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202A - self-propelled sprayer - Google Patents

self-propelled spr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202A
KR20030070202A KR1020020009246A KR20020009246A KR20030070202A KR 20030070202 A KR20030070202 A KR 20030070202A KR 1020020009246 A KR1020020009246 A KR 1020020009246A KR 20020009246 A KR20020009246 A KR 20020009246A KR 20030070202 A KR20030070202 A KR 20030070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vehicle body
self
beam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미성
Original Assignee
박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성 filed Critical 박미성
Priority to KR102002000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0202A/en
Publication of KR2003007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202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71Construction of the spray booms
    • A01M7/0075Construction of the spray booms including fo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05B1/205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ongitudinal shape of the elongated bod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 self-standing type spray device is provided to secure stable movement of a vehicle, to reduce preparing and processing time before and after a spray work,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pray work. CONSTITUTION: The self-standing type spray device comprises spray beams(3,5), which are mounted at both sides of a vehicle body(1) so that a plurality of spray nozzles(7) are arranged and suspended in a line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of a vehicle. The spray beams take the form of a multi-stage flexible structure having first to third beam members(9,11,13).

Description

자주식 스프레이어 {self-propelled sprayer}Self-propelled sprayer

본 발명은 자주식 스프레이어(self-propelled spray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 스프레이 빔을 적용하여 스프레이 작업을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시키고 차량의 이동을 보다 안정적이게 하는 자주식 스프레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propelled spra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propelled sprayer by applying a telescopic spray beam to shorten the preparation time for spraying operation and to mak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more stable.

본 발명의 출원인은 자주식 스프레이어에 관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0058525호와 이 특허출원에 대한 이중출원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29165호를 출원한 바 있다.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iled a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58525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1-0029165 as a dual application for the self-propelled sprayer.

이 자주식 스프레이어는 제1트러스 보, 트러스 기둥, 제1케이블, 스프레이 노즐, 그리고 카운터 밸런스 또는 이 카운터 밸런스 대신에 제1트러스 보에 대향하는 자세로 설치되는 제2트러스 보와 제2케이블로 구성되어, 일시에 넓은 면적의 포장(圃場)에 대하여 스프레이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더하여 제1 또는 제2트러스 보를 고정부와 선회부로 구성하고 이 고정부와 선회부를 제1 또는 제2유압 실린더에 의한 접철 구조로 형성하여 차량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self-propelled sprayer consists of a first truss beam, a truss column, a first cable, a spray nozzle, and a counter truss or a second truss beam and a second cable install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truss beam instead of the counter balance. It is possible to spray the large area of the pavement at a time, and in addition, the first or second truss beam is composed of the fixing part and the turning part, and the fixing part and the turning part are formed by the first or second hydraulic cylinder. It is formed of a folding structure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그러나, 이 자주식 스프레이어는 전자와 같이 제1 또는 제2트러스 보를 길게 형성하여 넓은 면적의 포장을 일시에 스프레이할 수 있으나, 제1, 또는 제2트러스 보가 차량에 비하여 지나칠 정도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로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차량 이동 시 제1 또는 제2트러스 보를 분해하고 스프레이 작업을 위하여 다시 결합해야 하므로 스프레이 작업 전후에 제1 또는 제2트러스 보의 분해 결합에 소요되는 준비 및 처리 시간을 길게 하고, 후자와 같이 제1 또는 제2트러스 보를 고정부와 선회부에 의한 접철 구조로 형성한 경우에는 차량의 이동을 가능하게는 하고 있으나 선회부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차량의 이동이 상당히 제한될 뿐만 아니라 이동시 차량의 상태를 상당히 불안정되게 한다.However, the self-propelled sprayer can spray a large area pavement at a time by forming a long first or second truss beam like the former, but since the first or second truss beam is formed too long compared to a vehicle, the road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the first or second truss beams must be disassembled and rejoined for spraying when the vehicle is moved, thus increasing the preparation and processing time required for disassembling and combining the first or second truss beams before and after spraying. In the latter case, when the first or second truss beam is formed in a foldable structure by the fixing part and the turning part, the vehicle can be moved. However, the height of the turning part is too high. Makes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quite unst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일시에 넓은 면적의 포장을 스프레이 할 수 있으면서도 스프레이 작업 전후의 준비 및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차량의 이동을 보다 안정되게 하는 자주식 스프레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propelled sprayer capable of spraying a large area of packaging at a time, while shortening preparation and processing time before and after spraying and mak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more stable. There is a purpose.

