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324A - Portable air-conditioner - Google Patents

Portable air-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324A
KR20030067324A KR1020020007450A KR20020007450A KR20030067324A KR 20030067324 A KR20030067324 A KR 20030067324A KR 1020020007450 A KR1020020007450 A KR 1020020007450A KR 20020007450 A KR20020007450 A KR 20020007450A KR 20030067324 A KR20030067324 A KR 20030067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conditioner
condenser
compressor
smal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99492B1 (en
Inventor
정인화
진심원
이창선
정문기
윤인철
안철오
이주연
문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492B1/en
Priority to JP2002202901A priority patent/JP2003240278A/en
Priority to CNB021425582A priority patent/CN1211609C/en
Publication of KR2003006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3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492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mini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o be easily installed and moved to efficiently heat/cool a specific space. CONSTITUTION: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heat radiating part(100) having a small displacement compressor(1) and a condenser(2), and a first case having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built therein; a heat absorbing part(200) having a small capacity evaporator(3) and a second case having the evaporator built therein; a high pressure tube(30) connect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 low pressure tube(40) connect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mpressor; and a drain tube(50) guid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o the first case. The compressor is placed to be a little eccentric to a center of the first case. The condenser is placed along three sides of an inside of the first case. The high pressure tube and the low pressure tube are plac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se. An air inlet is formed on the three sides of the first case on which the condenser is placed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 so as to cool down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An air outlet is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case to discharge air flowing in through the air inlet and cooling down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소형 공기조화기{Portable air-conditioner}Portable air conditioner {Portable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한 소형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특정 공간을 효율적으로 냉/난방시킬 수 있도록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이에 맞게 구성부품이 효과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소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ll air conditioner that is movable, and in particular, is easy to install and move so as to efficiently cool / heat a specific space, and component parts are effectively arranged accordingly. A small air conditioner having a structur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상점 및 사무실 또는 가정 등의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 등에 설치하여 실내냉방 또는 실내난방을 이루도록 한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기기이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cooling / heating device installed in a space or a wall of a store, an office, or a home to achieve indoor cooling or room heating. It is a device that makes up a cycle.

특히,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으로 열방출부(일반 공기조화기에 적용시 실외에 설치되므로 일명 "실외기"라 칭함)와, 열흡수부(일반 공기조화기에 적용시 실내에 설치되므로 일명 "실내기"라 칭함)로 나뉘는데,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가 포함되고, 상기 열흡수부는 상기 증발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an air conditioner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heat dissipation unit (also called an "outdoor unit" because it is installed outdoors when applied to a general air conditioner), and a heat absorbing unit (also called an "indoor" because it is installed indoors when applied to a general air conditioner). The heat dissipation part includes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and the heat absorption part includes the evaporator.

한편, 공기조화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열방출부와 열흡수부가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열방출부와 열흡수부가 일체로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er, as is well known, is largely divided into a separate air conditioner separated from the heat dissipation unit and the heat absorbing unit,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tegrated with the heat dissipating unit and the heat absorbing unit.

여기서,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세부적으로, 열흡수부의 장착형태에 따라, 패키지형(일명 "입식형")ㆍ벽부착형ㆍ천장부착형 등으로 나뉘고,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창문을 중심으로 실내측에는 열흡수부가 실외측에는 열방출부가 위치되어 창문에 장착되는 창문형 등으로 나뉜다.Here,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package type (aka "pump type"), wall mount type, ceiling mount typ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mounting type of the heat absorbing unit, and the integrated air conditioner is centered on the window. On the indoor side, the heat absorbing unit is divided into a window type mounted on the window due to the heat dissipating unit on the outdoor side.

