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029A -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및 그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및 그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029A
KR20030066029A KR1020020006176A KR20020006176A KR20030066029A KR 20030066029 A KR20030066029 A KR 20030066029A KR 1020020006176 A KR1020020006176 A KR 1020020006176A KR 20020006176 A KR20020006176 A KR 20020006176A KR 20030066029 A KR20030066029 A KR 20030066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reens
screen
compressed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수
Original Assignee
윤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수 filed Critical 윤인수
Priority to KR1020020006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6029A/ko
Publication of KR2003006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영상전송 제어모듈,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 화면 압축모듈 등의 연계과정을 통해, 화면의 압축률, 화면 전송수 등을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차별화하여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각 영상들은 자체적인 움직임 특성에 따라 선별·압축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클라이언트측으로 출력되는 압축 데이터들은 별다른 시각적인 훼손 없이, 그 크기가 인터넷망의 기존 대역폭에 적합한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게 되고, 결국, 본 발명에서는 대형 영상물의 자연스런 실시간 전송을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transmitting a compression moving picture based on the internet-network}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화면의 압축률, 전송 화면수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압축화면의 왜곡현상을 일정 수준 이하로 억제시킬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측으로 출력되는 압축 데이터들의 크기가 큰 훼손 없이, 인터넷망의 기존 대역폭에 적합한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대형 영상물의 안정적인 실시간 전송을 현실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반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인터넷망을 이용한 다양한 압축 영상 전송 이벤트가 폭 넓게 발생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축 영상 전송 이벤트는 예컨대, 인터 화면 압축방식(Inter frame compression method) 또는 인트라 화면 압축방식(Intra frame compression method) 등과 같은 일련의 영상 데이터 압축기술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영상 전송 이벤트가 예를 들어, 앞의 인터 화면 압축방식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영상 전송 서버(1)로부터 출력된 영상화면들(Y,Y+1,Y+2‥‥)은 "이전 화면과 현재 화면의 차이 값만이 압축되는 방식"에 의해 그 데이터 크기가 조절되어,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로 송신된다. 이 경우, 영상 전송 서버(1)로부터 출력된 영상화면(Y+1)은"영상화면(Y) 및 영상화면(Y+1)의 차이 값(A1)" 만큼 압축되어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로 송신되며, 영상화면(Y+2)은 "영상화면(Y+1) 및 영상화면(Y+2)의 차이 값(A2)" 만큼 압축되어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로 전송된다.
다른 예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영상 전송 이벤트가 앞의 인트라 화면 압축방식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영상 전송 서버(1)로부터 출력된 영상화면들(Y1,Y1+1,Y1+2‥‥)은 "각 개별 화면들이 독립적으로 압축되는 방식"에 의해 그 데이터 크기가 조절되어,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로 송신된다. 이 경우, 영상 전송 서버(1)로부터 출력된 영상화면(Y1), 영상화면(Y1+1), 영상화면(Y1+2) 등은 모두 독립적으로 압축되어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로 전송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상 전송 이벤트 진행체제하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 화면 압축방식의 경우, 단지, "이전 화면과 현재 화면의 차이 값"만을 압축하는 절차를 취하기 때문에, 상술한 인트라 화면 압축방식에 비해, 전체적인 화면 압축률이 매우 높은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역으로,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된 압축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라도 손실될 경우, 그 이후의 화면들이 올바르게 복원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한다.
근래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가 손실된 압축 데이터를 서버(1)측에 재전송 요청하는 이른바, 버퍼링(Buffering)기술", "서버(1)측에서 클라이언트측의 압축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고, 압축 데이터 손실 발생 시, 해당 압축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기술" 등이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 방식들의 경우, 어차피, 서버(1)/클라이언트(2)간의 압축 데이터 재전송 간격 사이에 일련의 시간지연이 생길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실시간 방송과 같이 동시성을 요구하는 분야에서는 채용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예컨대, 대형 영상물 등과 같이, 해당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에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한편, 인트라 화면 압축방식의 경우, 앞의 인터 화면 압축방식과 달리, "각 개별 화면들을 독립적으로 압축하는 절차"를 취하기 때문에, 비록,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된 압축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가 손실되었다 하더라도, 그 이후의 화면들이 이와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복원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역으로, 화면 압축률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각 압축 데이터의 크기 자체가 매우 큰 문제점을 유발하며, 이에 따라, 상당히 높은 대역폭의 인터넷망을 요구할 수밖에 없는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한다.