이 자주식 스프레이어는 다수의 스프레이 노즐이 차폭 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면서 현수(懸垂)되도록 차체의 양측에 장착되며 다단의 신축 구조를 형성하는 스프레이 빔으로 구성되어 있다.This self-propelled sprayer is composed of spray beams which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so that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are suspended while forming heat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form a multistage stretch structure.

이 스프레이 빔은 차체측단의 후방이 차체에 고정 힌지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전방이 차체에 가변 힌지로 분해 및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spray beam is mounted so th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side end is pivotally mount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front side thereof is detachably an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by the variable hinge.

이 스프레이 빔에는 보의 처짐을 줄이기 위하여 중량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스프레이 빔은 신장된 상태에서 보의 처짐을 제거하기 위하여 차체의 중앙에 설치된 기둥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The spray beam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reducing the weight to reduce the deflection of the beam. In addition, the spray beam is connected by a cable and a column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body to eliminate deflection of the beam in the extended state.

이 스프레이 빔은 가변 힌지를 분리하고 고정 힌지를 중심 축으로 하여 차체 후방으로 선회시킨 상태에서 차체에 선회 가능하게 구비된 삼각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spray beam is supported by a triangular support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in a state where the variable hinge is separated and the fixed hinge is pivo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with the central axi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스프레이어는 스프레이 빔에 다수의 스프레이 노즐을 구비함으로서 일시에 넓은 면적의 포장을 스프레이 할 수 있고, 스프레이 빔을 신축 구조로 차체에 장착함으로서 스프레이 작업 전후의 준비 및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수축된 스프레이 빔을 차체의 후방으로 선회시켜 삼각 지지대로 지지함으로서 차량의 이동을 보다 안정되게 할 수 있다.As such, the self-propelled spr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pray a large area package at a tim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in the spray beam, and prepare and process time before and after spraying by mounting the spray beam to the vehicle body in a telescopic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horten and to mak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more stable by pivoting the contracted spray beam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and supporting it with a triangular suppo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스프레이어의 사용 상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of use of the self-propelled spr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신축 구조를 구비한 스프레이 빔의 신장 상태의 종단면도.2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tretched state of the spray beam with the stretchable structure;

도 2b는 스프레이 빔의 수축 상태의 종단면도.2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ntracted state of the spray beam;

도 3은 스프레이 빔과 차체의 결합 구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structure of a spray beam and a vehicle body;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스프레이어의 이동 상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state of the self-propelled spr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차체3,5 : 스프레이 빔1: body 3, 5: spray beam

7 : 스프레이 노즐57 : 고정 힌지7: spray nozzle 57: fixed hinge

59 : 가변 힌지61 : 관통구59: variable hinge 61: through hole

63 : 기둥65 : 케이블63: pillar 65: cable

71 : 삼각 지지대71: tripod support

본 발명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Advantag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스프레이어의 사용 상태 사시도로서, 차체(1)의 양측에 스프레이 빔(3,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레이 빔(3,5)에는 다수의 스프레이 노즐(7)이 현수되어 있다. 이 스프레이 노즐(7)은 차폭 방향에 대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열을 형성하고, 이 스프레이 노즐(7)의 열은 포장에서 농약의 약액을 스프레이할 때, 차체(1)의 단위 진행 당 스프레이 면적을 넓게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propelled spr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spray beams 3 and 5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1, and the spray beams 3 and 5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7. ) Is suspended. The spray nozzles 7 are arranged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form heat, and the heat of the spray nozzles 7 is the spray area per unit run of the vehicle body 1 when spraying the chemical liquid of the pesticide in the package. Widen.

이 스프레이 빔(3,5)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신축 구조를 가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제1,2,3빔 부재(9,11,13)에 의한 3단 신축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 신축 구조는 종래에서와 같이 트러스 보를 결합 또는 분해하는 것에 비하여 스프레이를 위한 준비 또는 스프레이 후 처리 시간을 현저하게 줄여 줄 수 있다.The spray beams 3, 5 are formed in multiple stages to have a stretchab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the three-stage stretched structure of the first, second, and three beam members 9, 11, and 13 is illustrated here. . This stretch structure can significantly reduce preparation or post-spray processing time for spraying compared to joining or disassembling truss beams as conventionally.