한편, 상기 열방출부 및 열흡수부는 그 크기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열방출부는 실외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열흡수부 실내 일측에 고정설치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dissipating unit and the heat absorbing unit is large in size and heavy, as is well known, the heat dissipating uni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door, the heat absorbing uni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indoor room.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eneral air conditioner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크고 무거워서 설치하기가 불편하였다. 또한, 냉매용 배관 등은 구리관으로 제작되고, 설치시에는 벽을 뚫고 소정 위치에 고정되므로 실질적으로 일단 설치된 공기조화기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공조공간 전부가 아닌 특정 공간을 국부적으로 냉방하는 것이 사실상 곤란하였다.Conventional air conditioners are generally large and heavy and inconvenient to install. 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nt pipes and the like are made of copper pipes and ar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wall at the time of installation, it is difficult to move the air conditioner once installed to another place. Therefore, it is virtually difficult to locally cool a specific space, but not all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공간을 효율적으로 냉/난방시킬 수 있도록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이에 맞게 구성부품이 효과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소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provide a small air conditioner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move, and the component is effectively arranged to efficiently cool / heat a specific space. There is th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mall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의 열방출부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t dissipation of the small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Ⅰ-Ⅰ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도 4는 도 2의 Ⅱ-Ⅱ단면도.4 is a II-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5는 도 4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FIG. 4.

도 6a는 도 2의 Ⅲ-Ⅲ단면도로서, 파지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and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n example of a grip part.

도 6b는 파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6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gripper;

도 7은 도 2의 "A"에서 바라본 요부 배면도.FIG. 7 is a back view of the main portion viewed from “A” of FIG. 2; FIG.

도 8은 도 2의 Ⅲ-Ⅲ단면도로서, 열흡수부에 결합되기 위한 일실시예의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tate for coupling to a heat absorber; FIG.

도 9a는 도 8의 배관커버가 열흡수부에 구비된 일실시예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Figure 9a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pipe cover of Figure 8 is provided with a heat absorbing portion.

도 9b는 도 8의 배관커버가 열방출부에 구비되는 다른 실시예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9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ipe cover of FIG. 8 is provided with a heat dissipation unit;

도 10은 도 2의 Ⅲ-Ⅲ단면도로서, 벽에 결합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showing a state of another embodiment for coupling to a wall.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열방출부 200: 열흡수부100: heat dissipation unit 200: heat absorption unit

1: 압축기 2: 응축기1: compressor 2: condenser

3: 증발기 10: 제1 케이스3: evaporator 10: first case

11: 공기흡입구 12: 공기토출구11: air inlet 12: air outlet

13: 환기구 14: 가이드홈13: Ventilation opening 14: Guide groove

20: 제2 케이스 21: 배관커버20: second case 21: piping cover

30: 고압배관 31: 토출관30: high pressure pipe 31: discharge pipe

40: 저압배관 41: 어큐물레이터40: low pressure piping 41: accumulator

50: 배수관 60: 지지부재50: drain pipe 60: support member

71: 비산팬 72: 팬모터71: scattering fan 72: fan motor

80: 클램프 81: 축류팬80: clamp 81: axial fan

81a: 허브 81b: 캡81a: hub 81b: cap

82: 쉬라우드 83: 유동가이드82: shroud 83: flow guide

84: 전장부 90: 파지수단84: battlefield 90: gripping means

91, 92: 손잡이91, 92: hand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용량 압축기 및 응축기를 가짐과 함께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를 내설시키는 제1 케이스를 갖는 열방출부와; 소용량 증발기를 가짐과 함께 상기 증발기를 내설시키는 제2 케이스를 갖는 열흡수부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연결되는 고압배관과;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연결되는 저압배관과;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제1 케이스로 안내하는 배수관이 포함되며; 상기 압축기가 상기 제1 케이스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소정량 이동되어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 3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고압배관 및 저압배관이 상기 제1 케이스의 타측 중 상기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구비되어 이루어진 소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dissipation unit having a small capacity compressor and a condenser, and having a first case to house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A heat absorbing part having a small capacity evaporator and having a second case for internalizing the evaporator; A high pressure pipe connect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 low pressure pipe connect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mpressor; A drain pipe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o the first case; The compressor is provided by moving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case to one side; The condenser is provided along the inner three sides of the first case; The high pressure pipe and the low pressure pipe provides a compact air conditioner provid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se.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 중 상기 응축기가 위치된 3면에는, 상기 응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로 유입되어 응축기 또는 압축기를 냉각시킨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air suction por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to cool the condenser or the compressor may be formed on three surfaces of the first case where the condenser is locat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may be the air suction hole. Preferably, an ai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that has flowed in and cooled the condenser or compressor is discharged.

