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006A -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 - Google Patents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006A
KR20030063006A KR1020020003528A KR20020003528A KR20030063006A KR 20030063006 A KR20030063006 A KR 20030063006A KR 1020020003528 A KR1020020003528 A KR 1020020003528A KR 20020003528 A KR20020003528 A KR 20020003528A KR 20030063006 A KR20030063006 A KR 20030063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box
type
box
growth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세균
박재호
전종옥
윤태
윤종선
Original Assignee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02000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3006A/ko
Publication of KR2003006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육묘상자는 육묘상자(1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면서 통기공(30)을 구비한 원뿔형 돌출부(2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묘의 뿌리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여 근권부 전체가 골고루 조기에 발달하도록 하고, 벽면과 바닥면에 집중되는 것을 억제하며, 돌출부 구멍을 최소화하여 뿌리가 상자 밖으로 자라는 것을 막아 우량묘 생산과 육묘일수 단축에 뛰어난 효과가 있고, 정식시 묘뽑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자의 적재, 보관, 운반에도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Seedling culture tray having a projecting part at the bottom}
본 발명은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묘상자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면서 통기공을 구비한 원뿔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생육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육묘상자에 관한 것이다.
채소재배시 육묘기술은 생육기간을 연장하고 묘를 관리할 때에 포장에 직파하는데 비하여 관리가 편리하며, 수량 및 품질증진에 많은 효과가 있어 대부분의 채소는 육묘상자에 육묘후 재배지에 정식하는 재배법이 일반화되어 있다. 묘를 육묘할 때에 온도, 습도, 상토, 육묘상자의 모양 등의 환경변화에 따라 묘의 품질과 정식후의 생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의 육묘상자의 형태는 바닥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상자내에 상토가 채워질 경우 상토의 중심부에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뿌리의 발달이 불량하고 뿌리가 상토 내부보다는 외측으로 자라 육묘상자의 벽면과 바닥면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상토내의 양분 이용율이 낮고 뿌리끝이 말려 생장하여 뿌리말림 현상이 나타나며 정식후에 뿌리의 활착과 생장이 늦다. 아울러 뿌리가 말린 바닥면이나 측면부분의 뿌리생장은 경합이 심하여 엉켜져자라고 뿌리끝이 고사되거나 생육부진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종자근생장 주변에 산소공급의 미미하여 측근의 발생수가 적으므로 지상부 생육에 비해 뿌리의 생장량도 적고, 특히 대형 육묘판 트레이의 경우 그 정도가 커지는 단점이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육묘상자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면서 통기공을 구비한 원뿔형의 돌출부를 만들어 뿌리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고, 배수를 도와 뿌리의 균형발달을 도모하므로써 건전묘를 육성하고 생육을 촉진시키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은 육묘상자 및 화분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면서 통기공을 구비한 원뿔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 및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 육묘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2은 A-A'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작한 4가지 형태의 바닥돌출형 50공 육묘상자와 72공 육묘상자의 단면도이다(단위 ㎜).
도 4은 본 발명 바닥돌출형 50공 육묘상자의 구조개선 실물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바닥돌출형 72공 육묘상자의 구조개선 실물도이다.
도 6는 파종 24일후의 배추묘 생육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72공 육묘상자에서 정식 56일후의 배추 생육상태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50공 육묘상자에서의 고추묘 생육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72공 육묘상자에서의 고추묘 생육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50공 육묘상자에서의 방울토마토묘 생육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육묘상자(1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면서 통기공(20)을 구비한 원뿔형의 돌출부(30)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있다.