이 스프레이 빔(3,5)의 신축 구조는 통상적인 고가 사다리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도 2a와 도 2b에는 제1빔 부재(9)의 내측에 제2빔 부재(1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빔 부재(11)의 내측에 제3빔 부재(1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의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 제1빔 부재(9)의 일측에는 신장, 수축 모터(15,17)와 이 신장, 수축 모터(15,17)에 의하여 구동되는 신장, 수축 윈치(19,2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신장, 수축 윈치(19,21)에는 신장, 수축 케이블(23,25)이 감기어 있다.The stretchable structure of the spray beams 3 and 5 can b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high ladder, and the second beam member 11 can slide inside the first beam member 9 in FIGS. 2A and 2B. The structur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3rd beam member 13 slidably couples inside the 2nd beam member 11 is illustrated. One side of the first beam member 9 is provided with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motors 15 and 17 and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winches 19 and 21 driven by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motors 15 and 17.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cables 23 and 25 are wound around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winches 19 and 21.

이 신장 케이블(23)은 제1빔 부재(9)의 내측단 롤러(27)에 지지되고 외측단 롤러(29)를 통하여 제2빔 부재(11)의 내측단 롤러(31)와 외측단 롤러(33), 그리고 제3빔 부재(13)의 내측단 롤러(35)를 통하여 외측단 롤러(37)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신장 모터(15)가 구동되면 이에 연결된 신장 윈치(19)가 신장 케이블(23)을 감아주면서 제1빔 부재(9)의 외측단에 제2빔 부재(11)의 내측단이 일치하고, 제2빔 부재(11)의 외측단에 제3빔 부재(13)의 내측단이 일치하면서 스프레이 빔(3,5)은 그 길이가 신장된다(도 2a참조).The extension cable 23 is supported by the inner end roller 27 of the first beam member 9 and through the outer end roller 29 to the inner end roller 31 and the outer end roller of the second beam member 11. (33) and the outer end roller 37 is fixed via the inner end roller 35 of the third beam member 13. Therefore, when the extension motor 15 is driven, the extension winch 19 connected thereto winds up the extension cable 23, and the inner end of the second beam member 11 coincides with the outer end of the first beam member 9. While the inner ends of the third beam members 13 coincide with the outer ends of the second beam members 11, the lengths of the spray beams 3 and 5 are extended (see FIG. 2A).

이때 제2,3빔 부재(11,13)의 내측단에 형성된 걸림돌기(39,41)는 제1,2빔 부재(9,11)의 하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43,45)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2빔 부재(9,11)의 외측단에 걸리어 그 신장의 범위를 한정하게 된다. 제2빔 부재(11)에 형성된 홈(45)은 제1빔 부재(9)의 외측단 롤러(29)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제3빔 부재(13)에 형성된 홈(47)은 제2빔 부재(11)의 외측단 롤러(33)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빔 부재(9)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49)은 제2빔 부재(11)의 내측단 롤러(3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제2빔 부재(11)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51)은 제3빔 부재(13)의 내측단 롤러(35)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In this case, the locking protrusions 39 and 41 formed at the inner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beam members 11 and 13 may have grooves 43 and 45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nder the first and second beam members 9 and 11. As it moves along, it is caught by the out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eam members 9 and 11, thereby limiting the extension range. The groove 45 formed in the second beam member 11 enables movement of the outer end roller 29 of the first beam member 9, and the groove 47 formed in the third beam member 13 The outer end roller 33 of the two-beam member 11 can be moved. In addition, the groove 49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eam member 9 enables the movement of the inner end roller 31 of the second beam member 11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eam member 11. The groove 5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ide enables the movement of the inner end roller 35 of the third beam member 13.

