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501A -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501A
KR20030063501A KR1020020003645A KR20020003645A KR20030063501A KR 20030063501 A KR20030063501 A KR 20030063501A KR 1020020003645 A KR1020020003645 A KR 1020020003645A KR 20020003645 A KR20020003645 A KR 20020003645A KR 20030063501 A KR20030063501 A KR 20030063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ignal
voice signal
uni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선미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주)티엠시코퍼레이션
프로에이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엠시코퍼레이션, 프로에이에스(주) filed Critical (주)티엠시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2000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3501A/en
Publication of KR2003006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501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driving method for a multifunctional charger of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add a CID(Caller ID) display function, a receiving signal display function, a speaker phone function, and a dial function using a keypad to a battery charger of the terminal, thereby using various services while charging the terminal. CONSTITUTION: A system supplies a charging power to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ort of the terminal, and displays a charged state(S610). The system detects a receiving signal to display whether the signal is detected, and displays and stores CID applied from the mobile terminal(S620,S630). The system designates a voice signal switching path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exchanges a voice signal through the designated path(S640,S650). The system controls size of the voice signal outputted by inputting a volume button, and outputs the size-controlled voice signal(S660-S680).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에 발신자 정보표시(CID: Caller Identification Display) 기능, 착신신호 표시 기능, 불륨조절이 가능한 스피커폰 기능, 키패드를 이용한 다이얼 기능 등을 부가하여 충전 중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harger of a mobile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charger of a mobile terminal, a caller identification display (CID) function, an incoming signal display function, a volume control speakerphone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harge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of a mobile terminal which can use various services even while charging by adding a dial function using a keypad.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용량의 제한성 때문에 일정 시간 사용한 후 방전되면 충전기를 통해 배터리 충전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동단말기 충전기는 용도에 따라 가정용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탁상용 충전기, 차량의 시거잭을 이용하는 차량용 충전기, 여행 또는 출장 등 장기간 외출시 간단하게 충전시킬 수 있는 여행용 충전기 및 가정용 전원과 직류전원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겸용 충전기 등이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기 충전기는 단순히 충전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충전기에 장착된 이동단말기를 분리하여 통화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를 충전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충전기에 장착된 이동단말기를 분리하여 통화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When the battery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is discharged after being used for a certain time due to the limitation of capacity, the battery charg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through the charger. These mobile terminal chargers can use both a desktop charger using household AC power, a car charger using a cigar jack of a vehicle, a travel charger that can be easily charged when going out for a long time such as travel or business trip, and both a home power source and a DC power source. There is a dual charger. Since the mobile terminal charger simply has a charging function, when a call is received while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is being charged, the user has to trouble separate and call the mobile terminal mounted in the charger. In addition, even when a user wants to talk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charger, the user has a problem in that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charger needs to be separated.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이동망 교환기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발신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발신자 정보표시(CI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I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의 특징 통지 메시지(Feature Nortification Message)와 포워드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의 정보를 가지는 경고 메시지(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와 정보를 가지는 플래시 메시지를 이동단말기로 송신한다. 전술한 세 개의 메시지에는 다음의 표에 기재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Recently, a mobile terminal provides various services for the convenience of a user, and in particular, a mobile network exchange provides a caller information display (CID) ser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a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a call time. In order to provide the CID service,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feature notification message of a paging channel and an alert message with information of a forward traffic channel and a flash message hav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three messages described above contain 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table.

필드field 길이(단위: bit)Length in bits 넘버 타입(NUMBER_TYPE)Number type (NUMBER_TYPE) 33 넘버 플레인(NUMBER_PLANE)Number Plane (NUMBER_PLANE) 44 표현지시자(PI)Expression indicator (PI) 22 화면지시자(SI)Screen indicator (SI) 22 캐릭터(CHARi), (i??0)Character (CHARi), (i ?? 0) 88 예비(Reserved)Reserved 55

발신자 정보의 구성은 위의 표와 같이 넘버 타입, 넘버 플레인, 표현지시자, 화면지시자, 캐릭터, 예비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넘버 타입 필드는 국제번호, 단말기 번호, 단축번호 등의 번호 형태를 나타내고, 넘버 플레인 필드는 종합정보통신망(ISDN), 텔렉스(Telex) 등과 같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망 번호를 나타내고, 표현 지시자 필드는 번호를 표시할 것인지 부분적으로 표시할 것인지 또는 표시하지 않을 것인지를 나타내며, 캐릭터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나타낸다.Caller information consists of number type, number plane, expression indicator, screen indicator, character, and reserve fields as shown in the table above. Among these, the number type field indicates a number type such as an international number, a terminal number, and a speed dial number, and the number plane field indicates a service network number provided such as ISDN, Telex, etc., and an expression indicator field. Indicates whether or not to display the number, or not, and the character indicate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그렇지만, 이러한 CID 서비스는 이동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이므로 이동단말기를 충전기에 장착한 경우에는 충전기를 이동시키거나 충전기로부터 이동단말기를 분리하여 확인해야 하므로 충전중에는 CID 서비스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없다.However, since the CID service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charger, the CID service cannot be usefully used during charging since the charger needs to be moved or separated from the charg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이동단말기가 장착한 상태에서 착신신호가 도달하면 해당 사실을 표시소자(예컨대, LED)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통보해줌과 동시에 일반 전화기 형태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고, 키패드를 구비하여 외부로 통화요청 및 통화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fact that the incoming signal arrives when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display element (for example, L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charge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which are visually informed by using a call and a call using a handset in the form of a general telephone, and a call request and a call can be made to the outside with a keypad.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CID 서비스 기능이 탑재된 이동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착신신호가 도달되면 발신자 정보(예컨대, 발신자 이름, 발신자 전화번호, 발신시간)를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nd display caller information (eg, caller name, caller's phone number, calling time) when an incom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the CID service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charge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스피커폰 기능 및 볼률 조절기능을 더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harger of a mobile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urther comprising a speakerphone function and a power regulation function.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이동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음성신호는 이어잭 또는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harge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in which voice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and from a mobile terminal communicate using an ear jack or a communication po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charge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와 이동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2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nd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패드의 예시도이고,3 is an exemplary view of a keypad for performing a dial function of a multifunctional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내부 구성 및 이동단말기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charger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내부 구성 및 이동단말기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charger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수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and receiving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송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and transmitting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al char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수신동작을설명하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and receiving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al charg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300: 다기능 충전부200: 이동단말기100, 300: multi-function charging unit 200: mobile terminal

