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329A - electrical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329A
KR20030061329A KR10-2003-0001374A KR20030001374A KR20030061329A KR 20030061329 A KR20030061329 A KR 20030061329A KR 20030001374 A KR20030001374 A KR 20030001374A KR 20030061329 A KR20030061329 A KR 20030061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bstrate
connector
contact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세가와이주미
타케마사이치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3006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32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판취부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고주파전송에 적합하고 실장면적이 작으며 고밀도로 콘택트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board mounting type electrical connector, it is suitable for high frequency transmission, has a small mounting area, and makes it possible to arrange contacts with high density.

전기 커넥터(1, 100)는 각각 절연하우징(3, 10)과 이에 식설된 콘택트(8, 108)를 갖는다. 콘택트(8, 108)의 타인부의 하단은 각각 입자사으이 도전성 일래스토머(20, 120)에 파고들어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전기 커넥터(1, 100)가 기판에 취부되면 기판의 도전 패드에 도전성 일래스토머(20, 120)가 접촉하고 콘택트(8, 108)과 기판이 각각 도전성 일래스토머(20, 1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electrical connectors 1, 100 have insulated housings 3, 10 and contacts 8, 108 implanted therein, respectively. The lower ends of the tine portions of the contacts 8 and 108 respectively penetrate in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elastomers 20 and 12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electrical connectors 1 and 100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the conductive elastomers 20 and 120 contact the conductive pads of the substrate, and the contacts 8 and 108 and the substrate respectively pass through the conductive elastomers 20 and 120, respec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취부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전송에 적합한 기판취부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ubstrate mount electrical connectors, and more particularly to substrate mount electrical connectors suitable for high frequency transmission.

종래부터 기판취부형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2000-30815호 공보에 개시된 서로 조합하는 제로 삽입력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기판취부형 전기커넥터는 기판의 도전 패드에 용수철 부세되어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기판에 납땜부착되지 않는 단자를 갖고 있다. 이 단자의 타인 즉 기판의 도전 패드에 접촉하는 부분은 탄성이 얻어지도록 치수가 길게 되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s combined with each other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First Publication No. 2000-30815 have been known. This board-mount type electrical connector has terminals that are spring-loaded to the conductive pads of the substrate to elastically contact and are not soldered to the substrate. The tines of the terminals, i.e., the portion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ads of the substrate, are elongated in size so as to obtain elasticity.

또한 기판에 영구적으로 납땜부착되는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도 표면실장형(SMT) 커넥터 혹은 스루홀형의 커넥터로서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표면실장형 커넥터의 단자는 표면기판에 형성된 도전 패드에 직접 납땜되는 타인을 갖는다. 또한 스루홀 타입의 전기 커넥터 단자는 기판의 스루홀(관통공)에 삽통되어 직접 납땜되는 타인을 갖는다.In addition,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terminals permanently soldered to a substrate are also known in the art as surface mount (SMT) connectors or through-hole connectors. The terminals of the surface mount connector have tines that are soldered directly to the conductive pads formed on the surface substrate. In addition, the through-hole type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has a tin tha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through hole) of the substrate and soldered directly.

최근에 PC 등에 사용되는 CPU(중앙처리장치)는 고성능으로 전송주파수(클럭주파수)는 1.5~3GHz의 고주파로 되어 가고 있다. 전송경로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도 그에 대응한 고속전송이 가능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용수철 부세된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장이 길어져 고속전송에 대응할 수 없다.In recent years, CPUs (central processing units) used in PCs have become high performance, and transmission frequencies (clock frequencies) have become high frequencies of 1.5 to 3 GHz. Electrical connectors used in transmission paths are also required to be capable of high speed transmission corresponding thereto. In th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he spring-loaded terminal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field including the terminal is long and cannot cope with high-speed transmission.

또한 후자의 종래기술 즉 표면실장형 커넥터 및 스루홀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납땜이 필요하고 작업공정이 증대한다. 또한 표면실장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납땜이 적절히 행해졌는지의 검사가 가능하도록 납땜되는 타인은 전기 커넥터의 외형의 윤곽 외측에 배치하여 외부로부터 납땜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납땜부로서 컨기 커넥터의 외형보다 큰 취부영역이 필요하므로 전기 커넥터의 실장면적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자기기가 한층 소형화되고 전기 커넥터를 실장할 수 있는 영역이 점점 좁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 점에 대한 중요성은 증대하고 있다.In the latter prior art, that is, the surface mount connector and the through-hole connector, soldering is required and the work process is increased. Moreover, in the surface mount type connector, the tines to be soldered in order to be able to check whether soldering has been properly performed need to be arranged outside the outline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to check the soldering portion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mounting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required to be larger than the external shape of the connector as the soldering part, thereby increasing the mounting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importance of this is increasing because electronic devices are becoming smaller and the area for mounting electrical connectors tends to be narrower.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고주파전송에 적합한 실장면적이 작고 나아가 고밀도로 콘택트를 배치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which has a small mounting area suitable for high frequency transmission and can also arrange contacts at a high dens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및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감합 전의 정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ront view before fitting of the electrical connector of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the electrical connector of 2nd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양 전기 커넥터의 A-A선에 따른 감합 전의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before fitting along line A-A. FIG.