물론, 인터넷망(3)의 대역폭을 확충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인터넷망(3)의 대역폭을 새롭게 확충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할 수 있으며, 결국, 상술한 인트라 화면 압축방식 역시, 앞의 인터 화면 압축방식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대형 영상물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화면의 압축률, 전송 화면수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압축화면의 왜곡현상을 일정 수준 이하로 억제시킬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측으로 출력되는 압축 데이터들의 크기가 큰 훼손 없이, 인터넷망의 기존 대역폭에 적합한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대형 영상물의 안정적인 실시간 전송을 현실화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영상 전송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전송 화면수 및 영상 움직임 정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화면 압축률 및 영상 움직임 정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압축 화면 생성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망에 개설된 영상 전송 시스템에 설치되며,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해당 영상의 화면 압축률, 전송 화면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영상 전송 관리 툴과, 앞의 영상 전송 시스템에 온라인 접속된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며, 영상 전송 관리 툴로부터 송신된 화면을 복원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영상 재생 관리 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영상 전송 관리 툴은 영상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는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과,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영상을 이루는 각 화면들 중, 영상 재생 관리 툴측으로 전송할 화면을 선택하고, 해당 화면의 압축률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영상 전송 제어모듈과, 영상 전송 제어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영상 전송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영상 재생 관리 툴측으로 전송할 화면을 선택적으로 압축하는 화면 압축모듈과, 영상 전송 제어모듈 및 화면 압축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화면 압축모듈로부터 전달된 화면들 중, 영상 전송 제어모듈에 의해 전송화면으로 선택된 특정 압축 화면들만을 영상 재생 관리 툴로 선택·전송하는 영상 전송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터 화면 압축방식, 인트라 화면 압축방식 등은 각각 "화면 손실의 문제점", "압축 데이터의 크기증가 문제점"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대형 영상물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때, 인터 화면 압축 방식의 "화면 손실의 문제점"은 현실적으로 그 극복이 매우 어려운 바,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인트라 화면 압축방식, 즉, 각 개별 화면들을 독립적으로 압축하는 방식을 취하고, 이와 아울러, 이 방식의 가장 큰 단점인 "압축 데이터의 크기증가 문제점"을 해결하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통상, 압축 데이터의 크기 증가에는 "화면 압축률, 화면 전송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화면 압축률이 감소하거나, 화면 전송수가 증가하는 경우, 이에 비례하여, 압축 데이터의 크기는 커질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화면 압축률을 증가시키거나, 화면 전송수를 줄이거나 하는 등의 절자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화면 압축률을 증가시키는 경우, 압축 데이터의 크기는 줄일 수 있겠지만, 이 경우, 화질이 급격히 낮아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유발되며, 화면 전송수를 줄이는 경우, 압축 데이터의 크기는 줄일 수 있겠지만, 이 경우에도 영상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 지거나, 영상이 끊기는 심각한 문제점이 유발된다.
즉, 화면 압축률을 증가시키거나, 화면 전송수를 줄이는 경우에는 화질저하, 영상의 움직임 저하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영상전송 제어모듈,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 화면 압축모듈 등의 연계과정을 통해, 화면의 압축률, 화면 전송수 등을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차별화하여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이 경우, 각 영상들은 자체적인 움직임 특성에 따라 선별·압축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클라이언트측으로 출력되는 압축 데이터들은 별다른 시각적인 훼손 없이, 그 크기가 인터넷망의 기존 대역폭에 적합한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게 되고, 결국, 본 발명에서는 대형 영상물의 자연스런 실시간 전송을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은 크게,인터넷망(3)에 개설된 영상 전송 시스템(200)에 설치되는 영상 전송 관리 툴(100)과, 앞의 영상 전송 시스템(200)에 인터넷망(3)을 통해 온라인 접속된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에 설치되는 영상 재생 관리 툴(3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앞의 영상 전송 관리 툴(100)은 예컨대, 영상 생성 툴(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해당 영상의 화면 압축률, 전송 화면수를 선택적으로 조절·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영상 재생 관리 툴(300)은 영상 전송 관리 툴(100)로부터 송신된 압축 화면을 복원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 생성 툴(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들 중, 예컨대, 영상(10)은 화면들(11,12,13,‥‥)로 이루어지며, 영상(20)은 화면들(21,22,23,‥‥)로 이루어지고, 영상(30)은 화면들(31,32,33,34,35,‥‥)로 이루어지며, 영상(40)은 화면들(41,42,43,44,45,46,4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전송 관리 툴(100)은 크게, 상호 신호연결관계를 맺고 있는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 화면 압축모듈(105), 영상 전송모듈(107)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앞의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은 영상 생성 툴(110)로부터 출력되는 각 영상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에 의해 측정된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앞의 영상(10,20,30,40)을 이루는 각 화면들 중, 영상 재생 관리 툴(300)측으로 전송할 화면을 선택하고, 해당 화면의 압축률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화면 압축모듈(105)은 앞의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의 제어에 따라, 영상 재생 관리 툴(300)측으로 전송할 화면을 선택적으로 압축하는 역할을수행하며, 영상 전송모듈(107)은 화면 압축모듈(105)로부터 전달된 압축 화면들 중, 앞의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에 의해 전송화면으로 선택된 특정 압축 화면들만을 영상 재생 관리 