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312A -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312A
KR20030069312A KR1020020008842A KR20020008842A KR20030069312A KR 20030069312 A KR20030069312 A KR 20030069312A KR 1020020008842 A KR1020020008842 A KR 1020020008842A KR 20020008842 A KR20020008842 A KR 20020008842A KR 20030069312 A KR20030069312 A KR 2003006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access point
information
entry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269B1 (ko
Inventor
김호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26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션이 제1 억세스 포인트에서 제2 억세스 포인트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스테이션의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접속 요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요구 정보에 상응하는 접속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스테이션에 전송하여 상기 스테이션의 목적지 주소를 아는 경우,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에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 요구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투명한 BSS 변화에 대한 기술을 기술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Roaming Service due to transfer of Station in Wireless LAN}
본 발명은 한 스테이션이 한 억세스 포인트 영역에서 다른 억세스 포인트 영역으로 이동할때 끊김없이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기존 유선 랜의 확장 판으로 구현되어진 유연성이 뛰어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말하며 라디오 주파수(RF) 기술을 사용하여 최소한의 회선 연결만으로 무선으로 데이터를 공중에서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간단한 설비만으로 사용자가 일정한 영역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802.11은 국제 IEEE 위원회에서 서로 다른 vender들이 생산하는 무선랜 제품간의 호환성을 유지 함으로써 무선랜 시장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만든 무선 LAN 통신 표준규격이다.
애드혹(AD-hoc) 모드는 무선 랜카드를 장착한 둘 이상의 컴퓨터들만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억세스 포인트(AP,Access Point)를 추가하지 않고도 그 컴퓨터들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송.수신 되도록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 방식이다. 주로 복잡한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 없는 SOHO (Small Office Home Office) 사무실이나 건설현장, 물류창고 등에 아주 적합한 네트워크 구성 방식이다.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는 기존의 유선 망을 그대로 활용하고도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유선 망이나 인터넷에 추가 유선 공사 없이 접속할 수 있도록 구현된 방식으로 유선과 무선 망을 연결해주는 엑세스포인트(Access Point)가 필요하다.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방식은 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간의 대규모 망이나 인터넷 연결을 위한 다중 억세스 포인트망을 구성함과 동시에 로밍(Roaming)이 가능하여 효율성, 확장성과 함께 사용자에게는 편리함을 제공해 주는 장점으로 많은 응용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IEEE 802.11 무선 랜 시스템은 BSS(Basic Service Set)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BSS는 복수의 스테이션과 중앙 기지국인 억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한다. 상기 BSS 경계내에서는 상기 단말의 이동성이 지원되는데, 상기 이동성은 IEEE 802.11 관리 프레임을 통해 관리 통합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기능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으며, 분산시스템에 접근을 가능하게 해 주는 객체로써 하나의 셀내에서 각 단말간의 또는 각 셀간의 프레임 연계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액세스포인트는 단말과 유선 랜간의 연계를 제공하고, 단말과 유선 랜간의 IPX/IP(Internetwork Packet Exchange/Internet Protocol) 라우팅과 브리징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억세스 포인트는 다양한 NOS(network operating system)를 지원하게 되며 라우팅과 브리징외에도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지원, 프레임 여과 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테이션은 특정한 억세스 포인트를 선택해 접속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억세스 포인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스테이션이 해당 BSS를 벗어나면,상기 스테이션은 접속 종료 절차를 거치면서 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관할 영역을 벗어난다. 상기 스테이션이 다른 BSS에 영역에 들어가면,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BSS를 관할하는 억세스 포인트를 선택해 다시 접속 과정을 거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스테이션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IEEE 802.11에서 투명한 BSS 변화에 대한 기술은 기술되어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억세스 포인트간의 정보 처리 상호 운용을 허용하기 위한 방안이 결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EEE 802.11에 기술되어 있지 않은 투명한 BSS 변화에 대한 기술을 기술할 수 있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억세스 포인트간의 정보 처리 상호 운용을 허용할 수 있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이 제 1억세스 포인트에서 제 2억세스 포인트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스테이션의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BSS 110 : 억세스 포인트
120 : 스테이션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테이션이 제1 억세스 포인트에서 제2 억세스 포인트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스테이션의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접속 요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요구 정보에 상응하는 접속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스테이션에 전송하여 상기 스테이션의 목적지 주소를 아는 경우,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에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 요구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무선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스테이션의 목적지 주소를 아는 경우,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에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 요구 명령을 전송하는 것은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 요구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추출된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삭제한다.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는 목적지 주소, 소스 주소, 타입, BSS 식별자, 스테이션 주소, 접속 플래그, 승인 플래그,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가 상기 스테이션의 목적지 주소를 알지 못하면, 상기 스테이션의 엔트리 정보를 브로드케스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테이션이 제1 억세스 포인트에서 제2 억세스 포인트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가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스테이션의엔트리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입력된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엔트리 정보가 타임 아웃이 되면 삭제될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엔트리 정보가 타임 아웃이 되면 삭제될 정보이면, 상기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엔트리 정보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엔트리 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미리 저장된 엔트리 정보에 상응하는 스테이션 관리 정보에서 타이머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엔트리 정보가 타임 아웃이 되어도 삭제되지 않을 정보이면, 상기 엔트리 정보에 상응하는 스테이션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영구 저장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된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엔트리 정보에 프리큐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프리큐에 따라 상기 엔트리 정보에 상응하는 스테이션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엔트리 정보는 스테이션 주소, 타입,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랜 시스템은 BSS(Basic Service Set)(100a, 100b, ...100n, 이하 100으로 칭함)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BSS(100)는 복수의 스테이션(120a, 120b,...,120n, 이하 120으로 칭함)과 중앙 기지국인 억세스 포인트(AP,Access Point)(110a, 110b,..., 110n, 이하 110으로 칭함)를 포함한다.