405, 510: 전원공급부410, 510: 충전회로부405, 510: power supply unit 410, 510: charging circuit unit

425: CPU430: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25: CPU430: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35, 570: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50: 음성코덱 및 증폭부435 and 570: voice signal interface unit 450: voice codec and amplifier unit

530: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530: charging interface modul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에 있어서,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와; 키입력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키입력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키신호를 수신하여 키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동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부를 총괄 제어하는 CPU와; 이동단말기와 CPU 사이에 위치하고 충전회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단말기와 CPU간의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 동작 속도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이동단말기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상호 교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 스피커로 출력하는 송신신호 증폭부와; 제1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수신신호 증폭부와; CPU 및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설정된 크기로 증폭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고,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CPU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고,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CPU로 전달하는 음성코덱 및 증폭부와; CPU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CPU를 통해 인가되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및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CPU를 통해 전달되는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charging circuit unit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harger consisting of a general phone shape including a handset, a specific operation A key input unit for generating a key signal for indicating; It is connected to the key input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key input unit, and receives various key signals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to perform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and overall control of each component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CPU; A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loca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PU,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and configured to adjust a data format, an operation speed, and an operation timing to exchange various data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PU; A voice signal interface unit for switch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oice signal to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rough a designated path; A transmission signal amplifier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amplifying a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first speaker; A received signal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captured by the first microphone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It is connected to the CPU and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amplifies the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to the set size and outputs it to the second speaker, and amplifies the voice signal captured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Voice codec and amplification, which converts the digital voice data applied from the CPU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econd speaker, and converts the analog voice signal captured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into processable digital data and delivers it to the CPU. Wealth; A memory unit connected to the CPU and storing caller information applied through the CPU and storing a telephone number input through a key input unit; And connected to the CPU,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aller information and the phone number entered by the user transferred through the CPU.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에 있어서,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와; 무선 주파수 수신용 안테나와 매칭 코일을 통하여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와; 충전회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회로부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이동단말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과; 이동단말기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상호 교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1 송신신호 증폭부와; 제1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제1 수신신호 증폭부와;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를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2 송신신호 증폭부와;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제2 수신신호 증폭부와;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되어 있으며,이동단말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와; 착신신호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착신신호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착신신호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charging circuit unit for supply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charger having a general phone shape including a handset, a key signal for indicating a specific operation A key input unit for generating a; An incoming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an incoming signal through an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frequency and a matching coil; A charging interface module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and configured to supply charging power applied through the charging circuit unit to the mobile terminal battery; A voice signal interface unit for switch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oice signal to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rough a designated path; A first transmission signal amplifier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amplifying a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first speaker; A first received signal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captured by the first microphone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 second transmission signal amplifier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amplifying the voice signal applied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A second received signal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captured by the second microphone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 charging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harging interface module and configured to externally display a state of charge of the mobile terminal battery; It is connected to the incoming signal detec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oming signal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at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incoming signal detection unit.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착신신호를 검출하여 착신신호 검출 여부를 표시하고, 이동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단말기와의 음성신호 교환 경로를 지정하고,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교환하는 단계; 및 볼륨 버튼의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charging circuit unit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driving a mobile terminal charger having a general telephone shape including a handset,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Supplying charging power to a mobile terminal battery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displaying a charging state; Detecting an incoming signal to indicate whether the incoming signal is detected, and displaying and storing caller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mobile terminal; Designating a voice signal exchange path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exchanging a voice signal through the designated path; And adjusting and outputting a volume of the audio signal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volume button.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착신신호를 검출하여 착신신호 검출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와; 이어폰 잭으로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지정된 스피커로 출력하고 지정된 마이크를 통해 캡쳐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볼륨 버튼의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charging circuit unit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driving a mobile terminal charger having a general telephone shape including a handset,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Supplying charging power to a mobile terminal battery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displaying a charging state; Detecting an incoming signal and displaying whether the incoming signal is detected; Amplifying the analog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earphone jack and outputting the same to the designated speaker, and amplifying the analog voice signal captured through the designated microphon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mobile terminal; And adjusting and outputting a volume of the audio signal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volume butt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ultifunctional charge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100)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charger 100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다기능 충전기(100)는 외력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의 본체(110),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고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캡쳐하여 이동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수화기(120), 착신신호 수신시 해당 사실을 시각적으로 통보해주기 위한 착신신호 표시부(130), 발신자 정보(예컨대, 발신자 이름, 발신자 전화번호 등) 및 기타 정보(예컨대, 입력한 키패드 번호, 부재중 수신된 전화정보 등)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LCD(140), 이동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이동단말기 삽입구(150), 충전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충전상태 표시부(160), 다기능 충전기(100)의 통화 대기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통화 버튼(165),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폰 버튼(170), 스피커폰 기능 수행시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버튼(180), 다기능 충전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AC/DC 어댑터(185), 이동단말기와의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이어폰 잭(190), 이동단말기의 통신 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95a)를 포함하며, 이동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예컨대, 링신호, CID 정보, 음성 데이터 등)를 상호 교환하기위한 통신 케이블(19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multi-function charger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speaker, and a microphone, which protects internal circuits from external force, and outputs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through a speaker and outputs a user's voice signal through a microphone. Handset 120 for capturing and transmitting to mobile terminal, incoming call display unit 130 for visually notifying the fact when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caller information (eg caller name, caller phone number, etc.) and other information (eg , Input keypad number, missed received phone information, etc.), the LCD 140 for displaying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nserting hole 150 for accommodating the mobile terminal, the charging state display unit 160 for visually displaying the charging state, Call button 165 for generating a key signal for indicating the call waiting state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100, for performing the speakerphone function Speaker phone button 170 for generating a key signal, volume button 180 for adjusting the volume when performing the speakerphone function, AC / DC adapter 185 for supply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100, mobile terminal Earphone jack 19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with, and a connector 195a for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and data (eg ring signal, And communication cable 195 for exchanging CID information, voice data, etc.).