수축 케이블(25)은 제1빔 부재(19)의 내측단 롤러(27)에 지지되고 제3빔 부재(13)의 외측단 롤러(37)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수축 모터(17)가 구동되면 이에 연결된 수축 윈치(21)가 수축 케이블(25)을 감아주면서 제1빔 부재(9)의 내측단에 제2빔 부재(11)의 내측단이 일치하고, 제2빔 부재(11)의 내측단에 제3빔부재(13)의 내측단이 일치하면서 스프레이 빔(3,5)은 그 길이가 수축된다(도 2b참조). 이때 제2,3빔 부재(11,13)의 외측단에 형성된 걸림돌기(53,55)는 제1,2빔 부재(9,11)의 외측 선단에 걸리어 그 수축의 범위를 한정하게 된다.The shrinkage cable 25 is supported by the inner end roller 27 of the first beam member 19 and fixed to the outer end roller 37 of the third beam member 13. Therefore, when the contraction motor 17 is driven, the contraction winch 21 connected thereto winds the contraction cable 25, and the inner end of the second beam member 11 coincides with the inner end of the first beam member 9. While the inner ends of the third beam members 13 coincide with the inner ends of the second beam members 11, the lengths of the spray beams 3 and 5 are contracted (see Fig. 2B). At this time, the locking projections 53 and 55 formed at the outer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beam members 11 and 13 are caught by the out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eam members 9 and 11 to limit the extent of the contraction. .

그리고, 상기 신장, 수축 모터(15,17)는 각각 어느 일측이 구동될 때 다른 일측이 무부하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하는 일측이 방해받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제1빔 부재(9)의 내측단이 위치하는 차체(1)의 내측에 신장, 수축 윈치(19,21)와 같이 내장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motors 15 and 17 are each independently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first beam member 9 is not disturbed while the other side is maintained at no load when one side is driven. It is built in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1 in this position as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winches 19 and 21.

이와 같은 수축 구조를 가지는 스프레이 빔(3,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힌지(57)와 가변 힌지(59)에 의하여 차체(1)의 양측에 각각 외팔보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가변 힌지(59)를 제거하면 고정 힌지(57)를 축으로 하여 스프레이 빔(3,5)은 차폭 방향에서 차체(1) 길이 방향의 후방으로 약 90°정도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스프레이 빔(3,5)에 구비된 상기 수축 구조에 더하여 고정 힌지(57)와 가변 힌지(59)에 의한 선회 구조를 형성함으로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트러스 보를 절곡하는 것에 비하여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넓힘과 동시에 이동시 차체(1)가 더욱 안정되게 한다.As shown in FIG. 3, the spray beams 3 and 5 having such a contracting structure are mounted in a cantilever shape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1 by the fixed hinge 57 and the variable hinge 59. Therefore, when the variable hinge 59 is removed, the spray beams 3 and 5 can pivot about 90 ° from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fixed hinge 57 as the axis. In addition to the contraction structure provided in the spray beams 3 and 5, the swing structure is formed by the fixed hinge 57 and the variable hinge 59, so that the vehicle can move in comparison with bending the truss beam as in the prior art.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body 1 becomes more stable when moving.

이 스프레이 빔(3,5)은 도 1의 선단 부분에서와 같이 하측이 넓고 상측이 좁아서 측면이 경사지는 중공의 사다리꼴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에는 다수개의 관통구(61)가 형성되어 있어 중량을 줄여 보의 처짐을 줄여 준다. 이 관통구(61)는 스프레이 빔(3,5)의 강도 저하를 유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pray beams 3 and 5 have a hollow trapezoidal cross-section in which the lower side is wide and the upper side is inclined so that the side is inclined, as in the tip portion of FIG. 1,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1 are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To reduce the deflection of the beam. This through hole 61 is preferably formed as large as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a decrease in intensity of the spray beams 3 and 5.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도 스프레이 빔(3,5)을 차체(1)의 양측에 외팔보 형태로 장착할 수 있으나 보다 더 안정된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차체(1)의 중앙 상측에 기둥(63)을 설치하고, 이 기둥(63)과 스프레이 빔(3,5)의 제1,2,3빔 부재(9,11,13)를 각각 케이블(65)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1,2,3빔 부재(9,11,13)의 외측단에는 고리(67)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케이블(65)의 선단에는 후크(69)가 구비되어 있어, 수동 조작으로 후크(69)를 고리(67)에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한다.Although the spray beams 3 and 5 may be mounted on the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1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illars 63 may be installed on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1 to achieve a more stable structure. In addition, the pillars 63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 members 9, 11 and 13 of the spray beams 3 and 5 may be connected by cables 65, respectively. To this end, a ring 67 is formed at the outer en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 members 9, 11, and 13, and a hook 69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cable 65. Hook 69 is coupled to or detached from ring 67.