툴(300)로 선택·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앞의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상술한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 화면 압축모듈(105), 영상 전송모듈(107)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메시지 수신모듈(108), 화면전송 필터링 모듈(104),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106), 인터페이스 모듈(102) 등과도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메시지 수신모듈(108)은 영상 재생 관리 툴(300)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화면전송 필터링 모듈(104)은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의 제어에 따라, 특정 화면들로 일련의 흐림효과(Blur effect)를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106)은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의 제어에 따라, 화면 압축모듈(105)로부터 출력된 압축 화면들의 데이터 크기 및 압축률을 체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외에, 인터페이스 모듈(102)은 영상 전송 관리 툴(100)의 특정 요소들, 예컨대,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 화면전송 필터링 모듈(104) 등과, 영상 생성 툴(110) 사이를 인터페이스한 상태에서, 영상 생성 툴(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들을 앞의 각 요소들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영상 재생 관리 툴(300)은 크게, 서로 신호연결관계를 맺고 있는 영상 수신모듈(302), 영상 재생제어모듈(301), 화면 복원모듈(303), 화면 재생모듈(305), 화면복원 필터링 모듈(304)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영상 수신모듈(302)은 상술한 영상 전송 관리 툴(100)로부터 송신된 압축 화면들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영상 재생 제어모듈(301)은 영상 수신모듈(302)의 압축 화면 수신 여부를 체크함과 아울러, 이 압축 화면들에 실린 정보에 따라, 해당 압축 화면들의 복원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화면 복원모듈(303)은 앞의 영상 재생 제어모듈(301)의 제어에 따라, 압축 화면들을 복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화면 재생모듈(305)은 영상 재생 제어모듈(301)의 제어에 따라, 화면 복원모듈(303)로부터 출력된 복원 화면을 표시장치(2a)로 재생·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외에, 화면복원 필터링 모듈(304)은 상술한 영상 재생 제어모듈(301)의 제어에 따라, 앞의 복원 화면에 일련의 선명 효과(Sharpness effect)를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향유하고자 하는 임의의 사용자는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를 활용하여, 인터넷망(3)에 접속한 후, 영상 전송 시스템(200)에 로그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상을 선택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전송 관리 툴(100)에 설치된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클라이언트 메시지 수신모듈(108)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영상 재생 관리 툴(300)로부터 일련의 영상 전송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때, 영상 재생 관리 툴(300)로부터 별도의 영상 전송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7)은 플로우를 단계 S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영상 재생 관리 툴(300)로부터 일련의 영상 전송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그 즉시,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로 "영상 생성 툴(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영상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할 것"을 지시한다(단계 S3).
이 경우,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은 영상 생성 툴(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예컨대, 영상(10)을 수신한 후, 이 영상(10)을 이루는 화면(11,12,13‥‥), 예컨대, 이전화면(11) 및 현재화면(12)을 비교하고, 화면에 위치한 각 픽셀들의 값 변화상황을 추적하여, 선·후 화면대비 그 값이 변한 픽셀(Pixel)의 개수가 각 화면별로 평균 몇 %를 차지하는가의 여부를 체크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영상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한다.
이때,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은 선·후 화면대비 변경 픽셀의 개수가 각 화면 별로 평균 0%면, 해당 영상이 정지영상인 것으로 간주하며, 선·후 화면대비 변경 픽셀의 개수가 각 화면별로 평균 1%~39%이면, 해당 영상이 움직임이 느린 영상인 것으로 간주하고, 선·후 화면대비 변경 픽셀의 개수가 각 화면별로 40%~79%이면, 해당 영상이 움직임이 빠른 영상인 것으로 간주하며, 선·후 화면대비 변경픽셀의 개수가 각 화면별로 평균 80% 이상이면, 해당 영상이 움직임이 아주 빠른 영상인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3이 진행된 상태에서,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로부터 일련의 영상 움직임 정도 측정결과가 출력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
이때,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로부터 아직, 별도의 영상 움직임 정도 측정결과가 출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플로우를 단계 S4a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로부터 일련의 영상 움직임 정도 측정결과가 출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그 즉시,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해당 영상을 이루는 각 화면들 중, 영상 재생 관리 툴(300)측으로 전송할 화면을 선택하고, 해당 화면을 일정 압축률로 선택·압축하여, 일련의 압축 화면들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00).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영상 생성 툴(110)로부터 출력된 영상, 예컨대, 영상(10)이 정지영상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1).
이때, 영상(10)을 이루는 각 화면들(11,12,13‥‥)이 "선·후 화면대비 변경 픽셀의 개수가 각 화면 별로 평균 0%"인 특징을 갖고 있어, 해당 영상이 정지영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그 즉시, 해당 영상(10)을 이루는각 화면들(11,12,13‥‥) 중, 특정 단일화면, 예컨대, 최초 화면(11)을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할 화면으로 선택하고, 화면 압축모듈(105)을 활용하여, 이 최초 화면(11)을 예컨대, 기준 압축률 이하로 압축한다(단계 S102,S103).
이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될 화면수는 기준 전송 화면수 3개 보다 적은 최초 화면(11) 1개로 결정되며, 이 최초 화면(11)의 압축률은 기준 화면 압축률 50배 보다 크게 적은 30배로 결정된다.
이러한 압축과정이 완료되어, 예컨대, 30배로 압축된 1개의 압축 화면이 생성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그 즉시, 화면 압축모듈(105)을 제어하여, 이 압축 화면을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106)로 출력한다(단계 S104).
