force button 8 are pressed. If the key 9 is not checked and the forced use button 8 is not pressed, an alarm will sound.

그리고,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자가 고의로 또는 저절로 본 발명의 타이머(2)용 입력단자(1)의 전원을 차단하여 경보가 울리지 않게 하고 출력콘센트(3)에서 플러그를 뽑아 직접 전원을 인가하려고 하는 경우에 내장 백업 밧데리가 없다면 경보가 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의 타이머(2)에 내장 밧데리를 둔다면, 이러한 경우에도 경보가 울리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user intentionally or unknowingly cuts off the power supply of the input terminal 1 for the tim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alarm does not sound and the power supply is directly removed by unplugging the output outlet 3. If you do not have a built-in backup battery, the alarm will not sound. Therefore, if the built-in battery is placed in the tim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eparation for such a case, an alarm will sound even in this case.

이제, 키(16)(도 1의 도면기호 9에 해당)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Now, the key 16 (corresponding to reference numeral 9 in FIG. 1) will be described.

올바른 키(16)인지 여부를 중앙처리장치(11)가 검사하여 올바른 키라면 동작 모드설정, 시간 수정, 강제 사용 설정 등이 가능하게 되지만, 올바른 키(16)가 아니라면 이러한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checks whether it is the correct key 16, and if it is the correct key, it is possible to set the operation mode, modify the time, set the forced use, etc., but if it is not the correct key 16, the operation is not executed.

일반적으로 키에는 기계식과 전자식이 있는데, 기계식은 톱니나 자석을 이용하여 바른 톱니 배열이나 자성의 극성 배열이면 키를 돌릴 수 있게 하여 키가 돌아가면 내부의 접점이 접촉되어 바른 키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키의 경우에는 비교적 복제가 용이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전자식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In general, there are two types of mechanical and electronic keys. The mechanical type uses a tooth or magnet to rotate the key if it is a correct tooth arrangement or a magnetic polarity arrangement. To be. However, this mechanical key has a dis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easy to duplicat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n electronic key.

그러나, 전자식 키에 있어서도 키가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 이 키가 본체에 끼워져 있으면 이 데이터가 본체로 전달되어 바른키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방법 역시 외부에서 키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프로브 등을 통해 알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외부에서 키의 암호 데이터를 용이하게 알아 낼 수 없는 전자키가 바람직하다.However, even in an electronic key, if a key stores arbitrary data, and this key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 method of checking whether the data is delivered to the main body and checking whether it is a correct key can be us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be easily known through the prob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nic key be able to easily find out the encryption data of the key from the outside.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전자키(16)의 내부에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내장하여 중앙처리장치(11)에 전자키(16)가 끼워졌다는 것을 감지하면 전자키(16)의 마이크로프로세서(20)에 암호를 보내라고 지시하고, 전자키(16)에서는 전자키(16)의 메모리에 저장된 암호를 출력포트(21)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1)로 보내고 중앙처리장치(11)에서는 이 암호를 판독하여 맞으면, 바른 키가 끼워져 있다고 인식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For this purpose, the microprocessor 20 is embedded in the electronic key 16 as shown in FIG. 2 and the electronic key 16 is detected when the electronic key 16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Instructs the microprocessor 20 to send the password, and the electronic key 16 sends the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of the electronic key 16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through the output port 21,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 Can be used to read the password and recognize that the correct key is inserted.

이 방식에서는 중앙처리장치(11)로 암호가 전달되는 순간에만 암호가 출력포트(21)에 나타나므로 외부에서 암호를 알기가 어렵고, 메모리의 어느 부분이 암호인지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용이하게 암호를 알기가 어렵다.In this method, since the password appears at the output port 21 only at the moment the password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it is difficult to know the password from the outside, and because it is difficult to know which part of the memory is the password, the password is easily Difficult to know

다음으로, 출력콘센트(3)에서 컴퓨터 플러그가 분리(빠지는 것)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detecting the disconnection (unplugging) of the computer plug from the output outlet 3.