이와 같이 기둥(63)을 적용하는 경우에, 기둥(63)은 상당한 높이를 가지게 되므로 차체(1) 이동 시 안정감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둥(63)을 접을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기둥(63)의 하단 후측이 차체(1)에 힌지(63a)로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방이 후크(63b)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When the pillar 63 is applied in this way, since the pillar 63 has a considerable height, a structure capable of folding the pillar 63 to secure stability when moving the vehicle body 1 is required. Such a structure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but here the lower rear side of the column 63 is pivotally fixed to the vehicle body 1 with a hinge 63a, and the front can be selectively fixed by the hook 63b. To illustrate.

이와 같이 스프레이 빔(3,5)은 차폭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될 때에는 케이블(6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차체(1)의 길이 방향의 후방을 향할 때에도 지지할 수 있도록 차체(1)의 후방 상측에는 삼각 지지대(7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삼각 지지대(71)는 그 일측이 차체(1)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일측이 차체(1)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uch, the spray beams 3 and 5 may be supported by the cable 65 when the spray beams 3 and 5 are extended or contract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the spray beams 3 and 5 may be supported even when they are direct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ar upper side is provided with a triangular support 71. This triangular support 71 is comprised so that one side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vehicle body 1, and the other side may be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1.

도 4는 스프레이 빔(3,5)을 수축하여 케이블(65)을 제거하고 삼각 지지대(71)로 스프레이 빔(3,5)을 차체(1)의 후방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상태는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은 물론이고 통상적인 차량과 같이일반도로를 주행할 수 있게 한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pray beams 3 and 5 are contracted to remove the cable 65 and the triangular supports 71 support the spray beams 3 and 5 from the rear upper side of the vehicle body 1. This condition allows not only stable driving of a vehicle but also driving on a general road like a normal vehicl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자주식 스프레이어에서 스프레이 빔(3,5)을 신장 및 수축시키고 수축된 스프레이 빔(3,5)을 지지하는 과정을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stretching and contracting the spray beams 3 and 5 and supporting the contracted spray beams 3 and 5 in the self-propelled spraye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as follows.

먼저, 도 4의 상태에서 스프레이 빔(3,5)을 삼각 지지대(71)의 지지 상태로부터 이탈시키고 차체(1)의 양측으로 선회시킨다. 이때 고정 힌지(57)가 축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가변 힌지(59)로 스프레이 빔(3,5)을 차체(1)에 고정시킨다. 이때 스프레이 빔(3,5)은 차체(1)의 폭 방향을 향하고 있다.First, in the state of FIG. 4, the spray beams 3 and 5 are separated from the support state of the triangular support 71 and are turned to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1. At this time, the fixed hinge 57 is axial action. The spray beams 3 and 5 are fixed to the vehicle body 1 with the variable hinges 59. At this time, the spray beams 3 and 5 face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

이 상태에서 스프레이 빔(3,5)을 신장시킬 수 있으나, 케이블(65)이 있는 경우에는 케이블(65)의 선단에 구비된 후크(69)를 제1,2,3빔 부재(9,11,13)의 외측단에 구비된 고리(67)에 수동으로 결합시킨다.In this state, the spray beams 3 and 5 can be stretched.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cable 65 is provided, the hooks 69 provided at the tip of the cable 65 are attach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 members 9 and 11. And manually coupled to the ring 67 provided on the outer end of the (13).

이어서 신장 모터(15)를 구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신장 윈치(19)가 구동되면서 신장 케이블(23)을 감아서 제2,3빔 부재(11,13)가 각각 제1,2빔 부재(9,11)로부터 인출되고, 제2,3빔 부재(11,13)의 내측단에 구비된 걸림돌기(39,41)가 제1,2빔 부재(9,11)의 홈(43,45)에 각각 걸리면서 신장 완료하여 도 1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수축 모터(17)는 무부하 상태를 유지하여 수축 케이블(25)이 신장 속도에 맞추어 풀릴 수 있게 한다.Subsequently, when the extension motor 15 is driven, the extension winch 19 connected thereto is driven to wind the extension cable 23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beam members 11 and 13 may respectively be the first and second beam members 9,. 11, the locking projections 39 and 41 provided at the inner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beam members 11 and 13 are formed in the grooves 43 and 45 of the first and second beam members 9 and 11, respectively. Each extension is complet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FIG. At this time, the shrinkage motor 17 maintains a no-load state so that the shrinkage cable 25 can be released in accordance with the stretching speed.