이후, 상술한 압축 화면은 후술하는 단계 S5~S9를 거쳐,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로 전송되며,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측의 영상 재생 관리 툴(300)에 의해 신속하게 재생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압축 화면의 데이터 크기를 결정짓는 두 요소, 즉, "화면 압축률, 화면 전송수"가 "압축률이 낮아지고, 전송 화면수가 1개로 한정되는 형태"로 조절되는 경우, 압축 화면은 그 데이터 크기를 주어진 조건 내에서, 최소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결국, 해당 압축화면은 기존 인터넷망(3)의 대역폭에 적절히 매칭(Matching)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송 화면수가 단지 1개이기 때문에, 올바른 영상이 재생될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통상, 영상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이 영상을 이루는 모든 화면들은 똑 같은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앞의 과정에서와 같이, 단지, 1개의 압축화면이 전송되어 재생된다 하더라도, 최종 영상에는 별다른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단계 S101에서, 영상 생성 툴(110)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영상(20)이어서, 해당 영상(20)이 정지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해당 영상(20)이 움직임이 느린 영상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5).
이때, 영상(20)을 이루는 각 화면들(21,22,23,‥‥)이 "선·후 화면대비 변경 픽셀의 개수가 각 화면 별로 평균 30%"인 특징을 갖고 있어, 해당 영상(20)이 움직임이 느린 영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그 즉시, 해당 영상(20)을 이루는 각 화면들(21,22,23,‥‥) 중, 기준 전송 화면수 이하의 특정 화면들, 예컨대, 화면들(21,22)을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할 화면으로 선택하고, 화면 압축모듈(105)을 활용하여, 이 화면들(21,22)을 예컨대, 기준 압축률로 압축한다(단계 S106,S107).
이 경우, 앞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될 화면수는 기준 전송 화면수 3개 보다 적은 2개로 결정되며, 이 화면들(21,22)의 압축률은 기준 화면 압축률인 50배로 결정된다.
이러한 압축과정이 완료되어, 예컨대, 50배로 압축된 2개의 압축 화면들이 생성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그 즉시, 화면 압축모듈(105)을 제어하여, 이 압축 화면들을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106)로 출력한다(단계 S108).
이후, 상술한 압축 화면들은 후술하는 단계 S5~S9를 거쳐,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로 전송되며,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측의 영상 재생 관리 툴(300)에 의해 신속히 재생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압축 화면의 데이터 크기를 결정짓는 두 요소, 즉, "화면 압축률, 화면 전송수"가 "기준 압축률이 유지되고, 전송 화면수가 2개로 한정되는 형태"로 조절되는 경우, 압축 화면은 그 데이터 크기를 주어진 조건 내에서, 최소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결국, 해당 압축화면은 기존 인터넷망의 대역폭에 적절히 매칭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송 화면수가 기준 전송 화면수 보다 적은 2개이기 때문에, 올바른 영상이 재생될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통상, 영상의 움직임이 느린 경우, 사용자의 시각은 움직임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앞의 과정에서와 같이, 기준 전송 화면수 보다 적은 압축 화면들이 전송되어 재생된다 하더라도, 해당 영상이 움직임이 느린 영상이라는 조건 내에서, 사용자는 영상이 훼손되었다는 느낌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105에서, 영상 생성 툴(110)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영상(30)이어서, 해당 영상(30)이 움직임이 느린 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해당 영상(30)이 움직임이 빠른 영상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9).
이때, 영상(30)을 이루는 각 화면들(31,32,33,34,35,‥‥)이 "선·후 화면대비 변경 픽셀의 개수가 각 화면 별로 평균 50%"인 특징을 갖고 있어, 해당 영상(30)이 움직임이 빠른 영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그 즉시, 해당 영상(30)을 이루는 각 화면들(31,32,33,34,35,‥‥) 중, 기준 전송 화면수의 특정 화면들, 예컨대, 화면들(31,32,33)을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할 화면으로 선택하고, 화면 압축모듈(105)을 활용하여, 이 화면들(31,32,33)을 예컨대, 기준 압축률 이상으로 압축한다(단계 S110,S111).
이 경우, 상술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될 화면수는 기준 전송 화면수 3개로 결정되며, 이 화면들(31,32,33)의 압축률은 기준 화면 압축률 50배보다 큰 70배로 결정된다.
이러한 압축과정이 완료되어, 예컨대, 70배로 압축된 3개의 압축 화면들이 생성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그 즉시, 화면 압축모듈(105)을 제어하여, 이 압축 화면들을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106)로 출력한다(단계 S112).
이후, 상술한 압축 화면들은 후술하는 단계 S5~S9를 거쳐,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로 전송되며,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측의 영상 재생 관리 툴(300)에 의해 신속하게 재생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압축 화면의 데이터 크기를 결정짓는 두 요소, 즉, "화면 압축률, 화면 전송수"가 "화면 압축률이 기준 화면 압축률 이상의 값으로 유지되고, 전송 화면수가 기준 전송 화면수로 한정되는 형태"로 조절되는 경우, 압축 화면은 그 데이터 크기를 주어진 조건 내에서, 최소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결국, 해당 압축화면은 기존 인터넷망(3)의 대역폭에 적절히 매칭될 수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화면 압축률이 기준 화면 압축률 보다 높은 70%이기 때문에, 영상의 화질이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통상, 영상의 움직임이 빠른 경우, 사용자의 시각은 화질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앞의 과정에서와 같이, 기준 압축률보다 높은 값으로 압축된 화면들이 전송되어 재생된다 하더라도, 해당 영상이 움직임이 빠른 영상이라는 조건 내에서, 사용자는 영상이 훼손되었다는 느낌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109에서, 영상 생성 툴(110)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영상(40)이어서, 해당 영상(40)이 움직임이 빠른 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해당 영상(40)이 움직임이 아주 빠른 영상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3).