또한, 상기 제1 케이스는, 실내 바닥 또는 실외측 베란다 바닥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케이스 또는 실내벽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case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movable on an indoor floor or an outdoor veranda floor, and is preferab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case or an interior wall surfac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는,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이에 맞게 구성부품이 효과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특정 공간을 효율적으로 냉/난방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mpac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and move, and accordingly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components are effectively arrange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ol / heat a specific spac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의 열방출부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Ⅰ-Ⅰ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Ⅱ-Ⅱ단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mall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dissipation part of a small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4 is a II-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그리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a는 도 2의 Ⅲ-Ⅲ단면도로서, 파지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도 6b는 파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A"에서 바라본 요부 배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of FIG. 4, and FIG. 6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n example of a gripping part, and FIG. 7 is a back view of the main portion viewed from "A" of FIG.

또한, 도 8은 도 2의 Ⅲ-Ⅲ단면도로서, 열흡수부에 결합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9a는 도 8의 배관커버가 열흡수부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8의 배관커버가 열방출부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2의 Ⅲ-Ⅲ단면도로서, 벽에 결합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showing a state for coupling to a heat absorbing unit, and FIG. 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pipe cover of FIG. 8. FIG. 9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pipe cover of FIG. 8 provided in the heat dissipating part,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showing a state for coupling to a wall.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용량 압축기(1) 및 응축기(2)를 가짐과 함께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를 내설시키는 제1 케이스(10)를 갖는 열방출부(100)와; 소용량 증발기(3)를 가짐과 함께 상기 증발기를 내설시키는 제2 케이스(도 8의 20참조)를 갖는 열흡수부(200)와; 상기 응축기(2)와 상기 증발기(3) 사이에 연결되는 고압배관(30)과; 상기 증발기(3)와 상기 압축기(1) 사이에 연결되는 저압배관(40)과; 상기 증발기(1)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제1 케이스(10)로 안내하는 배수관(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The small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 capacity compressor (1) and a condenser (2)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a heat having a first case (10) to house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A discharge part 100; A heat absorption part (200) having a small capacity evaporator (3) and a second case (see 20 in FIG. 8) for internalizing the evaporator; A high pressure pipe (30) connected between the condenser (2) and the evaporator (3); A low pressure pipe (40) connected between the evaporator (3) and the compressor (1); It includes a drain pipe 50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 to the first case 10.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1)가 상기 제1 케이스(10)의 중심에서 일측(도 3에서 우측)으로 소정량(도 3의 'B'참조) 이동되어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2)가 상기 제1 케이스(10)의 내측 3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고압배관(30) 및 저압배관(40)이 상기 제1 케이스(10)의 타측(도 3에서 좌측) 중 상기 응축기(2)와 상기 압축기(1) 사이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mall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compressor 1 is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case 10 to one side (right side in Figure 3) ( 3) moved and provided; The condenser (2) is provided along the inner three sides of the first case (10); The high pressure pipe 30 and the low pressure pipe 40 are provided between the condenser 2 and the compressor 1 of the other side (left side in FIG. 3) of the first case 10.

한편, 이와 더불어, 상기 제1 케이스(10)의 타측(도 3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상기 응축기(2)의 일단에, 상기 응축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member 60 for supporting the condenser is furth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denser 2 located on the other side (left side in FIG. 3) of the first case 10.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60) 중 상기 제1 케이스(10)를 향하는 외향면에 상기 제1 케이스에 모인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2)로 비산시키기 위한 비산팬(7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60) 중 상기 제1 케이스(10)를 반향하는 내향면에 상기 비산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72)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50)을 통해 상기 제1 케이스(10)로 안내된 응축수를 제1 케이스 내에서 증발 제거시킴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cattering fan 71 for scattering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first case to the condenser 2 is further provided on an outward surface facing the first case 10 of the support member 60. A fan motor 72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ward surface of the member 60 that faces the first case 10 so as to rotate the scattering fan to the first case 10 through the drain pipe 50. More preferably, the guided condensate is evaporated off in the first case.

또한, 상기 팬모터(72)와 상기 압축기(1) 사이에 상기 고압배관(30)과 상기 저압배관(40) 그리고 상기 배수관(50)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8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lamp 8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an motor 72 and the compressor 1 to fix the high pressure pipe 30, the low pressure pipe 40, and the drain pipe 50 together. Do.