이런 상태에서 스프레이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스프레이 작업 후에는 수축 모터(17)를 구동시킨다.In this state, the spray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spraying operation, the shrinkage motor 17 is driven.

이 수축 모터(17)를 구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수축 윈치(21)가 구동되면서수축 케이블(25)을 감아서 제2,3빔 부재(11,13)가 각각 제1,2빔 부재(9,11)로 인입되고, 제2,3빔 부재(11,13)의 외측단에 구비된 걸림돌기(53,55)가 제1,2빔 부재(9,11)의 외측단에 각각 걸리면서 수축 완료하게 된다.When the contraction motor 17 is driven, the contraction winch 21 connected thereto is driven to wind up the contraction cable 25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beam members 11 and 13 may be the first and second beam members 9, respectively. 11) and the contraction protrusions 53 and 55 provided at the outer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beam members 11 and 13 are engaged with the out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eam members 9 and 11, respectively, and thus the contraction is completed. Done.

이 상태에서 스프레이 빔(3,5)을 선회시킬 수 있으나, 케이블(65)이 있는 경우에는 케이블(65)의 선단에 구비된 후크(69)를 제1,2,3빔 부재(9,11,13)의 외측단에 구비된 고리(67)로부터 수동으로 결합 해제시킨다.In this state, the spray beams 3 and 5 can be rotated, but in the case of the cable 65, the hooks 69 provided at the tip of the cable 65 are provided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 members 9 and 11. , 13 is manually released from the ring 67 provided at the outer end.

이어서 가변 힌지(59)를 빼내고 고정 힌지(57)를 회전축으로 하여 스프레이 빔(3,5)을 차체(1)의 길이 방향 후방으로 선회시킨다. 그리고 삼각 지지대(71)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빔(3,5)을 안정되게 지지한다.Subsequently, the variable hinge 59 is pulled out and the spray beams 3 and 5 are pivoted to the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 with the fixed hinge 57 as the rotation axis. The spray beams 3 and 5 are stably supported using the triangular support 7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주식 스프레이어는 스프레이 빔에 다수의 스프레이 노즐을 현수하여 구비함으로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일시에 넓은 면적의 포장을 스프레이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1,2,3빔 부재, 신장 및 수축 케이블, 윈치, 모터로 스프레이 빔을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차체에 장착함으로서 스프레이 작업 전후에 트러스 보를 분해 결합하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스프레이 작업 전후의 준비 및 처리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수축된 스프레이 빔을 차체의 후방으로 선회시켜 삼각 지지대로 안정되게 지지함으로서 트러스 보를 단순히 절곡한 상태로 이동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차량의 이동을 보다 안정되게 하고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곳을 일반도로에까지 확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lf-propelled spr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suspending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in the spray beam to spray a large area of packaging at a time as in the prior art, as well 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 members, the elongation. And by forming the structure of the spray beam with a retractable cable, winch, motor and mounted on the vehicle body,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shorten the preparation and processing time before and after spraying, compared to the prior art that disassemble and combine the truss beam before and after spraying, shrinkage By turning the sprayed beam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and stably supporting it with a triangular support, it is possible to mak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more stable and to extend the place where the vehicle can move to the general roa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simply moving the truss beam in a bent state. Can be.

Claims (5)

자주식 스프레이어에 있어서, 다수의 스프레이 노즐(7)이 차폭 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면서 현수(懸垂)되도록 차체(1)의 양측에 장착되며 다수의 빔 부재에 의하여 다단의 신축 구조를 형성하는 스프레이 빔(3,5)을 포함하는 자주식 스프레이어.In the self-propelled sprayer,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7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1 so as to suspend while forming heat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spray beam which forms a multistage stretch structure by a plurality of beam members. Self-propelled sprayer containing (3,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빔(3,5)은 상기 차체측단의 후방이 상기 차체(1)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 힌지(57)로 장착되고, 상기 차체측단의 전방이 상기 차체(1)에 분해 및 결합 가능하게 가변 힌지(59)로 장착되는 자주식 스프레이어.2. The spray beams (3, 5)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ay beams (3, 5) are mounted with a fixed hinge (57) such th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side end is pivotable to the vehicle body (1), and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side end is the vehicle body (1). Self-propelled sprayers mounted with variable hinges (59) for disassembly and mat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빔(3,5)은 그 측면에 다수의 관통구(61)를 구비하는 자주식 스프레이어.The self-propelled spray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pray beam (3,5)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1) on its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빔(3,5)은 상기 차체(1)의 중앙에 설치된 기둥(63)과 케이블(65)로 연결되는 자주식 스프레이어.The self-propelled spray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ay beam (3,5) is connected by a cable (65) and a column (63)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1)는 그 후방 상측에 선회 구조를 이룬 삼각 지지대(71)를 포함하는 자주식 스프레이어.The self-propelled spray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body (1) includes a triangular support (71) with a pivot structure on the rear upper side thereof.
KR1020020009246A 2002-02-21 2002-02-21 self-propelled sprayer KR200300702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246A KR20030070202A (en) 2002-02-21 2002-02-21 self-propelled spr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246A KR20030070202A (en) 2002-02-21 2002-02-21 self-propelled spray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115U Division KR200275521Y1 (en) 2002-02-21 2002-02-21 self-propelled spra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202A true KR20030070202A (en) 2003-08-29