또한, 송수화기(120)의 안착홈(125)에는 훅 온/오프 스위치(미도시)가 돌출되어 송수화기(120)의 안착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스피커 및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부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다기능 충전기가 구현할 수 있는 기능(즉, 다이얼 기능, CID 기능, 착신신호 표시 기능, 스피커폰 기능)중에서 CID 기능을 제외시킨 경우에는 LCD(140)를 생략할 수 있고, 다기능 충전기의 본체(110)에 위치한 각종 버튼[즉, 통화 버튼(165), 스피커폰 버튼(170), 볼륨 버튼(180)]을 송수화기(120)의 내측에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hook on / off switch (not shown) protrudes from the seating groove 125 of the handset 120 to transmit a hook on / off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handset 120 is seated, and performs a speakerphone function. A separate speaker and microphone are built in. The position of each component shown in FIG. 1 is merely exemplary and may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a designer's choice. For example, when the CID function is excluded from the functions (ie, the dial function, the CID function, the incoming call display function, and the speakerphone func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multifunction charger, the LCD 140 may be omitted. Various buttons (that is, the call button 165, the speaker phone button 170, and the volume button 180) located in the main body 110 may be implemented inside the handset 12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와 이동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충전시키고자 하는 이동단말기(200)를 이동단말기 삽입구(150)에 거치하고, 다기능 충전기(100)의 이어폰 잭(190)을 이동단말기(200)의 이어폰 잭 삽입구(210)에 연결하고, 커넥터(195a)를 이동단말기(200)의 통신포트(220)에 연결한다. 또한, AC/DC 어댑터(185)의 플러그를 교류 전원 콘센트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전원을 연결하고 커넥터(195a)를 이동단말기(200)의 통신포트(220)에 연결함과 동시에 이동단말기(200)의 충전이 개시된다.2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nd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mobile terminal 200 to be charged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insertion port 150, and the earphone jack 190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100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insertion port 210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connector 195a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 addition, the plug of the AC / DC adapter 185 is connected to an AC power outlet. Therefore, the power is connected, the connector 195a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charging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star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100)의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패드(122)의 예시도로서, 다기능 충전기(100)의 송수화기(120)의 내측에 도시한 예를 나타낸다. 키패드(122)는 숫자키(즉, 0∼9), 특수키(즉, '*', '#') 및기능키(즉, '통화' 버튼, '종료' 버튼)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기능키중 '종료' 버튼은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부가한 것으로, 훅 온/오프 스위치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키패드(122)를 다기능 충전기 본체(110)의 윗면 일단에 구현할 수도 있다.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keypad 122 for performing a dial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shown inside the handset 120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100. The keypad 122 includes numeric keys (ie, 0 to 9), special keys (ie, '*', '#') and function keys (ie, 'call' button and 'end' button). Here, the 'end' button of the function key is added for convenience of use, it can be replaced with a hook on / off switch, of course. In addition, the keypad 122 may be implement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main body 110.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100)의 내부 구성 및 이동단말기(200)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다기능 충전기(100)는 전원공급부(405), 충전회로부(410), 키입력부(415),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 CPU(425),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30),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 송신신호 증폭부(440), 수신신호 증폭부(445), 음성코덱 및 증폭부(450), 메모리부(455), 충전상태 표시부(460), 착신신호 표시부(465) 및 디스플레이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착신신호 감지부(47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키입력부(415)는 통화 버튼(415a), 키패드(415b), 스피커폰 버튼(415c) 및 볼륨 버튼(415d)을 포함한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100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function charger 1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405 and a charging circuit unit ( 410, key input unit 415, hook on / off switch unit 420, CPU 425,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30, voice signal interface unit 435, transmission signal amplification unit 440, reception And a signal amplifier 445, a voice codec and amplifier 450, a memory 455, a charging status display 460, an incoming signal display 465 and a display 470. In addition, the incoming signal detector 475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key input unit 415 includes a call button 415a, a keypad 415b, a speakerphone button 415c, and a volume button 415d.

전원공급부(405)는 AC/DC 어댑터(도 1의 185)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수신하여 다기능 충전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각 구성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충전회로부(410)는 AC/DC 어댑터(185)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충전회로부(410)는 일반 충전기에 사용되는 충전회로를 사용하며, 이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The power supply unit 405 receives DC power input through the AC / DC adapter 185 of FIG. 1 and supplies a voltage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to each component, and the charging circuit unit 410 Receives a DC power input through the AC / DC adapter 185 serves to supply a voltage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The charging circuit unit 410 uses a charging circuit used in a general charger, which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키입력부(415)는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송수신시 다기능 충전기가 송수신가능 상태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통화 버튼(415a), 송신시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샌드 신호 또는 통화종료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패드(415b), 다기능 충전기가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스피커폰 버튼(415c) 및 입/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 버튼(415d)을 포함한다.The key input unit 415 serves to generate a key signal for instructing a specific operation, a call button 415a for notifying that the multi-function charger is in a transceivable state dur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puts a counterpart phone number when sending and sends A keypad 415b for generating a signal or a call termination signal, a speakerphone button 415c for instructing the multifunction charger to perform a speakerphone function, and a volume button 415d for adjusting the size of an input / output voice signal.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는 송수화기의 안착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켜 송수신 대기상태임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송수신시 다기능 충전기를 훅 오프 상태로 전환한 후, 송수신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물론, 스피커폰 버튼(415c)을 눌러 다기능 충전기의 상태를 훅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에서 발생되는 훅 온/오프 신호는 후술하는 CPU(425)가 다기능 충전기(100)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이 사실을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위한 예비수단이다. 따라서, 설계의 단순화를 위해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를 구현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hook on / off switch unit 420 generates a hook on / off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handset is seated or not, and informs th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is waiting.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transmit and receive after switching the multi-function charger to the hook-off state dur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urse, the speakerphone button 415c may be pressed to switch the state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to the hook-off state. The hook on / off signal generated by the hook on / off switch unit 420 is for the CPU 425 described later to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100 and transmit the fact to the mobile terminal 200. It is a preliminary means to accurately recognize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hook on / off switch unit 420 may not be implemented to simplify the design.