먼저 기계식은 플러그가 끼워져 있을 때에는 플러그 앞단의 수지 몸체 또는 도체팁이 미는 힘이 본 발명의 타이머(2)의 콘센트에 내장된 탄성접점을 밀어 플러그가 끼워져 있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전자식으로는 적외선 센서를 콘센트에 설치하여 플러그의 몸체 또는 도체팁이 끼워졌을 때 적외선 센서의 전파 경로가 차단되도록 하면, 이 플러그가 출력콘센트(3)에 끼워져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First, when the mechanical plug is inserted, the force pushed by the resin body or the conductor tip of the plug may push the elastic contact built into the outlet of the tim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ct that the plug is inserted. When the sensor is installed in an outlet to block the propagation path of the infrared sensor when the plug body or the conductor tip is inserted, it can be detected that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output outlet 3. Next, we will look at how to detect whether you are using a computer.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면 적어도 수백 미리 암페어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컴퓨터를 사용하는지 여부의 감지는 바로 이러한 전류의 감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다시말하면, 입력단자(1)와 출력콘센트(3) 사이의 도선에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를 두면 이 센서에서 감지된 전류가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하기에 충분한 크기라면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된다. 이러한 전류 감지 센서의 일예는 코일이 감겨져 있는 코어를 도선의 한 가닥에 설치하여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에 전압이 유기되는 원리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전류 감지 센서를 사용하면 된다.When using a computer, at least a few hundred amperes of current flow through it. The detection of whether or not a computer is used is the detection of this current. In other words, if a sensor that senses current is placed on the wire between the input terminal (1) and the output outlet (3), if the current sensed by this sensor is large enough to determine that the computer is in use, do. One example of such a current sensing sensor is to use a conventional current sensing sensor that uses a coil wound core to install one strand of the conductor so that a voltage is induced in the coil when current flows in the conductor.

다음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경우에는 본체, 모니터, 프린터, 스케너 각각에대한 플러그가 있는데, 어떤 플러그를 출력콘센트(3)에 연결할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Next, in the case of a computer system, there are plugs for the main body, the monitor, the printer, and the scanner,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which plug is connected to the output outlet 3.

컴퓨터를 사용하는 최소의 단위는 본체와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이고, 본체 플러그를 본 발명의 출력콘센트(3)에 끼우게 한다면 사용가능한 시간대를 경과하여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울리는 경보를 빨리 중지시키기 위해 컴퓨터 사용을 중단하기 위한 적절한 절차(시스템 종료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본체 전원 스위치를 통해 컴퓨터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깨지거나 하드디스크 등이 손상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The minimum unit for using a computer is to use the main body and the monitor, and if the main body plug is inserted into the output outlet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ringing is stopped quickly when the computer is used after the available time period. In some cases, the computer may be powered off via the main unit's power switch without going through an appropriate procedure for shutting down the computer (system shutdown procedure) .This may cause a problem such as breaking a running program or damaging the hard disk. can do.

그런데,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결국 모니터의 영상을 보아야 하기 때문에, 모니터의 전원 플러그를 본 발명의 출력콘센트(3)에 연결하면 경보가 울릴 때 컴퓨터 시스템 종료 선택 메뉴를 선택하고 모니터를 끈다면 경보가 중지된 채 컴퓨터 본체가 시스템 종료 절차를 진행하여 안전하게 컴퓨터가 꺼지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use a computer, the image of the monitor must be viewed in the end, so when the power plug of the monitor is connected to the output outlet 3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larm sounds, select the computer system shutdown selection menu and turn off the monitor. With the computer stopped, the computer goes through a shutdown procedure that safely turns off the compute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타이머는 컴퓨터 뿐만 아니라 텔레비젼, 오디오 등 각종 전기기기에도 사용가능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tim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a computer but also for various electric devices such as television and audio.

이상과 같이 구성하면, 사용가능시간이 경과하면 경보가 울리게 되어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함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larm will sound when the available time elapses, which can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using the computer for a long time.