통기공을 구비한 원뿔형의 돌출부는 뿌리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고 뿌리가 근권부 전면에 골고루 조기에 발달하도록 하여 벽면과 바닥면에 집중되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기공(20)의 크기를 작게하여 뿌리가 상자밖으로 자라는 것을 막으므로써 정식시 묘뽑기가 쉽고, 뿌리의 잘라짐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서 통기공을 구비한 돌출부(30)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폭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형이 가장 바람직하나, 특별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통기공을 구비한 원뿔형의 돌출부는 육묘상자 뿐만 아니라 화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바닥돌출형 50공 육묘상자 제조
육묘상자내 돌출부 높이와 넓이를 달리하여 바닥 돌출형 50공 육묘상자를 제조하였다.50공 육묘상자는 545mm×275mm×45mm 크기로 상용 육묘상자에 50개의 cell이 있으며, 1 개 cell 의 크기는 높이 45mm, 상부 45mm, 하부 30mm이며 cell 중앙에 직경 10mm의 배수공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공을 정점으로 직경 10mm, 높이 35mm의 원뿔형 돌출부를 만들고 돌출부에 12개의 작은 구멍을 뚫은 육묘상자(이하 'Α타입'이라 약칭함; 도3A, 도4)와 배수공을 정점으로 직경 10mm, 높이 25mm의 원뿔형 돌출부를 만들고 돌출부에 8개의 작은 구멍을 뚫은 육묘상자를 제조하였다(이하 'B 타입'이라 약칭함;도3B, 도4)
실시예 2: 바닥돌출형 72공 육묘상자 제조
육묘상자내 돌출부 높이와 넓이를 달리하여 바닥 돌출형 72공 육묘상자를 제조하였다. 72공 육묘상자는 545mm × 275mm × 45mm 크기의 상용 육묘상자에 72개의 cell이 있으며, 1 개 cell의 크기는 높이 35mm, 상부 46mm, 하부 30mm이며 cell 중앙에 직경10mm 의 배수공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공을 정점으로 직경 10mm, 높이 25mm의 원뿔형 돌출부를 만들고 돌출부에 8개의 작은 구멍을 뚫은 육묘상자(이하 'C 타입'이라 약칭함;도3C, 도5)와 배수공을 정점으로 직경 10mm, 높이 18mm의 원뿔형 돌출부를 만들고 돌출부에 8개의 작은 구멍을 뚫은 육묘상자를 제조하였다(이하 'D 타입'이라 약칭함; 도3D, 도5)
실험예 1 : 바닥돌출형 육묘상자에서의 배추묘 생육상황 실험(1차)
본 실험은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유리온실과 실험포장에서 2000년 3월 15일부터 6월 17일까지 수행하였다. 품종은 명가봄배추 (세미니스종묘생산)를 사용하였으며, 상토는 바로커상토(서울농자재(주) 제품)를 사용하였다. 상토를 충진 후 각 cell마다 2립 씩 파종 후 발아된 뒤 1개의 cell에 건실한 묘 1주만을 남기고 제거하여 생육이 균일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온도관리 주간 20±3℃를 유지하고 야간에는 17±3℃로 조절하였으며, 관수는 1일 1회를 원칙으로 하되 상토의 표면이 건조되면 추가 관수를 하였다. 기타의 관리는 일반재배에 준하였고 실험구의 배치는 완전임의 배치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상토량 조사는 상토를 채운 후 관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사하였고, 묘의 생육상황은 파종 24일 후, 수량은 재식거리 60 ×40cm로 정식한 후 56일에 조사하였다.
상토소요량 조사 결과는 50공 육묘상자에서는 일반육묘상자에 비해 A형 육묘상자는 4.1%, B형 육묘상자 2.4%가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72공에서는 일반육묘 상자에 비해 C형 육묘상자는 4.3%, D형 육묘상자는 2.9%가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
바닥돌출형 육묘상자의 상토소요량
육묘상자 규격 육묘상자종류 육묘상자중량(g/상자) 상토채운후중량(g/상자) 소요상토량(g/상자) 소요상토량지 수
50공 A형 육묘상자 173.6 1452.4 1278.8 95,9
B형육묘상자 162.0 1463.6 1301.6 97.6
일반형육묘상자 137.0 1470.9 1333.9 100
72공 C형육묘상자 174.1 1125.6 951.5 95.7
D형육묘상자 160.1 1126.2 966.1 97.1
일반형육묘상자 136.3 1130.5 994.2 100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에서의 파종 24일후 배추묘 생육상태는 하기 표2에 나타낸 바와 같다.