CPU(425)는 키입력부(415) 및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에 연결되어 있으며, 키입력부(415) 및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키신호(예컨대, 각 버튼 신호, 훅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단말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부를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CPU(425)는 본 다기능 충전기(100)에 구현된 다이얼 기능, CID 기능, 착신신호 표시 기능,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해당 구성부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The CPU 425 is connected to the key input unit 415 and the hook on / off switch unit 420, and various key signals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415 and the hook on / off switch unit 420 (eg, each And a button signal and a hook on / off signal) to collectively control each component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That is, the CPU 425 is programmed to perform the dial function, the CID function, the incoming call display function, and the speakerphone function implemented in the multifunctional charger 100, and transmit various control signals for performing these functions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To control.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30)는 이동단말기(200)와 CPU(425) 사이에 위치하고 충전회로부(4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단말기(200)와는 통신 케이블(195)을 통해 이동단말기(200)의 통신포트(220)에 연결된다.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30)는 충전회로부(410)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이동단말기(200)로 인가하고, 이동단말기(200)와 CPU(425)간의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 동작 속도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단말기(200)와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30)간의 통신 규격은 RS-232C, RS-422 또는 RS-485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RS-232C 통신 규격이 널리 이용된다. 전술한 통신 규격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단말기(200)의 통신 포트(220)에 구현된 핀 배열 및 구조는 단말기 모델별로 상이하지만, 통신 포트(220)는 본 다기능 충전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 단자, 데이터 송수신 단자, 연결감지 단자, 링검출 단자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30 is loca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CPU 425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41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195.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220.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30 applies the charging power applied from the charging circuit unit 410 to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data format to exchange various data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CPU 425, It controls the operation speed and operation timing. As a communication standar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30, RS-232C, RS-422, or RS-485 may be used. In general, the RS-232C communication standard is widely used. The aforementioned communication standard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pin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port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are different for each terminal model, but the communication port 220 is a charging terminal,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terminal, a connection detecting terminal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It is assumed that a ring detection terminal is included.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는 이동단말기(200)와 CPU(425)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단말기(200)와는 이어폰 잭(190)을 통해 이동단말기(200)의 이어폰 잭 삽입구(210)에 연결된다.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는 이동단말기(20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와 이동단말기(200)로 전달되는 음성신호의 데이터 형식, 동작 속도,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이어폰 잭(190)은 접지 단자, 마이크 단자, 스피커 단자를 포함하고 있다.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435 is loca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CPU 425 and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insertion port 210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earphone jack 190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435 adjusts the data format, operation speed, and operation timing of the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Here, the earphone jack 190 includes a ground terminal, a microphone terminal, a speaker terminal.

송신신호 증폭부(440)는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에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해 이동단말기(20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 스피커[다기능 충전기(100)에 구현된 송수화기(120)에 내장]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신신호 증폭부(445)는 제1 마이크[다기능 충전기(100)에 구현된 송수화기(120)에 내장]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해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ransmission signal amplifying unit 440 is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435 and amplifies the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435. Built into the handset 120 implemented in the)] and serves to output. The received signal amplifying unit 445 amplifies the voice signal captured by the first microphone (built in the handset 120 implemented in the multifunctional charger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435. It serves to deliver.

음성코덱 및 증폭부(450)는 CPU(425) 및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설정된 크기로 증폭하여 제2 스피커[다기능 충전기 본체(110)에 내장]로 출력하고, 제2 마이크[다기능 충전기 본체(110)에 내장]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로 전달한다. 본 발명은 이어폰 잭(190)을 통해 이동단말기(200)와 음성신호를 교환할 수 있지만, 통신 케이블(195)을 통해 이동단말기(200)와 음성신호를 교환할 수도 있다. 이때, 통신 케이블(195)을 통해 음성신호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CPU(425)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데이터 형식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음성코덱 및 증폭부(450)는 CPU(425)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고,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CPU(425)로 전달한다.The voice codec and amplifying unit 450 is connected to the CPU 425 and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435 and performs a speaker phone function. That is, the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435 is amplified to a set size and output to the second speaker (built in the multi-function charger main body 110), and a second microphone (built into the multi-function charger main body 110). The amplified voice signal captured through the amplifi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435. The present invention may exchange voice signals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earphone jack 190, but may exchange voice signals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195. In this case, when the voice signal is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195,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PU 425, and thus the data format needs to be adjusted. That is, the voice codec and amplifying unit 450 converts the digital voice data applied from the CPU 425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voice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and the digital data capable of processing the analog voice signal captured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Is converted to the CPU 425 and transferred to the CPU 425.

메모리부(455)는 CPU(425)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CPU(425)를 통해 인가되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키입력부(415)의 키패드(415b)를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CPU(425)의 추출명령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후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30)를 통해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지만, CPU(425)에 버퍼가 내장된 경우에는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이동단말기(200)로 전달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The memory unit 455 is interconnected with the CPU 425, stores caller information applied through the CPU 425, and stores a phone number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keypad 415b of the key input unit 415. And, in response to the extraction command of the CPU 425, to apply the corresponding data. Here, the phone number input by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n transferr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30. However, when the buffer is built in the CPU 425, the buffer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It may be implemented to be store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충전상태 표시부(460)는 CPU(425)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단말기(200)의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LED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충전중에는 적색을 표시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을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Charge state display unit 460 is connected to the CPU 425, serves to display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outside, and uses an LED.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to display red during charging and to display green when charging is completed.

착신신호 표시부(465)는 CPU(425)에 연결되어 있으며, CPU(425)의 구동신호에 따라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LED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착신신호 표시부(465)는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링신호에 해당하는 주기동안 LED를 점멸시켜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착신신호가 도달하였음을 알려준다.The incoming signal display unit 465 is connected to the CPU 425, and visually displays that the incoming signal has been received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CPU 425, and uses an LED. For example, when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the incoming signal display unit 465 flashes the LED for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ring signal, thereby informing the user that the incoming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outside.