도 3은 도 1의 양 전기 커넥터의 비스듬히 윗방향에서 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obliquely from abov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도 4는 도 1의 양 전기 커넥터의 비스듬히 아래방향에서 본 사시도.FIG. 4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obliquely downward of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수커넥터와 제2실시형태의 암커넥터를 기판과 함께 나타낸 사시도.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l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emale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together with the substrate;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상대방의 전기 커넥터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상호교대로 배열된 콘택트 중, 짧은 콘택트의 부분에 따른 단면도, (b)는 긴 콘택트의 부분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or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electrical connector of the other party, wherein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portion of the short contact among the contacts arranged alternately, and (b) is a long contact. Sectional drawing along the part of is shown, respectively.

도 7은 제3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기판에 취부하기 전의 상태를 기판 및 상대방 커넥터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ed the state before attaching the electrical connector of 3rd Embodiment to a board | substrate with a board | substrate and a counterpart connector.

* 주요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reference numerals

1, 100, 200 전기 커넥터1, 100, 200 electrical connectors

3, 102, 202 절연하우징3, 102, 202 Insulated Housing

8, 108, 208 전기 콘택트8, 108, 208 Electrical Contacts

12, 112, 212 기판12, 112, 212 substrate

20, 120, 220 도전성 일래스토머20, 120, 220 conductive elastomer

22, 122, 222 절연시트22, 122, 222 Insulation Sheet

36, 136, 236 취부 부재36, 136, 236 Mounting member

112b, 212a 도전 패드112b, 212a conductive pads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와 해당 전기 커넥터를유지하는 절연하우징을 갖는 도전 패드가 형성된 기판에 취부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하우징이 해당 절연하우징을 기판에 취부하는 취부 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절연하우징의 저면의 도전 패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콘택트에 접속되는 입자상의 도전성 일래스토머(eleastomer)를 갖고, 절연하우징이 기판에 취부되면 전기 콘택트가 도전성 일래스토머를 통해 대응하는 도전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electrical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substrate on which a conductive pad hav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nector and an insulating housing holding the electrical connector is formed, the insulating housing having a mounting member for attaching the insulating housing to the substrate.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 particulate conductive elastomer connected to the contac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ductive pad on the bottom of the insulating housing, and when the insulating housing is mounted on the substrate, the electrical contact corresponds to the conductive pad through the conductive elastom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입자상의 도전성 일래스토머는 절연하우징에 취부되는 절연 시트에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rticulate conductive elastom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held by an insulating sheet attached to the insulating housing.

이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한다)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of this invention (henceforth simply a connector)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서로 조합하는 2종의 커넥터 즉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제2실시형태의 커넥터(100)의 감합전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양 커넥터의 A-A선에 따른 감합전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양 커넥터를 비스듬히 윗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양 커넥터를 비스듬히 아랫방향에서 본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Fig. 1 is a front view before fitting of two types of connec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nnector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2 is a fitting along the line AA of both connectors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both connectors of FIG. 1 viewed obliquely from above,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both connectors of FIG. 1 viewed obliquely from below.

이하 도 1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4.

