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349A -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 및이러한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 및이러한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349A
KR20030070349A KR1020020009864A KR20020009864A KR20030070349A KR 20030070349 A KR20030070349 A KR 20030070349A KR 1020020009864 A KR1020020009864 A KR 1020020009864A KR 20020009864 A KR20020009864 A KR 20020009864A KR 20030070349 A KR20030070349 A KR 20030070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home gateway
information
network
certif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215B1 (ko
Inventor
이지철
Original Assignee
포디홈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디홈네트 filed Critical 포디홈네트
Priority to KR10-2002-0009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215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5Cop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홈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인증을 받는 방법과 또한 인터넷 상에서 이러한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보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받은 후에, 홈 게이트웨이에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중계 시스템에 접속한다. 다음에는 중계 시스템을 경유하여 요청된 서비스 정보와 홈 게이트웨이의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중계 시스템을 경유하여 요청된 서비스와 해당 인증서를 수신받는다. 수신된 인증서는 홈 게이트웨이에 저장하고 서비스는 서비스를 요청한 정보기기로 제공한다.

Description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 및 이러한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METHOD FOR TAKING NETWORK SERVICE CERTIFICATION IN A HOME GATEWAY AND METHOD FOR RELAYING THIS CERTIFICATION}
본 발명은 네트워크 서비스 인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인증을 받는 방법과 또한 인터넷 상에서 이러한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인 컴퓨터 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서비스(이하, "서비스"라고 함)의 대부분은 불법 복제 방지를 위해서 시디키(compact disk key) 등의 라이센스 수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라이센스 수단은 시디키 발생기의 알고리즘이 공개되든지, 아니면 시디키 값이 알려지는 것을 통하여 깨질 수 있고, 따라서 불법 복제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현재 인터넷 뱅킹이나 전자 상거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정된 장소에 설치한 디지털 인증서가 필요하다. 디지털 인증서(digital certificate)란 웹상에서 비즈니스 또는 기타의 거래를 수행할 때, 사용자의 자격을 확립하는 일종의 "전자 신용카드"이다. 이것은 인증기관으로부터 발급되며, 수령인이 그 인증서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유자의 이름, 일련번호, 유효기간, 인증서 소유자의 공개키 사본 (메시지나 전자서명의 암호화 및 복원에 사용됨), 그리고 인증서 발급기관의 전자서명 등이 포함된다. 일부 디지털 인증서는 X.509 표준을 따른다. 예를 들어서, 개인이 인터넷 뱅킹을 하기 위해서는 인증서를 발급 받아서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한 후, 실제 서비스의 사용은 자신이 인증서를 설치한 바로 그 컴퓨터에서만 할 수 있다. 다른 곳에서 인터넷 뱅킹을 하고 싶다면 그 인증서를 다른 곳에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관한 문제이기 때문에 개인이 안심하지 못하는 곳에서는 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향후에는 개인 휴대 단말기(PDA) 또는 무선 전화를 사용한 인터넷 뱅킹이 활성화될 것이라 생각되는데, 이 때 PDA나 무선 전화에 인증서를 설치하였다가, 이 PDA나 무선 전화를 분실하게되면 현재의 신용카드를 분실했을 때 생기는 피해가 동일하게 일어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홈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서비스에 대한 불법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라이센스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시스템 또는 장소를 불문하고 인증서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홈 게이트웨이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다른 정보기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은 경우 네트워크 서비스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의 흐름도.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보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받는 단계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중계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 정보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중계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와 해당 인증서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인증서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는 상기 서비스를 요청한 정보기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정보는 결제 정보를 포함하고, 인증서에는 서비스를 요청한 정보기기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기간이 특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홈 게이트웨이가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인증받도록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보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정보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서비스와 해당 인증서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서비스와 상기 인증서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정보기기로부터 상기 제공된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다른 정보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적법한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다른 정보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적법한 사용자이면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인증서를 가져오는 단계와, 상기 가져온 인증서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서비스를 상기 다른 정보기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보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정보기기의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정보기기의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이면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인증서를 가져오는 단계와, 상기 가져온 인증서를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일관성을 위하여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 및 신호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100)는 홈 게이트웨이(102)와 로컬 네트워크(104)를 통해 구축된다. 홈 게이트웨이(102)는 주거 게이트웨이(residential gateway : 이하, "RG"라고 함)라고도 한다.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이다. 라우팅의 관점에서 보면, 인터넷은 많은 게이트웨이 노드들과 호스트 노드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라 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 사용자들의 컴퓨터들과 웹페이지와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컴퓨터들이 바로 호스트 노드들이며, 일반 회사의 네트워크 내에서 트래픽을 통제하는 컴퓨터들이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들의 컴퓨터가 바로 게이트웨이 노드들이다. 홈 게이트웨이(102)는 일반 가정에 설치되는 게이트웨이라 할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104)는 전화선, 전력선, 무선 랜 등을 통해 구현된다. 도 1에서 로컬 네트워크(104)에는 각각 다른 종류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104, 106, 108)이 연결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단지 정보기기(information appliance)라고 한다.