이 때, 배관설비를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80)측에 어큐물레이터(41)가 위치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압축기(1)에서 토출된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관(31)의 일단이 상기 압축기(1)에 연결되고, 토출관의 타단이 상기 응축기(2)의 일단에 연결되며, 토출관의 중심부가 상기 어큐물레이터(41)와 상기 응축기(2) 사이에 위치됨이 보다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simplify and efficiently install the piping equip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umulator 41 is positioned on the clamp 80 side, and the discharge tube for guid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 ( One end of 31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denser 2,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between the accumulator 41 and the condenser 2. More preferably located.

한편, 제1 케이스(10)의 3면에 걸쳐 압축기(1)를 감싸며 응축기(2)가 위치됨에 따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 중 상기 응축기(2)가 위치된 3면에, 상기 응축기(2) 또는 상기 압축기(1)를 냉각시키기 위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10)의 상부에, 상기 공기흡입구(11)로 유입되어 응축기 또는 압축기를 냉각시킨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되어, 응축기 및 압축기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공냉시킴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the condenser 2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compressor 1 over three surfaces of the first case 10,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4, the condenser of the first case 10 ( On the three sides where 2) is located, an air inlet 11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to cool the condenser 2 or the compressor 1 is formed, an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ase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inlet 12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1 and discharges air for cooling the condenser or the compressor, thereby effectively air-cooling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at the same time.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토출구(12)에는, 공기의 유입 및 토출을 원활하게 해주는 축류팬(81)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토출시, 소음의 원인인 유동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토출구(12)의 내주를 따라 상기 축류팬(81)의 높이 만큼 원통형의 쉬라우드(82)가 더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And, as shown in Figure 4, the air discharge port 12, it is preferable that the axial flow fan 81 to facilitate the inlet and discharge of air is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that causes noise during the air discharg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ylindrical shroud 82 is further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ir discharge port 12 by the height of the axial fan 81. Do.

이와 더불어, 상기 축류팬(81) 중 상기 제1 케이스(10)의 내측을 향하는 허브(81a)에, 공기유동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캡(81b)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캡(81b)은 유동저항을 줄이기 위해 반원구 또는 반타원구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ap 81b for stabilizing air flow is further provided at the hub 81a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ase 10 of the axial fan 81, wherein the cap 81b is more preferably made of any one of a semi-circle or semi-ellipse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의 3측면으로 유입되는 공기(도 5의 화살표 참조)가 서로 충돌되지 않고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쉬라우드(82)와 상기 응축기(2) 상부 사이에 덕트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공기토출구(12)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점점 그 덕트의 내측 크기가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유동가이드(83)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shroud 82 and the shroud 82 are smoothly discharged so that air (see an arrow in FIG. 5) flowing into three sides of the first case 10 does not collide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guide 83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condenser 2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inner size of the duc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outlet 12.

특히, 상기 유동가이드(83)의 형상에 따라 발생되는 여유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 중 상기 쉬라우드(82)와 유동가이드(83)에 의해 생기는 사이 공간에, 상기 방열부(1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전장부(84)를 구비시킴이 보다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free spa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ow guide 83, as shown in Figure 4 and 5, the shroud 82 and the flow guide of the first case 10 It is more preferable to equip the space formed by the 83 with the electrical component 84 for supplying or controlling power to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100.

이 때, 상기 전장부(84)가 내설되는 공간은 누전등을 막기 위해 밀폐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밀폐에 따른 전장부 과열을 막기 위해, 누수우려가 가장 적은 위치인 상기 제1 케이스(10) 측면 중 상기 전장부(84)가 위치된 면에 환기구(도 5의 13)가 더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환기구(13)에는 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방열팬(미도시)이 더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pace in which the electric parts 84 are installed is preferably sealed to prevent an electric leakage lamp, and in order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electric parts due to the sealing, the first case 10 having the least leakage is a pos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ventilation hole (13 of FIG. 5) is further formed on the side of the electric field 84 is located on the side, the ventilation hole 13 is further provided with a heat radiation fan (not shown) for forcibly flowing air More preferred.

한편,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 중 상기 응축기(2)가 위치하지 않은 외면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열방출부(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파지수단(90)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6A and 6B, the heat dissipation part 100 may be easily moved by a user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0 in which the condenser 2 is not loc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means 90 is further provided.