커넥터는 서로 조합가능한 수커넥터(1)와 암커넥터(100)의 2종류가 나타내어져 있다. 우선 처음으로 제1실시형태의 수커넥터(1)에 대해 설명한다. 수커넥터(1)는 사각형의 절연성 베이스 하우징(2)과, 이 베이스 하우징(2)과 조합되는 절연성 가이드 하우징(4)을 갖는다. 이들 베이스 하우징(2)과 절연성 가이드 하우징(4)으로부터 수커넥터(1)의 절연하우징(3)이 구성된다. 베이스 하우징(2)과 가이드 하우징(4)은 각각 후술하는 기판(12, 도 5)에 취부되는 취부면(14, 15)을 갖는다. 이들 취부면(14, 15)은 서로 면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2)은 그 긴 쪽 방향을 따라 취부면(14)와 반대측 중앙부에 철부(6, 도 2)를 갖는다.The connector shows two kinds of male connector 1 and female connector 100 which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First, the male connector 1 of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male connector 1 has a rectangular insulating base housing 2 and an insulating guide housing 4 in combination with the base housing 2. The insulating housing 3 of the male connector 1 is constituted from these base housings 2 and the insulating guide housings 4. The base housing 2 and the guide housing 4 have mounting surfaces 14 and 15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substrate 12 (FIG. 5) described later. These mounting surfaces 14 and 15 are made to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base housing 2 has convex portions 6 (FIG. 2) in the central portion opposite the mounting surface 14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베이스 하우징(2)의 철부(6)에는 도 2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선단 근방에 만곡부(10)를 갖는 전기 콘택트(이하, 단순히 콘택트라 한다.)(8)가 만곡부(10)를 외측으로 하여 2열로 설치되어 있다. 콘택트(8)는 인서트 성형 혹은 압입에 의해 베이스 하우징(2)에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2)의 취부면(14)에는 철부(6)에 대응하는 위치에 좁고 평탄한 요부(16, 도 2)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convex portion 6 of the base housing 2, an electrical contac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contact) 8 having a curved portion 10 near its tip, as best seen in FIG. 2, moves the curved portion 10 outward. Installed in two rows. The contact 8 is provided in the base housing 2 by insert molding or press fitting. In the mounting surface 14 of the base housing 2, a narrow and flat recessed part 16 (FIG. 2) is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art 6. As shown in FIG.

그리고 요부(16)에는 콘택트(8)에 대응하는 위치에 요부(16)보다 깊은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2)의 양측에는 긴 쪽 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볼트(36)를 삽통하는 3쌍의 구멍(37)이 천설되어 있다.The recessed portion 16 is formed with a groove 18 deeper than the recessed portion 16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8. On both sides of the base housing 2, three pairs of holes 37 are inserted into the bolt 36 to be described la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2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콘택트(8) 즉 베이스 하우징(2)에 매립된 쪽의 단부는 이 홈(18)에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각 요부(16)에는 콘택트(8)과 기판(1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가 되는 입자상의 도전성 일래스터머(2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도전성 일래스터머(20)는 원추 대형을 2개 합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전성 일래스터머(20)의 가장 큰 중앙부분의 직경은 0.8㎜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전성 일래스터머(20)는 폴리이미드 시트(절연시트)(22)에 유지되어 부조립체(21)로서 구성된다. 각각의 도전성 일래스터머(20)는 각 콘택트(8)에 대응하여 부조립체(21)에 배치되어 있다.As best shown in FIG. 2, the end portion of the side embedded in the contact 8, that is, the base housing 2, is provided to protrude into the groove 18.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recessed portions 16, particulate conductive elastomers 20 serving as connection member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acts 8 and the substrate 12 are disposed. Each electroconductive elastomer 20 has shown the shape which combined two large cones.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largest center part of the electroconductive elastomer 20 is formed in 0.8 mm. These conductive elastomers 20 are held in the polyimide sheet (insulation sheet) 22 and are configured as the subassembly 21. Each conductive elastomer 20 is disposed in the subassembly 21 corresponding to each contact 8.

폴리이미드 시트(22)는 전술한 요부(16)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열압착에 의해 베이스 하우징(2)에 취부된다. 그리고 도전성 일래스터머(20)는 홈(18)에 각각 배치된다. 도전성 일래스터머(20)가 베이스 하우징(2)에 취부되면 그 일부가 베이스 하우징(2)의 취부면(14)에서 돌출한다. 그리고 콘택트(8)의 타인(8a)는 도전성 일래스터머(20)에 파고들어 접촉하고 콘택트(8)와 도전성 일래스터머(20)와의 사이에 전기적인 접촉이 행해진다. 그리고 도전성 일래스터머(20)는 기판 취부시에 압축되어 변형하지만 이 변형분을 흡수하기 위해 홈(18)은 도전성 일래스터머(20)보다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The polyimide sheet 22 is disposed in the above-described recessed part 16 and mounted to the base housing 2 by, for example,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conductive elastomers 20 are disposed in the grooves 18, respectively. When the conductive elastomer 20 is mounted on the base housing 2, a part thereof protrudes from the mounting surface 14 of the base housing 2. The tines 8a of the contacts 8 penetrate and contact the conductive elastomer 20, and electrical contact is made between the contacts 8 and the conductive elastomer 20. The conductive elastomer 20 is compressed and deformed at the time of attaching the substrate, but the groove 18 is set to a slightly larger dimension than the conductive elastomer 20 to absorb the strain.