이때, 해당 영상(40)이 움직임이 아주 빠른 영상인가의 여부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으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플로우를 단계 S114로 진행하여,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103)로 영상 움직임의 재 측정을 요청한다.
그러나, 영상(40)을 이루는 각 화면들(41,42,43,44,45,46,47‥‥)이 "선·후 화면대비 변경 픽셀의 개수가 각 화면 별로 평균 90%"인 특징을 갖고 있어, 해당 영상(40)이 움직임이 아주 빠른 영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그 즉시, 해당 영상(40)을 이루는 각 화면들(41,42,43,44,45,46,47‥‥) 중, 기준 전송 화면수 이상의 특정 화면들, 예컨대, 화면들(41,42,43,44,45)을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할 화면으로 선택하고, 화면 압축모듈(105)을 활용하여, 이 화면들(41,42,43,44,45)을 예컨대, 기준 압축률 이상으로 고압축한다(단계 S115,S116).
이 경우, 상술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될 화면수는 기준 전송 화면수 이상인 5개로 결정되며, 이 화면들(41,42,43,44,45)의 압축률은 기준 화면 압축률 50배보다 훨씬 큰 90배로 결정된다.
이러한 압축과정이 완료되어, 예컨대, 90배로 압축된 5개의 고압축 화면들이 생성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그 즉시, 화면 압축모듈(105)을 제어하여, 이 압축 화면들을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106)로 출력한다(단계 S117).
이후, 상술한 압축 화면들은 후술하는 단계 S5~S9를 거쳐,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로 전송되며,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측의 영상 재생 관리 툴(300)에 의해 신속히 재생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압축 화면의 데이터 크기를 결정짓는 두 요소, 즉, "화면 압축률, 화면 전송수"가 "화면 압축률이 기준 화면 압축률 보다 훨씬 큰 값으로 유지되고, 전송 화면수가 기준 전송 화면수 이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조절되는 경우, 압축 화면은 그 데이터 크기를 주어진 조건 내에서, 최소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국, 해당 압축화면은 기존 인터넷망(3)의 대역폭에 적절히 매칭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화면 압축률이 기준 화면 압축률 보다 훨씬 높은 90%이기 때문에, 영상의 화질이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통상, 영상의 움직임이 아주 빠른 경우, 사용자의 시각은 화질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지고, 움직임 자체에 주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앞의 과정에서와 같이, 기준 압축률 보다 훨씬 높은 값으로 압축된 화면들이 전송되어 재생된다 하더라도, 해당 영상이 움직임이 아주 빠른 영상이라는 조건 내에서, 사용자는 영상이 훼손되었다는 느낌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의 자체 특성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고압축 화면들은 그 압축률이 너무 높기 때문에, "영상 재생 관리 툴(300)에 의해 최종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자체가 왜곡되는 다른 문제점"을 일으킬 소지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움직임이 아주 빠른 영상을 대상으로 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프로세스(단계 S118)을 선택적으로 진행시킨다.
이 경우, 먼저,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앞의 단계 S113~S115와 유사하게, SS119~S121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영상(40)을 이루는 각 화면들(41,42,43,44,45,46,47‥‥) 중, 기준 전송 화면수 이상의 특정 화면들, 예컨대, 화면들(41,42,43,44,45)을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할 화면으로 선택한다.
이어서,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화면전송 필터링 모듈(104)을 제어하여,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할 화면들(41,42,43,44,45)을 대상으로 일련의 흐림효과 부여 루틴을 진행시킨다(단계 S122).
이러한 흐림효과가 부여되면, 앞의 화면들(41,42,43,44,45)은 자체 보유한 이미지가 좌우로 펴져 약간 흐려지는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일련의 압축 과정이 진행되더라도, 급격한 데이터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특성을 보유하게 되며, 후술하는 압축 과정 진행 시, 그 압축효과가 대폭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술한 흐림효과 부여과정이 완료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화면 압축모듈(105)을 활용하여, 이 화면들(41,42,43,44,45)을 예컨대, 기준 압축률 이상, 예컨대, 70배로 압축한다(단계 S123). 물론, 상술한 흐림효과 부여과정이 기 진행되었기 때문에, 화면 압축모듈(105)은 기존보다 향상된 고 효율의 압축 루틴을 진행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각 화면들(41,42,43,44,45)은 일련의 왜곡 가능성을 회피하면서도, 마치, 앞의 90배로 고압축된 화면들과 유사한 압축 특성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앞의 흐림효과는 필요 화면 압축률 정도에 따라서, 그 강약이 알맞게 조절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70%~80% 정도의 화면 압축률이 필요할 경우에 해당 화면에는 약한 흐림효과가 부여되며, 다른 예로, 90%의 화면 압축률이 필요할 경우에 해당 화면에는 강한 흐림효과가 부여된다.