50공 육묘상자에서 묘의 생육상황은 초장이 A형 육묘상자 13.7cm, B형 육묘상자 15.2cm로 일반형 육묘상자에 비해 A형 육묘상자에서 1.0cm 덜자란 반면 B형 육묘상자에서는 0.5cm 더 자랐으며, 엽수에서는 A형 육묘상자가 5.6매/주, B형 육묘상자가 6.0매/주로써 일반형 육묘상자보다 0.1매/주, 0.5매/주 더 많아 지상부 생체중에서도 일반형 육묘상자에 비해 A형 육묘상자에서 0.6 g/10주, B형 육묘상자에서 2.2g/10주의 생장효과가 있었고, 뿌리의 생체중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생체중의 총량도 일반형 육묘상자에 비해 A형 육묘상자에서 6%, B형 육묘상자에서 16%, 생육이 되어 50공 육묘상자에서 바닥면 돌출형 육묘상자의 생육촉진효과가 인정되었다.
72공 육묘상자에서 묘의 지상부 생육상황은 초장이 C형 육묘상자에서 10.6cm, D형 육묘상자에서 11.4cm로 조사되어 일반형 육묘상자 보다 C형 육묘상자 0.4cm 덜 자란 반면, D형 육묘상자에서 0.4cm 더 자랐고, 엽수에서는 일반형 육묘상자에 비해 C형 육묘상자에서 0.1매/주, D형 육묘상자에서 0.4매/주 많아 지상부의 생육은 D형 육묘상자에서 생장이 촉진된 반면 C형 육묘상자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었다. 한편 72공 육묘상자의 지하부 생장은 일반형 육묘상자에 비해 C형 육묘상자는 0.2 g/10주, D형 육묘상자는 0.3g/10주 촉진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생체중에서도 일반형 육묘상자에 비해 C형 육묘상자에서 8% 가 감소된 반면, D형 육묘상자에서 5%의 생육촉진효과가 인정되었다(도6).
바닥돌출형 육묘상자에서의 파종 24일 후 배추묘 생육상태
육묘상자 규 격 육묘상자 종류 초장(cm) 엽수(매/주) 생체중 (g/10주) 생체중지 수 뿌리길이(cm) 관수횟수(회/일)
지상부 지하부
50공 A형 육묘상자 13.7 5.6 14.7 2.9 17.7 106 17.6 1.2
B형 육묘상자 15.2 6.0 16.3 3.0 19.3 116 19.4 1.1
일반형 육묘상자l 14.7 5.5 14.1 2.6 16.7 100 22.6 1.0
72공 C형 육묘상자 10.6 6.1 7.6 2.5 10.1 92 12.3 1.2
D형 육묘상자 11.4 6.3 8.9 2.6 11.5 105 13.1 1.2
일반형 육묘상자 11.0 6.2 8.7 2.3 11.0 100 14.4 1.0
상기 생산된 묘를 포장에 정식후 56일 후의 수량을 조사한 결과 하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50공 육묘상자에서는 일반형 육묘상자에 비해 A형 육묘상자에서 6%, B형 육묘상자에서 17%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A형 육묘상자의 정식시 지상부의 생육이 일반형육묘상자에 비해 낮았으나 최종수량이 높은 것은 뿌리의 발달이 양호하여 그 영향이 포장 생육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72공 육묘상자에서도 일반형 육묘상자에 비해 C형 육묘상자에서 18%, D형 육묘상자에서 11%의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증수요인이 뿌리의 발달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도7).