가이드 하우징(4)은 베이스 하우징(2)과 같은 폭을 갖고 베이스 하우징(2)보다 긴 치수를 갖는 사각형 부재이다. 가이드 하우징(4)은 후면에 베이스 하우징(2)을 수용하는 수용부(24)를 가짐과 함께 전면에 콘택트(8)를 유지하는 콘택트 유지부(26)와, 가이드 판(28)을 일체로 갖는다. 콘택트 유지부(26)는 콘택트(8)에 대응하여 콘택트(8)를 위치결정 유지하는 콘택트 유지홈(30)을 갖는다. 또한 도 1,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내는 콘택트 유지홈(30)중, 일부의 콘택트 유지홈(30)에만 콘택트(8)를 배치하고 그 밖의 콘택트 유지홈(30)에 배치된 콘택트(8)는 생략하였다. 콘택트 유지부(26)의 선단에는 2열로 이루어진 콘택트(8)의 선단부(8b, 도 2)를 덮는 콘택트 보호부(27)가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housing 4 is a rectangular member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base housing 2 and having a dimension longer than that of the base housing 2. The guide housing 4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24 for accommodating the base housing 2 on the rear side, and a contact holding portion 26 for holding the contact 8 on the front side and the guide plate 28 integrally. Have The contact holding part 26 has a contact holding groove 30 for positioning and holding the contact 8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act 8. Further, among the contact holding grooves 30 shown in FIGS. 1, 2, 3, and 4, the contact 8 is disposed only in a part of the contact holding grooves 30, and the contacts arranged in the other contact holding grooves 30. (8) is omitted. At the tip of the contact holder 26, a contact protector 27 is formed to cover the tip 8b (FIG. 2) of the contact 8 in two rows.

콘택트 유지부(26)의 긴 쪽 방향 양측에 전술한 가이드 판(28)이 콘택트 유지부(26)에서 이격하여 가이드 하우징(4)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가이드 판(28)의 선단에는 경사면(28a)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암커넥터(100)와의 감합시에안내가 된다. 가이드 하우징(4)의 기부(32)의 양측에는 베이스 하우징(2)의 전술한 구멍(37)에 대응하여 각각 3개의 구멍(34)이 천설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2)과 가이드 하우징(4)이 조합되면 이들 구멍(34)에 볼트(취부부재)(36)가 삽통되고 이 볼트(36) 및 너트(미도시)에 의해 기판(12)에 나사 잠금된다.The guide plate 28 mentioned above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holding part 26 at both sides of the contact holding part 2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egrally protrudes with the guide housing 4. The inclined surface 28a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of the guide plate 28, and guides at the time of fitting with the female connector 100 mentioned later. On both sides of the base 32 of the guide housing 4, three holes 34 are formed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holes 37 of the base housing 2. When the base housing 2 and the guide housing 4 are combined, bolts (mounting members) 36 are inserted into these holes 34 and screwed to the substrate 12 by the bolts 36 and nuts (not shown). Is locked.

수커넥터(1)가 기판(12)에 취부되면 도전성 일래스터머(20)가 기판(12)의 미도시 도전 패드와 밀착하여 기판(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콘택트(8)가 도전성 일래스터머(20)를 통해 기판(12)의 도전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수의 도전성 일래스터머(20)를 기판(12)에 압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지력이 큰 전술한 금속제 볼트(36) 및 너트에 의해 절연하우징(3)이 기판(12)에 취부된다. 이들 볼트(36)는 금속제 리벳이어도 좋다.When the male connector 1 is mounted on the substrate 12, the conductive elastomer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ad (not shown) of the substrate 1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12. In other words, the contact 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d of the substrate 12 via the conductive elastomer 20. Since many electroconductive elastomers 20 need to be pressed against the board | substrate 12, the insulating housing 3 is attached to the board | substrate 12 by the above-mentioned metal bolt 36 and a nut with a large holding force. These bolts 36 may be metal rivets.

다음으로 제2실시형태의 암커넥터(100)에 대해 도 1부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암커넥터(100)는 가늘고 긴 직방형의 절연성 하우징(102)과 이 하우징(102)에 유지된 콘택트(108, 도 2)로 구성된다. 이 하우징(102)은 수커넥터(1)의 콘택트 유지부(26)를 수용하는 가늘고 긴 감합요부(126)와 이 감합요부(126) 양측의 감합요부(126)에서 이격한 위치에 가이드 판(28)에 대응하여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구멍(128, 도 3)을 갖는다. 가이드 구멍(128)은 가이드 판(28)과 협동하여 수커넥터(1)가 원활하게 암커넥터(100)에 감합하도록 안내한다.Next, the female connector 100 of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female connector 100 consists of an elongated rectangular insulating housing 102 and a contact 108 held in the housing 102. The housing 102 has a guide pl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longated fitting recess 126 for receiving the contact holding portion 26 of the male connector 1 and the fitting recess 126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recess 126. 28 has a pair of guide holes 128 (FIG. 3) formed correspondingly. The guide hole 128 cooperates with the guide plate 28 to guide the male connector 1 to fit the female connector 100 smoothly.