홈 게이트웨이(102)는 인터넷(112)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에 접속된다. 서비스 제공자(116)는 인터넷(112)를 통해 직접 서비스 사용자(102, 118)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을 경유하여 서비스 사용자(102, 118)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은 홈 게이트웨이(102)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홈 게이트웨이(102)가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하거나, 여러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홈 게이트웨이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 게이트웨이(102)는 프로세서(202), 저장 장치(204), 입출력 장치(206), 통신 인터페이스(208)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세서(202)는 저장 장치(204), 입출력 장치(206), 통신 인터페이스(208)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연산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08)는 홈 게이트웨이(102)로 하여금 인터넷(도 1의 112) 및 로컬 네트워크(도 1의 104)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저장 장치(204)는 로컬 네트워크(도 1의 104)에 연결된 네트워크 정보기기(도 1의 106, 108, 110)에 대한 정보(210)와, 홈 게이트웨이(102)를 적법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정보(212)와,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도 1의 114)에 대한 정보와, 서비스 제공자(116)로부터 제공된 인증서(216)를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정보(212)는 사용자의 결제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는 프로세서(302), 저장 장치(304), 입출력 장치(306), 통신 인터페이스(308)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세서(302)는 저장 장치(304), 입출력 장치(306), 통신 인터페이스(308)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연산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08)는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로 하여금 인터넷(도 1의 112) 및 서비스 제공자(도 1의 116)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저장 장치(304)는 관리 대상인 홈 게이트웨이에 대한 정보(310)와,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312)를 저장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홈 게이트웨이(102)가 홈 네트워크(104)에 연결된 정보기기(106, 108, 110)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받으면(402), 홈 게이트웨이(102)는 홈 게이트웨이에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중계 시스템(또는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에 접속한다(404).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은 정보기기(106, 108, 110)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홈 게이트웨이(102)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212)를 서비스 제공자(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16)에 제공한다(406). 사용자 정보(212)는 사용자가 서비스 사용의 대가 지불을 위해 선택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116)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한 후, 사용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에 대한 대가를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수령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대가 수령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서비스 정보에 의해 특정된 서비스와 이러한 서비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증서를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로 제공한다(408). 인증서에는 서비스 사용 기간이 특정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02)는 홈 게이트웨이 관리시스템(114)으로부터 서비스와 해당 인증서를 수신받고, 인증서는 자신의 저장장치(204) 내에 보관하며, 서비스는 이 서비스를 요청한 정보기기에 전달한다(410).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함께 참조하며 설명한다. 홈 네트워크(100)에 연결된 정보기기(106, 108, 110)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홈 게이트웨이(102)로부터 요청된 서비스의 정보와 홈 게이트웨이(102)의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다(502).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은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16)으로 서비스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제공한다(504). 이 과정에서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임을 확인하기 위해 홈 게이트웨이 정보(310)를 가지고 있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102)를 통해 요청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312)를 가지고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116)은 제공받은 서비스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요청받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와 서비스 제공에 대한 대가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에, 요청된 서비스와 이 서비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증서를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으로 제공한다(506).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116)으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와 인증서를 해당 홈 게이트웨이(102)로 제공한다(508).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다른 정보기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은 경우 네트워크 서비스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역시 도 1 내지 도 3를 함께 참조하며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이 서비스와 해당 인증서를 홈 게이트웨이(102)로 제공하면, 홈 게이트웨이(102)는 인증서는 자신이 보관하고, 서비스는 이 서비스를 요청한 정보기기로 전달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100)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정보기기(예를 들어, 휴대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118) 등을 통하여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로 서비스를 요청한다(602). 홈 게이트웨이(102)가 아닌 다른 정보기기(118)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은 경우,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은 정보기기(18)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한 자가 적법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604). 이러한 확인 절차는 비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거나, 소정의 생체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확인의 결과 적법한 사용자임이 판명되면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은 서비스를 요청한 자의 홈 게이트웨이(102)로부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해당 인증서를 가져 온다(606). 인증서가 타인에게 도난 당하는 경우 입게 될 수 있는 손해는 엄청나므로 아무에게나 인증서를 내어 주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홈 게이트웨이(102)는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에 대한 정보(214)를 가지고 있어서, 엄격하게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의 진정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홈 게이트웨이(102)로부터 인증서를 가져 온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은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16)으로 서비스 정보와 인증서를 제공한다(608). 서비스 제공 시스템(116)은 인증서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임을 확인한 후에 요청된 서비스를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으로제공한다(610).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은 이렇게 제공된 서비스를 다시 사용자의 정보기기(118)로 제공한다(612). 여기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116)은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를 경유하여 서비스를 사용자의 정보기기(118)으로 제공하였으나,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사용자의 정보기기(118)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인증서는 홈 게이트웨이(102)에 안전하게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홈 게이트웨이 관리 시스템(114)를 통해 가져다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인증서가 사용자의 홈 게이트웨이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하였으나, 인증서를 더욱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인증서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가져다가 사용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홈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서비스에 대한 불법 복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증서는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시스템 또는 장소를 불문하고 인증서를 가져다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홈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보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받는 단계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중계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 정보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중계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와 해당 인증서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인증서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는 상기 서비스를 요청한 정보기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에는 상기 서비스를 요청한 정보기기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기간이 특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증 방법.