이 때, 상기 파지수단(90)은, 일실시예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시 상방향으로 뽑아 사용하고 미파지시 하방향으로 삽입시켜 외관이 깨끗해지도록 하는 상기 제1 케이스(1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손잡이(91)가 포함된 것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시 상부로 회전시켜 사용하고 미파지시 하부로 젖혀 외관이 깨끗해지도록 하는 상기 제1 케이스(1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손잡이(92)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ipping means 90 is, in one embodiment, the first case 10 to be pulled upward and used when gripping, as shown in Figure 6a and inserted downward when not gripping to clean the appearance. It may be included in the handle 91 is provided to move up / down,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The first case 10 to be built may include a handle 92 provided to be rotatable up / down.

한편, 상기 제1 케이스(10)의 배면이 타부(제2 케이스의 배면 또는 벽면 등)에 장착될 때, 상기 고압배관(30)과 저압배관(40) 그리고 배수관(50)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10)의 배면이 상기 타부에 미접촉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의 배면에 상기 고압배관과 저압배관 그리고 배수관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14)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case 10 is mounted on the other portion (back surface or wall surface of the second case, etc.), the first by the high pressure pipe 30, the low pressure pipe 40 and the drain pipe 50 In order to prevent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10 from being in contact with the other part, as shown in FIG. 7, the high pressure pipe, the low pressure pipe, and the drain pipe are inserted into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case 10 to guide the groove ( It is preferred that 14) be further formed.

한편, 상기 제1 케이스(10)의 배면과 상기 제2 케이스(20)의 배면은 상호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0)의 배면과 상기 제2 케이스(20)의 배면은 후크방식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이 보다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se 1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ase 2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removable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8, the first case 1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ack and the back of the second case 2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hook method.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10)가 상기 제2 케이스(20)에 결합시 상기 고압배관(30)과 저압배관(40) 그리고 배수관(5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케이스(20)의 하부에 배관실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실은, 상기 제2 케이스(20)의 하부 빈 공간에 별도의 배관커버(21)에 의해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여러 실시예를 들어 배관커버(21)의 구비방식 설명한다.When the first case 10 is coupled to the second case 20, the second case 20 does not expose the high pressure pipe 30, the low pressure pipe 40, and the drain pipe 50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ping room is furth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8, the pipe room is more preferably formed by a separate pipe cover 21 in a lower empty space of the second case 20.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the pipe cover 2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various embodiments.

상기 배관커버(21)는, 일실시예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케이스(2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케이스(2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pipe cover 21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 as shown in FIG. 9A,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cover 20 is not shown. It may be detach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se 20, and as another example, may be detach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0 as shown in FIG. 9B.

특히, 상기 배관커버(21)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 또는 제2 케이스(20)에 후크방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케이스(10) 또는 제2 케이스(20)에 자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케이스(10) 또는 제2 케이스(20)에 벨크로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ipe cover 21, as shown in Figure 9b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first case 10 or the second case 20 by a hook method,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case 10 or the second case 20 may be detachably provided by a magnet, and the first case 10 or the second case 20 may be detachably provided by a velcro. It may be provided detachably in various ways.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10)와 상기 제2 케이스(20)가 상호 분리된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케이스(10)는, 실내 바닥 또는 실외측 베란다 등에 이동가능하게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케이스(20)는, 실내 바닥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case 10 and the second case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case 1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on an indoor floor or an outdoor side porch. The second case 2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indoor floor.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0)와 상기 제2 케이스(20)가 상호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압배관(30)과 저압배관(40) 그리고 배수관(50)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igh pressure pipe 30, the low pressure pipe 40 and the drain pipe 50 are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first case 10 and the second case 20 can be moved with each other.

다른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의 배면은 벽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케이스(10)의 배면은 상기 벽면에 후크방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0,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se 10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in this case,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se 10 is hooked to the wall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detachably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는,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이에 맞게 구성부품이 효과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특정 공간을 효율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mpac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and move, and accordingly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components are effectively arrange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ol / heat a specific spac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be implemented. Here,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small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이에 맞게 구성부품이 효과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특정 공간을 효율적으로 냉/난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move and the components are effectively arrang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iciently cool / heat a specific space.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각 구성부품에 따른 효과 및 그 구성부품의 위치에 따른 효과를 포함한다.And the effects according to each component and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0)