콘택트(108)는 감합요부(126)의 내벽(129)에 형성된 수커넥터(1)의 삽발방향으로 뻗는 홈(130)에 인서트 성형 혹은 압입에 의해 취부되어 있다.(도 2, 도 3) 하우징(102)의 기판(112, 도 5)으로의 취부면(114)에는 수커넥터(1)의 베이스 하우징(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요부(116)가 2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116)는 그 양단에서 연결되고 후술하는 리벳(136)을 에워싸는 틀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요부(116)에는 콘택트(108)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술한 홈(18)과 동일한 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부(116) 및 홈(118)에는 각각 폴리이미드(절연시트)(122)와 이에 유지된 입자상 도전성 일래스토머(120)가 배치된다.The contact 108 is mounted by insert molding or press-fitting into the groove 130 extend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1 formed in the inner wall 129 of the fitting recess 126. (FIGS. 2 and 3) In the mounting surface 114 of the substrate 112 (FIG. 5) of the 102,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base housing 2 of the male connector 1, the recesses 116 are formed in two rows. This recessed part 116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frame which is connected in the both ends, and encloses the rivet 136 mentioned later. The recess 116 is provided with the same groove 118 as the above-described groove 18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108. Each of these recesses 116 and the groove 118 is provided with a polyimide (insulation sheet) 122 and a particulate conductive elastomer 120 held therein.

홈(118)은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 인해 도전성 일래스토머(120)의 사이즈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폴리이미드 시트(122)는 1열로 된 도전성 일래스토머(120)를 유지하는 가늘고 긴 시트가 양단에서 일체로 연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도전성 일래스토머(120)를 유지하여 부조립체(121)를 구성하고 있다.(도 2, 도 4) 이 부조립체(121)에 의해 도전성 일래스토머(120)의 절연하우징(102)으로의 취부가 용이해진다.The groove 118 is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nductive elastomer 120 for the same reason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polyimide sheet 122 has a shape in which an elongated sheet for holding a single row of conductive elastomers 120 is integrally connected at both ends, and the subassembly 121 is formed by holding the conductive elastomers 120. 2 and 4, the subassembly 121 facilitates the attachment of the conductive elastomer 120 to the insulating housing 102.

이들 도전성 일래스토머(120)도 취부후에는 하우징(102)의 취부면(114)에서 돌출한다. 감합요부(126)의 저벽(150)에는 하우징(102)의 긴 쪽 방향을 따라 5개의 미도시 구멍이 천설되어 있고, 이 구멍에 금속판(152)을 통해 리벳(취부부재)(136)이 삽통되어 있다. 암커넥터(100)는 이들 리벳(136)에 의해 기판(112)에 고정된다. 그리고 금속판(152)은 와셔도 좋으나 복수의 리벳(136)을 삽통하도록 긴 쪽 방향으로 뻗은 형상의 것이 취부시의 조임력을 분산시켜 절연하우징(102)의 변형을 방지하므로 바람직하다. 암커넥터(100)를 기판(112)에 취부한 때의 도전성 일래스토머(120)의 작용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리벳(136)은 볼트로 사용해도 좋다.These conductive elastomers 120 also protrude from the mounting surface 114 of the housing 102 after mounting. Five unshown holes are formed in the bottom wall 150 of the fitting recess 12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2, and a rivet (mounting member) 136 is inserted through the metal plate 152 through the bottom wall 150 of the fitting recess 126. It is. The female connector 100 is fixed to the substrate 112 by these rivets 136. The metal plate 152 may have a washer, but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sert the plurality of rivets 136 is preferable since the tightening force at the time of mounting prevents deformation of the insulating housing 102. The action of the conductive elastomer 120 when the female connector 100 is attached to the substrate 11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rivet 136 may also be used as a bolt.