  4. 홈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홈 게이트웨이가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인증받도록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보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정보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서비스와 해당 인증서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서비스와 상기 인증서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인증의 중계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정보기기로부터 상기 제공된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다른 정보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적법한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다른 정보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적법한 사용자이면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인증서를 가져오는 단계와,
    상기 가져온 인증서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인증의 중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서비스를 상기 다른 정보기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인증의 중계 방법.
KR10-2002-0009864A 2002-02-25 2002-02-25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 및이러한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 KR100431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864A KR100431215B1 (ko) 2002-02-25 2002-02-25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 및이러한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864A KR100431215B1 (ko) 2002-02-25 2002-02-25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 및이러한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349A true KR20030070349A (ko) 2003-08-30
KR100431215B1 KR100431215B1 (ko) 2004-05-12

Family

ID=3222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864A KR100431215B1 (ko) 2002-02-25 2002-02-25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 및이러한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2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897B1 (ko) * 2004-11-23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장치 간의 보안 연결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48185B1 (ko) * 2003-08-20 2010-03-16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통합 인증 방법
KR101112209B1 (ko) * 2009-07-08 2012-02-27 주식회사 케이티 유피엔피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852B1 (ko) * 1999-08-30 2002-06-26 오길록 서버-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독립적인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JP2001144756A (ja) * 1999-11-17 2001-05-25 Sharp Corp ネットワーク・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方式
JP4156770B2 (ja) * 2000-03-30 2008-09-2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KR20020067223A (ko) * 2001-02-16 2002-08-22 (주)케이사인 계정과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 방식의 전자증명서 발급및 전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185B1 (ko) * 2003-08-20 2010-03-16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통합 인증 방법
KR100678897B1 (ko) * 2004-11-23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장치 간의 보안 연결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112209B1 (ko) * 2009-07-08 2012-02-27 주식회사 케이티 유피엔피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1215B1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9187B2 (en) Domain-based digital-rights management system with easy and secure device enrollment
JP4145118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認証システム
US76898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digital signature using one time private keys
US6105131A (en) Secure server and method of operation for a distributed information system
CN110855791B (zh) 一种区块链节点部署方法及相关设备
CN100469000C (zh) 利用批量设备的身份凭证创建安全网络的系统和方法
JP4816975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認証システム
TW486902B (en)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electronic documents from being illegally copied and its system
EP1508253A1 (en) Secure interaction between downloaded application code and a smart card in 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1197055A (ja) 認証代行装置、認証代行方法、認証代行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040172369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database
KR20040028086A (ko) 무선단말에서의 컨텐츠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122567A (ja) デバイス間において認証用情報を委譲する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4106875B2 (ja) 電子デバイス、電子デバイス内の情報更新システム、情報更新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431215B1 (ko) 홈 게이트웨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증받는 방법 및이러한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
US7240079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curing a digital data file having financial value, terminal operating in the arrangement, and software application employing the method
EP1700183B1 (en) A method for secure operation of a computing device
GB2372592A (en) Information system
KR100686629B1 (ko) 개인정보 제공장치
JP2003233595A (ja) 携帯電話端末における利用者認証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利用者認証プログラム
KR101936941B1 (ko) 생체인증을 이용한 전자결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04694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인인증서 관리 방법
KR102498688B1 (ko)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2146A (ko)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인증서 및 개인비밀정보를 안전하게보관하고 전달하는 방법
JP2009260688A (ja) ワイヤレス広域通信網におけるリモート端末装置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と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