디스플레이부(470)는 CPU(425)에 연결되어 있으며, CPU(425)를 통해 전달되는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LCD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70)는 초기에 슬립모드(조명이 없는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CPU(425)의 구동신호에 의해 활성모드(조명이 있는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70 is connected to the CPU 425 and serves to display the caller information and the phone number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CPU 425, and use an LCD.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470 may initially be in a sleep mode (no light) and then switch to an active mode (lighted state) by a driving signal of the CPU 425.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착신신호 감지부(475)를 더 포함하여 CPU(425)를 통하지 않고 이동단말기(200)의 사용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 전력(즉, 무선 주파수 신호)을 감지하여 착신신호 도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착신신호 감지부(475)는 무선 주파수 수신용 안테나와 매칭 코일을 통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사실을 착신신호 표시부(465)로 전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coming signal detection unit 475 to detect an electromagnetic wave power (ie, a radio frequency signal) of a frequency band us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PU 425 to reach the incoming signal.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incoming signal detector 475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radio frequency signal through an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frequency and a matching coil, and transmit the fact to the incoming signal display 465.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300)의 내부 구성 및 이동단말기(200)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다기능 충전기(300)는 전원공급부(510), 충전회로부(520),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530), 착신신호 감지부(540), 착신신호 표시부(550), 통화 버튼(560),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570), 제1 송신신호 증폭부(575), 제1 수신신호 증폭부(580), 볼륨 버튼(585), 제2 송신신호 증폭부(590) 및 제2 수신신호 증폭부(59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300)는 충전, 수신 및 스피커폰 기능만을 구현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100)의 구성 중에서 일부만을 채택한 것으로 각 구성부의 연결관계만 다르고, 해당 구성부의 기능은 거의 동일하므로 기능 설명을 생략하고 도 8의 동작 설명으로 대체한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 charger 300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a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function charger 3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510 and a charging circuit unit ( 520, the charging interface module 530, the incoming signal detection unit 540, the incoming signal display unit 550, the call button 560,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570,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amplifier 575, and the first 1 includes a received signal amplifier 580, a volume button 585, a second transmitted signal amplifier 590, and a second received signal amplifier 595. The multifunction charger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mplements only charging, receiving, and speakerphone functions. The multifunction charger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dopts only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differs only in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and thus the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re almost the same, and thus the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is omitted. And the operation description of FIG.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300)의 주요 특징은 이동단말기(200)의 배터리 충전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지고, 음성신호는 이어폰 잭을 통해 교환한다. 이동단말기(200)로부터의 음성신호 수신은 통화 버튼(560)을 통해 이루어지며, 통화대기 상태에서 통화 버튼(560)을 누르면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570)는 이어폰 잭의 마이크 단자를 일정시간 접지시켜 통화 상태로 전환하고, 통화 상태에서 통화버튼(560)을 누르면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570)는 이어폰 잭의 마이크 단자를 일정시간 접지시켜 통화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200)는 마이크 단자의 접지 여부에 따라 다기능 충전기(300)의 현재 상태가 통화 상태인지 통화대기 상태인지를 판별하고, 통화 상태이면 이어폰 잭을 통해 음성 신호를 교환하고, 통화대기 상태이면 통신을 종료한다.The main feature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battery charging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made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the voice signal is exchanged through the earphone jack.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call button 560. When the call button 560 is pressed in the call standby state, the voice signal interface 570 grounds the microphone terminal of the earphone jack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all is switched to the call state and the call button 560 is pressed in the call state,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570 grounds the microphone terminal of the earphone jack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witch to the call standby state.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300 is a call state or a call standby state according to whether the microphone terminal is grounded, and exchanges a voice sig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when the call state is established, and waits for a call. If so, terminate the communic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에 대한 동작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수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 및 이어폰 잭을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 및 이어폰 잭 삽입구에 각각 연결하고, 다기능 충전기의 AC/DC 어댑터를 교류 전원 공급용 콘센트에 연결하였다고 가정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and receiving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and the earphone jack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and the earphone jack inser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respectively. Assume that you have connected the AC / DC adapter to an AC power outlet.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가 연결됨과 동시에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충전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커넥터의 충전단자를 통해 이동단말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현재의 충전상태를 표시한다(S610). 예컨대, 충전중에는 LED를 적색으로 표시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의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적색을 점멸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At the same time that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or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re connected,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supplies the charging power applied from the charging circuit unit to the mobile terminal battery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connector and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charge (S610). . For example, the LED is displayed in red while charging, and green when charging is completed. 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or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is not properly made may be implemented to blink red.

다음에, CPU는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착신신호가 검출되었는가를 판단(S620)하여 착신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610)로 진행하여 배터리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착신신호가 검출되면 착신신호 표시부를 구동시켜 착신신호가 도달하였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줌과 동시에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해당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한다(S630). 여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부재중일 경우에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부재중에 수신된 전화가 3통 있을 경우 LCD에는 "부재중 전화 3통"이라고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추후에 수신된 전화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물론, 이동단말기 자체에서도 부재중 전화정보는 확인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착신신호가 도달되면 해당 사실을 통신포트의 링검출 단자를 통해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인가하고, 수신된 발신자 정보는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통해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인가한다.Next, the CPU determines whether the incoming signal is detected from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S620). If the incoming signal is not detected, the CPU proceeds to step S610 to continue the battery charging operation. By driving the signal display unit to visually indicate that the incoming signal has reached,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caller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S630). Here, the reason for storing the sender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is to inform the user of the received caller information when the user is away. For example, when there are three missed calls, the LCD displays "three missed calls" to support the user to check received call information later. Of course, the missed call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even in the mobile terminal itself. When the incoming signal arrives from the outside, the mobile terminal applies the fact to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through the ring detection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port, and the received caller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다음에, CPU는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S640)하여 해당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630)로 진행하여 발신자 정보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해당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면 이어폰 잭 또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한다(S650). 이어폰 잭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CPU는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의 입력 사실을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인가하고,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마이크 단자를 일정시간 접지하여 다기능 충전기가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음을 이동단말기로 통지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는 이어폰 잭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입력된 버튼의 종류에 따라 통화 버튼이 입력되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고,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면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도록 스위칭 한다.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CPU는 이동단말기 통신포트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여 음성코덱 및 증폭부로 전달한다. 또한, CPU는 입력된 버튼 정보(즉, 통화 버튼인지 스피커폰 버튼인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따라서, 음성코덱 및 증폭부는 CPU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지정된 스피커로 출력하고, 지정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CPU로 전달한다. 음성코덱 및 증폭부는 CPU로부터 인가되는 입력된 버튼 정보에 따라 지정된 스피커 및 마이크로 스위칭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의 송수화기에 내장되어 있고,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다. 즉,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Next, the CPU determines whether a call button or a speakerphone button is input (S640). If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not detected, the CPU proceeds to step S630 to continuously display caller information, and when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detected. The voice signal is exchanged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n earphone jack or a communication cable (S650). To exchange voice signals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the CPU applies the input of the call button or the speakerphone button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grounds the microphon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multifunction charger receives the voice signal. Notifies the mobile terminal that it is in a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a voice sig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switche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first speaker and the microphone when the call button is inpu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button, and switche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second speaker and the microphone when the speakerphone button is input. When the voice signal is to be exchanged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the CPU receives digital voice data input from the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port through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d transmits the digital voice data to the voice codec and the amplifying unit. In addition, the CPU transfers the input button information (ie, information on whether a call button or speakerphone button). Therefore, the voice codec and amplifying unit converts the digital voice data applied from the CPU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designated speaker,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designated microphone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o the CPU. The voice codec and amplifying unit switches the designated speaker and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input button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PU.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built into the handset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nd the second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built into the multifunction charger body. That is, the second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for performing a speakerphone function.