Family

ID=2954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246A KR20030070202A (en) 2002-02-21 2002-02-21 self-propelled spr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0202A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4274U (en) * 1982-05-18 1983-11-21 共立エコ−物産株式会社 Tube material for telescopic boom
JPS6031355U (en) * 1983-08-04 1985-03-02 株式会社 丸山製作所 boom of boom sprayer
KR870014143U (en) * 1986-03-19 1987-10-02 반금돌 Pesticide sprayer
JPH0379861A (en) * 1989-08-19 1991-04-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Gear shift cylinder drive unit for transmission
JPH03262564A (en) * 1990-03-13 1991-11-22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Multistage expansion and contraction apparatus
JP2000117151A (en) * 1998-10-15 2000-04-25 Arimitsu Industry Co Ltd Boom apparatus for sprinkling foaming agent
KR102100962B1 (en) * 2019-08-08 2020-04-14 류주연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window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4274U (en) * 1982-05-18 1983-11-21 共立エコ−物産株式会社 Tube material for telescopic boom
JPS6031355U (en) * 1983-08-04 1985-03-02 株式会社 丸山製作所 boom of boom sprayer
KR870014143U (en) * 1986-03-19 1987-10-02 반금돌 Pesticide sprayer
JPH0379861A (en) * 1989-08-19 1991-04-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Gear shift cylinder drive unit for transmission
JPH03262564A (en) * 1990-03-13 1991-11-22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Multistage expansion and contraction apparatus
JP2000117151A (en) * 1998-10-15 2000-04-25 Arimitsu Industry Co Ltd Boom apparatus for sprinkling foaming agent
KR102100962B1 (en) * 2019-08-08 2020-04-14 류주연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wind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9857A (en) Variable height field sprayer frame
CN107268969B (en) A kind of scaffold structure for high altitude operation
WO2009132554A1 (en) Outrigger for concrete pump truck and the truck with the outrigger
RU96105057A (en) AUTOMATED MOUNTED CRANE WITH AN ARROW FOLDING FOR YOURSELF
EP2055362B1 (en) Upright support structure for a fairground attraction, in particular a ferris wheel
US5431247A (en) Lifting apparatus
KR200275521Y1 (en) self-propelled sprayer
CN110075453A (en) Fire fighting truck
CN210096747U (en) Cantilever crane subassembly and fire engine
TW2009024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engagement of intermodal units
KR20030070202A (en) self-propelled sprayer
KR101330000B1 (en) An Apparutus for Distributing agricultural chemicals Using a Tilting Bar
CN210096746U (en) Fire engine
JPH02117591A (en) Foldable crane having boom comprising two or three elements connected mutually
CN110090379A (en) Arm support component and fire fighting truck
CN108782532B (en) Folding triangular spray boom spraying frame and operation method
US11737447B2 (en) Inverted truss geometry for agricultural spray boom
CN220343361U (en) Agricultural greenhouse pesticide spraying equipment
CN116603194A (en) Cantilever crane structure and fire engine
KR100191419B1 (en) Agricultural spray using robot arm
JP2863523B1 (en) Water tank inner surface coating movable high place work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assembly and disassembly method
CN217364108U (en) Folding truss of reel type sprinkler nozzle car
CN221027346U (en) Telescoping mechanism, crane boom and crane
JP3361240B2 (en) Boom sprayer equipment
CN218150165U (en) Telescopic tent support and 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