소용량 압축기 및 응축기를 가짐과 함께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를 내설시키는 제1 케이스를 갖는 열방출부와; 소용량 증발기를 가짐과 함께 상기 증발기를 내설시키는 제2 케이스를 갖는 열흡수부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연결되는 고압배관과;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연결되는 저압배관과;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제1 케이스로 안내하는 배수관이 포함되며;A heat dissipation unit having a small capacity compressor and a condenser and having a first case to house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A heat absorbing part having a small capacity evaporator and having a second case for internalizing the evaporator; A high pressure pipe connect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 low pressure pipe connect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mpressor; A drain pipe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o the first case; 상기 압축기가 상기 제1 케이스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소정량 이동되어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 3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고압배관 및 저압배관이 상기 제1 케이스의 타측 중 상기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compressor is provided by moving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case to one side; The condenser is provided along the inner three sides of the first case;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 pressure pipe and the low pressure pipe is provid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케이스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응축기의 일단에 상기 응축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condenser is furth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denser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s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지부재 중 상기 제1 케이스를 향하는 외향면에 상기 제1 케이스에 모인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비산시키기 위한 비산팬이 더 구비되고,A scattering fan is further provided for scattering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first case to the condenser on an outward surface facing the first case among the supporting members. 상기 지지부재 중 상기 제1 케이스를 반향하는 내향면에 상기 비산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an motor for rotating the scattering fan on an inward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hat faces the first cas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팬모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상기 고압배관과 상기 저압배관 그리고 상기 배수관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And a clamp for fixing the high pressure pipe, the low pressure pipe, and the drain pipe together between the fan motor and the compresso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클램프측에 어큐물레이터가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umulator is located on the clamp sid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관은;The discharge pipe for guid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그 일단이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응축기의 일단에 연결되며, 그 중심부가 상기 어큐물레이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Wherei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denser,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located between the accumulator and the condenser.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상기 제1 케이스 중 상기 응축기가 위치된 3면에, 상기 응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On the three surfaces of the first case where the condenser is located, an air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to cool the condenser or the compressor is formed.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공기흡입구로 유입되어 응축기 또는 압축기를 냉각시킨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ir, the air inlet port is introduced into the air suction port is discharged to cool the condenser or compressor is discharge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공기토출구에, 공기의 유입 및 토출을 원활하게 해주는 축류팬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discharge port, further provided with an axial flow fan to facilitate the inlet and discharge of ai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공기토출구부의 내주를 따라 상기 축류팬의 높이 만큼 원통형의 쉬라우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shroud is further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ir discharge port as the height of the axial flow fan.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축류팬 중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을 향하는 허브에, 공기유동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캡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p for stabilizing air flow in the hub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ase.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캡은 반원구 또는 반타원구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cap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shape of any one of a semi-circle or semi-ellipse.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응축기 상부 사이에 덕트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공기토출구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점점 그 덕트의 내측 크기가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유동가이드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A small air conditioner is provided between the shroud and the upper part of the condenser in a duct shape, the flow guide having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the inner size of the duct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ir discharge port.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 케이스 중 상기 쉬라우드와 유동가이드에 의해 생기는 사이 공간에, 상기 방열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전장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wherein an electric component for supplying or controlling power to the heat radiating part is provided in a space formed by the shroud and the flow guid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전장부가 내설되는 공간은 누전등을 막기 위해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space in which the electric parts are installed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ed to prevent a short circuit.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 케이스 측면 중 상기 전장부가 위치된 면에, 상기 밀폐에 따른 전장부 과열을 막기 위한 환기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wherein a ventilation hole for preventing overheating of the electric part due to the sealing is further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rst case sid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환기구에 방열팬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discharge fan is further provided in the ventilation po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케이스 중 상기 응축기가 위치하지 않은 외면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열방출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파지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ripping means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in which the condenser is not located, to easily move the heat dissipation part by a user.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파지수단은, 파지시 상방향으로 뽑아 사용하고 미파지시 하방향으로 삽입시켜 외관이 깨끗해지도록 하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손잡이가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holding means is a small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provided to be moved up and down in the first case to be pulled out upward when used in the gripping and inser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hen not grasped to clean the appearance. group.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파지수단은, 파지시 상부로 회전시켜 사용하고 미파지시 하부로 젖혀 외관이 깨끗해지도록 하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손잡이가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gripping means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provided to rotate up and down in the first case used to rotate the upper portion when grasping and the lower side when the gripping is clea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케이스의 배면이 타부에 장착될 때, 상기 고압배관과 저압배관 그리고 배수관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의 배면이 상기 타부에 미접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제1 케이스의 배면에 상기 고압배관과 저압배관 그리고 배수관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When the back of the first case is mounted on the other part, the high pressure pipe and the high pressure pipe and the low pressure pipe and the drain pipe to prevent the back of the first case from being in contact with the other part,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 pressure pipe and the drain pip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is further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케이스의 배면은 상기 제2 케이스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se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ase.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1 케이스의 배면과 상기 제2 케이스의 배면은 후크방식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ase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detachable hook.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시 상기 고압배관과 저압배관 그리고 배수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부에 배관실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case is further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so that the high pressure pipe, the low pressure pipe and the drain pip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case is coupled to the second case.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배관실은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부 빈 공간에 별도의 배관커버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pipe chamber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separate pipe cover in the lower empty space of the second case.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배관커버는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pipe cover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배관커버는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pipe cover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ase or the second case. 제 2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배관커버는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에 후크방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pipe cover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by a hook method on the first case or the second case. 제 2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배관커버는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에 자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pipe cover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by a magnet in the first case or the second c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케이스의 배면은 벽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se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wall detachable. 제 2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제1 케이스의 배면과 상기 벽면은 후크방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공기조화기.The rear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first case is a small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by a hook method.
KR10-2002-0007450A 2002-02-08 2002-02-08 Portable air-conditioner KR1004994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450A KR100499492B1 (en) 2002-02-08 2002-02-08 Portable air-conditioner
JP2002202901A JP2003240278A (en) 2002-02-08 2002-07-11 Movable small air-conditioner
CNB021425582A CN1211609C (en) 2002-02-08 2002-07-15 Movable small siz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450A KR100499492B1 (en) 2002-02-08 2002-02-08 Portable air-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324A true KR20030067324A (en) 2003-08-14
KR100499492B1 KR100499492B1 (en) 2005-07-07