다음에, CPU는 음성신호 교환중 사용자가 볼륨 버튼을 입력하였는가를 판단(S660)하여 볼륨 버튼을 입력하면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670). CPU는 상기 단계(S660)에서 볼륨 버튼이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단계(S670) 이후에 종료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S680)하여 종료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통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이므로 상기 단계(S650)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고, 종료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가 종료된 것이므로 초기 단계로 복귀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한다.Next, the CPU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s the volume button during the voice signal exchange (S660), and if the volume button is input, the CPU controls to adjust and output the volume of the voice signal (S670). The CPU determines whether a volume button is not input in step S660 or whether an end button is input after step S670 (S680). Proceeds to repeating the subsequent steps, and when the end button is input, the call is terminated, so the process returns to the initial stage and continues the battery charging oper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송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 및 이어폰 잭을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 및 이어폰 잭 삽입구에 각각 연결하고, 다기능 충전기의 AC/DC 어댑터를 교류 전원 공급용 콘센트에 연결하였다고 가정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and transmitting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and the earphone jack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and the earphone jack inser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respectively. Assume that you have connected the AC / DC adapter to an AC power outlet.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가 연결됨과 동시에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충전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커넥터의 충전단자를 통해 이동단말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현재의 충전상태를 표시한다(S710). 예컨대, 충전중에는 LED를 적색으로 표시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의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적색을 점멸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At the same time that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or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re connected,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supplies the charging power applied from the charging circuit unit to the mobile terminal battery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connector and displays the current charging state (S710). . For example, the LED is displayed in red while charging, and green when charging is completed. 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or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is not properly made may be implemented to blink red.

다음에, CPU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로부터 혹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다기능 충전기가 송신 상태에 있는가를 판단(S715)하여 송신 상태가 아니면(즉, 훅 온 상태이면) 상기 단계(S710)로 진행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송신 상태이면(즉, 훅 오프 상태이면) 해당 사실을 이동단말기로 송신한다(S720). 이동단말기는 다기능 충전기의 상태를 수신한 후, 송신 가능여부를 통신포트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통해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통지한다. CPU는 이동단말기가 송신 가능 상태에 있는가를 판단(S725)하여 송신 가능 상태가 아니면 상기 단계(S710)로 진행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송신 가능 상태이면 해당 사실(즉, 통화가능 신호)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여기에서, 본 다기능 충전기에 훅 온/오프 스위치부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단계(S715 내지 S725)를생략할 수 있다.Next, the CPU receives the on / off signal from the hook on / off switch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multifunction charger is in the transmission state (S715), and if not in the transmission state (that is, the hook on state), the process goes to step S710. In step S720, the battery charging operation is continued and the fac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f it is in the transmission state (that is, the hook-off state). After receiving the state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the mobile terminal notifies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via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port. The CPU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in a transmittable state (S725), and if not in the transmittable state, proceeds to step S710 to continue the battery charging operation, and if the transmitable state is in the transmitable state, the CPU (ie, call signal). Inform the user. In this case, when the hook on / off switch unit is not included in the multifunctional charger, steps S715 to S725 may be omitted.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S730)하면, CPU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버퍼 또는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입력된 전화번호를 LCD에 디스플레이 한다(S735). 그 후, CPU는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S740)하여 소정 시간 내에 해당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710)로 진행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해당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면 버퍼 또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패킷화하여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S745). 이동단말기는 전송된 전화번호를 송신하여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해당 결과를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한다. CPU는 통화가 연결되었는가를 판단(S750)하여 통화가 연결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S710)로 진행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통화가 연결되면 이어폰 잭 또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한다(S755). 이어폰 잭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CPU는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의 입력 사실을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인가하고,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마이크 단자를 일정시간 접지하여 다기능 충전기가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음을 이동단말기로 통지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는 이어폰 잭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입력된 버튼의 종류에 따라 통화 버튼이 입력되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고,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면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도록 스위칭 한다.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CPU는이동단말기 통신포트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여 음성코덱 및 증폭부로 전달한다. 또한, CPU는 입력된 버튼 정보(즉, 통화 버튼인지 스피커폰 버튼인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따라서, 음성코덱 및 증폭부는 CPU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지정된 스피커로 출력하고, 지정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CPU로 전달한다. 음성코덱 및 증폭부는 CPU로부터 인가되는 입력된 버튼 정보에 따라 지정된 스피커 및 마이크로 스위칭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의 송수화기에 내장되어 있고,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다. 즉,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When the user inputs a telephone number to call using the keypad (S730), the CPU stores the input telephone number in a buffer or memory unit, and displays the input telephone number on the LCD (S735). Thereafter, the CPU determines whether the call button or the speakerphone button is input (S740). If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CPU proceeds to step S710 to continue the battery charging operation and inpu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f detected, packetizes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buffer or memory unit a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S745). The mobile terminal attempts to make a call by transmitting the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and delivers the result to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e CPU determines whether the call is connected (S750), if the call is not connected, proceeds to step S710 to continue the battery charging operation, and when the call is connecte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or the communication cable. To exchange (S755). To exchange voice signals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the CPU applies the input of the call button or the speakerphone button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grounds the microphon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multifunction charger receives the voice signal. Notifies the mobile terminal that it is in a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a voice sig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switche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first speaker and the microphone when the call button is inpu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button, and switche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second speaker and the microphone when the speakerphone button is input. When the voice signal is to be exchanged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the CPU receives digital voice data input from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port through 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d transmits the digital voice data to the voice codec and amplification unit. In addition, the CPU transfers the input button information (ie, information on whether a call button or speakerphone button). Therefore, the voice codec and amplifying unit converts the digital voice data applied from the CPU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designated speaker,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designated microphone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o the CPU. The voice codec and amplifying unit switches the designated speaker and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input button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PU.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built into the handset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nd the second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built into the multifunction charger body. That is, the second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for performing a speakerphone function.