상기 BSS(100) 경계내에서는 상기 스테이션(120)의 이동성이 지원되는데, 상기 이동성은 IEEE 802.11 관리 프레임을 통해 관리 통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성을 보장받는 스테이션(120)은 해당 억세스 포인트(110)에서 벗어나 다른 억세스 포인트(110)로 이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LAN에 있어서, BSS(100)내에 들어오는 새로운 스테이션(120)은 채널을 주사하면서 억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송출되는 비컨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비컨의 프레임에 실려 있는 정보를 판독하며, 상기 판독한 정보에 따라 시험 요구를 상기 억세스 포인트(110)에 인가해준다.
이런 경우, 각 채널이 다르게 설정된 제1 억세스 포인트와 제2 억세스 포인트는 모두 상기 스테이션(120)에 비컨을 송출하게 되며, 이에 상기 스테이션(120)은 시험 요구를 각 억세스 포인트(110)로 송출한 후에 해당 억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시험 응답을 수신하는데, 이때 제일 먼저 시험 응답을 송출한 억세스 포인트(110)를 확인하여 접속 요구를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접속 요구를 수신한 억세스 포인트(110)는 접속 응답을 생성시켜 상기 스테이션(120)에 송출해 줌으로써, 상기 스테이션(120)과 억세스 포인트(110)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이동된 스테이션(120)과 접속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친 새로운 억세스 포인트(110)는 기존의 억세스 포인트(110)에서 상기 스테이션(120)을 관리했던 스테이션 관리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요청을 받은 기존의 억세스 포인트(110)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스테이션(120)의 관리 정보를 상기 새로운 억세스 포인트(110)에 전송한다.
상기 새로운 억세스 포인트(110)는 상기 스테이션(120)의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존의 억세스 포인트(110)는 상기 스테이션(120)의 관리 정보를 삭제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테이션(120)이 제1 억세스 포인트에서 제2 억세스 포인트로 이동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이 제 1억세스 포인트에서 제 2억세스 포인트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스테이션의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테이션이 제1 억세스 포인트에서 제2 억세스 포인트로 이동하면,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접속 요구 정보를 수신한다(S200).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수신된 접속 요구 정보에 상응하는 접속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스테이션에 전송한다(S201).
단계 202의 수행후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스테이션의 목적지 주소를 아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2).
단계 202의 판단결과,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가 상기 스테이션의 목적지 주소를 알고 있다면,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에게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 요구 명령을 전송한다(S203).
단계 203의 수행으로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 요구 명령을 수신한다(S204).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추출하여 제2 억세스 포인트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삭제한다(S205).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스테이션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206). 상기 스테이션 관리 정보는 목적지 주소, 소스 주소, 타입, BSS 식별자, 스테이션 주소, 접속 플래그, 승인 플래그, 타이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만약, 단계 202의 판단결과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가 상기 스테이션의 목적지 주소를 알고 있지 않다면,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스테이션의 엔트리 정보를 브로드케스트(broadcast)한 후(S207), 단계 202를 수행하여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가 상기 스테이션의 목적지 주소를 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엔트리 정보는 스테이션 주소, 소스 주소, 패킷 양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억세스 포인트는 데이터베이스에 스테이션의 엔트리 정보를 입력하여(S300), 상기 입력된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1).
단계 301의 판단결과, 상기 스테이션의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스테이션의 엔트리 정보가 타임 아웃이 되어도 존재하는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2). 단계 302의 판단결과, 상기 스테이션의 엔트리 정보가 타임 아웃이 되어도 존재하는 정보이면, 상기 엔트리 정보에 상응하는 스테이션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영구 테이블에 저장한다(S303).
만약, 단계 301의 판단결과, 상기 스테이션의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엔트리 정보에 프리큐를 할당한다(S304). 단계 304의 수행후, 상기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할당된 프리큐에 따라 상기 엔트리 정보에 상응하는 스테이션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S305).
만약, 단계 302의 판단결과 상기 스테이션의 엔트리 정보가 타임 아웃이 되면 삭제될 정보이면, 상기 엔트리 정보가 미리 저장된 엔트리 정보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6). 단계 306의 판단결과 상기 엔트리 정보가 미리 저장된 엔트리 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미리 저장된 엔트리 정보에 상응하는 스테이션 관리 정보의 타이머를 갱신하여 저장한다(S307).