이처럼, 흐림효과의 강약을 필요 화면 압축률 정도에 따라서, 조절하는 경우, 전체적인 흐림효과의 효율성은 좀더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계 S100의 진행을 통해, 앞의 화면 압축모듈(105)로부터 일련의 압축 화면들이 전달되면,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106)은 앞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압축 화면들이 제한값 이내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이때, 화면 압축모듈(105)로부터 출력된 압축 화면들이 제한값 보다 더 큰 크기를 보유하여, 기존의 인터넷망 대역폭을 초과할 위험성이 있는 데이터인 경우,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106)은 해당 압축 화면들을 화면 압축모듈(105)로 반환하여, 이 압축 화면들을 재차 압축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6). 이 경우, 해당 압축 화면들은 이전의 압축 상황에서 더 압축됨으로써, 그 데이터 크기가 줄어들 수 있게 되며, 결국, 인터넷망의 대역폭을 초과할 위험성을 손쉽게 벗어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앞의 단계 S5에서, 화면 압축모듈(105)로부터 출력된 압축 화면들이 제한값 이내의 크기를 갖는 정상 데이터인 경우,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106)은 해당 압축 화면들이 제한값 이내의 압축률을 갖는 데이터인가의 여부를 재차 판단한다(단계 S7).
이때, 화면 압축모듈(105)로부터 출력된 압축 화면들이 제한값 이내의 압축률을 갖는 정상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106)은 이 압축 화면들을 영상 전송모듈로 출력한다.
그러나, 화면 압축모듈로부터 출력된 압축 화면 들이 제한값 보다 더 큰 압축률을 보유하여, 일련의 영상 왜곡 현상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는 데이터인 경우,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106)은 해당 압축 화면들을 화면 압축모듈(105)로 반환하여, 이 압축 화면들의 압축률을 낮추어 조절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8).
이 경우, 해당 압축 화면들은 이전의 압축률에서, 낮은 압축률로 변경·압축됨으로써, 그 데이터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며, 결국, 일련의 영상 왜곡 현상을 일으킬 위험성을 손쉽게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앞의 단계 S5~S8을 통해, 화면 압축모듈(105)로부터 출력되는 압축 화면들의 크기, 압축률 등을 상호 보완적으로 연동·조절함으로써,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최종 출력되는 압축 화면들이 최적의 데이터 크기, 최적의 데이터 압축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술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데이터 크기, 데이터 압축률 등이 검증된 압축 화면들이 영상 전송모듈(107)로 출력되면, 영상 전송모듈(107)은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의 제어 하에, 이 압축 화면들을 영상 재생 관리 툴(300)로 선택·전송한다(단계 S9).
상술한 과정을 통해, 영상 전송모듈(107)로부터 전송된 압축 화면들이 인터넷망(3)을 매개로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의 영상 수신모듈(302)에 도착하면, 영상 재생 제어모듈(303)은 영상 수신모듈(302)의 수신상태를 체크하여, 압축 화면들의 정상여부를 확인하고, 이러한 절차가 완료되는 즉시, 화면 복원모듈(303), 화면 재생모듈(305) 등을 활용하여, 영상 전송 관리 툴(100)로부터 전송된 압축 화면들을 표시장치(2a)를 통해 디스플레이 시킨다.
이때, 영상 전송 관리 툴(100)측에서, 앞서 언급한 단계 S122를 기 진행시켜, 현 압축 화면들에 일련의 흐림효과가 부여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재생 제어모듈(301)은 화면 복원모듈(305)을 통해 복원된 압축 화면들이 본격적으로 재생되기 이전에, 화면 복원 필터링 모듈(304)을 활용하여, 해당 복원 화면들로 일련의 선명 효과를 부여한다.
이러한 선명 효과 부여과정이 완료되면, 앞의 흐림부여 과정에 의해 좌우로 퍼져 있던 복원 화면들의 이미지들은 다시 그 선명성이 복원되며, 사용자는 앞의 흐림효과 부여 과정에 상관없이, 정상적인 영상을 자연스럽게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9를 통해, 일련의 압축 화면들이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로 전송된 상태에서,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클라이언트 메시지 수신모듈(108)을 체크함으로써,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로부터 일련의 압축 화면 재전송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
이때, 일련의 압축 화면 전송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로부터 일련의 압축 화면 재전송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그 즉시, 앞의 단계 S3~S9를 다시 진행하여, 일련의 압축 화면을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재차 전송한다.
이러한 압축 화면 재전송 이벤트는 실시간 전송의 동시성을 어느 정도 저해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영상이 "움직임이 느린 특성, 움직임이 빠른 특성, 움직임이 아주 빠른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앞의 단계 S10은 별도의 절차진행 없이, 그대로 스킵(Skip)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영상이 "움직임이 정지된 특성"을 갖고 있어, 단지 1개의 압축 화면만이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전송 불량으로 인해 해당 단일 압축 화면이 클라이언트(2)측에 도착하지 못할 위험성이 있고, 이 경우, 영상의 복원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이 "움직임이 정지된 특성"을 갖고 있는 경우,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단계 S10을 반드시 진행하여, 클라이언트(2)측의 압축 화면 수신여부를 확인하여야만 하며, 이상 발생 시, 해당 정지영상을 재 전송하여야만 한다.