다음에, CPU는 음성신호 교환중 사용자가 볼륨 버튼을 입력하였는가를 판단(S760)하여 볼륨 버튼을 입력하면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765). CPU는 상기 단계(S760)에서 볼륨 버튼이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단계(S765) 이후에 종료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S770)하여 종료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통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이므로 상기 단계(S755)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고, 종료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가 종료된 것이므로 초기 단계로 복귀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한다.Next, the CPU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s the volume button during the voice signal exchange (S760), and when the volume button is input, the CPU controls to adjust and output the volume of the voice signal (S765). The CPU determines whether the volume button is not input in step S760 or the end button is input after step S765 (S770). Proceeds to repeating the subsequent steps, and when the end button is input, the call is terminated, so the process returns to the initial stage and continues the battery charging oper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수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 및 이어폰 잭을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 및 이어폰 잭 삽입구에 각각 연결하고, 다기능 충전기의 AC/DC 어댑터를 교류전원 공급용 콘센트에 연결하였다고 가정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and receiving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and the earphone jack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and the earphone jack inser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respectively. Assume that you have connected the AC / DC adapter to an AC power outlet.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가 연결됨과 동시에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은 충전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커넥터의 충전단자를 통해 이동단말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현재의 충전상태를 표시한다(S810). 예컨대, 충전중에는 LED를 적색으로 표시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의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적색을 점멸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At the same time that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or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re connected, the charging interface module supplies the charging power applied from the charging circuit unit to the mobile terminal battery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connector and displays the current charging state (S810). For example, the LED is displayed in red while charging, and green when charging is completed. 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or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is not properly made may be implemented to blink red.

다음에, 착신신호 감지부는 착신신호에 해당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검출(S820)하여 착신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810)로 진행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착신신호가 검출되면 착신신호 표시부를 구동시켜 착신신호가 도달하였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S830).Next, the incoming signal detection unit detects the radio frequenc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coming signal (S820), if the incoming signal is not detected, proceeds to step S810 to continue the battery charging operation, if the incoming signal is detected incoming signal The display unit is driven to visually display that the incoming signal has been reached (S830).

다음에, 사용자로부터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S840)되면, 이어폰 잭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한다(S850).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면,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마이크 단자를 일정시간 접지하여 다기능 충전기가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음을 이동단말기로 통지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는 이어폰 잭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입력된 버튼의 종류에 따라 통화 버튼이 입력되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고,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면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도록 스위칭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의 송수화기에 내장되어 있고,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다. 즉,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Next, when a call button or a speakerphone button is input from the user (S840), a voice signal is exchanged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S850). When the call button or the speakerphone button is input,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grounds the microphon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o notify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multifunction charger is in a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signals.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a voice sig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switche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first speaker and the microphone when the call button is inpu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button, and switche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second speaker and the microphone when the speakerphone button is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built into the handset of the multifunction charger, and the second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built into the multifunction charger body. That is, the second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for performing a speakerphone function.

다음에, 제1 및 제2 송신신호 증폭부는 음성신호 교환중 사용자로부터 볼륨 버튼이 입력(S860)되면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한다(S870). 상기 단계(S860)에서 볼륨 버튼이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단계(S870) 이후에 통화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통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이므로 상기 단계(S850)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고, 종료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가 종료된 것이므로 초기 단계로 복귀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한다.Next, when the volume button is input from the user (S860) during the voice signal exchange,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ignal amplifiers adjust and output the volume of the voice signal (S870). If the volume button is not input in the step S860 or the call button is not input after the step S870, the call continues. Therefor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tep S850 to repeat the subsequent steps and the end button. If the call is terminated, the call is terminated and the battery returns to the initial stage.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에 발신자 정보표시 기능, 착신신호 표시 기능, 불륨조절이 가능한 스피커폰 기능, 키패드를 이용한 다이얼 기능 등을 부가하여 충전 중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 charg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ller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n incoming call display function, a volume control speakerphone function, a dial function using a keypad, etc., in the battery charger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use a variety of services during charging.