만약, 단계 306의 판단결과 상기 엔트리 정보가 미리 저장된 엔트리 정보와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억세스포인트는 상기 엔트리 정보에 상응하는 스테이션 관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08).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EEE 802.11에 기술되어 있지 않은 투명한 BSS 변화에 대한 기술을 기술할 수 있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억세스 포인트간의 정보 처리 상호 운용을 허용할 수 있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스테이션이 제1 억세스 포인트에서 제2 억세스 포인트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스테이션의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접속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접속 요구 정보에 상응하는 접속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의 목적지 주소를 아는 경우,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에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 요구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의 목적지 주소를 아는 경우,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에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 요구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 요구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및
    상기 제1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추출된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는 목적지 주소, 소스 주소, 타입, BSS 식별자, 스테이션 주소, 접속 플래그, 승인 플래그,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가 상기 스테이션의 목적지 주소를 알지 못하면, 상기 스테이션의 엔트리 정보를 브로드케스트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
  5. 스테이션이 제1 억세스 포인트에서 제2 억세스 포인트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제2 억세스 포인트가 상기 스테이션의 관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스테이션의 엔트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엔트리 정보가 타임 아웃이 되면 삭제될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엔트리 정보가 타임 아웃이 되면 삭제될 정보이면, 상기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엔트리 정보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엔트리 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미리 저장된 엔트리 정보에 상응하는 스테이션 관리 정보에서 타이머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정보가 타임 아웃이 되어도 삭제되지 않을 정보이면, 상기 엔트리 정보에 상응하는 스테이션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영구 저장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엔트리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엔트리 정보에 프리큐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프리큐에 따라 상기 엔트리 정보에 상응하는 스테이션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정보는 스테이션 주소, 타입,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2-0008842A 2002-02-19 2002-02-19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방법 KR100429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42A KR100429269B1 (ko) 2002-02-19 2002-02-19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42A KR100429269B1 (ko) 2002-02-19 2002-02-19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312A true KR20030069312A (ko) 2003-08-27
KR100429269B1 KR100429269B1 (ko) 2004-04-29

Family

ID=32221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842A KR100429269B1 (ko) 2002-02-19 2002-02-19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2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724A (ko) * 2002-05-14 200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네트워크에서 라우팅방법
KR100470303B1 (ko) * 2002-04-23 2005-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중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이동성을 갖는 인증 시스템및 방법
KR100701039B1 (ko) * 2005-08-30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핸드 오프 방법 및 장치
KR100913869B1 (ko) * 2002-10-28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단말장치 및 무선랜 접속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변경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303B1 (ko) * 2002-04-23 2005-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중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이동성을 갖는 인증 시스템및 방법
KR20030088724A (ko) * 2002-05-14 200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네트워크에서 라우팅방법
KR100913869B1 (ko) * 2002-10-28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단말장치 및 무선랜 접속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변경하는 방법
KR100701039B1 (ko) * 2005-08-30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핸드 오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9269B1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05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between subnetworks of mobile node in wireless LAN
KR101702606B1 (ko) 서비스를 등록 및 발견하는 방법, 기기, 및 시스템
US7483706B2 (en) Floating IP address for roaming internet connected subscriber units
JP358798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パケットゲートウェイ装置、位置情報管理方法、および、位置情報通知方法
US8001223B2 (en) Automatic switching network points based on configuration profiles
CN100440823C (zh) 在无线局域网和蜂窝网络之间漫游的方法
US6842460B1 (en) Ad hoc network discovery menu
US84121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IP addr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618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wireless terminals with access point through wireless network
CN1653738B (zh) 在由网络服务的移动终端用户之间通信数据分组的方法
KR20040102027A (ko) 하이브리드 무선 액세스 브리지와 이동 액세스 라우터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6097A (ko) 무선 장치 식별자로서 ip 어드레스를 이용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JP2003516059A (ja) セル方式通信システム
KR101109692B1 (ko) Ip 주소 할당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한 이동 노드,데이터 서버 및 ip 주소 할당 정보 제공 방법
JP2006246198A (ja) 識別アドレス設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移動網パケット中継装置
KR100429269B1 (ko) 무선 랜에서 스테이션의 이동으로 인한 로밍서비스 제공방법
CN113613274B (zh) 基于Mesh组网下的智能接入配置方法
KR20040051328A (ko)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JP3524999B2 (ja) 異種ネットワーク間相互接続におけるアドレス解決装置
KR100456456B1 (ko) 무선랜 시스템의 이동 아이피 기능 제공 장치 및 방법과,이동 ip 기능을 이용한 이동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100442733C (zh) 无线城域网系统切换过程中寻址目标基站的方法
US200900866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vertical handover 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85256B1 (ko) 휴대인터넷망에서 mobile ip를 할당하는 방법
KR10055715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어기 검색 방법
KR20020013144A (ko) 이동성을 제공하는 광대역무선망과, 그에 따른 무선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