Claims (8)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입력단자와,An input terminal to which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상기 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콘센트와,An output outlet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nd supplying power to an electric device; 상기 전기기기의 사용 가능한 시간대와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usable time zone and a current time of the electric device; 상기 사용 가능 시간대와 현재시간을 설정 및 조정하기 위한 시간 설정/조정 장치와,A time setting / adjusting device for setting and adjusting the available time zone and the current time; 상기 출력콘센트에서 상기 컴퓨터의 전원 플러그가 빠져 있는 것을 감지하는 출력콘센트 감시센서와,An output outlet monitoring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power plug of the computer is disconnected from the output outlet; 상기 입력단자와 출력콘센트 사이에 설치되어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출력전류 감시 센서와,An output current monitoring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current flowing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outlet; 상기 사용가능 시간대를 경과하고 상기 출력 전류 감시 센서에 의해 전기기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정될 때 경보를 울리기 위한 발성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가지는 타이머.And a speech device for sounding an alarm when the available time period has passed and the output current monitoring sensor determines that the electric device is in 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설정/조정 장치가 동작가능하게 하는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가지는 타이머.The tim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key for enabling the time setting / adjusting device to oper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의 강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가지는 타이머.3. The timer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key for enabling forced use of the electrical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사용을 선택하기 위한 강제 사용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가지는 타이머.4. The timer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forced use button for selecting the forced u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내부에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기억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전자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가지는 타이머.3. The tim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key is an electronic key having a microprocessor and a storage device there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내부에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기억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전자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가지는 타이머.4. The tim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key is an electronic key having a microprocessor and a storage device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콘센트 감시 센서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플러그의 일부분의 미는 힘에 의해 동작하는 탄성 접점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가지는 타이머.The timer having an alarm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output outlet monitoring sensor is an elastic contact type which is operated by a pushing force of a part of a plug inserted into an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콘센트 감시 센서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플러그의 일부분이 전파의 경로를 차단함에 따라 감지가 이루어지는 전자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가지는 타이머.The timer having an alarm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outlet monitoring sensor is electronically sensed as a part of a plug inserted into an outlet blocks a path of radio waves.
KR10-2002-0011005A 2002-02-28 2002-02-28 Timer having Alarm Function KR1004764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005A KR100476408B1 (en) 2002-02-28 2002-02-28 Timer having Alarm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005A KR100476408B1 (en) 2002-02-28 2002-02-28 Timer having Alarm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345A true KR20030071345A (en) 2003-09-03
KR100476408B1 KR100476408B1 (en) 2005-03-16

Family

ID=3222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005A KR100476408B1 (en) 2002-02-28 2002-02-28 Timer having Alarm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40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02B1 (en) * 2005-08-31 2007-05-1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0445956Y1 (en) * 2008-02-04 2009-09-11 이기명 Device for using time controlled of electr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7613A (en) * 1988-02-26 1989-08-31 Nec Corp Personal computer
KR970002364B1 (en) * 1994-10-31 1997-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larming rest time of a computer
JPH08315919A (en) * 1995-03-14 1996-11-29 Otax Kk Connector device for time control
KR20000073696A (en) * 1999-05-13 2000-12-05 이동흥 Locking device of compu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00074391A (en) * 1999-05-20 2000-12-15 윤종용 Computer system having operating time setting device and operating time setting method of the same
KR200238832Y1 (en) * 2001-04-27 2001-10-12 노 택 박 Use time controller of electric electronic produc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02B1 (en) * 2005-08-31 2007-05-1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0445956Y1 (en) * 2008-02-04 2009-09-11 이기명 Device for using time controlled of electr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6408B1 (en)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44661A (en) Data transmitter and data receiver
RU2129729C1 (en) Power supply regulation circuit for display of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system
KR100637597B1 (en) An earphone apparatus for automatic function control of audio equipment by cacitive-sensing method
KR100476408B1 (en) Timer having Alarm Function
CN105528155A (en) Alarm clock remind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US5821868A (en) Monitoring device for computers with connected peripherals such as monitors, printers or the like
US200602334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1118462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6910629B2 (en)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JP610035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3316057A (en) Earphone,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electronic equipment
TWI483620B (en) Charging method, charge contro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5611650B2 (en) Electronics
KR20050005315A (en) Method for identifying devices connected to an earphone jack
CN105528165A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JP2009223522A (en) Usb connection equipment
JP3070715B2 (en) Wireless switch
JP51977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0841020B1 (en) A blocking device of the computer monitor
KR200422786Y1 (en) controller of multitap
CN204767442U (en) Burglar alarm toy of virtual projection keyboard subassembly of laser
CN108124209B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sound alarm clock
JPH07302141A (en) Interface device and its power control method
JP2009168501A (en) Alarm clock equipped with object approach sensing function
US20130019112A1 (en) Power control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