Claims (17)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charger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a charging circuit unit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handset,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generating a key signal for indicating a specific operation; 상기 키입력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키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키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부를 총괄 제어하는 CPU;A CPU connected to the key input unit, the CPU configured to receive various key signals from the key input unit,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and collectively control each component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단말기와 CPU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회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기와 CPU간의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 동작 속도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A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loca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PU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and configured to adjust a data format, an operation speed, and an operation timing to exchange various data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PU; 상기 이동단말기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상호 교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A voice signal interface unit which switches to exchange voice signals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designated path;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 스피커로 출력하는 송신신호 증폭부;A transmission signal amplifier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amplifying a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a first speaker; 제1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수신신호 증폭부;A received signal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captured by the first microphone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상기 CPU 및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설정된 크기로 증폭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고,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CPU로 전달하는 음성코덱 및 증폭부;It is interconnected with the CPU and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mplifies the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outputs it to the second speaker, and amplifies the voice signal captured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to the voice. The digital voice data is transmitted to a signal interface unit, and the digital voice data applied from the CPU is converted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 to the second speaker, and the analog voice signal captured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is converted into processable digital data and the CPU A voice codec and amplification unit to be transferred to the; 상기 CPU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를 통해 인가되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A memory unit connected to the CPU and storing caller information applied through the CPU and storing a telephone number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를 통해 전달되는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PU and configured to display caller information and a phone number input by the user.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 및A charge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PU and configured to externally display a charge state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And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의 구동신호에 따라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착신신호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And a ringing signal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PU and visually displaying that the ringing signal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CPU.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송수화기의 안착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켜 송수신 대기상태임을 알리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A hook on / off switch unit for generating a hook on / off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handset is settled or not and waiting for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주파수 수신용 안테나와 매칭 코일을 통하여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ncoming signal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incoming signal through an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frequency and a matching coil. 상기 착신신호 감지부에서 감지한 착신신호를 상기 착신신호 표시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Multifunctional charger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pplying the incoming signal detected by the incoming signal detection unit to the incoming signal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 input unit 송수신가능 상태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통화 버튼;A call button for indicating that the call is in a transceivable state; 송신시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샌드 신호 또는 통화종료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패드;A keypad for inputting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and transmitting a send signal or a call termination signal during transmission;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스피커폰 버튼; 및A speakerphone button instructing to perform a speakerphone function; And 입/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Multifunctional charger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lume butto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input / output voice sig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이동단말기는 시리얼 통신 규격으로 통신하고,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고,The charging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d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 with the serial communication standard, 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including a connector,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이동단말기는 이어폰 잭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의 이어폰 잭 삽입구에 연결되고,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the mobile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inser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는 충전 단자, 데이터 송수신 단자, 연결감지 단자, 링검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is a multi-function charger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rging terminal,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 a connection detecting terminal, a ring detection terminal.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charger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a charging circuit unit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handset,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generating a key signal for indicating a specific operation; 무선 주파수 수신용 안테나와 매칭 코일을 통하여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An incoming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an incoming signal through an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frequency and a matching coil; 상기 충전회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회로부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상기 이동단말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A charging interface module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and configured to supply charging power applied through the charging circuit unit to the mobile terminal battery; 상기 이동단말기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상호 교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A voice signal interface unit which switches to exchange voice signals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designated path;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1 송신신호 증폭부;A first transmission signal amplifier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amplifying a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a first speaker; 제1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제1 수신신호 증폭부;A first received signal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captured by the first microphone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를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2 송신신호 증폭부;A second transmission signal amplifier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amplifying the voice signal applied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a second speaker;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제2 수신신호 증폭부;A second received signal amplifying unit amplifying a voice signal captured by a second microphone and transferr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A charge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harge interface module and configured to externally display a charge state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착신신호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착신신호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착신신호 표시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And a reception signal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incoming signal detection unit and visually displaying that the incoming signal has been receiv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incoming signal detection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key input unit 송수신가능 상태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통화 버튼;A call button for indicating that the call is in a transceivable state;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스피커폰 버튼; 및A speakerphone button instructing to perform a speakerphone function; And 입/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Multifunctional charger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lume butto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input / output voice signa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과 이동단말기는 시리얼 통신 규격으로 통신하고,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고,The charging interface module and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 with the serial communication standard, 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including a connector,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이동단말기는 이어폰 잭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의 이어폰 잭 삽입구에 연결되고,The voice signal interface unit and the mobile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inser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is a multifunctional charger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rging terminal.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In the driv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ger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a charging circuit unit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handset, (a)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단계;(a)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a charging state; (b) 착신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착신신호 검출 여부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단계;(b) detecting an incoming signal to indicate whether the incoming signal is detected, and displaying and storing caller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mobile terminal; (c) 상기 이동단말기와의 음성신호 교환 경로를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교환하는 단계; 및(c) designating a voice signal exchange path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exchanging a voice signal through the designated path; And (d) 볼륨 버튼의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의 구동방법.and (d) adjusting and outputting a volume of the audio signal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volume butt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step (c) (c1)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 또는 이어폰잭 중 어느 하나를 음성신호 교환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c1) selecting one of a communication port and an earphone jack of the mobile terminal as a voice signal exchange path; (c2)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를 음성신호 교환 경로로 선택하면, 상기 통신포트로 전송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여 지정된 스피커로 출력하고 지정된 마이크를 통해 캡쳐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 및 증폭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c2) If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as a voice signal exchange path, the digital voice data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mplified, output to a designated speaker, and the analog voice signal captured through the designated microphone. 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digital voice data into digital voice data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voice data to the mobile terminal; (c3) 상기 이동단말기의 이어폰 잭을 음성신호 교환 경로로 선택하면, 상기 이어폰 잭으로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지정된 스피커로 출력하고 지정된 마이크를 통해 캡쳐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의 구동방법.(c3) When the earphone jack of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as a voice signal exchange path, the analog audio signal transmitted to the earphone jack is amplified and output to a designated speaker, and the mobile terminal is amplified by an analog audio signal captured through a specified microphone. Method of driving a multi-function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o.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or 10, wherein step (c) (c4) 입력된 전화번호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c4) storing and displaying the input telephone number; (c5) 저장된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통신포트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c5) transmitting the stored telephone number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6) 상기 이동단말기는 전송된 전화번호로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통화가 연결되면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의 구동방법.(c6) Th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ttemp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and exchanging a voice signal through a designated path when the call is connec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step (c) 상기 다기능 충전기가 현재 송신 상태임을 상기 이동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단말기가 송신가능 상태일 때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의 구동방법.Transmitting to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multifunction charger is currently in a transmitting state, and inputting the telephone numbe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transmittable sta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는 충전 단자, 데이터 송수신 단자, 연결감지 단자, 링검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의 구동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charging terminal,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 a connection detecting terminal, and a ring detecting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신호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로 전송되는 링검출 신호 또는 착신시 상기 이동단말기에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의 구동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coming signal is detected using a ring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to a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or a radio frequency received at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In the driv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ger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a charging circuit unit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handset, (e)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단계;(e)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battery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a charging state; (f) 착신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착신신호 검출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f) detecting an incoming signal and indicating whether the incoming signal is detected; (g) 상기 이어폰 잭으로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지정된 스피커로 출력하고 지정된 마이크를 통해 캡쳐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g) amplifying the analog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earphone jack and outputting it to a designated speaker; And (h) 볼륨 버튼의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의 구동방법.(h) a method of driving a multifunction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adjusting the volume of the output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volume butt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의 구동방법.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charging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신호는 착신시 상기 이동단말기에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의 구동방법.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incoming signal is detected by using a radio frequency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KR1020020003645A 2002-01-22 2002-01-22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200300635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645A KR20030063501A (en) 2002-01-22 2002-01-22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645A KR20030063501A (en) 2002-01-22 2002-01-22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049U Division KR200270996Y1 (en) 2002-01-22 2002-01-22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501A true KR20030063501A (en) 2003-07-31

Family

ID=3221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645A KR20030063501A (en) 2002-01-22 2002-01-22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350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099A (en) * 2002-05-22 2003-12-03 (주)티엠시코퍼레이션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100810371B1 (en) * 2004-09-24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Hybrid cradle for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099A (en) * 2002-05-22 2003-12-03 (주)티엠시코퍼레이션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100810371B1 (en) * 2004-09-24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Hybrid cradle for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7988B2 (en) Cordless and wireless telephone docking station with land line interface and switching mode
US6766175B2 (en) Cordless and wireless telephone docking station
US600293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signals
US8019380B2 (en) Integrated communication apparatus
US7010325B1 (en) Wireless repeater with wireless telephone adapter
US20070117556A1 (en) Handset powered wireless table top conferencing system
EP1990982A1 (en) Integrated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Bluetooth headset
WO2002056572A1 (en) Cell phone - hand set combination unit
US7136671B2 (en) Speaker module connectable to an earphone jack of mobile phon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0359647B1 (en) Earphone type wireless telephone system
KR200270996Y1 (en)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KR20030063501A (en)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200286903Y1 (en)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JP2002247173A (en) Charging rack for mobile phone
JP5399652B2 (en)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KR101023308B1 (en) Apparatus for bluetooth headset capabl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58424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radle
JPH05153036A (en) Radio telephone system
KR20010070694A (en) Mobile Phone Connect Function with Telephone
KR20030091099A (en)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200380553Y1 (en) Union Type Communication Operation Device
KR100605850B1 (en) Method for operating of mobile phone connected with ear-mik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radio ear-mike
KR200223843Y1 (en) The receiving converter of mobilephone use to charger
KR200178691Y1 (en) Free Way Speaker System of Mobile Phone
KR200260866Y1 (en)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being capacitated to c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