물론, 영상 전송 관리 툴(100)로부터 클라이언트(2)측으로 전송되는 것은 단지, 1개의 압축 화면이기 때문에,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이 비록, 앞의 압축 화면 재전송 이벤트를 진행한다 하더라도, 실시간 전송의 동시성에는 별다른 악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한편, 앞의 단계 S10에서, 일련의 압축 화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로부터 별도의 압축 화면 재전송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클라이언트 메시지 수신모듈(108)을 체크하여,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로부터 일련의 영상 전송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이때,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로부터 별도의 영상 전송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앞서 언급한 단계 S3~S10을 반복하여, 일련의 압축 화면 전송과정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2)로부터 일련의 영상 전송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전송 제어모듈(101)은 앞서 언급한 일련의 영상 전송 과정을 중지하고, 본 발명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한다(단계 S12).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영상전송 제어모듈,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 화면 압축모듈 등의 연계과정을 통해, 화면의 압축률, 화면 전송수 등을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차별화하여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프로세스를 실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각 영상들은 자체적인 움직임 특성에 따라 선별·압축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클라이언트측으로 출력되는 압축 데이터들은 별다른 시각적인 훼손 없이, 그 크기가 인터넷망의 기존 대역폭에 적합한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게 되고, 결국, 본 발명에서는 대형 영상물의 자연스런 실시간 전송을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측에서 요청한 영상이 "문자가 많아서 형태보다는 윤곽이 중요하고, 영상의 움직임이 적은 실시간 원격 교육용 영상"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정지영상 처리 스텝", "움직임이 느린 영상 처리 스텝" 등을 선택적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클라이언트측에서 요청한 영상이 "윤곽보다는 형태가 중요하고, 영상의 움직임이 많은 관찰용 영상"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움직임이 빠른 영상 처리 스텝", "움직임이 아주 빠른 영상 처리 스텝" 등을 선택적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앞의 설명에서, 전송 화면수, 화면 압축률 등과 관련한 다양한 수치가 제시되었지만, 이러한 각 수치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는데 있어 차용된 것에 불과하며, 이 수치들이 본 발명을 실질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인터넷망에 개설된 영상 전송 시스템에 설치되며,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해당 영상의 화면 압축률, 전송 화면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영상 전송 관리 툴과;
    상기 영상 전송 시스템에 온라인 접속된 영상 전송요청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 전송 관리 툴로부터 송신된 화면을 복원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영상 재생 관리 툴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전송 관리 툴은 상기 영상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는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과;
    상기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상기 영상 움직임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상기 영상을 이루는 화면들 중, 상기 영상 재생 관리 툴측으로 전송할 화면을 선택하고, 해당 화면의 압축률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영상 전송 제어모듈과;
    상기 영상 전송 제어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상기 영상 전송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재생 관리 툴측으로 전송할 화면을 선택적으로 압축하는 화면 압축모듈과;
    상기 영상 전송 제어모듈 및 화면 압축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상기 화면 압축모듈로부터 전달된 화면들 중, 상기 영상 전송 제어모듈에 의해 전송화면으로 선택된 특정 압축 화면들만을 상기 영상 재생 관리 툴로 선택·전송하는 영상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 관리 툴에는 상기 영상 전송 제어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상기 영상 전송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재생 관리 툴측으로 전송할 화면에 흐림효과(Blur effect)를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화면전송 필터링 모듈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 관리 툴에는 상기 영상 전송 제어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상기 영상 전송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면 압축모듈로부터 출력된 압축 화면들의 데이터 크기 및 압축률을 체크하는 압축 데이터 크기/압축률 체크모듈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 관리 툴은 상기 영상 전송 관리 툴로부터 송신된 압축 화면들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모듈과;
    상기 영상 수신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상기 압축 화면들의 수신 여부를 체크함과 아울러, 상기 압축 화면들에 실린 정보에 따라, 해당 압축 화면들의 복원상태를 제어하는 영상 재생 제어모듈과;
    상기 영상 재생 제어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상기 영상 재생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압축 화면들을 복원하는 화면 복원모듈과;
    상기 영상 재생 제어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상기 영상 재생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면 복원모듈로부터 출력된 복원 화면을 재생·출력하는 화면 재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 관리 툴에는 상기 영상 재생 제어모듈과 신호연결 되며, 상기 영상 재생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원 화면에 선명 효과(Sharpness effect)를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화면복원 필터링 모듈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
  6. 인터넷망에 접속중인 임의의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영상 전송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영상 전송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련의 영상 생성 툴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영상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상기 영상을 이루는 각 화면들 중, 상기 영상 재생 관리 툴측으로 전송할 화면을 선택하고, 해당 화면을 일정 압축률로 선택·압축하여, 일련의 압축 화면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이 완료된 상기 압축 화면들을 상기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화면들을 생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압축 화면들이 제한값 이내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 화면들이 제한값 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데이터인 경우, 상기 압축 화면들을 재차 압축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화면들이 제한값 이내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인 경우, 상기 압축 화면들이 제한값 이내의 압축률을 갖는 데이터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 화면들이 제한값 보다 더 큰 압축률을 갖는 데이터인 경우, 상기 압축 화면들의 압축률을 낮추어 조절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화면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이 