배추묘의 정식 56일 후의 생육상태
육묘상자규 격 육묘상자 종류 엽 수(매/주) 구종경(cm) 구횡경(cm) 구 중(g/주) 구중지수
50공 A형 육묘상자 74.3 28.0 19.6 2379.2 106
B형 육묘상자 76.2 28.4 20.4 2626.6 117
일반형육묘상자 73.1 29.5 18.2 2248.7 100
72공 C형 육묘상자 70.3 30.0 20.6 2358.0 111
D형 육묘상자 72.3 29.9 21.1 2510.2 118
일반형육묘상자 69.5 29.6 19.9 2125.0 100
실험예 2 : 바닥돌출형 육묘상자에서의 배추묘 생육상황 실험(2차)
상기 실험예 1에서 돌출부가 큰 A,C형 육묘상자에서 묘의 지상부 생육이 부진한 것이 바닥면 돌출정도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2차 실험을 수행하게 되었다. 돌출형 육묘상자의 경우 육묘상자내에 상토의 충진량이 적으므로 수분함유량이 적고, 산소공급을 위해 뚫어진 구멍이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키므로 돌출부가너무 크거나 구멍이 많을 경우 제때에 수분을 공급하지 않으면 생장이 오히려 둔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상토충전시 강압을 최소화하여 관수시 상토의 유실을 최소화하고 수분관리에 정밀을 기하여 묘를 관리하는데 중점을 두고 2001년 8월 21일부터 10월 30일까지 본원 유리온실 및 실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품종은 가을배추인 불암 3호(세미니스 종묘)를 바로커 상토(서울농자재)를 충진한 육묘판에 8월 21일 파종하고 기타의 내용은 1차실험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묘의 생육조사는 파종 22일 후에 수량조사는 정식 48일 후에 하였고, 상토량은 1차실험보다 가압을 하지않고 충전하므로써 관수를 용이하게 하였다.
상토소요량 조사 결과는 50공 육묘상자에서는 일반 육묘상자에 비해 A형 육묘상자는 6.1%, B형 육묘상자 3.7%가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72공에서는 일반육묘 상 자에 비해 C형 육묘상자는 7.9%, D형 육묘상자는 6.1%가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
실험결과 묘의 생육에서는 전체적인 생장에서 1차 실험때 보다 온도의 영향으로 양호하였으며 처리간의 조사결과는 표 4와 같다. 50공 육묘상자에서 전반적인 생육상황은 일반형 육묘상자에 비해 A형 육묘상자에서 건물중이 2%, B형 육묘상자에서 12%의 생육촉진효과가 있었는데 1차 실험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바닥돌출형 육묘상자의 상토소요량
육묘상자 규 격 육묘상자 종류 트레이중량(g/상자) 상토채운후중량(g/상자) 소요상토량(g/상자) 소요상토량지 수
50공 A형 육묘상자 173.0 1276.0 1103.0 93.9
B형 육묘상자 161.7 1294.3 1132.7 96.4
일반형육묘상자 126.3 1301.0 1174.7 100
72공 C형 육묘상자 160.3 976.7 816.3 92.1
D형 육묘상자 156.7 988.3 931.7 93.9
일반형 육묘상자 127.7 1013.7 886.0 100
파종 22일 후의 배추묘 생육상태
육묘상자 규격 육묘상자 종류 초장(cm) 엽수(매/주) 생체중 (g/10주) 건물중(g/10주) 건물중지수 관수횟수(회/일)
지상부 지하부 지상부 지하부
50공 A형 육묘상자 16.0 6.1 73.7 4.5 78.2 4.30 0.47 4.77 102 1.3
B형 육묘상자 16.5 6.4 84.0 5.5 89.5 4.67 0.56 5.23 112 1.2
일반형육묘상자 15.7 6.1 74.0 3.9 77.9 4.29 0.38 4.67 100 1.1
72공 C형 육묘상자 13.7 5.7 51.0 4.3 55.3 3.46 0.36 3.82 102 1.4
D형 육묘상자 14.0 5.9 55.3 4.5 59.6 3.63 0.38 4.01 107 1.3
일반형육묘상자 12.5 5.6 50.3 4.0 54.5 3.44 0.31 3.75 100 1.1
72공 육묘상자에서의 생장상태는 일반형 육묘상자에 비해 C형 육묘상자에서 건물중이 2%, D형 육묘상자에서 7%의 생육촉진효과가 있었는데 1차실험시 C형 육묘상자에서는 오히려 지상부의 생육이 부진한 것이 수분관리의 영향으로 보인다. 배추의 경우 상토의 수분요구도가 고추나 토마토 보다 크므로 바닥돌출형 육묘상자 육묘시 수분관리에 중점을 두어야한다.