이상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수커넥터(1)와 제2실시형태의 암커넥터(100)를 기판과 함께 도 5에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수커넥터(1)는 상측의 기판(12)에 취부된다. 기판(12)에는 볼트(36)가 취부되는 2열의 관통공(12a)가 천설되어 있다. 또한 암커넥터(100)는 하측의 기판(112)에 취부된다. 기판(112)에는 리벳(136)이 삽통되는 관통공(112a)이 1렬로 천설되어 있다. 관통공(112a)의 양측에는 관통공(112a)의 열에 따라 즉 콘택트(108)에 대응하여 도전 패드(112b)가 다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암커넥터(100)가 기판(112)에 취부되면 각 도전성 일래스토머(120)는 이들의 대응하는 도전 패드(112b)에 압압되어 접촉한다.The male connector 1 of 1st Embodiment demonstrated above and the female connector 100 of 2nd Embodiment are shown in perspective with FIG. 5 with a board | substrate. As shown in FIG. 5, the male connector 1 is mounted on the upper substrate 12. The board | substrate 12 is provided with two rows of through-holes 12a through which bolts 36 are mounted. In addition, the female connector 100 is mounted on the lower substrate 112. The substrate 112 is provided with one row of through-holes 112a through which the rivets 136 are inserted. It is shown that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112a are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conductive pads 112b according to the rows of the through holes 112a, that is, corresponding to the contacts 108. When the female connector 100 is mounted on the substrate 112, each of the conductive elastomers 120 is pressed against and contacts their corresponding conductive pads 112b.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커넥터(200)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3실시형태의 커넥터(200)를 상대방 커넥터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상호교대로 배열된 콘택트 중, 짧은 콘택트의 부분에 따른 단면도, (b)는 긴 콘택트의 부분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커넥터(200)를 기판에 취부하기 전의 상태를 기판 및 상대방 커넥터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Next, the connector 200 of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or 200 of the third embodiment together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wherein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portion of the short contact among the contacts arranged alternately, and (b) is taken along the portion of the long contact. Sectional drawing is shown, respectively. 7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before attaching the connector 200 to a board | substrate with a board | substrate and a counterpart connector.

커넥터(200)는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커넥터(100)와 유사한 암커넥터로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번호를 붙여 설명한다. 커넥터(200)는 직방형의 절연성 하우징(202)과 콘택트(208)를 갖는다. 콘택트(208)는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02)의 감합요부(206)의 내벽(229, 도 7)에 형성된 홈(230)에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208)는 커넥터(200)의 삽발방향의 치수가 짧은콘택트(208a)와 긴 콘택트(208b)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nector 200 is a female connector similar to the connector 100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Connector 200 has a rectangular insulating housing 202 and a contact 208. The contact 208 is disposed in the groove 230 formed in the inner wall 229 (FIG. 7) of the fitting recess 206 of the housing 202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tact 208 is composed of a contact 208a having a short dimension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nnector 200 and a long contact 208b.

콘택트(208a)와 콘택트(208b)는 상호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콘택트(208a)의 타인 하단부(209a)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향으로 거의 직각 절곡되고 콘택트(208b)의 타인 하단부(209b)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향으로 거의 직각 절곡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208a)의 외측으로 절곡된 선단부(211a)는 하우징(202)의 감합면(213)에서 안쪽에 위치하고, 콘택트(208b)의 외측으로 절곡된 선단부(211b)는 감합면(213)에 도달해 있다.The contacts 208a and 208b are arranged alternately, and the tine lower end portion 209a of the contact 208a is bent inward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as shown in Fig. 6 (a) and the tin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tact 208b. 209b is bent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outward as shown to FIG. 6 (b). Further, the tip portion 211a bent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208a is located inward from the fitting surface 213 of the housing 202, and the tip portion 211b bent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208b is to the fitting surface 213. Reached.

이와 같이 콘택트(208)의 길이를 변환하여 선단부(211a, 211b)의 위치를 바꾸는 것은 상대방 커넥터(300)와의 감합시에 콘택트 끼리의 접촉에 의한 접촉압력이 단번에 큰 정점에 도달하여 감합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감합시의 접촉압력의 정점을 시간적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감합시의 감합력을 낮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하우징(202)의 취부면(214)에는 콘택트(208)의 열을 따라 단부(255)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208a, 208b)의 각각의 하단부(209a, 209b)에 대응하는 위치에 입자상의 도전성 일래스토머(120)를 유지한 폴리이미드(절연시트)(222)에 의해 부조립체(221)가 구성된다. 전술한 단부(255)에는 이 부조립체(221)가 배치된다.By changing the lengths of the contacts 208 and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tip portions 211a and 211b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pressure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s at the time of fitt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300 reaches a large peak at a time, thereby increasing the fitting force. It is to prevent that. That is, it is for lowering the fitting force at the time of fitting by shifting the peak point of the contact pressure at the time of fitting. An end portion 255 is formed on the mounting surface 214 of the housing 202 along the rows of the contacts 208. The subassembly 221 is constituted by the polyimide (insulation sheet) 222 holding the particulate conductive elastomer 12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s 209a and 209b of the contacts 208a and 208b, respectively. do. The subassembly 221 is disposed at the end portion 255 described above.