Family

ID=2765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450A KR100499492B1 (en) 2002-02-08 2002-02-08 Portable air-conditio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240278A (en)
KR (1) KR100499492B1 (en)
CN (1) CN1211609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013B1 (en) * 2004-01-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structure for pipe arrangement of air-conditioner
JP5611605B2 (en) * 2010-01-28 2014-10-22 三洋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ES2702236T3 (en) * 2011-05-20 2019-02-28 Daikin Ind Ltd Outdoor unit for cooling device
CN102322677A (en) * 2011-08-20 2012-01-18 江苏阿尔特空调实业有限责任公司 Pipeline structure in the windward type air-conditioning
CN218915105U (en) * 2022-11-08 2023-04-25 艾美特电器(九江)有限公司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131A (en) * 1997-12-02 1999-07-05 윤종용 Discharge air blocking device of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1609C (en) 2005-07-20
JP2003240278A (en) 2003-08-27
KR100499492B1 (en) 2005-07-07
CN1436972A (en) 200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01388B2 (en) An air-conditioner
US10401040B2 (en) Air conditioner
US20030145618A1 (en) Indoor unit in air conditioner
WO2020072099A1 (en) Compact fan and air conditioner assembly
JP3103144U (en) Heat release par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KR100499492B1 (en) Portable air-conditioner
KR20080003525A (en) Air conditioner
CN220793296U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160009232A (en) Dehumidifier
CN110793131A (en) Heat dissipation spiral case and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provided with same
CN216011060U (en) Air conditioner
CN218119957U (en) Indoor air conditioner
KR101010454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178068Y1 (en) Package air conditioner
KR100538168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300592B1 (en) Multi-side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KR200146179Y1 (en) One body typed casing of airconditioner
KR200247275Y1 (en) Package air-conditioner module for individual cooling of building
KR100270868B1 (en) Airconditioner noise deminish device
KR100596258B1 (en) Air conditioner
KR100564456B1 (en) Air conditioner
KR200312467Y1 (en) Structure of grill to Air-conditioner filled in ceiling
KR20030073848A (en) Discharge-structure of radiating part in air-conditioner
KR20000000621U (en) Grommet Mounting Support of Air Conditioning Compressor
KR20000014285U (en) Air conditioner for ceiling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