상기 결과와 같이, 바닥돌출형 육묘상자에서 식물을 재배할 경우 생육이 촉진되어 육묘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상토를 절감할 수 있으며 뿌리의 발달이 좋은우량묘를 생산할 수 있다.
표6은 2차실험에서 생산된 묘를 일반포장에 정식후 48일째에 조사한 생육상태이다. 50공 육묘상자에서의 수량은 일반형 육묘상자 대비 A형 육묘상자묘에서 7%, B형 육묘상자 묘에서 8%의 증수효과가 인정되었고, 72공에서도 6%, 19%의 증수효과가 나타나 바닥돌출형 육묘상자가 일반형 육묘상자보다 묘의 생육에 유리한 결과를 얻었다. 바닥돌출형에서 돌출부가 높은 A, C형 보다는 다소 낮은 B, D형이 배추육묘용 육묘상자로는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표 5).
정식 48일 후의 생육상태
육 묘 상 자규 격 육묘상자 종류 엽 수(매/주) 구종경(cm) 구횡경(cm) 구 중(g/주) 구중지수
50공 A형 육묘상자 70.9 37.4 20.7 2369.3 107
B형 육묘상자 72.1 38.2 21.2 2376.0 108
일반형 육묘상자 70.1 37.6 20.4 2206.7 100
72공 C형 육묘상자 67.1 34.9 17.7 1364.5 106
D형 육묘상자 69.3 35.1 19.5 1530.0 119
일반형 육묘상자 68.0 35.3 16.5 1283.5 100
실험예 3 : 바닥돌출형 육묘상자에서의 고추 묘 생육상황 실험
본 실험은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유리온실과 실험포장에서 2000년 3월 5일부터 5월 7일 까지 수행하였다. 품종은 정품고추 (세미니스종묘생산)를 사용하였으며, 상토는 바로커상토(서울농자재(주) 제품)를 사용하였다. 상토를 충진 후 각 cell마다 최아된 종자를 2립씩 파종 후 발아된 뒤 1개의 cell에 건실한 묘 1주만을 남기고 제거하여 생육이 균일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온도관리는 주간 23±3℃를 유지하고 야간에는 19±3℃로 조절하였으며, 관수는 1일 1회를 원칙으로 하되 상토의 표면이 건조되면 추가 관수를 하였다. 기타의 관리는 일반재배에 준하였고 실험구의 배치는 완전임의 배치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묘의 생육상황은 파종 63일 후에 조사하였다.