정지영상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 상기 영상을 이루는 각 화면들 중, 특정 단일화면을 상기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할 화면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단일 화면을 기준 압축률 이하로 압축한 후, 압축이 완료된 단일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이 정지영상이 아닌 경우, 상기 영상이 움직임이 느린 영상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움직임이 느린 영상인 경우, 상기 영상을 이루는 각 화면들 중, 기준 화면수 이하의 특정 화면들을 상기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할 화면들로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화면들을 기준 압축률로 압축한 후, 압축이 완료된 화면들을 출력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이 정지영상이 아닌 경우, 상기 영상이 움직임이 빠른 영상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움직임이 빠른 영상인 경우, 상기 영상을 이루는 각 화면들 중, 기준 화면수의 특정 화면들을 상기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할 화면들로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화면들을 기준 압축률 이상으로 압축한 후, 압축이 완료된 화면들을 출력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이 정지영상이 아닌 경우, 상기 영상이 움직임이 아주 빠른 영상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움직임이 아주 빠른 영상인 경우, 상기 영상을 이루는 각 화면들 중, 기준 화면수 이상의 특정 화면들을 상기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할 화면들로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화면들을 기준 압축률 이상으로 고압축(High-compression) 한 후, 고압축이 완료된 화면들을 출력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이 정지영상이 아닌 경우, 상기 영상이 움직임이 아주 빠른 영상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움직임이 아주 빠른 영상인 경우, 상기 영상을 이루는 각 화면들 중, 기준 화면수 이상의 특정 화면들을 상기 영상 전송 요청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할 화면들로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화면들로 일련의 흐림효과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흐림효과가 부여된 특정 화면들을 기준 압축률 이상으로 압축한 후, 압축이 완료된 화면들을 출력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방법.
KR1020020006176A 2002-02-04 2002-02-04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및 그 전송방법 KR20030066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176A KR20030066029A (ko) 2002-02-04 2002-02-04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및 그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176A KR20030066029A (ko) 2002-02-04 2002-02-04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및 그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029A true KR20030066029A (ko) 2003-08-09

Family

ID=3222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176A KR20030066029A (ko) 2002-02-04 2002-02-04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및 그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60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015A (ko) * 2002-10-18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신호 부호화 모드 선택방법
KR20130012420A (ko) * 2011-07-25 2013-02-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화면 가상화 기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299A (ja) * 1992-12-18 199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像圧縮装置
JPH08294102A (ja) * 1995-04-19 1996-11-05 Canon Inc 動画像通信会議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JPH09107548A (ja) * 1995-10-11 1997-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圧縮装置および画像圧縮方法
KR19990026807A (ko) * 1997-09-26 1999-04-15 윤종용 영상 압축 장치 및 방법
KR20010039413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동영상 압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299A (ja) * 1992-12-18 199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像圧縮装置
JPH08294102A (ja) * 1995-04-19 1996-11-05 Canon Inc 動画像通信会議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JPH09107548A (ja) * 1995-10-11 1997-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圧縮装置および画像圧縮方法
KR19990026807A (ko) * 1997-09-26 1999-04-15 윤종용 영상 압축 장치 및 방법
KR20010039413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동영상 압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015A (ko) * 2002-10-18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신호 부호화 모드 선택방법
KR20130012420A (ko) * 2011-07-25 2013-02-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화면 가상화 기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04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ntrol of image capture in a video conference system
US20050146521A1 (en) Method for creating and presenting an accurate rep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images converted from two-dimensional images
EP1237370B1 (en) A frame-interpolated variable-rate motion imaging system
EP0970584B1 (fr) Systeme de visioconference
CN101848382A (zh) 一种视频流图像分辨率和码流的调整方法及系统
EP1665791A2 (en) Video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US6462785B1 (en) Motion display technique
CN112203043A (zh) 一种视频传输方法及系统
CN106412617A (zh) 远程调试控制方法及装置
JP3967443B2 (ja) 画像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送信側装置およびその受信側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030066029A (ko)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 영상 실시간 전송 시스템및 그 전송방법
EP1601200A1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AU20023230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over a limited bandwidth medium
CN111459807A (zh) 图像传输检测方法和装置
JP2003189220A5 (ko)
Hawkins Digital Stereo Video: display, compression and transmission
US67006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over a limited bandwidth medium
CN106791454A (zh) 一种拍摄的方法、终端及服务器
AU20023230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over a limited bandwidth medium
KR20000074710A (ko) 화상 통신기기의 영상 송,수신 방법
KR100282303B1 (ko) 화상의 전송속도 제어방법
Mohona et al. 75‐2: The Effect of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on Visually Lossless Compression
Mai et al. Contrast effect on 3D and 2D video perception
CN117915149A (zh) 一种ai增强视频会议系统、方法及计算机程序产品
KR20000022822A (ko) 화상통신기기의 화상 압축전송 및 수신복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