이들 도전성 일래스토머(220)는 하우징(202)에 취부되면 대응하는 콘택트(208)의 하단부(209a, 209b)에 접촉함과 동시에 도전성 일래스토머(120)의 일부가 취부면(214)에서 돌출 즉 기판(212)측에 돌출한다. 또한 리벳(취부부재)(236) 및 금속판(252)에 대해서는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은생략한다.When the conductive elastomer 220 is mounted on the housing 202, the conductive elastomer 220 contacts the lower ends 209a and 209b of the corresponding contact 208, and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conductive elastomer 120 is attached to the mounting surface 214. It protrudes, ie, protrudes toward the substrate 212 side. In addition, since the rivet (mounting member) 236 and the metal plate 252 are the same as that of 2nd Embodiment,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또한 도 7에 콘택트(208)에 접속되는 기판(212)측의 도전 패드(212a)가 콘택트(208)의 타인 하단부(209a, 209b)에 대응하여 새발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명료하게 나타내어져 있다. 이 배치에 의해 인접하는 콘택트(208)의 하단부(209a, 209b)가 역방향이 되므로 하단부(209a, 209b)끼리 서로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에 따라 긴 쪽 방향에 따르는 콘택트(208)의 피치를 예를 들면 0.8㎜의 좁은 피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수평으로 절곡된 타인의 하단부(209a, 209b)가 도전성 일래스토머(220)와 접촉하므로 접촉면적을 비교적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접촉신뢰성이 향상됨과 함께 압축되는 도전성 일래스토머의 손상을 적게 할 수 있다.7 clearly shows that the conductive pads 212a on the side of the substrate 212 connected to the contacts 208 are arranged in the shape of a bird's-eye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wer end portions 209a and 209b of the contacts 208. . This arrangement prevents the lower end portions 209a and 209b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ecause the lower end portions 209a and 209b of the adjacent contacts 208 are reversed. Thereby, the pitch of the contact 208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made into narrow pitch of 0.8 mm, for example. 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portions 209a and 209b of horizontally bent contacts the conductive elastomer 220, the contact area can be secured relatively large, thereby improving contact reliability and reducing damage to the compressed conductive elastomer.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1, 100, 200)에 사용되는 도전성 일래스토머(20, 120, 220)는 폴리이미드 시트(22, 122, 222)에 의해 각각 유지되어 있으나 입자상의 개개의 도전성 일래스토머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하우징의 저면의 콘택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하고 그 각 홈 내에 콘택트와 접촉하도록 입자상의 도전성 일래스토머를 매립해도 좋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elastomers 20, 120, and 220 used in the connectors 1, 100, an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held by the polyimide sheets 22, 122, and 222, respectively. The mer can be used alone. For example, a particulate conductive elastomer may be embedded so as to form a groov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housing and to contact the contact in the groove.

다음으로 커넥터(200)과 감합하는 상대방 커넥터(30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커넥터(300)는 콘택트(308)를 식설한 베이스 하우징(302)과 이 베이스 하우징(302)를 수용한 가이드 하우징(304)을 갖는다. 가이드 하우징(304)은 기판(312)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각(357)과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콘택트 유지부(326), 가이드 판(328)을 갖는다. 기판(312)은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대향하는 취부각(357)의 사이에 배치되고 미도시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된다. 그 때콘택트(308)는 기판(312)의 도전 패드(312a)와 납땜부착되어 고정된다.Next, the counterpart connector 300 fitting with the connector 200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connector 300 has a base housing 302 in which the contact 308 is implanted and a guide housing 304 in which the base housing 302 is accommodated. The guide housing 304 has a mounting angle 357 for attaching to the substrate 312, a contact holding portion 326 and a guide plate 328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oard | substrate 312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opposing mounting angles 357 as shown in FIG. 7, and is fixed by the bolt and nut which are not shown in figure. At that time, the contact 308 is soldered and fixed to the conductive pad 312a of the substrate 312.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절연하우징이 절연하우징을 기판에 취부하는 취부 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절연하우징의 저면의 도전 패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콘택트에 접속되는 입자상의 도전성 일래스토머를 갖고, 전기 콘택트가 도전성 일래스토머를 통해 대응하는 도전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The electrical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unting member for attaching the insulating housing to the substrate, and has a particulate conductive elastomer connected to the contac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ductive pad on the bottom of the insulating housing. Sinc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corresponding electrically conductive pad through an electroconductive elastomer,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전기 커넥터는 콘택트를 기판에 납땜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판에 취부하는 공정수를 줄임과 동시에 납땜시 가열에 의한 하우징 및 콘택트가 열화(劣化)되는 일은 없다. 또한 납땜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넥터의 외형으로부터 외측에 취부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져 실장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상에 어느 정도의 면적을 필요로 하는 납땜부가 불필요하므로 고밀도로 콘택트를 배치할 수 있다. 더욱이 콘택트의 납땜이 불필요하면서 짧은 치수의 콘택트로 배치가능하여 전기장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고주판전송에 적합한 전기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Since the electrical connector does not need to solder the contact to the board, the number of steps for mounting on the board is reduced, and the housing and the contact due to heating during soldering do not deteriorat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check the soldering portion, there is no need to secure an area for mounting from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to the outside, and the mounting area can be made small. In addition, since a soldering part that requires a certain area on the substrate is unnecessary, the contact can be disposed at a high density. Moreover, since soldering of contacts is unnecessary and can be arranged with short-size contacts, the electric field can be shortened, thereby obtaining an electrical connector suitable for high abacus transmission.