파종 63일 후의 고추묘 생육상태
육묘상자규격 육묘상자종 류 초장(cm) 엽수(매/주) 생체중 (g/10주) 건물중 (g/10주) 건물중지 수 관수횟수(회/일)
지상부 지하부 지상부 지하부
50공 A형육묘상자 14.8 7.9 22.5 26.6 49.1 4.22 2.56 6.78 114 1.1
B형육묘상자 16.0 8.4 23.8 27.7 51.5 4.49 2.61 7.10 119 1.0
일반형육묘상자 13.6 7.6 20.0 23.4 43.4 3.72 2.23 5.95 100 1.0
72공 C형 육묘상자 14.2 7.1 17.1 18.8 35.9 2.78 1.63 4.41 111 1.2
D형 육묘상자 14.6 6.7 18.3 20.1 38.4 2.90 1.85 4.75 120 1.1
일반형육묘상자 13.0 6.5 16.3 18.0 34.3 2.49 1.48 3.97 100 1.0
실험결과 50공 육묘상자에서 초장, 엽수, 지상부생장량, 지하부생장량, 생체중, 건물중 모두 바닥 돌출형육묘상자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는데 특히 건물중에서 일반육묘상자에 비해 A형 육묘상자는 14%, B형 육묘상자는 19%을 생장촉진효과가 있었다. 72공 육묘상자에서도 건물중이 일반육묘상자에 비해 C형 육묘상자는 11%, D형 육묘상자는 20%을 생장촉진효과가 있어 획기적으로 우량묘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고추는 생리적 특성상 건조에 견디는 힘이 강하고 뿌리의 발생력도 강해 근권에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생장을 촉진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도8, 도9에서와 같이 뿌리의 발달이 바닥돌출형 육묘상자에서 월등이 활발함을 볼 수 있었다.
실험예 4 : 바닥돌출형 육묘상자에서의 방울토마토 묘의 생육상황 실험
본 실험은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유리온실과 실험포장에서 2001년 9월 4일부터 10월 4일까지 수행하였다. 품종은 꼬꼬 (일본 수입종자)를 사용하였으며, 상토는 바로커 상토(서울농자재(주) 제품)를 사용하였다. 상토를 충진 후 각 cell마다 최아된 종자를 2립 씩 파종 후 발아된 뒤 1개의 cell에 건실한 묘 1주만을 남기고 제거하여 생육이 균일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온도관리는 주간 23±3℃를 유지하고 야간에는 19±3℃로 조절하였으며, 관수는 1일 1회를 원칙으로 하되 상토의 표면이 건조되면 추가 관수를 하였다. 기타의 관리는 일반재배에 준하였고 실험구의 배치는 완전임의 배치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묘의 생육상황은 파종 30일 후에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50공 육묘상자에서 초장, 엽수, 지상부생장량, 지하부생장량, 생체중, 건물중 모두 바닥 돌출형육묘상자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는데 특히 건물중에서 일반육묘상자에 비해 A형 육묘상자는 2%, B형 육묘상자는 7%을 생장촉진효과가 있었다. 72공 육묘상자에서도 건물중이 일반육묘상자에 비해 C형 육묘상자는 4%, D형 육묘상자는 9%을 생장촉진효과가 있어 획기적으로 우량묘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고추보다는 토마토에서는 바닥돌출형 육묘상자에서 생장효과가 다소 낮은것은 고추보다는 수분요구도가높은 토마토의 생리적 특성을 바닥돌출육묘상자에서 충족하지 못한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모든 부분의 생장에서 생육촉진효과가 있었다.(표 8)
방울토마토에서의 파종 30일 후의 생육상태
육묘상자규격 육묘상자종 류 초장(cm) 엽수(매/주) 배축장(cm) 생체중 (g/10주) 건물중(g/10주) 건물중지수 관수횟수(회/일)
지상부 지하부 지상부 지하부
50공 A형육묘상자 24.3 2.6 3.94 33.4 4.4 37.8 1.89 0.26 2.15 102 1.2
B형육묘상자 24.5 2.8 3.68 35.7 4.7 40.4 1.96 0.28 2.24 107 1.1
일반형육묘상자 23.5 2.5 3.42 32.7 4.2 36.9 1.85 0.25 2.10 100 1.0
72공 C형육묘상자 20.4 2.51 4.23 22.7 4.8 27.5 1.46 0.28 1.74 104 1.2
D형육묘상자 24.9 2.60 4.28 24.3 5.0 29.3 1.54 0.29 1.83 109 1.2
일반형육묘상자 19.3 2.50 4.03 22.0 4.7 26.7 1.42 0.26 1.68 100 1.0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는 뿌리가 근권부 전면에 골고루 조기에 발달하도록 하여 벽면과 바닥면에 집중되는 것을 억제하고, 돌출부 구멍을 통하여 뿌리가 상자 밖으로 자라는 것을 막기 위해 돌출부의 구멍을 최소화하여 우량묘 생산과 육묘일수 단축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상토를 절약하는 효과도 있고 정식시 묘뽑기가 용이할 뿐만아니라 적재, 보관, 운반에도 효과적이어서 농업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육묘상자 및 화분에 있어서, 육묘상자(10) 및 화분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면서 통기공(30)을 구비한 원뿔형의 돌출부(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 및 화분.
KR1020020003528A 2002-01-22 2002-01-22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 KR20030063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528A KR20030063006A (ko) 2002-01-22 2002-01-22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528A KR20030063006A (ko) 2002-01-22 2002-01-22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006A true KR20030063006A (ko) 2003-07-28

Family

ID=3221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528A KR20030063006A (ko) 2002-01-22 2002-01-22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30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5199A (zh) * 2015-11-13 2016-02-17 山东农业大学 一种简易通气贮水花盆
US10609879B2 (en) 2017-11-07 2020-04-07 Plant Growth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aerobic root condi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8461U (ko) * 1975-03-22 1976-09-25
JPS51155848U (ko) * 1975-06-04 1976-12-11
KR900002242Y1 (ko) * 1987-09-29 1990-03-15 주식회사금성사 전자레인지용 마그네트론의 요오크
JPH03103A (ja) * 1989-05-26 1991-01-07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遠心式抽出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8461U (ko) * 1975-03-22 1976-09-25
JPS51155848U (ko) * 1975-06-04 1976-12-11
KR900002242Y1 (ko) * 1987-09-29 1990-03-15 주식회사금성사 전자레인지용 마그네트론의 요오크
JPH03103A (ja) * 1989-05-26 1991-01-07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遠心式抽出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5199A (zh) * 2015-11-13 2016-02-17 山东农业大学 一种简易通气贮水花盆
US10609879B2 (en) 2017-11-07 2020-04-07 Plant Growth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aerobic root condi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75156A (zh) 一种甜瓜培育方法
KR101866682B1 (ko) 종이포트가 삽입된 딸기 프러그육묘용 기능성육묘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딸기묘의 화아분화 촉진방법
CN107182686A (zh) 一种桃树的增产栽培方法
KR101210850B1 (ko) 종자발아 및 재배용 스펀지
CN109429853A (zh) 一种软枣猕猴桃绿枝扦插育苗方法
CN102986431A (zh) 一种异形西瓜大棚盆钵无土栽培方法
CN106818225A (zh) 一种猕猴桃嫩砧嫁接快速育苗法
CN105359777B (zh) 一种高原地区丝瓜周年生产的栽培方法
CN104705137B (zh) 一种水稻机插育秧方法
CN111820093A (zh) 一种生姜穴盘育苗方法
CN110214641A (zh) 一种提高西红花种球质量的种植方法
Hanson et al. Suggested cultural practices for tomato
KR101360222B1 (ko) 수경재배용 연결포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방법
KR20030063006A (ko) 바닥 돌출형 육묘상자
KR20200030220A (ko) 뿌리식물 수경재배용 시트
CN114342730A (zh) 一种南方地区观赏桃树花期调控的方法
KR20010069891A (ko) 삽목에 의한 은행나무의 조기 결실 방법
CN210840606U (zh) 蜂糖李种植地
CN113243270A (zh) 一种马铃薯超高产栽培方法
KR100558758B1 (ko) 무화과의 재배 방법
KR20100119081A (ko) 무균 씨감자 대량생산 방법
Singh et al. Pusa Golden Cherry Tomato-2: New promising yellow cherry tomato for protected cultivation
CN202979778U (zh) 一种育秧床
KR200274709Y1 (ko) 모판
CN111011119B (zh) 一种两茬洋甘菊种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