입자상의 도전성 일래스토머가 절연하우징에 취부되는 절연 시트에 의해 유지되는 경우에는 도전성 일래스토머의 전기 커넥터에 대한 조립을 일괄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When the particulate conductive elastomer is held by the insulating sheet attached to the insulating housing, the assembly of the conductive elastomer to the electrical connector can be easily performed collectively.

Claims (2)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와 해당 전기 커넥터를 유지하는 절연하우징을 갖는 도전 패드가 형성된 기판에 취부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substrate on which a conductive pad hav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nector and an insulating housing holding the electrical connector is formed, 상기 절연하우징이 해당 절연하우징을 상기 기판에 취부하는 취부 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절연하우징의 저면에 상기 도전 패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콘택트에 접속되는 입자상의 도전성 일래스토머(eleastomer)를 갖고, 상기 절연하우징이 상기 기판에 취부되면 상기 전기 콘택트가 상기 도전성 일래스토머를 통해 대응하는 상기 도전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insulating housing has a mounting member for attaching the insulating housing to the substrate, and at the bottom of the insulating housing has a particulate conductive elastomer connected to the contac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ductive pad, And the electrical contac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ductive pad through the conductive elastomer when the insulating housing is mounted to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자상의 도전성 일래스토머가 상기 절연하우징에 취부되는 절연 시트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And said particulate conductive elastomer is held on an insulating sheet attached to said insulating housing.
KR10-2003-0001374A 2002-01-11 2003-01-09 electrical connector KR2003006132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4139A JP2003208930A (en) 2002-01-11 2002-01-11 Electric connector
JPJP-P-2002-00004139 2002-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329A true KR20030061329A (en) 2003-07-18

Family

ID=2764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374A KR20030061329A (en) 2002-01-11 2003-01-09 electrical conne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208930A (en)
KR (1) KR20030061329A (en)
CN (1) CN1303725C (en)
TW (1) TWI26485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48779B (en) * 2022-11-02 2023-10-13 富加宜电子(南通)有限公司 High-speed large-current small-spacing floating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302A (en) * 1974-05-02 1975-11-18 Johh M Cutchaw Zero insertion force solderless connector
JP3428906B2 (en) * 1998-07-09 2003-07-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302601A (en) 2003-08-01
TWI264856B (en) 2006-10-21
JP2003208930A (en) 2003-07-25
CN1303725C (en) 2007-03-07
CN1433108A (en) 200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823B2 (en) Press-fit pin
US6544045B1 (en) Surface mounted right angle electrical connector
US6592407B2 (en) High-speed card edge connector
US736102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572386B1 (en) Socket having low wiping terminals
US6957987B2 (en) Socket connector for integrated circuit
US640256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pring contact member
US6561817B1 (en) Electrical socket having minimal wiping terminals
US6116923A (en) Electrical connector
US6210174B1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US7654828B1 (en) Socket with contact for being soldered to printed circuit board
US20070054531A1 (en) Land grid array electrical connector
US6471535B1 (en) Electrical socket
KR100527319B1 (en) Low-Profile Connector
US7097517B2 (en) Socket connector for integrated circuit
US20040166707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olddown for ground connection
US7938652B2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KR20030061329A (en) electrical connector
US6485313B1 (en) BGA socket with improved contacts
US6719567B2 (en)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
US20070111580A1 (en) Contact for CPU socket
US6623298B2 (en) CPU socket connector
JPH0822871A (en) Connector for electronic unit
US700824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4639998B (en) Connector,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